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Ӣ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Ӣ는 키릴 문자의 하나로, 타지크어에서 사용되며, 경구개 접근음 /ˈi/ 또는 장모음 /iː/를 나타낸다. 타지크어 알파벳의 35번째 문자이며, 일부 남슬라브어에서도 고대 슬라브어 악센트 규칙에 따라 사용된다. 유니코드에서 대문자는 U+04E2, 소문자는 U+04E3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Ӣ
기본 정보
키릴 문자 I에 마크론이 붙은 글자
키릴 문자 I에 마크론이 붙은 글자
음성/i/
장음/iː/
문자 정보
유니코드 이름키릴 문자 대문자 I와 마크론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U+04E2
유니코드 이름 (소문자)키릴 문자 소문자 I와 마크론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소문자)U+04E3
용례
언어알류트어

2. 명칭

타지크어에서 Ӣ는 유니코드에서 CYRILLIC CAPITAL/SMALL LETTER I WITH MACRON (키릴 문자 마크론 부착 이)로 표현된다.

3. 음소

경구개 접근음/ˈi/를 나타낸다. 타지크어에서 Ӣ는 비원순 전설 고모음/i/를 나타내는 И와는 다른 음으로 취급된다.[1]

4. 알파벳상의 위치

타지크어 알파벳의 35번째 문자이다.

5. 사용

Ӣ는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등 일부 남슬라브어에서 고대 슬라브어 악센트 규칙에 따라 단어 간의 악센트 유추를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음조 패턴을 가진 세 음절 강세어 '''тетӣвà'''가 있다.[2][3] Ӣ는 때때로 단모음 I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5. 1. 남슬라브어

Ӣ(장모음 i)는 불가리아어세르비아어 등 일부 남슬라브어에서 고대 슬라브어 악센트 규칙에 따라 단어 간의 악센트 유추를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유추는 음조 패턴을 가진 세 음절의 강세어인 '''тетӣвà'''를 통해 이루어졌다.[2][3] Ӣ(장모음 i)는 때때로 단모음 I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6. 컴퓨팅 코드

Ӣ 문자는 유니코드에서 표현할 수 있다.

종류코드
키릴 대문자 마크론 부착 I (Ӣ)U+04E2
키릴 소문자 마크론 부착 I (ӣ)U+04E3


7. 관련 문자

참조

[1] 서적 Словарь алеутско-русский и русско-алеутский (беринговский диалект) Отд-ние изд-ва "Просвещение"
[2] 웹사이트 Accent in Bulgarian dialects http://lyudmilantono[...] 2012-10-25
[3] 웹사이트 Bulgarian dialects http://lyudmilantono[...] 2013-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