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이다. 6세기경 발칸 반도에 정착한 슬라브족의 방언에서 시작되어, 9세기에 구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다.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고, 18세기 후반부터 마케도니아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문학 마케도니아어가 등장했다. 1903년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가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을 처음으로 제안했고, 1944년 제1차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집회에서 공용어로 선포되어, 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마케도니아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 분석적인 문법 구조를 가진다. 서부, 동부, 북부 방언으로 나뉘며, 불가리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은 역사적으로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불가리아와 그리스는 마케도니아어 명칭 사용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여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케도니아어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은 마케도니아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음소를 가지며 단어 강세는 주로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위치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모음 길이는 음소로 구별되지는 않는다.
알바니아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알바니아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그리스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 (사진)는 190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Za makedonckite raboti''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에서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을 처음으로 개괄한 사람 중 한 명이다.
마케도니아어는 다른 슬라브어파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정착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6세기경 발칸 반도에 정착한 슬라브족은 각자의 방언을 사용했으며, 서로 다른 방언이나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했다.[14] 9세기부터 11세기 전반까지는 구교회 슬라브어 시대였으며, 이 시기에는 그리스어 종교 서적이 번역되었다.[15][16] 13세기 말부터는 세르비아어의 영향을 받았고,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튀르크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 내 슬라브족 사이에서 민족주의가 강해지면서 마케도니아어 표준화 논의가 시작되었다. 1944년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집회(ASNOM)에서 마케도니아어가 공용어로 선포되었고,[16] 1945년에 표준화가 이루어져 유고슬라비아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17]
2. 1. 고대 및 중세
구교회 슬라브어(OCS) 마케도니아어 판본에서의 유스(Yus) 비비강음화
6세기경 발칸 반도에 정착한 슬라브족은 각자의 방언을 사용했으며, 서로 다른 방언이나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했다.[14][15][16] 마케도니아어 발달의 "정준" 구교회 슬라브어 시대는 9세기에 시작되어 11세기 전반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대에는 그리스어 종교 서적이 번역되었다. 오흐리드 문학 학교의 작품들 때문에 마케도니아어 판본 구교회 슬라브어도 그 무렵 불가리아 제국에서 등장했다. 13세기 말엽에는 세르비아가 남쪽으로 국경을 확장하면서 세르비아어의 영향력이 커졌다.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 지배 기간 동안,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마케도니아어를 발칸 언어 연합의 일원으로 특징짓는 문법적 및 언어적 변화를 겪었다. 이 시대에는 많은 튀르크어 차용어가 마케도니아어에 유입되었다.
2. 2. 근대
18세기 후반, 저술가들이 "불가리아어"라고 부르는 마케도니아 방언의 서면 사용을 통해 현대 문학 마케도니아어가 등장했다.[14][15][16] 19세기 전반에는 오스만 제국 내 남슬라브족 사이에서 민족주의가 급부상했다.[17] 이 시기에는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 슬라브족을 위한 공통의 현대 마케도니아-불가리아어 문학 표준어를 사용하는 공통 교회를 만들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8][19]
1840년에서 1870년 사이에는 단순히 "불가리아어"라고 불리는 공통 언어의 방언적 기반을 정의하기 위한 투쟁이 벌어졌고,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등장했다.[20][21] 마케도니아 방언을 기반으로 불가리아어 문학 언어를 만들자는 이데올로기가 있었지만, 불가리아어 규범화가들은 이러한 제안을 거부했다.[22][23] 당시 스트루가 방언으로 쓰여진 시가 러시아어 요소를 포함하여 나타났다.[24] 교과서에서도 언어의 구어 방언 형태 또는 혼합된 마케도니아-불가리아어를 사용했다.[25] 이후, 별개의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6]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가 1903년에 출판한 저서 ''Za makedonckite raboti''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는 별개의 문학 언어를 공식화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27] 이 책에서 미시르코프는 마케도니아어 문법을 제안하고 언어를 규범화하여 학교에서 사용하겠다는 목표를 표명했다. 그는 프릴렙-비톨라 방언을 마케도니아어 표준어 형성의 방언적 기반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했지만, 그의 생각은 1940년대까지 채택되지 않았다.[28][29]
2. 3. 현대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국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집회(ASNOM) 회의에서 마케도니아어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었던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용어로 선포되었다.[16]1945년, 블라제 코네스키 등이 참여한 위원회에서 현대 마케도니아어 알파벳과 철자법을 제정하여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마케도니아어는 1945년부터 1991년까지 유고슬라비아의 3개 공용어 중 하나였다.[17]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북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어를 공용어로 유지하고 있다.
공식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은 1945년 5월 5일 블라제 코네스키가 이끄는 마케도니아 국민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의회(ASNOM) 상임위원회에 의해 제정되었다.[37] 마케도니아 키릴 문자에만 있는 문자는 Ѓ, Ќ, Ѕ, Џ, Љ, Њ이다.[37] 이 중 Љ와 Њ는 이전에 마케도니아 작가 크르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가 л'과 н'로 썼다.
표준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에는 31개의 문자가 있다. 다음은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각 문자에 대한 IPA 값이다.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은 어포스트로피(') 기호도 소리 기호로 사용한다. /r˳/를 형성하는 음절을 나타낼 때(예: 'рж|르주|mk - 호밀, 'рбет|르베트|mk - 척추) 단어 앞에 쓰이며, 일부 문학 작품이나 터키어 차용어에서 슈와 음소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예: 'к'смет|크스메트|mk - 행운). 세 모음에는 악센트 부호(`)가 쓰인다: ѝ|이|mk - 그녀( и|이|mk - 그리고 와 구별), нè|네|mk - 우리( не|네|mk - 아니오 와 구별), сѐ|세|mk - 모든 것( сe|세|mk - 재귀 동사를 수반하는 짧은 재귀 대명사 와 구별).
4. 음운론
표준 마케도니아어의 음운 체계는 프리레프-비톨라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마케도니아어는 5개의 모음, 1개의 반모음, 3개의 유음, 3개의 비음, 3쌍의 마찰음, 2쌍의 파찰음, 1개의 무성 마찰음, 9쌍의 유성 및 무성 자음, 그리고 4쌍의 파열음을 가지고 있다. 모든 슬라브어 중에서 마케도니아어는 자음에 비해 모음의 빈도가 가장 높으며, 일반적인 마케도니아어 문장에는 평균적으로 모음 1개당 자음이 1.18개 있다.[34]
단어 강세는 제3음절 강세이며 역동적(호기성)이다. 즉, 세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에서 세 번째 음절에, 그 이외의 단어에서는 첫 번째 또는 유일한 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4. 1. 모음
마케도니아어에는 /a/, /ɛ/, /ɪ/, /o/, /u/의 5개 모음이 있다.[34] 원어민 마케도니아어 화자의 중간 모음 /е/와 /о/의 발음은 [ɛ]에서 [ẹ]까지, [o]에서 [ọ]까지 다양한 소리가 날 수 있다. 무강세 모음은 축약되지 않지만, 특히 강세 음절에 있는 경우 강세 모음보다 약하고 짧게 발음된다. 5개의 모음과 두 개의 자음 사이에 있는 모음 역할을 하는 글자 'р'(/r/) (예: црква|crkvamk, "교회")는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슈와는 많은 방언에서 음소적이지만 ( 또는 에 가까운 정도는 다양함) 표준어에서의 사용은 미미하다. 방언 단어를 쓰고 미적 효과를 위해 슈와를 유지할 때는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к’смет', 'с’нце' 등이 있다. 모음 길이는 음소적이지 않다.
마케도니아어의 자음 체계는 26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유성음(звучни|즈부치니mk), 무성음(безвучни|베즈부치니mk), 유음(сонорни|소노르니mk)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34] 마케도니아어 자음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특징과 규칙에는 서로 인접한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의 동화, 단어 끝에서의 유성 자음의 무성화, 이중 자음 및 음절 생략이 포함된다.[34] 형태소 경계(철자로 표시됨)와 단어 끝(철자로 표시되지 않음)에서 유성 대립은 중화된다.[34]
치경 전동음()은 두 자음 사이에서 음절적이다. 예를 들어, прст|프르스트mk '손가락'과 같다. 치음 비음()과 치음 측음()도 특정 외래어에서 음절적이다. 예: њутн|뉴튼mk '뉴턴', Попокатепетл|포포카테페틀mk '포포카테페틀' 등. 순치음 은 와 앞의 의 동소로 나타난다(예: трамвај|트람바mk '트램').[34]연구개 비음 은 마찬가지로 와 앞의 의 동소로 나타난다(예: англиски|앙글리스키mk '영어').
상속된 슬라브어 는 표준어를 기반으로 하는 마케도니아어 서부 방언에서 소실되었으며, 처음에는 영음이 되었고, 그 외에는 대부분 가 되었다. 는 새로운 외래어 (예: хотел|호텔mk), 지명(Пехчево|페흐체보mk, 페흐체보),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단어(дух|두흐mk, 유령), 새롭게 형성된 단어(доход|도호드mk, 소득), 그리고 두 단어를 구별하기 위한 수단(храна|흐라나mk, 음식 대 рана|라나mk, 상처)을 통해 표준어의 일부가 되었다. 이것은 마케도니아어에서 Х의 희귀성을 설명한다.
방언에 따라 다른 발음을 보입니다. 표준어에서는 배후 경구개 파열음이며, 일부 원어민은 그렇게 발음한다.
4. 3. 강세
마케도니아어의 단어 강세는 제3음절 강세mk이며 역동적(호기성)이다. 즉, 세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에서 세 번째 음절에, 그 이외의 단어에서는 첫 번째 또는 유일한 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단어가 최근에 또는 외국어 출처에서 언어에 유입된 경우에는 이것이 무시되는 경우가 있다.[34] 어떤 음절에 강세를 줘야 하는지 표시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어는 모음 위에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한다. 이음절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를 둔다: ''дéте'' (아이), ''мáјка'' (어머니), ''тáтко'' (아버지). 삼음절 및 다음절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서 세 번째 음절에 강세를 둔다: ''плáнина'' (산), ''планѝната'' (그 산), ''планинáрите'' (산악인들).[34] 이 규칙에는 여러 예외가 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동사 부사(즉, ''-ќи''로 끝나는 단어): 예: ''викáјќи'' (외치는), ''одéјќи'' (걷는); 시간 부사: ''годинáва'' (올해), ''летóво'' (올여름); 외래어: 예: ''клишé'' (클리셰), ''генéза'' (창세기), ''литератýра'' (문학), ''Алексáндар'' (알렉산더).[34]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같은 강세로 발음될 때 연결이 발생한다. 연결은 마케도니아어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이러한 언어 현상을 акцентска целостmk라고 하며 띄어쓰기 합자(‿) 기호로 표시한다. 여러 단어가 하나의 단위로 간주되므로 제3음절에 강세가 놓이는 규칙을 따른다. 이 규칙은 동사와 함께 부정 부사 ''не''와 같은 클리틱(강조어 또는 약조어)을 사용할 때(예: ''тој нé‿дојде'', 그는 오지 않았다) 그리고 짧은 대명사 형태와 함께 적용된다. 미래 시제 부사 ''ќе''도 중간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규칙을 따른다(''не‿му‿јá‿даде'', 그에게 그것을 주지 않았다; ''не‿ќé‿дојде'', 그는 오지 않을 것이다).[34] 다른 용례로는 짧은 대명사 형태와 함께 사용되는 명령형(''дáј‿ми'': 나에게 줘), 소유격 표현(''мáјка‿ми''), 명사 뒤에 오는 전치사(''зáд‿врата''), 동사 뒤에 오는 의문사(''когá‿дојде'') 및 일부 복합 명사(''сувó‿грозје'' - 건포도, ''киселó‿млеко'' - 요구르트) 등이 있다.[34]
5. 문법
마케도니아어 문법은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하여 분석적인 특징을 보이며, 이는 격 변화가 거의 사라졌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35] 발칸 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마케도니아어는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발전시켰다.
마케도니아어는 화자와의 거리에 따라 세 가지 형태의 정관사를 사용하며, 이는 다른 남슬라브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또한, "갖다"라는 조동사를 이용하여 완료 시제를 형성하며, 이때 과거분사는 중성으로 쓰인다.[35] 전전최종 강세와 모든 동사의 1인칭 현재 단순 시제에서 동일한 모음 어미를 사용하는 것(''глед-'''а'''-м'', ''јад-'''а'''-м'', ''скок-'''а'''-м'')도 마케도니아어만의 특징이다.
마케도니아어는 적어도 12개의 주요 품사를 구분하며, 이 중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 동사는 변화 가능한 품사이고,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문법적 어미, 조사, 서술어는 불변 품사이다.[35]
5. 1. 명사
마케도니아어의 명사(''именки'')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가진다. 수는 단수와 복수로 구분된다.[35] 복수형에서는 성별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남성 명사: 보통 자음이나 모음(-a, -o, -e)으로 끝난다. (예: ''весник'' (신문), ''човек'' (사람))
여성 명사: 거의 모든 여성 명사는 -a로 끝난다. (예: ''книга'' (책), ''маса'' (책상))
중성 명사: -o 또는 -e로 끝나는 명사이다. (예: ''дете'' (아이), ''кафе'' (커피))
호격은 사람을 직접 부를 때 사용되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격이다. 호격은 항상 모음으로 끝나며, 남성 명사의 경우 -у 또는 -e, 여성 명사의 경우 -o 또는 -e 어미를 사용한다. (예: ''човече'' (남성 호격), ''жено'' (아내 호격)). 중성 명사에는 호격이 없다. 현대 마케도니아어에서는 호격 사용이 선택적이며, 무례하거나 방언으로 여겨져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35]
복수형에는 일반 복수, 수량 복수, 집합 복수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일반 복수는 명사의 일반적인 복수를 나타내며, 다양한 접미사가 사용된다. (예: ''маж - мажи'' (한 남자 - 남자들)). 수량 복수는 숫자나 수량사가 명사 앞에 올 때 사용되며, 집합 복수는 하나의 단위로 볼 수 있는 명사에 사용된다. (예: ''лисје'' (잎 더미)). 불규칙 복수형도 존재한다. (예: ''дете - деца'' (아이 - 아이들)).
마케도니아어는 정관사를 사용하며, 부정관사는 없다. 정관사는 명사 뒤에 붙는 접미사 형태로 나타나며, 불특정, 근접, 원격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정관사
rowspan="2" |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불특정
мажот
жената
детето
мажите/жените
децата
근접
мажов
женава
детево
маживе/жениве
децава
원격
мажон
женана
детено
мажине/женине
децана
불특정: '-от, -та, -то, -те' (예: ''детето'': 그 아이)
근접: '-ов, -ва, -во, -ве' (예: ''човеков'': 이 사람)
원격: '-он, -на, -но, -не' (예: ''женана'': 저 여자)
고유명사는 일반적으로 관사와 함께 사용되지 않지만, 구어체나 문학 작품에서는 애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 ''Совчето'')
마케도니아어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하여 성, 수, 정성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우바프(ubav, 아름다운)'는 여성 명사를 묘사할 때 '우바바(ubava)' (우바바 제나, 아름다운 여자)로, 중성 명사를 묘사할 때 '우바보(ubavo)' (우바보 데테, 아름다운 아이)로, 복수형을 만들 때 '우바비(ubavi)' (우바비 마지, 우바비 제니, 우바비 데차, 아름다운 남자들, 아름다운 여자들, 아름다운 아이들)로 바뀐다.[1]
형용사는 접두사 '포-(po-)'를 사용하여 비교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비교급을 나타낸다. 접두사 '나이-(naj-)'는 최상급을 나타낸다. 두 접두사 모두 형용사와 분리해서 쓸 수 없다. 예를 들어 '마리야 에 파메트나 데보이카(Marija e pametna devojka, 마리야는 똑똑한 소녀이다)', '마리야 에 포파메트나 오드 사라(Marija e popametna od Sara, 마리야는 사라보다 더 똑똑하다)', '마리야 에 나이파메트나타 데보이카 보 네이지니옷 클라스(Marija e najpametnata devojka vo nejziniot klas, 마리야는 그녀 반에서 가장 똑똑한 소녀이다)'와 같이 사용된다. 불규칙적인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를 가진 유일한 형용사는 '므노구(mnogu, 매우)'이며, 비교급에서는 '포베케(poveḱe)'가 되고, 최상급에서는 '나이므노구(najmno-gu)'가 된다.[2] 형용사의 또 다른 변형은 접두사 '프리-(pri-)'와 '프레-(pre-)'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 또한 비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타르 쵸벡(prestar čovek, 매우 늙은 남자)' 또는 '프리스타르 쵸벡(pristar čovek, 다소 늙은 남자)'와 같이 사용된다.[3]
5. 3. 대명사
마케도니아어에는 인칭 대명사 (''лични''), 관계 대명사 (''лично-предметни''), 지시 대명사 (''показни'')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대명사는 격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마케도니아어의 인칭 대명사는 단수와 복수, 세 가지 성(남성, 여성, 중성)을 갖는다. 또한 직접목적어 또는 간접목적어로서 장형과 단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정한 직접목적어나 간접목적어가 사용되는지에 따라, 클리틱 대명사가 동사와 함께 목적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Јас не му ја дадов книгата на момчето''는 "나는 그 소년에게 그 책을 주지 않았다"라는 뜻이다.[1] 직접목적어는 대격의 잔재이고 간접목적어는 여격의 잔재이다. 재귀 대명사 또한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 모두에 대한 형태를 갖는다: ''себе се'', ''себе си''.
인칭 대명사: '''''Јас''' читам книга''. ("나는 책을 읽고 있다.")
직접 목적어 대명사: ''Таа '''мене ме''' виде во киното''. ("그녀는 영화관에서 나를 보았다.")
관계 대명사는 사람(''кој, која, кое'' - 누구), 사물(''што'' - 무엇)을 가리키거나 소유(''чиј, чија, чие'' - 누구의)를 나타내는 지시어 역할을 질문이나 관계절에서 한다. 이러한 대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며, 이들로부터 다른 어형( ''никој'' - 아무도, ''нешто'' - 무언가, ''сечиј'' - 모든 사람의)이 파생될 수 있다. 지시 대명사에는 세 가지 그룹이 있으며, 근접한 대상(''овој'' - 이것(남성)), 먼 대상(''онаа'' - 저것(여성)), 비특정 대상(''тоа'' - 저것(중성))을 가리킨다. 이러한 대명사는 정관사의 기초가 되었다.[2][3]
마케도니아어 인칭 대명사
인칭
단수
직접목적어
간접목적어
복수
직접목적어
간접목적어
1인칭
јас
мене ме
мене ми
ние
нас нѐ
нам ни
2인칭
ти вие (정중형)
тебе те вас ве (정중형)
тебе ти вас ви (정중형)
вие
вас ве
вас ви
3인칭
тој (남성) таа (여성) тоа (중성)
него го (남성/중성) неа ја (여성)
нему му (남성/중성) нејзе ѝ (여성)
тие
нив ги
ним им
5. 4. 동사
마케도니아어 동사는 주어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수(단수, 복수)에 일치한다. 동사형용사 (''глаголска придавка'': ''плетен/плетена''), 동사 l-형 (''глаголска л-форма'': ''играл/играла'') 및 동명사 (''глаголска именка'': ''плетење'')와 같은 일부 종속 동사 구문 (''нелични глаголски форми'')은 성도 나타낸다.[1] 마케도니아어 동사에는 유형, 타동성, 법, 상위상(미완료/완료 상)과 같이 다른 여러 문법 범주가 있다.[2]
마케도니아어는 목격된 행위와 보고된 행위의 대립을 명시하는 문법 범주(재담화)를 발전시켰다. 이 문법 범주에 따라 화자가 특정 시점에 목격한 사건을 나타내는 ''минато определено'' (과거 확정 시제)와 특정 시점에 발생하지 않은 사건이나 화자에게 보고된 사건(후자의 경우 시간 요소 제외)을 나타내는 ''минато неопределено'' (과거 미확정 시제)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Но, потоа се случија работи за кои не знаев'' ("하지만 그 후에 내가 몰랐던 일들이 일어났다")와 ''Ми кажаа дека потоа се случиле работи за кои не знаев'' ("그들은 나에게 그 후에 내가 몰랐던 일들이 일어났다고 말했다")의 차이가 있다.[3]
마케도니아어 ''сум'' 동사의 현재, 과거, 현재완료 및 미래 시제 활용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сум, бев, сум бил, ќе бидам
сме, бевме, сме биле, ќе бидеме
2인칭
си, беше, си бил, ќе бидеш
сте, бевте, сте биле, ќе бидете
3인칭
е, беше, бил, ќе биде
се, беа, биле, ќе бидат
마케도니아어 현재 시제는 동사 어간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주어의 인칭, 수, 태에 따라 활용된다. 마케도니아어 동사는 관용적으로 3인칭-현재-단수에 사용되는 주제 모음에 따라 세 가지 주요 활용으로 나뉜다.[4] 이러한 그룹은 ''a''-그룹, ''e''-그룹 및 ''и''-그룹이다. 또한 ''и''-소그룹은 ''а-'', ''е-'' 및 ''и-''소그룹으로 더 세분화된다. ''сум''(be, ~이다) 동사는 자음으로 끝나 불규칙 동사로 활용되므로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이다.
완료 시제는 조동사로서 ''сум''(이다)과 ''има''(가지다) 둘 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첫 번째 형태는 인칭에 따라 동사를 활용하고 과거 수동 분사를 사용한다: ''сум видел многу работи''("나는 많은 것을 보았다"). 후자의 형태는 문장의 목적어와 수 일치하는 클리틱과 활용되지 않은 형태의 동사의 수동 분사를 사용한다 (''го имам гледано филмот'', "나는 그 영화를 보았다").[5][2] 또 다른 과거 시제인 과거 시제는 과거 특정 시점에 끝난 행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одев''("나는 걸었다"), ''скокаа''("그들은 뛰었다").[6]
동사의 미래 시제는 ''ќе''라는 조동사에 현재 시제로 활용된 동사를 붙여서 활용된다, ''ќе одам'' (나는 갈 것이다). 미래 시제의 부정은 부정어를 처음에 추가하여 ''не ќе одам''(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으로 만들거나 ''нема да'' 구문을 사용하여 ''нема да одам''(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으로 만들 수 있다. 의미상 차이는 없지만, 후자의 형태는 구어체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 다른 미래 시제는 과거 미래 시제인데, 이는 클리틱 ''ќе''와 인칭에 따라 활용된 과거 시제 동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таа ќе заминеше''("그녀는 떠났을 것이다").[6]
마케도니아어 동사는 다른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슬라브어의 전형적인 특징인 문법적 상(глаголски вид, grammatical aspect)을 가지고 있다. 동사는 지속 시간이 알 수 없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미완료상(несвршени, imperfective)과 한순간에 완료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완료상(свршени, perfective)으로 나눌 수 있다. 미완료상 동사는 중단 없이 일어나는 동작(예: Тој спие цел ден, "그는 하루 종일 잔다")이나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예: Ја бараше книгата но не можеше да ја најде, "그는 책을 찾았지만 찾을 수 없었다")로 세분될 수 있다. 완료상 동사는 일반적으로 동사 어간에 접두사를 붙여 형성되며, 접두사에 따라 한순간에 일어난 동작(чукна, "knock"), 방금 시작된 동작(запеа, "노래하기 시작하다"), 끝난 동작(прочита, "읽다"), 또는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는 부분적인 동작(поработи, "일하다")을 나타낼 수 있다.[6]
타동사와 자동사의 대조는 분석적 또는 통사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살아있는 존재가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거의 모든 동사는 짧은 인칭 대명사를 추가하면 타동사가 될 수 있다: Тој легна("그는 누웠다") vs. Тој го легна детето("그는 아이를 눕혔다"). 또한, 재귀 대명사 ''се''로 표현되는 동사는 직접 목적어의 축약된 대명사 형태를 사용하여 타동사가 될 수 있다: Тој '''се''' смее - 그는 웃는다, vs. Тој '''ме''' смее - "그는 나를 웃게 한다". 자다 또는 죽다와 같은 일부 동사는 전통적으로 타동사의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7]
마케도니아어 동사는 세 가지 법(глаголски начин, grammatical mood)을 가지고 있다: 직설법, 명령법 및 가정법. 명령법은 특정 동작을 완료하라는 소망이나 명령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명령법은 2인칭 형태만 가지며, 단수의 경우 접미사 ''-ј''(пеј; 노래하다) 또는 ''-и''(оди, 걷다)를, 복수의 경우 ''-јте''(пејте, 노래하다) 또는 ''-ете''(одете, 걷다)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단수 및 복수의 1인칭과 3인칭 주어 형태는 간접적인 명령을 나타내며, ''да'' 또는 ''нека''와 현재 시제의 동사를 사용하여 활용된다(да живееме долго, 우리 오래 살기를). 명령법은 주된 기능 외에도 과거의 행위, 속담에서와 같이 영원한 진리, 그리고 조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마케도니아어 가정법은 입자 ''би''와 동사의 l-형태를 사용하여 모든 세 가지 인칭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би читал (나는/너는/그는 읽을 것이다).[6]
6. 어휘
마케도니아어 어휘는 슬라브어 계통의 단어가 기본을 이루며, 불가리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 가족 관계 및 숫자와 관련된 많은 명사는 동족어이다.[36]오스만 튀르크어와 영어 등 다른 언어로부터 차용된 단어도 많다.[36]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러시아어도 어휘 항목의 원천이 되었으며,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프랑스어, 독일어와 같은 권위 있는 언어에서도 차용어와 어휘가 유래했다.[36]
표준화 과정에서 언어 순수주의 노력을 통해 토착어와 고어를 활용하고, 세르비아어 또는 불가리아어 관련 단어를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36] 예를 들어, 러시아어 단어 ''известие'' (보고서)는 ''извештај''로, ''количество'' (양)는 ''количина''로, ''согласие'' (일치, 합의)는 ''слога''로 대체되었다.[36] 이러한 변화는 마케도니아어 문어를 구어에 더 가깝게 만들고, 러시아어화된 불가리아어와의 거리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36]
오스만 튀르크어 차용어는 토착어에 상응하는 단어가 있을 경우 공식적인 글쓰기 양식에서는 권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웃'을 뜻하는 튀르크어 ''komşu'' (''комшија'') 대신 원시 슬라브어 *sǫsědъ에서 유래한 ''сосед''가 사용된다.[36]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크게 서부, 동부, 북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9][33] 표준 마케도니아어는 서중부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9] 방언 간에는 음운, 억양(운율), 형태, 구문 등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나타난다.[9]
구분
주요 특징
세부 방언군
서부 방언
동부 방언
북부 방언
방언 그룹 간의 경계는 스코페와 스콥스카 크르나 고라에서 바르다르 강과 크르나 강을 따라 대략적으로 이어진다.[9]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불가리아의 피린 마케도니아(Пиринска Македонија)와 그리스의 에게 마케도니아(Егејска Македонија)까지 확장된다.[9]
8. 다른 언어와의 관계
인도유럽어족의 발토-슬라브어파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의 분류
마케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동남슬라브어군에 속하며, 불가리아어와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함께 분류된다. 일부 학자들은 토르락 방언도 이 그룹에 포함시킨다. 마케도니아어와 가장 가까운 친족어는 불가리아어이며, 그 다음으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가 있지만, 후자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7] 남슬라브어군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마케도니아어는 다른 동남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발칸어 연합의 일부를 구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발칸어 연합은 유전적 근접성보다는 지역적 수렴에 기반한 유형론적, 문법적, 어휘적 특징을 공유하는 언어 집단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마케도니아어는 주로 구어 의사소통을 통해 발생한 문화적 및 언어적 교류로 인해 그리스어, 아루마니아어, 알바니아어, 로마니어와 같은 다른 발칸어 연합 언어와 수렴 진화를 겪었다.
마케도니아어와 불가리아어는 나머지 남슬라브어와는 명사의 격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호격은 제외). 또한, 부정사를 상실했다. 또한, 이 두 언어는 유일하게 정관사를 사용하는 슬라브어이다(표준 불가리아어는 하나의 관사만 사용하는 것과 달리, 표준 마케도니아어와 일부 동남 불가리아 방언은 지시 관사로서 비특정, 근접, 원격 세 가지를 가지고 있다).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알바니아어는 추측법을 사용하는 유일한 인도유럽어이다.
Chambers와 피터 트러드길에 따르면,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가 별개의 언어인지 또는 단일 언어의 방언인지는 순전히 언어학적 근거로는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사회언어학적 기준, 즉 민족적 및 언어적 정체성을 고려해야 한다.[7]
그리스의 슬라브어 방언에 관해서는, 트러드길은 그리스 마케도니아 동부의 방언을 불가리아어 지역의 일부로 분류하고, 나머지는 마케도니아어 방언으로 분류한다.[10] 리키 반 보에스코텐에 따르면,[11] 그리스 마케도니아 동부(세레스와 드라마 주변)의 방언은 불가리아어에 가장 가깝고, 그리스 마케도니아 서부(플로리나와 카스토리아 주변)의 방언은 마케도니아어에 가장 가깝고, 중앙(에데사와 테살로니키 주변)의 방언은 그 중간에 있다.[12][13]
9. 마케도니아어에 대한 정치적 견해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은 역사적으로 정치적인 논쟁의 대상이었다.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의 방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1999년 공동 선언을 통해 양국은 마케도니아어로 작성된 양자 협정에 서명하는 데 동의했다.[45]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명칭 사용에 반대했지만, 2018년 프레스파 협정을 통해 마케도니아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52]
역사적으로 마케도니아어는 주로 불가리아어의 변종으로 언급되었지만,[46] 20세기 전반에는 세르비아어 및 독립적인 언어로도 언급되었다. 표준어로 규정된 이후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에서 서로 다른 견해와 내부 정책의 대상이 되었다. 일부 국제 학자들은 마케도니아-불가리아어가 20세기까지 단일 다중 중심어였다고 주장하며, 언어적 분리주의에 대한 생각은 19세기 후반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의 출현과 함께 등장했고, 이후 20세기 초에 별개의 마케도니아 표준어의 필요성이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다른 언어학자들은 마케도니아 표준어가 표준화 과정에서 철자 및 어휘 측면에서 세르비아어화되었다고 주장한다.
불가리아 정부, 학계,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및 일반 대중은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 방언 지역의 일부로 간주한다.[47] 공산주의 시대에는 소수 언어로 인정되어 1946년부터 1948년까지 교육에서 사용되었으나, 이후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묘사되었다. 1956년 불가리아 정부는 유고슬라비아와 상호 법적 방위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는데, 여기서 마케도니아어는 불가리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와 함께 법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명명되었다. 같은 해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 민족과 언어에 대한 인정을 철회하고 전쟁 이전의 입장을 암묵적으로 재개했다. 1999년 소피아 정부는 두 나라의 공식 언어로 작성된 공동 선언에 서명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어로 작성된 양자 협정에 서명하는 데 처음으로 동의한 것이다. 불가리아어 방언 전문가들은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의 ''마케도니아어 언어 규범''으로 언급한다. 2019년 현재 언어와 그 기원에 대한 분쟁은 양국 학계와 정계에서 계속되고 있다.
그리스 과학계와 지역 사회는 그리스-마케도니아 명칭 분쟁으로 인해 언어를 지칭하는 데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다. 대신, 이 언어는 "슬라브어", "슬라보마케도니아어"(영어로 "마케도니아 슬라브어"로 번역됨), ''makedonski'', ''makedoniski''("마케도니아어"), ''slaviká''(그리스어: "슬라브어"), ''dópia'' 또는 ''entópia''(그리스어: "지역/토착 [언어]"), ''balgàrtzki''(불가리아어) 또는 카스토리아 지역 일부에서는 "마케도니아어", 돌나 프레파 일부 지역에서는 ''bògartski''("불가리아어")와 함께 ''naši''("우리 자신의") 및 ''stariski''("오래된")로 불렸다. 그러나 2018년 프레스파 협정을 통해 그리스는 공식적으로 "마케도니아어"라는 명칭을 인정했다. 2022년 7월 27일, 그리스 마케도니아어 센터는 공식적으로 비정부기구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어를 홍보하는 문화 기관이 그리스에서 법적으로 승인된 최초의 사례이며, 적어도 1928년 이후 그리스에서 마케도니아어가 법적으로 인정된 최초의 사례이다.[54][55][56][57]
참조
[1]
서적
Conflict and Chaos in Eastern Europe
Palgrave Macmillan
1995
[2]
웹사이트
Slavic languages
https://www.britanni[...] [3]
논문
An overview of word order in Slavic languages
[4]
서적
Politics shaping linguistic standards: the case of Dutch in Flanders and Bulgaro-Macedonian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Peter Lang
[5]
웹사이트
5 мај – Ден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https://flf.ukim.mk/[...]
2024-01-07
[6]
웹사이트
Од 130-тата седница на Владата на РСМ: 5 Мај прогласен за Ден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https://vlada.mk/nod[...]
2023-06-11
[7]
서적
Dialectology (2nd ed.,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Slavic Languages, Identities and Borders
Springer
[9]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Slavic Languages, Identities and Borders
[10]
서적
Greece and European Turkey: From Religious to Linguistic Identity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Riki van Boeschoten - My CV.
http://users.ha.uth.[...] [12]
논문
Minority Languages in Northern Greece. Study Visit to Florina, Aridea
European Commission
[13]
서적
Questions on the Slavic Dialects of Greek Macedonia
https://www.academia[...]
Peterlang
[14]
논문
Периодизација на историјат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писмен јазик и неговата стандардизација во дваесеттиот век
St. Cyril and Methodius University
[15]
서적
Историј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Kultura
1967
[16]
백과사전
Slavic languages
https://www.britanni[...] [17]
웹사이트
Повелба з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http://manu.edu.mk/w[...]
Macedon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9-12-03
[18]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Macedonian
http://www.ethnologu[...]
1999-02-19
[19]
간행물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2002
http://www.stat.gov.[...]
Republic of Macedonia State Statistical Office
2005-05
[20]
웹사이트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како втор и странски: терминолошки прашања
http://www.ffzg.uniz[...]
Ss. Cyril and Methodius University of Skopje
[21]
서적
Local Self 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in South - East Europe
http://library.fes.d[...]
Friedrich Ebert Stiftung
[22]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етническа група и майчин език
https://censusresult[...]
Bulgarian Census Bureau
[23]
웹사이트
2011 Census – Mother tongue
http://webrzs.stat.g[...]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4]
웹사이트
Language spoken at home - Ranked by size
https://profile.id.c[...]
Profile ID
[25]
웹사이트
Data tabl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08-02
[26]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2009-2013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27]
웹사이트
Броj на македонски иселеници во светот
http://www.mfa.gov.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North Macedonia)
[28]
뉴스
Minorités en Albanie : les Macédoniens craignent la réorganisation territoriale du pays
http://balkans.courr[...]
Balkan Courriers
2014-01-25
[29]
웹사이트
On the Status of the Minorities in the Republic of Albania
http://miris.eurac.e[...]
Albanian Helsinki Committee
[30]
웹사이트
Македонците во Србија ги уживаат сите малцински права, како и србите во Македонија
https://sitel.com.mk[...]
Sitel (TV channel)
2016-10-30
[31]
웹사이트
Reservations and Declarations for Treaty No.148 –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www.coe.int/e[...]
Council of Europe
[32]
웹사이트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33]
서적
Polski-macedonski gramatyka konfrontatiwna, z.1
PAN
[34]
서적
Історична типологія слов'янських мов. Фонетика, словотворення, лексика і фразеологія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kraine
[35]
서적
Синтакс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стандарден јазик
[36]
서적
The literary vocabulary of the Macedonian written language in the 19th century and our attitude to it
Abstracts of Macedonian Slavists for the 6th International Slavic Studies Congress in Prague.
[37]
웹사이트
Со решение на АСНОМ: 72 години од усвојувањето на македонската азбука
http://javno.mk/resh[...]
2017-05-05
[38]
문서
Macedonian pronunciation of љ and л
[39]
웹사이트
Правописот на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од денес бесплатно на интернет
https://sdk.mk/index[...]
2017-12-07
[40]
서적
Единството на българския език в миналото и днес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41]
학술지
Historiographical Revisionism and Re-Articulation of Memory in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s://pdfs.semanti[...]
2010-05-25
[42]
서적
The Macedonian Standard Language: Tito—Yugoslav Experiment or Symbol of 'Great Macedonian' Ethnic Inclusion?
Springer
[43]
서적
The Slav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44]
서적
Forma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 Macedonia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45]
웹사이트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is firm that "Macedonian language" is Bulgarian dialect
https://bnr.bg/en/po[...]
Bulgarian National Radio
2019-11-12
[46]
웹사이트
Bulgaria Sets Tough Terms for North Macedonia's EU Progress
https://balkaninsigh[...]
2019-10-10
[47]
서적
Language in the Former Yugoslav Lands
Slavica Publishers
[48]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Bulgaria and Yugoslavia for mutual legal defense
https://www.ciela.ne[...]
Държавен вестник No 16
1957-02-22
[49]
서적
The A to Z of Bulgaria
Scarecrow Press
[50]
웹사이트
Report about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http://dev.eurac.edu[...]
Greek Helsinki Monitor
[51]
서적
Български деалектни текстове от Егейска Македония
[52]
웹사이트
Republic of North Macedonia with Macedonian language and identity, says Greek media
https://meta.mk/en/r[...]
Meta
2018-06-12
[53]
뉴스
Judicial victory for the Macedonian language in Greece: The court in Lerin rejected the lawsuits to ban the Macedonian Language Center in Greece
https://www.sloboden[...]
2023-03-19
[54]
웹사이트
Грција го регистрираше центарот за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https://www.dw.com/m[...]
Deutsche Welle
2022-11-29
[55]
웹사이트
"Центарот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во Грција" официјално регистриран од судските власти
https://www.sloboden[...]
Sloboden Pecat
2022-11-29
[56]
웹사이트
Εγκρίθηκε «Κέντρο Μακεδονικής Γλώσσας» στην Φλώρινα: Ευχαριστίες Ζάεφ σε Τσίπρα - Μητσοτάκη
https://www.ethnos.g[...]
Ethnos
2022-11-29
[57]
서적
Stillborn Republic: Social Coalitions and Party Strategies in Greece, 1922–193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8]
웹사이트
Republic of North Macedonia with Macedonian language and identity, says Greek media
https://meta.mk/en/r[...]
2018-06-12
[59]
웹사이트
燻り続けるブルガリア語・マケドニア語問題は解決するか:最近の論争とその背景
https://src-h.slav.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