맨위로가기

Ƿ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Ƿ (윈)은 앵글로색슨 시대 후반부터 중세 영어 시대까지 사용되었던 문자이다. 이 문자는 룬 문자의 영향을 받아 'w' 소리를 나타냈으며, 활자 인쇄술의 발달과 영어 철자의 표준화로 인해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어 현대 영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윈 문자는 '기쁨, 환희'를 의미하며, 유니코드에 다양한 형태로 등록되어 옛 영어 텍스트 표현 및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영어 - 색스
    색스는 게르만족이 사용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칼 또는 단검으로, 색슨족의 이름 유래 및 에식스 주 문장에 등장하는 등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주요 칼날 무기로 사용되었고, 작스의 어원이기도 하다.
Ƿ
문자 정보
문자Ƿ ƿ
종류알파벳
사용 언어고대 영어
유니코드U+01F7, U+01BF
사용 시기~700년 ~ ~1100년
관련 문자Ꝩ ꝩ
대응 문자w
연관 문자w
쓰기 방향왼쪽에서 오른쪽
룬 문자 정보
룬 문자 이름*Wunjō
고대 영어 이름Wynn
의미기쁨
모양[[File:Runic letter wunjo.svg|x50px|class=skin-invert-image]]
유니코드 16진수16B9
음역w
전사w
위치8
기타 정보
고딕 문자𐍅
IPA (고딕 문자)

추가 정보
의미기쁨

2. 역사

초기 고대 영어 문헌에서는 이 음소를 'uu'라는 이중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서기관들은 곧 이 목적으로 ''wynn'' ᚹ|윈ang 룬 문자를 차용하였다. 윈 문자는 앵글로색슨 시대 내내 표준 문자로 남아 있다가, 약 1300년경 중세 영어 시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이후 'u'로 대체되기도 하였지만, 'uu'의 합자 형태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이 현대 문자 'w'의 기원이 되었다.

2. 1. 윈 문자의 기원

초기 고대 영어 문헌에서는 이 음소를 'uu'라는 이중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서기관들은 곧 이 목적으로 ''wynn'' ᚹ|윈ang 룬 문자를 차용하였다. 이것은 앵글로색슨 시대 내내 표준 문자로 남아 있다가, 약 1300년경 중세 영어 시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윈 문자 이후의 문헌에서는 때때로 'u'로 대체되었지만, 'uu'의 합자 형태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이 현대 문자 'w'의 기원이 되었다.

2. 2. 앵글로색슨 시대

초기 고대 영어 문헌에서는 이 음소를 'uu'라는 이중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서기관들은 곧 이 목적으로 ''wynn'' ᚹ|윈ang 룬 문자를 차용하였다. 윈 문자는 앵글로색슨 시대 내내 표준 문자로 남아 있다가, 약 1300년경 중세 영어 시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윈 문자 이후의 문헌에서는 때때로 'u'로 대체되었지만, 'uu'의 합자 형태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이 현대 문자 'w'의 기원이 되었다.

2. 3. 중세 영어 시대

초기 고대 영어 문헌에서는 이 음소를 ''uu''라는 이중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서기관들은 곧 이 목적으로 ''wynn'' () ᚹrun를 차용하였다. 이것은 앵글로색슨 시대 내내 표준 문자로 남아 있다가, 약 1300년경 중세 영어 시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wynn'' 이후의 문헌에서는 때때로 ''u''로 대체되었지만, ''uu''의 합자 형태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이 현대 문자 ''w''의 기원이 되었다.

3. 의미

윈(Ƿ)은 기쁨, 환희를 의미한다.[3] 앵글로색슨족의 룬시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데, 룬시는 윈을 소유한 자는 고통, 슬픔, 근심을 모르며 번영과 기쁨, 충분한 피난처를 누린다고 묘사한다.

3. 1. 룬시에서의 의미

앵글로색슨족의 룬시에서 윈(Ƿ)은 기쁨, 환희를 의미한다.[3]

Ƿenne brūceþ, þe can ƿēana lẏt
sāres and sorge and him sẏlfa hæf
blǣd and blẏsse and eac bẏrga geniht.ang (앵글로색슨 룬시의 22-24행)

위 룬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번역될 수 있다.

: 그것을 사용하는 자는 고통,

: 슬픔이나 근심을 알지 못하며, 그 자신은

: 번영과 환희, 그리고 충분한 피난처를 가지고 있다. (딕킨스(1915)의 번역을 약간 수정)

4. 다른 문자들과의 관계

윈 문자는 독자적인 혁신이었을 수도 있고, 고전 라틴 알파벳의 ''P''[4] 또는 ''Q'' 나 레티아 알파벳의 ''W''[5]에서 각색되었을 수도 있다. 윈 문자는 쏜(þ)과 함께 영어 알파벳에 차용된 두 개의 룬 문자 중 하나이며, 현대에 고대 영어 텍스트를 인쇄하기 위해 부활했지만 20세기 초부터는 일반적으로 현대 로 대체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4. 1. 고딕 알파벳

고딕 알파벳에서 ''w''는 winja|윈야got라고 하며, 이를 통해 룬 문자의 이름을 원시 게르만어로 ''*wunjô'' "기쁨"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4] 윈 문자는 쏜(þ)과 함께 영어 알파벳(또는 라틴 알파벳의 확장판)에 차용된 두 개의 룬 문자 중 하나이다. 윈 문자의 변형된 버전인 벤드는 , , 소리에 대해 고대 노르드어에서 잠시 사용되었다.

4. 2. 쏜 문자

윈 문자는 쏜(þ)과 함께 영어 알파벳(또는 라틴 알파벳의 확장판)에 차용된 두 개의 룬 문자 중 하나이다. 윈 문자의 변형된 버전인 벤드(vend)는 /u/, /v/, /w/ 소리에 대해 고대 노르드어에서 잠시 사용되었다.[4] 윈 문자는 현대에 고대 영어 텍스트를 인쇄하기 위해 부활했지만, 20세기 초부터는 일반적으로 현대 w로 대체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4. 3. 벤드 문자

윈 문자(vend)는 , , 소리에 대해 고대 노르드어에서 잠시 사용되었다.[4]

5. 유니코드

대문자 윈(왼쪽), 소문자 윈(오른쪽)


윈(Ƿ, ƿ)과 관련된 유니코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윈은 유니코드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된다.[6]

대문자유니코드소문자유니코드비고
ǷU+01F7ƿU+01BF



기호유니코드명칭
U+16B9운조

[7][8]

5. 1. 윈 문자 유니코드

다음은 윈 및 윈 관련 문자가 유니코드에 있는 내용이다.[6]

대문자유니코드소문자유니코드비고
ǷU+01F7ƿU+01BF



기호유니코드명칭
U+16B9운조

[7][8]

5. 2. 벤드 문자 유니코드

유니코드에 등록된 벤드 문자
코드명칭
U+A768라틴 대문자 벤드[6]
U+A769라틴 소문자 벤드[6]


5. 3. 이중 윈 문자 유니코드

유니코드에는 다음과 같은 윈 및 윈 관련 문자가 있다.[6]

이중 윈 문자 유니코드
문자유니코드명칭
A7D4라틴 대문자 이중 윈[7]
A7D5라틴 소문자 이중 윈[8]


6. 컴퓨팅 코드

윈(Ƿ, ƿ)은 유니코드에서 대문자는 U+01F7, 소문자는 U+01BF로 표현된다. JIS X 0213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ǷU+01F7미포함ǷƿU+01BF미포함ƿ


참조

[1] OED wyn
[2] 서적 From Old English to Standard English https://books.google[...] MacMillan
[3] 서적 Runic and Heroic Poems of the Old Teutonic Peopl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On the Origin and Early History of the Runic Script, Typology and Graphic Variation in the Older Futhark
[5]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Old Germanic Alphabets http://titus.uni-fra[...] Uni Frankfurt 2007-03-21
[6] 웹사이트 UCD: UnicodeData.txt http://www.unicode.o[...] 2022-11-22
[7] 문서 This character has been approved to be encoded as LATIN CAPITAL LETTER DOUBLE WYNN in Unicode 17.0. https://unicode.org/[...]
[8] 웹사이트 L2/20-268: Revised proposal to add ten characters for Middle English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20-10-05
[9] 서적 Runic and Heroic Poems of the Old Teutonic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