Џ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Џ는 키릴 문자의 한 종류이다. 15세기에 루마니아 키릴 문자의 Ч에서 파생되어 처음 사용되었고, 17세기부터 세르비아 필사본에 등장했다. 부크 카라지치는 키릴 문자 개혁에 이 문자를 포함시켜 널리 사용되도록 했다. 세르비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 /dʒ/를, 아브하스어에서는 유성 권설 파찰음 /d͡ʐ/를 나타낸다.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30번째 문자이며, 세르비아어 알파벳의 29번째 문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Џ | |
---|---|
키릴 문자 Dzhe | |
유니코드 | U+040F (대문자), U+045F (소문자) |
키릴 문자 | Џ, џ |
음성 | '[], []' |
명칭 | |
이름 | 제 |
다른 이름 | Dze, Dzhe |
발음 | |
발음(IPA) | , |
용례 | |
약어 | angbr |
관련 문자 | 'dž' 'lj' 'nj' |
2. 역사
Џ는 15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루마니아 키릴 문자에서 문자 'Ч'의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었다.[1] 17세기부터 세르비아 필사본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2] 부크 카라지치는 키릴 문자 개혁에 이 문자를 포함시켜 널리 사용되게 하였다.[1]
세르비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 /dʒ/|/dʒ/sr를 나타낸다. 아브하스어에서는 유성 권설 파찰음 /d͡ʐ/|/d͡ʐ/ab를 나타낸다.
마케도니아어의 30번째 문자이며, 세르비아어의 29번째 문자이다.
3. 음소
4. 알파벳 상 위치
5. 관련 문자
6. 컴퓨팅 코드
Џ|џmk는 키릴 문자 Т와 С의 합자이다.
참조
[1]
서적
Gramatika i stilistika hrvatskoga ili srpskoga književnog jezika
1899
[2]
서적
Istorija srpske ćirilice
Belgrade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