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가리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리아어는 6세기경 발칸반도에 정착한 슬라브인들의 방언을 계승하여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통해 문헌에 처음 기록된 언어이다. 불가리아어의 역사는 원시 슬라브어, 고대 불가리아어, 중세 불가리아어, 현대 불가리아어 시기로 구분되며, 현대 불가리아어는 19세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을 거치며 문어의 형태를 갖추었다. 불가리아는 불가리아어를 국어 및 공용어로 사용하며, 2007년부터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현대 불가리아어 알파벳은 3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불가리아어는 동부와 서부 방언의 차이가 있으며, 마케도니아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형용사, 동사 등의 품사가 활용되며, 다양한 분사와 재귀 동사를 사용한다. 어휘는 원시 슬라브어, 외래어, 불가리아어 고유 용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어 문법
    불가리아어 문법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수사 등 다양한 품사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며, 명사의 성, 수, 한정성, 격 등의 문법 범주와 동사의 시제, 상, 법, 태에 따른 활용, 그리고 자유로운 어순과 결합사 이중화와 같은 구문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어 음운론
    불가리아어 음운론은 불가리아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모음과 자음 체계, 모음 축소, 반모음, 단어 강세, 자음의 유성음화 및 무성음화, 동화 작용과 같은 음운 현상과 방언적 차이, 역사적 발달 과정을 다룬다.
  • 몰도바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몰도바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그리스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그리스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불가리아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불가리아어
고유 이름bg
사용 국가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루마니아
헝가리
세르비아
코소보
알바니아
그리스
튀르키예
민족불가리아인
모어 화자 수760만 명 (불가리아, 2011년 인구 조사)
총 화자 수788만 2,250명 (2023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하위 어파발트-슬라브어파
하위 어군슬라브어파
하위 언어남슬라브어군
하위 언어 (세부)동부 남슬라브어군
조상 언어원시 인도유럽어
조상 언어 2원시 발트-슬라브어
조상 언어 3원시 슬라브어
조상 언어 4고대 교회 슬라브어
조상 언어 5중세 불가리아어
문자키릴 문자 (불가리아어 키릴 문자, 893년부터)
라틴 문자 (바나트 불가리아어 문자) ((바나트 불가리아어 방언))
불가리아어 점자
공용 국가불가리아
유럽 연합
소수 언어 국가알바니아
체코
헝가리
몰도바
루마니아
세르비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언어 관리 기관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불가리아어 연구소
ISO 639-1bg
ISO 639-2bul
ISO 639-3bul
글롯톨로그bulg1262
링구아스피어53-AAA-hb
방언
동부 방언발칸 불가리아어 방언
룹 방언
모에시아 방언
서부 방언북서 불가리아어 방언
남서 불가리아어 방언
과도기 불가리아어 방언

2. 역사

불가리아어는 슬라브족발칸반도에 이주한 이후 오랜 역사를 거쳐 현대에 이르렀다. 불가리아어의 역사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된다.[89]


  • 선사 시대: 슬라브족이 발칸반도 동부에 이주한 시기부터 9세기 키릴과 메토디우스 성인이 모라바로 선교를 떠나기 전까지를 가리킨다. 원시 슬라브어로 취급된다.[89]
  • 고대 교회 슬라브어(9세기~11세기): '''고대 불가리아어'''라고도 불리며, 키릴과 메토디우스 성인과 그 제자들이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성경과 기타 예배 관련 문헌을 번역할 때 사용했다.[14] 불가리아어는 최초로 기록된 슬라브어였다.[17] 가장 오래된 사본에는 ѧзꙑкъ словѣньскъ, "슬라브어"라고 불렸으나, 중세 불가리아어 시대에 ѧзꙑкъ блъгарьскъ, "불가리아어"로 대체되었다.[17]
  • 중세 불가리아어(12세기~15세기): 제2 불가리아 제국, 왈라키아, 몰도바(19세기까지)의 공식 행정 언어였고, 오스만 제국에서도 중요한 언어였다.[15] 셀림 1세 술탄도 이 언어를 사용했다.[16] 슬라브어의 격 변화를 잃었지만 풍부한 동사 체계를 유지했고, 정관사가 발전했다.
  • 현대 불가리아어(16세기~현재): 18세기와 19세기에 문법과 구문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의 불가리아어 표준어는 19세기 불가리아어 구어를 기반으로 표준화되었다. 고도로 종합어적인 언어(고대 불가리아어)에서 일부 분석적인 특징을 지닌 융합적인 굴절 종합어(현대 불가리아어)로 변화했다.[17]


코덱스 조그라펜시스는 10세기 말 또는 11세기 초에 쓰인 고대 불가리아어로 된 가장 오래된 사본 중 하나이다.


오스만 통치 시대 말기(19세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이 일어나면서 현대 불가리아어 문어가 등장했다.[89] 고대 교회 슬라브어러시아어 문학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했고, 튀르크어와 다른 발칸어 차용어는 줄였다. 현대 불가리아어는 고대 불가리아어 단어와 어형을 많이 사용한다. 프랑스어, 영어, 고전어에서 온 차용어도 유입되었다.

19세기 중반, 정서법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대립했다.[89]

결국 북동부 타르노보 방언이 문학어의 모델로 자리 잡았다.[89] 1899년 불가리아 교육부가 제정한 최초의 불가리아어 정서법은 1945년 한 차례 개정된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89]

현대 불가리아어는 동북부 타르노보 방언의 영향을 받았지만, 서부 방언의 특징도 일부 가지고 있다.[8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피아 근교의 인구와 문화적 부상으로 서부 불가리아의 언어적 요소가 주목받고 있다.[89]

3. 사용 국가 및 지역

불가리아어는 불가리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며, 공공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된다.[22] 2011년 기준으로 불가리아 시민 5명 중 4명이 모국어로 사용한다.[23]

해외에도 상당한 불가리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국가 및 지역설명
불가리아국어이자 공용어이며 공공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된다. 2011년 기준으로 불가리아 시민 5명 중 4명이 모국어로 사용한다.
베사라비아몰도바우크라이나베사라비아 지역에 19세기 초에 정착하였다.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명이었고,[24] 2014년 몰도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명(이 중 명은 습관적으로 사용)이었다.[25] 2016년 인접한 트란스니스트리아에 거주하는 1만 3,200명의 불가리아계 주민 중 상당수가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6]
바나트 불가리아인17세기에 루마니아, 세르비아, 헝가리로 나뉘어진 바나트 지역으로 이주했다. 바나트 불가리아 방언을 사용하며, 이 방언은 독자적인 문어 표준과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인접 국가북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강력한 별개의 마케도니아 정체성이 나타났지만, 여전히 자신의 언어를 불가리아어로 식별하는 소수의 시민이 있다. 알바니아와 그리스에서는 자신의 언어를 마케도니아어 또는 불가리아어로 다양하게 식별한다. 세르비아에서는 2011년 기준으로 명의 사용자가 있었으며,[27] 주로 불가리아와의 국경을 따라 있는 소위 서부 변방에 집중되어 있다. 터키에서도 사용되는데, 포마크인들은 모어로 사용하고, 1989년 "대이동" 기간 동안 대부분 불가리아에서 이주한 많은 불가리아 터키인들은 제2언어로 사용한다.
서유럽 및 북미199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영국(2011년 기준 잉글랜드와 웨일즈에 명의 사용자),[28] 프랑스, 미국, 캐나다(2011년 명)에 상당수의 사용자가 있다.[29]


4. 불가리아어 알파벳

불가리아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현대 불가리아어 알파벳은 3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1945년 문자 개혁 이전에는 'Ѫ'(유스)와 'Ѣ'(야트) 문자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키릴 문자유럽 연합의 공식 문자 중 하나이다.[55]

문자라틴 문자 표기읽는 법
(발음 기호)
읽는 법
(가나)
АA
БB
ВV
ГG
ДD
ЕE
ЖZH
ЗZ
ИI
ЙY이 크라트코
КK
ЛL
МM
НN
ОO
ПP
РR
СS
ТT
УU
ФF
ХH
ЦTS
ЧCH
ШSH
ЩSHT슈트
ЪA예르 고리암
ЬY예르 말럭
ЮYU
ЯYA



각 문자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ъbg를 제외한 모음은 그 단모음
  • 자음은 "그 자음 음소 + ъbg"
  • йbg: и краткоbg (이 크라트코)
  • ъbg: ер голямbg (예르 고리암)
  • ьbg: ер малъкbg (예르 말럭)

4. 1. 현재에는 없는 철자

1945년 문자 개혁 이전에 쓰던 철자로서, 'Ѫ'는 'Ъ'로, 'Ѣ'는 'Е'로 바뀌었다. 이 중 'Ѣ'는 제정 러시아 시대에 쓰던 러시아어에서 쓰던 철자이기도 하며, 역시 1918년 문자 개혁으로 없어졌다.[90]

키릴 문자IPA로마자 표기법
Ѫ ѫJUS jus
Ѣ ѣJAT jat


5. 불가리아어 배우기

인사말불가리아어 표현한국어 발음 표기비고
안녕하십니까?Здравей? (zdravéi)bg즈드라베이
안녕?Здрасти? (zdrásti)bg즈드라스띠
아침 인사Добро утро (dobró útro)bg도브로 우뜨로
낮 인사Добър ден (dóbər dén)bg도버르 덴
저녁 인사Добър вечер (dóbər véčer)bg도버르 베체르
안녕히 주무세요.Лека нощ. (léka nóšt)bg레까 노쉿트
안녕히 가세요.Довиждане. (dovíždane)bg도비쥬다네
누구세요? (회화체, 남성)Кой си ти? (kój si ti)bg꼬이 씨 띠
누구세요? (회화체, 여성)Коя си ти? (kоjá si ti)bg꼬야 씨 띠
누구세요? (중성)Кое си ти? (koé si ti)bg꼬에 시 띠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우 드물게 쓰임
누구세요? (격식, 남성)Кой сте Вие? (kój ste víe)bg꼬이 스떼 비에격식을 차린 표현으로 복수 동사에 사용하지만 단수에도 사용하며 화자들은 이 두 문법의 형태를 인정한다. 1인칭 단수 "당신"을 뜻하는 "Вие"는 복수형 "당신"들과 구분하기 위해 В를 항상 대문자로 쓴다.
이름이 뭐예요?Как се казваш? (kak se kazvaš)bg깍 세 까즈바쉬
누구십니까? (격식, 여성)Коя сте Вие? (kоjá ste víe)bg꼬야 스떼 비에
당신들은 누구십니까? (복수)Кои сте вие? (kоí ste víe)bg꼬이 스떼 비에
어떻게 지내니? (회화체)Как си? (kák si)bg깍 씨
어떻게 지내세요? (격식, 복수)Как сте? (kák sté)bg깍 스떼
Да (dá)bg
아니요Не (né)bg
어쩌면Може би (móžé bí)bg모줴 비
뭐 하니? (회화체)Какво правиш? (kakvó práviš)bg까끄보 쁘라비쉬
뭐 하세요? (격식, 복수)Какво правите? (kakvó právite)bg까끄보 쁘라비떼
잘 지냅니다.Добре съм (dobré səm)bg도브레 섬
모든 것이 (가장) 잘 되기를.Всичко [най-]хубаво (vsíčko [naj-]húbavo)bg브시츠코 [나이-]후바보
안부 전해주세요.Поздрави (pózdravi)bg뽀즈드라비
고맙습니다/고마워Благодаря (blagodarjə́)bg블라고다랴
제발요Моля (mólja)bg몰랴
괜찮습니다/괜찮아Моля (mólja)bg몰랴
죄송합니다. (격식)Извинете! (izvinéte)bg이즈비네떼
미안합니다. (회화체)Извинявай! (izvinjávaj)bg이즈비냐바이
사랑해Обичам те! (obíčam te)bg오비챰 떼
몇 시입니까?Колко е часът? (kólko e časə́t)bg꼴꼬 에 차썻
...를 할 수 있습니까?Говорите ли…? (govórite li…)bg고보리떼 리
영어…английски (anglíjski)bg앙글리스끼
불가리아어…български (bə́lgarski)bg벌가르스끼
독일어…немски (némski)bg넴스끼
러시아어…руски (ruski)bg루스끼
네덜란드어…холандски (holándski)bg홀란드스끼
그리스어…гръцки (grə́cki)bg그러쯔키
마케도니아어…македонски (makedónski)bg마께돈스끼
이탈리아어…италиански (italiánski)bg이딸리안스끼
에스파냐어…испански (ispánski)bg이스판스끼
프랑스어…френски (frénski)bg프렌스끼
일본어…японски (iapónski)bg야폰스끼
중국어…китайски (kitájski)bg끼따이스끼
한국어…корейски (koréjski)bg꼬레이스끼
나중에 봐요Ще се видим скоро (šté sé vídim skóro)bg쉬떼 세 비딤 스꾜로
내일 봐요Ще се видим утре (šté sé vídim útre)bg쉬떼 세 비딤 우뜨레



다음은 다른 언어에서 온 표현이다. 하지만 격식을 차린 표현에서도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 Мерси (mersi)|메르시bg (merci프랑스어에서 차용)
  • Чао (čao)|차오bg (ciaoit에서 차용)
  • Cупep (super)|수뻬르bg (super영어에서 차용). 양이나 성에서 존칭을 나타낸다.
  • Aло (alo)|알로bg (allô프랑스어에서 차용)


숫자불가리아어
1Едно|에드노bg
2Две|드베bg
3Три|뜨리bg
4Четири|체티리bg
5Пет|뻬트bg
6шест|셰스트bg
7Седем|세뎀bg
8Осем|오셈bg
9Девет|데베트bg
10Десет|데세트bg


6. 대한민국에서의 학습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불가리아어학과에서 불가리아어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불가리아어가 희귀한 언어라서 한국어로 된 불가리아어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6. 1. 불가리아어 공부

6. 2. 언어학적 보고서

Bulgarian at Omiglot[56][57][58][59]

6. 3. 사전

6. 3. 1. 사전 소프트웨어

대명사는 성, 수, 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격 변화를 유지하는 유일한 품사이다. 일부 대명사 그룹은 주격, 목적격, 여격의 세 가지 격을 보인다. 구별되는 대명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인칭, 관계, 재귀, 의문, 부정, 부정대명사, 총칭 및 소유.

7. 방언

불가리아어는 원시 슬라브어의 'yat' 자음 반사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언 지역으로 나뉜다. 문어 규범은 동부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부 방언의 특징도 일부 반영하고 있다.[89] 1945년까지 불가리아어 정서법은 'yat'의 교체를 명확히 표시하지 않았으나, 현재는 발음을 반영하는 철자를 사용한다.[89] 수도 소피아를 포함한 서부 지역에서는 'yat'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89] 표준 불가리아어는 비슬라브어 외래어를 제외하고는 자연스럽게 요타화된 'e'를 포함하지 않는다.

8. 마케도니아어와의 관계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의 지역 방언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한 언어가 끝나고 다른 언어가 시작되는 명확한 경계는 없다.[27] 제2차 세계 대전 직후까지 대부분의 불가리아 및 외국 언어학자들은 이 광범위한 지역 방언을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간주했다.[27] 이와 대조적으로 세르비아(그리고 유고슬라비아) 소식통은 이 지역 방언을 세르비아어 방언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었다.[27] 일부 지역 언어학자들은 별개의 서부 불가리아어 또는 마케도니아 방언이 존재함을 인정했지만, 그들의 주장은 다양했으며 반드시 마케도니아 방언이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27] 1944년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마케도니아를 새로운 발칸 연방 수립을 위한 연결 고리로 만들고, 마케도니아인 의식 발전을 촉진했다.[27]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일부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됨에 따라, 이전에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간주되었던 것이 마케도니아어라는 별개의 언어로 성문화되었다.[27] 이러한 정치적 결정 이후, 불가리아와 그리스 언어학자들은 여전히 그들의 국경 내에서 사용되는 마케도니아 방언을 불가리아 방언의 일부로 간주한다.[27]

사회언어학자들은 마케도니아어가 불가리아어의 방언인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한 질문은 정치적 문제이며, 순수 언어학적 근거로 해결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한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후, 불가리아의 주요 언어학자들은 마케도니아 방언을 불가리아 방언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견해를 재확인했다.[27] 불가리아 민족 각성의 주요 인물인 마린 드리노프는 표준 불가리아어의 동부와 서부 불가리아/마케도니아 혼합 기반에 대한 네오피트 릴스키와 이반 보고로프의 제안을 거부했다.[19][20]

9. 알파벳

886년, 불가리아 제국은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가 고안한 글라골 문자를 도입했으나, 이후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55] 19세기 전반과 중반에는 여러 키릴 문자 알파벳이 사용되었으나, 마린 드리노프가 제안한 32자 알파벳이 두각을 나타냈다. 1945년 철자 개혁에서 야트(대문자 Ѣ, 소문자 ѣ)와 유스(대문자 Ѫ, 소문자 ѫ)가 제거되어 30자 알파벳이 되었다.[55] 2007년 불가리아의 유럽 연합 가입과 함께 키릴 문자는 유럽 연합의 공식 문자가 되었다.[55]

문자라틴 문자 표기발음 기호
АA
БB
ВV
ГG
ДD
ЕE
ЖZH
ЗZ
ИI
ЙY
КK
ЛL
МM
НN
ОO
ПP
РR
СS
ТT
УU
ФF
ХH
ЦTS
ЧCH
ШSH
ЩSHT
ЪA
ЬY
ЮYU
ЯYA


10. 음운론

불가리아어는 다른 남슬라브어와 비슷한 음운론을 가지고 있다.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 사이에는 차이가 있는데, 동부 방언에서는 자음 연화와 모음 축약이 나타난다. 표준 불가리아어는 거대 방언들 사이의 중간 지점을 유지한다.

불가리아어에는 여섯 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자음의 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며, 22개 또는 39개 이상의 자음 음소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22개 자음 모델은 1930년대와 1940년대 불가리아 언어학자들의 합의에 기반하며, 39개 자음 모델은 러시아 언어학자의 영향을 받았다.

11. 문법

불가리아어의 품사는 변하는 품사와 변하지 않는 품사로 나뉜다. 변하는 품사에는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가 있다. 변하지 않는 품사에는 부사, 전치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가 있다.

시간상으로 문법적으로 구별되는 세 가지 시제(시상) – 현재, 과거, 미래 – 가 있으며, 이것들은 상과 법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든다. 불가리아어에는 두 가지 상과 다섯 가지 법에서 40가지가 넘는 서로 다른 시제가 존재한다.

명령법에는 현재 시제 하나의 단순 시제만 있으며, 2인칭 단수(-и/-й)와 복수(-ете/-йте)에 대한 단순 형태만 존재한다. 가정법은 대부분 문법적으로 구별되지 않는 다섯 가지 복합 시제로 구성된다. 접속법은 별도의 동사 형태로 거의 기록되지 않지만, 규칙적으로 사용되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현재 접속법이다. 추측법은 다섯 가지 순수 시제를 가지는데, 그 중 두 가지는 단순 시제인 '과거 완료 추측법'과 '과거 미완료 추측법'이다.

9세기에 고안되어 오랫동안 슬라브계(남슬라브계) 여러 민족의 종교 및 학문의 언어로 사용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불가리아·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사용되던, 현재의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의 조상이 되는 남슬라브어(고대 불가리아어)를 기반으로 한다.[87]

문법적 특징으로는 명사와 형용사의 변화가 흔적적으로만 남아 있고, 후치 관사가 있다. 또 동사에는 부정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러시아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 크게 다르며, 루마니아어, 알바니아어, 현대 그리스어 등과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발칸 언어 연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불가리아어에는 다른 언어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들이 있다.


  • '''고개 짓''': 불가리아 사람들은 "예"라고 말할 때 고개를 젓고, "아니오"라고 말할 때 끄덕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행동과 반대되지만,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방식을 따른다.[15]
  • '''치찰음''': 불가리아어는 혀끝 치경 마찰음 /ts/("ц"로 표기)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슬라브어에서는 드문 현상이다. "왕"을 뜻하는 царь|차르bg가 그 예이다.
  • '''성문 폐쇄음''': 일부 불가리아어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 '''친족 용어''': 불가리아어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매우 풍부하다. 시아버지, 시어머니, 처남, 매부 등 다양한 친족 용어가 존재한다.
  • '''이중/다중 부정''': 불가리아어에서는 이중 부정, 심지어 다중 부정이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예를 들어, "아무도 그에게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는 Никой нищо не му е казал|니코이 니슈토 네 무 에 카잘bg로 표현되는데, 이는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다.[18]

11. 1. 명사 형태론

Български езикbg의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 정관사의 네 가지 문법 범주를 가진다. 형용사는 수와 성에 있어서 명사와 일치한다.

대명사는 성과 수를 가지며, 주격, 목적격, 여격, 소유격의 네 가지 격을 가진다. 다음은 인칭 대명사의 격 변화표이다.

인칭, 수, 성주격목적격목적격 단축형여격여격 단축형소유 대명사
1인칭 단수азbgменеbgмеbgна менеbgмиbgмойbg
2인칭 단수тиbgтебеbgтеbgна тебеbgтиbgтвойbg
3인칭 단수(남성/중성)той/тоbgнегоbgгоbgна негоbgмуbgнеговbg
3인칭 단수(여성)тяbgнеяbgяbgна неяbgѝbgнеинbg
1인칭 복수ниеbgнасbgниbgна насbgниbgнашbg
2인칭 복수виеbgвасbgвиbgна васbgвиbgвашbg
3인칭 복수теbgтяхbgгиbgна тяхbgимbgтехенbg
재귀 대명사-себе сиbgсеbgна себе сиbgсиbgсвойbg


11. 2. 동사 형태론 및 문법

불가리아어 동사는 인칭, 수, 음성, 상(aspect), 법(mood), 시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한정 동사 형태는 '단순' 또는 '복합' 형태를 가지며,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수(단수, 복수)에 있어 주어와 일치한다.[70]

불가리아어 동사는 어휘적 의미상의 측면을 나타낸다. 완료 동사는 행위의 완료를 의미하며 과거 완료(아오리스트) 형태를 만든다. 불완료 동사는 이에 대해 중립적이며 과거 불완료 형태를 만든다. 대부분의 불가리아어 동사는 완료-불완료 쌍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불완료/완료: идвам/дойдаbg "오다", пристигам/пристигнаbg "도착하다").

불가리아어에는 문법적 의미상의 측면도 있다. 중립, 완료, 과거완료의 세 가지 측면이 있다. 중립적 측면은 세 가지 시제와 미래 시제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불가리아어에는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조건법의 네 가지 법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여기에 더해, 목격되지 않은 사건을 설명하는 추측법이 있다. 그러나 현대 불가리아어 언어학자들은 가정법과 추측법을 법의 범주에서 제외하고, 동사의 형태구문론적 구성물 또는 별개의 의미소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70]

시간상으로 문법적으로 구별되는 세 가지 시제(현재, 과거, 미래)가 있으며, 이들은 상과 법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든다.

직설법에는 세 가지 단순 시제가 있다.

  • 현재 시제: 동사 어간과 주제 모음, 인칭/수 어미로 구성된다. (예: пристигамbg "도착하다/도착하고 있다").
  • 과거 미완료 시제: 다른 과거 행위와 동시적이거나 종속적인 행위를 나타낸다. (예: пристигахbg "도착하고 있었다").
  • 과거 완료 시제(aorist): 시간적으로 독립적인 특정 과거 행위를 나타낸다. (예: пристигнахbg "도착했다").


직설법에는 다음과 같은 복합 시제도 있다.

  • 미래 시제: 조동사 щеbg와 현재 시제로 이루어진다. (예: ще учаbg "공부할 것이다").
  • 과거 미래 시제: 과거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다른 과거 행위에 대해서는 미래였던 행위를 나타낸다. (예: щях да учаbg "공부하려고 했다").
  • 현재 완료 시제: '이다'를 뜻하는 съмbg 동사의 현재 시제와 과거 분사로 구성된다. (예: съм училbg "공부했다").
  • 과거 완료 시제: '이다'를 뜻하는 съмbg 동사의 과거 시제와 과거 분사로 구성된다. (예: бях училbg "공부했었다").
  • 미래 완료 시제: '이다'를 뜻하는 съмbg 동사의 미래 시제와 과거 분사로 구성된다. (예: ще съм училbg "공부했을 것이다").
  • 과거 미래 완료 시제: 다른 과거 행위보다 앞서는 과거 행위에 대해 미래였던 과거 행위를 나타낸다. (예: щях да съм училbg "공부했을 것이다").


명령법은 현재 시제 하나의 단순 시제만 가지며, 2인칭 단수와 복수에 대한 형태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공부하다'라는 뜻의 동사 'уча'의 경우 уч'''и'''bg (단수), уч'''ете'''bg (복수) 형태가 있다.

가정법은 다섯 가지 복합 시제로 구성된다. 현재, 미래, 과거 가정법은 '이다'를 뜻하는 'би-'와 과거 분사를 사용한다 (бих училbg '공부했을 것이다').

접속법은 불가리아어에서 별도의 동사 형태로 거의 기록되지 않지만, 규칙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현재 접속법이다 ([по-добре] да отидаbg '가는 것이 더 좋다').

추측법은 다섯 가지 순수 시제를 가진다. 이 중 두 가지는 단순 시제인 '과거 완료 추측법'과 '과거 미완료 추측법'이다.

11. 2. 1. 비한정 동사 형태


  • 현재능동분사 (сегашно дея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미완료 어간에 접미사 –ащ/–ещ/–ящ를 추가하여 만들어지며 (чет'''ящ''', '읽는'), 한정적으로만 사용된다.
  • 현재수동분사 (сегашно страда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접미사 -им/аем/уем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чет'''им''', '읽을 수 있는, 읽히는').
  • 과거완료능동분사 (минало свършено дея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완료 어간에 접미사 –л–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че'''л''', '[읽은]').
  • 과거미완료능동분사 (минало несвършено дея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미완료 어간에 접미사 –ел/–ал/–ял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чет'''ял''', '[읽고 있던]').
  • 과거완료수동분사 (минало свършено страда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완료 어간에 접미사 -н/–т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прочете'''н''', '읽힌'; уби'''т''', '죽인'). 서술적으로나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 과거미완료수동분사 (минало несвършено страдателно причастие)는 미완료 어간에 접미사 –н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прочита'''н''', '[읽히고 있던]'; убива'''н''', '[죽임을 당하고 있던]'). 서술적으로나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 부사적 분사 (деепричастие)는 일반적으로 미완료 현재 어간에 접미사 –(е)йки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чете'''йки''', '읽으면서'). 주동사와 동시에 종속적인 행위를 나타내며, 원래 서불가리아어 형태이다.


분사는 성, 수, 정성에 따라 활용되며, 복합 시제를 형성할 때 주어와 일치한다. 한정적인 역할로 사용될 때, 활용의 속성은 한정되는 명사와 일치한다.

11. 2. 2. 재귀 동사

불가리아어는 작용자가 자신에게 행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재귀 동사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와 같은 다른 인도유럽어와 유사하다.[72] 재귀는 불변 입자 '''se'''[72]를 통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miya''는 '나는 씻다', ''miya se''는 '나는 나 자신을 씻다'를 의미한다.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행해질 때는 다른 입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miya te''는 '나는 너를 씻다'를 의미한다.

때때로 재귀 동사 형태는 비재귀 동사와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kazvam''은 '나는 말하다', ''kazvam se''는 '내 이름은 ~이다'를 의미한다. 또, ''vizhdam''은 '나는 보다', ''vizhdame se''는 '우리는 서로 만나다'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재귀 동사가 비재귀 동사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기도 한다. 예를 들어 ''karam''은 '운전하다', ''karam se''는 '누군가와 다투다'를 의미한다.

행위가 간접 목적어에 행해질 때는 입자가 '''si'''와 그 파생어로 바뀐다. 예를 들어 ''kazvam si''는 '나는 나 자신에게 말하다', ''kazvam ti''는 '나는 너에게 말하다'를 의미한다.

어떤 경우에는 입자 ''si''가 간접 목적어와 소유 의미 사이에서 모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ya si ratsete''는 '나는 내 손을 씻다'를 의미한다.

타동사와 자동사의 미세한 변화는 의미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haresvash me''는 '너는 나를 좋아하다', ''haresvash mi''는 '나는 너를 좋아하다'를 의미한다.

입자 ''si''는 종종 행위에 대한 더 개인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haresvam go''는 '나는 그를 좋아하다', ''haresvam si go''는 '그는 내 마음에 정말 가깝다'와 같이 번역될 수 있다.

11. 3. 부사

생산적인 부사 형성 방법은 형용사의 중성 단수 형태에서 파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бързо|빠르게bg, силно|세게bg, странно|이상하게bg와 같다. 그러나 -киbg로 끝나는 형용사는 남성 단수형(-киbg로 끝남)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юнашки|용감하게bg, мъжки|남자답게, 용감하게bg, майсторски|숙련되게bg와 같다. 같은 패턴이 서수에서 부사를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първо|첫째로bg, второ|둘째로bg, трето|셋째로bg와 같고, 어떤 경우에는 기수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двойно|두 배로bg, тройно|세 배로bg, петорно|다섯 배로bg와 같다.

더 이상 생산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형성되는 부사도 있다. 소수는 원래의 단어이다. 예를 들어 тук|여기bg, там|거기bg, вътре|안쪽에bg, вън|밖에bg, много|매우/많이bg 등이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화석화된 격 변화 형태이다.

  • 일부 형용사의 고어적 조소격 형태: добре|잘bg, зле|나쁘게bg, твърде|너무, 오히려bg, 명사 горе|위로bg, утре|내일bg, лете|여름에bg, зиме|겨울에bg
  • 일부 형용사의 고어적 여격 형태: тихом|조용히bg, скришом|몰래bg, слепешком|맹목적으로bg, 명사 денем|낮 동안bg, нощем|밤 동안bg, редом|나란히bg, духом|정신적으로bg, цифром|숫자로bg, словом|말로bg, 동사 тичешком|달리는 동안bg, лежешком|누워 있는 동안bg, стоешком|서 있는 동안bg
  • 일부 명사의 고어적 목적격 형태: днес|오늘bg, нощес|오늘밤bg, сутрин|아침에bg, зимъс|겨울에bg
  • 일부 명사의 고어적 소유격 형태: довечера|오늘 저녁bg, снощи|어젯밤bg, вчера|어제bg
  • 정관사와 함께 사용되는 해당 형용사의 여성 단수형과 동음이의어이며 어원적으로 동일한 형태: здравата|세게bg, слепешката|더듬더듬bg. 같은 패턴이 일부 동사에 적용되었다. 예: тичешката|달리는 동안bg, лежешката|누워 있는 동안bg, стоешката|서 있는 동안bg
  • 비생산적인 접미사를 통해 기수에서 파생: веднъж|한 번bg, дваж|두 번bg, триж|세 번bg


부사는 때때로 문장의 주어가 수행하는 행위, 기분 또는 관계의 질적 또는 양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бавно-бавно|꽤 느리게bg", "едва-едва|매우 어렵게bg", "съвсем-съвсем|아주, 철저히bg"와 같다.

11. 4. 기타 특징

불가리아어에는 다른 언어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들이 있다.

  • '''고개 짓''': 불가리아 사람들은 "예"라고 말할 때 고개를 젓고, "아니오"라고 말할 때 끄덕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행동과 반대되지만,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방식을 따른다.[15]
  • '''치찰음''': 불가리아어는 혀끝 치경 마찰음 /ts/("ц"로 표기)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슬라브어에서는 드문 현상이다. "왕"을 뜻하는 царь|차르bg가 그 예이다.
  • '''성문 폐쇄음''': 일부 불가리아어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 '''친족 용어''': 불가리아어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매우 풍부하다. 시아버지, 시어머니, 처남, 매부 등 다양한 친족 용어가 존재한다.
  • '''이중/다중 부정''': 불가리아어에서는 이중 부정, 심지어 다중 부정이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예를 들어, "아무도 그에게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는 Никой нищо не му е казал|니코이 니슈토 네 무 에 카잘bg로 표현되는데, 이는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다.[18]

11. 4. 1. 질문

불가리아어에서 의문사(누구, 무엇 등)를 사용하지 않고 의문문을 만들 때는 동사 뒤에 입자 ли|italic=nobg를 붙인다. 동사 활용이 누가 행위를 하는지 나타내므로 주어는 필요하지 않다.

  • Идвашbg – '당신은 오고 있다'; Идваш ли?bg – '당신은 오고 있습니까?'


입자 ли|italic=nobg는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오지만, 대조가 필요한 경우 명사나 형용사 뒤에 올 수도 있다.

  • Идваш ли с нас?bg – '우리와 함께 오시겠습니까?'
  • С нас ли идваш?bg – '우리와 함께 오시겠습니까?'


선택지를 제시할 때는 동사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 Той ли?bg – '그(남자)?'
  • Жълтият ли?bg – '노란색 것?'[73]


수사 의문문은 의문사에 ли|italic=nobg를 추가하여 "이중 의문문"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 Кой?bg – '누구?'
  • Кой ли?!bg – '누구일까?'


같은 구문 +не|italic=nobg ('아니오')는 강조된 긍정문이다.

  • Кой беше там?bg – '거기에 누가 있었습니까?'
  • Кой ли не!bg – '거의 모든 사람!' (문자 그대로 '거기에 누가 없었을까?')

11. 4. 2. 품질 대명사

불가리아어에는 영어에 직접 대응하는 단어가 없는 여러 형용사적 대명사가 있다. (어떤 종류의), (이런 종류의), (저런 종류의 – 구어체), (어떤 종류의), (어떤 종류의도 아닌), (모든 종류의), 그리고 관계 대명사 (...인 종류의)가 있다. 형용사 ("같은")은 같은 어근에서 유래한다.[80]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어떤 사람이라고?!"; – 그는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
  • – "그런 사람을 모른다" (직역: "나는 이런 종류의 사람을 모른다")
  • – 직역하면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지만, 암묵적인 의미는 "내가 모르는 사람들"이다.
  • – "온갖 종류의 사람들"
  • – "어떤 종류를 원하세요?"; – "원하는 게 없어요!"/"하나도 없어요!"


이 단어들은 매우 긴 구문에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어직역문장전체 문장의 의미
자동차
이런 종류의이 자동차 (내가 설명하려는)
어떤 종류의도 아닌쓸모없는 자동차 (내가 설명하려는)
어떤 종류의종류의 쓸모없는 자동차 (내가 설명하려는)



구어체이지만, 불가리아어 화자에게 의미가 통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 ""
  • 추정 번역: "그 여자는 어떤 못된 사람이야?"
  • 직역: "어떤 종류의 – 이다 – 이 여자 – 이런 종류의 – 하나 – 어떤 종류의 – 어떤 종류의도 아닌"

문장의 주어는 단순히 대명사 (직역: "이 여자"; 구어체: "그녀")이다.

구어체에서 (의 중성)는 형용사뿐만 아니라 동사를 대신해서 사용된다. 이때 기본 형태 가 현재 시제 3인칭 단수로 사용되고 다른 모든 형태는 다른 동사와 유추하여 형성된다. "동사"가 파생 접두사를 얻어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네 모자에 뭔가를 했다 (아마: 네 모자를 가져갔다)
  • – 내 안경에 뭔가를 했다 (아마: 내 안경을 잃어버렸다)
  • – 나 자신에게 뭔가를 했다 (아마: 스스로 다쳤다)


의 또 다른 용례는 명사 대신 사용될 수 있는 이다. 화자가 무언가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어떻게 말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을 경우 라고 말하고 생각을 정리할 시간을 가질 수 있다.

  • – 그리고 나서 그는 ...
  • – 네 것을 뭔가 먹었다 (아마: 네 디저트를 먹었다). 여기서 는 명사를 대신한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는 금기 사항에 대한 완곡어법으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식기나 성행위와 관련된 단어를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 - 그는 그녀의 [명사]에 그의 [명사]를 [동사]했다


이와 유사한 "무의미한" 표현은 구어체 불가리아어에서 매우 흔하며, 특히 화자가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울 때 사용된다.

11. 4. 3. 기타

불가리아 사람들은 "예"라고 말할 때 고개를 젓고, "아니오"라고 말할 때 끄덕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반대되는 행동이다. 그러나 격식을 차린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고개 끄덕임과 흔들림을 사용한다.[15]

불가리아어는 혀끝 치찰음 /ts/("ц"로 표기)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슬라브어에서는 드물다. 예를 들어, "왕"을 뜻하는 царь|차르bg가 있다. 또한, 일부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불가리아어는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가 매우 풍부하다. 예를 들어, 시아버지, 시어머니, 처남, 매부 등 다양한 친족 용어가 존재한다.

불가리아어에서는 이중 부정, 심지어 다중 부정이 문법적으로 올바르다. 예를 들어, "아무도 그에게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를 직역하면 Никой нищо не му е казал|니코이 니슈토 네 무 에 카잘bg이 되는데, 이는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다.[18]

12. 통사론

불가리아어는 주로 강조를 위해 클리틱 중복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문은 구어체 불가리아어에서 흔하다.[1]

:Аз (го) дадох подаръка на Мария.|나는 (그것을) 마리아에게 선물을 주었다.bg

:Аз (ѝ го) дадох подаръка на Мария.|나는 (그녀에게 그것을) 마리아에게 선물을 주었다.bg

이 현상은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도치의 경우 구어체에서 사실상 필수적이다 (문어체에서는 이러한 경우 클리틱 중복을 생략할 수 있지만 다소 문어체적인 효과를 낸다).[1]

:Подаръка (ѝ) го дадох на Мария.|선물을 (그녀에게) 그것을 마리아에게 주었다.bg

:На Мария ѝ (го) дадох подаръка.|마리아에게 (그녀에게) (그것을) 선물을 주었다.bg

때로는 중복이 통사적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1]

:Петър и Иван ги изядоха вълците.|페터르와 이반을 늑대들이 먹었다.bg

:번역: "페터르와 이반은 늑대들에게 먹혔다."

이는 다음과 대조된다.[1]

:Петър и Иван изядоха вълците.|페터르와 이반이 늑대들을 먹었다.bg

:번역: "페터르와 이반이 늑대들을 먹었다."

이 경우, 클리틱 중복은 보다 형식적이거나 문어체적인 수동태의 구어체적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Петър и Иван бяха изядени от вълците.|페터르와 이반은 늑대들에게 먹혔다.bg

클리틱 중복은 구어체와 문어체 모두에서 단축된 목적격과 여격 대명사를 사용하는 몇 가지 특수 표현을 포함하는 절에서도 완전히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играе ми се|나는 놀고 싶다bg, студено ми е|나는 춥다bg, боли ме ръката|내 팔이 아프다bg 등이 있다.[1]

:На мен ми се спи, а на Иван му се играе.|나에게는 나에게 잠이 온다, 그리고 이반에게는 그에게 놀고 싶다.bg

:번역: "나는 자고 싶고, 이반은 놀고 싶다."

:На нас ни е студено, а на вас ви е топло.|우리에게는 우리에게 춥고, 너희에게는 너희에게 따뜻하다.bg

:번역: "우리는 춥고, 너희는 따뜻하다."

:Иван го боли гърлото, а мене ме боли главата.|이반은 그의 목이 아프고, 나에게는 나의 머리가 아프다.bg

:번역: "이반은 목이 아프고, 나는 머리가 아프다."

위의 예외를 제외하고, 클리틱 중복은 형식적인 맥락에서는 부적절하다고 여겨진다.[1]

13. 어휘

현대 불가리아어 어휘의 대부분은 원시 슬라브어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및 중세 불가리아어를 거쳐 형성된 불가리아어 고유의 어휘가 70~80%를 차지한다.[82] 나머지 20~30%는 여러 언어에서 차용한 외래어와 그 파생어이다.[82] 불가리아어는 트라키아불가르 기원의 몇몇 단어도 채택했다.

불가리아어에 영향을 미친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



라틴어그리스어는 주로 국제 용어의 근원이며, 많은 라틴어 용어는 불가리아가 로마 제국불가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시대에 루마니아어, 아루마니아어, 메글레노루마니아어를 통해 유입되었다. 그리스어 차용어는 정교회 예배 언어의 영향이다. 오스만 튀르크어아랍어 차용어는 오스만 제국 지배 기간 동안 유입되었으나, 상당수는 고유 불가리아어 용어로 대체되었다. 1878년 독립 이후 불가리아 지식인들은 많은 프랑스어 어휘를 도입했다. 20세기 후반, 특히 1989년 이후에는 전문 용어와 일반적인 영어 단어가 유입되었으며, 이 중 상당수는 독특한 특징을 얻어 파생어를 만들어냈다.

어원에 따른 불가리아어 어휘 비율과 외래어 차용 비율은 다음과 같다.[82][83]

어원비율(%)
원시 슬라브어에서 직접 상속50
후기 형성어30
외래어 차용17



언어비율(%)
라틴어26
그리스어23
프랑스어15
오스만 튀르크어, 아랍어14
러시아어10
이탈리아어4
독일어4
영어4
기타2


14. 샘플 텍스트

불가리아어 발음


불가리아어로 된 ''세계인권선언'' 제1조:[84]

: Bсички хора се раждат свободни и равни по достойнство и права. Tе са надарени с разум и съвест и следва да се отнасят помежду си в дух на братство.bg

라틴 문자로 표기한 불가리아어 본문:[85]

: Vsichki hora se razhdat svobodni i ravni po dostoynstvo i prava. Te sa nadareni s razum i sŭvest i sledva da se otnasyat pomezhdu si v duh na bratstvo.

넓은 의미의 IPA로 표기한 불가리아어 발음:

: ['fsit͡ʃki 'xɔrɐ sɛ 'raʒdɐt svo'bɔdni i 'ravni po dos'tɔjnstvo i prɐ'va. 'tɛ sɐ nɐdɐ'rɛni s 'razom i 'sɤvɛst i 'slɛdvɐ dɐ sɛ ot'nasjɐt pomɛʒ'du si v 'dux nɐ 'bratstvo.]

영어로 된 ''세계인권선언'' 제1조:[86]

: ''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and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

15. 참고 문헌


  • Pisani, Vittore (2012). 《구불가리아어》. 소피아: Bukvitza. ISBN 978-9549285864.
  • Comrie, Bernard; Corbett, Greville G. (1993). 《슬라브어족 언어》. Routledge. ISBN 978-0-415-04755-5.
  • Klagstad Jr., Harold L. (1958). 〈구어체 표준 불가리아어의 음운 체계〉. 《미국 슬라브 및 동유럽 언어 교사 협회》. 42–54쪽.
  • Ternes, Elmer; Vladimirova-Buhtz, Tatjana (1999). 〈불가리아어〉. 《국제 음성 기호 협회 편람》.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55–57쪽. ISBN 978-0-521-63751-0.
  • 보야지예프 외 (1998). 《현대 불가리아 문어의 문법. 1권. 음성학》.
  • 조보브, 블라디미르 (2004). 《불가리아어의 소리》.
  • 크르스테브, 보리미르 (1992). 《모두를 위한 문법》.
  • 파쇼브, 페터르 (1999). 《불가리아어 문법》.
  • (1971–2011). 《불가리아어 어원 사전》. I-VII.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편집자-이름-목록에서 |편집자= (도움말)
  • 엘리아스 리그스 (1844). 《불가리아어 문법에 대한 노트》. 스미르나(현재 이즈미르).

참조

[1]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https://books.google[...] Hurst 2003
[3] 웹사이트 Bulgarians in Albania https://web.archive.[...] 2008-04-23
[4] unknown
[5] 웹사이트 Národnostní menšiny v České republice a jejich jazyky http://www.vlada.cz/[...] Government of Czech Republic
[6]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Charter in Hungary https://web.archive.[...] Public Foundation for European Comparative Minority Research 2014-06-16
[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3
[8] 서적 Minorities and nationalism in Turkish law https://www.academia[...] Ashgate Publishing 2013
[9] 학술지 The EU and Minority Rights in Turkey https://www.jstor.or[...] 2009
[10] 학술지 Minority Policies in Bulgaria and Turkey: The Struggle to Define a Nation http://www.tandfonli[...] 2006
[11] 학술지 An Evaluation on Istanbul's Bulgarians as the "Invisible Minority" of Turkey https://www.ceeol.co[...] 2019
[12] 웹사이트 Council Regulation (EC) No 1791/2006 of 20 November 2006 http://eur-lex.europ[...] Europa web portal 2006-12-12
[13] 웹사이트 Languages in Europe – Official EU Languages https://web.archive.[...] EUROPA web portal 2009-10-12
[14]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Bulgarian Literary Language: From Incunabula to First Grammars, Late Fifteenth–Early Seventeenth Century Lexington Books 2021
[15] 웹사이트 Written Languages in Wallachia during the Reign of Neagoe Basarab (1512-1521) https://www.research[...]
[16] 서적 "Какво е дал българинът на другите народи" 2006
[17] 백과사전 Bulgaria/Language
[18] 웹사이트 дамаскини http://scripta-bulga[...] 2019-11-17
[19] 서적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texts and commentaries, Volume 1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Wiley-Blackwell 2000
[21]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2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Bulgaria https://web.archive.[...] 2020-10-27
[23] 보고서 Преброяване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и жилищния фонд през 2011 година https://www.nsi.bg/s[...] 2012
[24] 웹사이트 Table 19A050501 02.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of Ukraine's regions by native language (0,1) https://web.archive.[...] 2020-10-15
[25]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Moldova at the Time of the Census was 2,998,235 http://www.statistic[...] 2017-03-31
[26]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2017 - Министерств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Приднестровской Молдав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s://web.archive.[...] 2020-10-16
[27] 보고서 Etnokonfesionalni i jezički mozaik Srbije (Popis stanovništa, domaćinstava i stanova 2011. u Republici Srbiji) https://pod2.stat.go[...]
[28] 웹사이트 DC2210EWr - Main language by proficiency in English (regional) http://www.nomisweb.[...] 2020-10-18
[29] 웹사이트 Census Profile https://www12.statca[...] 2012-02-08
[30] 서적 Български диалектен атлас (Bulgarian dialect atlas)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001
[31] 웹사이트 Стойков, Стойко. 2002 (1962) Българска диалектология. Стр. 101 http://www.promacedo[...] Promacedonia.org 2010-04-17
[32] 웹사이트 Стойков, Стойко. 2002 (1962) Българска диалектология. Стр. 99 http://www.promacedo[...] Promacedonia.org 2010-04-17
[33] 웹사이트 Речник на думите в българският език http://rechnik.info/[...] 2020-11-28
[34] 웹사이트 Bulgarian Dialectology: Western Dialects http://www.promacedo[...] 2013-05
[35] 서적 Contes Slaves de la Macédoine Sud-Occidentale: Etude linguistique; textes et traduction Notes de Folklore, Paris 1923
[36] 서적 Избранные труды Москва
[37] 서적 Die Slaven in Griechenland Verlag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38] 서적 Balkanfilologien København
[39] 간행물 Die Balkanvölker und ihre kulturellen und politischen Bestrebungen Urania 1909-03-27
[40] 서적 Описание быта македонских болгар; Топографичес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черк Македонии Петербург
[41]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Press
[42]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43] 웹사이트 Български деалектни текстове от Егейска Македония http://www.promacedo[...] София
[44] 서적 Pluricentric Languages: The Codification of Macedonia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45] 뉴스 Makedoniya 1870-07-31
[46] 논문 In Defense of the Native Tongue: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cedonian Language and the Bulgarian-Macedonian Linguistic Controversies
[47] 웹사이트 За разширението на диалектната основа на българския книжовен език и неговото обновление. "Македонската" азбука и книжовна норма са нелегитимни http://www.promacedo[...] дружество "Огнище"
[48] 서적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9]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C. Hurst & Co. Publishers
[50] 웹사이트 Language profile Macedonian http://www.lmp.ucla.[...]
[51]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52] 논문 Ausbau sociolinguistics and the perception of language status in contemporary Europe
[53] 서적 Dialect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Cyrillic, the third official alphabet of the EU, was created by a truly multilingual European http://europa.eu/rap[...] 2007-05-24
[56] 논문 Alternative Analyses of the Bulgarian Nonsyllabic Phonemes http://www.jstor.org[...]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57] 논문 За ревизия на становището за състава на българската фонемна система https://www.research[...]
[58] 논문 The Sound System of Standard Bulgarian http://www.personal.[...]
[59] 논문 Глайдовата система на българския и корейския език Sofia University
[60] 서적 Българска граматика Hristo G. Danov
[61] 서적 Основна българска граматика Hemus
[62] 서적 Българска граматика Hristo G. Danov
[63] 서적 Principles of Phon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4] 논문 За меките съгласни в българския език
[65] 서적 Граматика на съвременния български книжовен език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66] 서적 Увод в езикознанието с оглед и на българския език Sofia University
[67] 서적 COMMON and COMPARATIVE SLAVIC: Phonology and Inflect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Russian, Polish, Czech, Serbo-Croatian, Bulgarian Slavica Publishers, Inc.
[68]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Българска граматика
[70] 서적 Български език. Теоретичен курс с практикум
[71] 논문 Development of Aspect from Ancient Slavic to Bulgaro-Macedonian https://books.google[...] 1995-08-00
[72] 설명
[73] 설명
[74] 설명
[75] 설명
[76] 설명
[77] 설명
[78] 설명
[79] 설명
[80] 설명
[81]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2003-00-00
[82]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0-00
[83]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2003-00-00
[8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85] 웹사이트 Държавен вестник https://dv.parliamen[...] 2023-04-27
[86]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87] 서적 1985-00-00
[88] 서적 1985-00-00
[89]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1993-00-00
[90] 웹인용 1995 Streamlined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Bulgarian (Official) http://members.multi[...] 2012-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