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조 나들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조 나들목은 광주대구고속도로에 있는 나들목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 위치해 있다. 1984년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 ~ 달성 구간 개통과 함께 평면 교차로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도로구역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쳤다. 트럼펫형 입체 교차로 형태를 띠며, 지방도 제1099호선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대구고속도로 - 순창 나들목
순창 나들목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교차로로, 교성로 및 순창로를 통해 순창읍내로 진출할 수 있으며, 1984년 개통 이후 2007년 확장 공사 당시 순창군 도시계획구역 교통광장에 고시되었다. - 광주대구고속도로 - 고령 분기점
고령 분기점은 경상북도 고령군에 위치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특정 방향으로는 진출입이 불가능하다. - 거창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거창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경상남도의 고속도로 나들목 - 영산 나들목
영산 나들목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구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트럼펫형 입체 교차로 형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고속도로 나들목 - 남지 나들목
남지 나들목은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에 위치한 구마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과거 남지 교차로라는 평면 교차로였으나 고속도로 확장과 함께 현재의 위치로 이설되면서 명칭이 변경되었고, 지방도 제1022호선과 연결되며 국도 제5호선 및 지방도 제1021호선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가조 나들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정보 | |
노선 | 광주대구고속도로 |
번호 | 23 |
기점 거리 | 광주 기점 131.64 km |
전구조물 | 거창 나들목 |
전 거리 | 10.52 km |
후구조물 | 해인사 나들목 |
후 거리 | 14.83 km |
접속 노선 | |
접속 도로 | 지방도 제1099호선 |
기타 |
2. 연혁
- 1984년 6월 27일: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 ~ 달성 구간 개통과 함께 평면 교차로로 영업을 개시했다.[1]
- 1997년 6월 27일: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대초리 900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
- 1999년 11월 2일: 2001년 12월까지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남원시 월락동 ~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야로리 97.1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3]
- 2002년 7월 24일: 2003년 12월까지 나들목 광주방향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 1.37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4]
- 2007년 9월 10일: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 ~ 성산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거창군 도시계획구역 교통광장에 가조면 일부리 일원을 '''가조 나들목'''으로 고시했다.[5]
2. 1.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
- 1984년 6월 27일: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 ~ 달성 구간 개통과 함께 평면 교차로로 영업 개시[1]
- 1997년 6월 27일: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대초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99년 11월 2일: 2001년 12월까지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남원시 월락동 ~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야로리 97.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02년 7월 24일: 2003년 12월까지 나들목 광주방향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 1.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2007년 9월 10일: 88올림픽고속도로 담양 ~ 성산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거창군 도시계획구역 교통광장에 가조면 일부리 일원을 '''가조 나들목'''으로 고시[5]
2. 2. 광주대구고속도로 확장 이후
광주대구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2007년 9월 10일 거창군 도시계획구역 교통광장에 가조면 일부리 일원을 '''가조 나들목'''으로 고시했다.[5]3. 구조
가조 나들목은 트럼펫형 입체 교차로 형태이며, 고속도로 본선과 연결되는 진출입로는 왕복 2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도 제1099호선(지산로)과 평면 교차한다.
3. 1. 구조물 정보
4. 접속 도로
5. 교통량 정보
요금소 | 통행량 (대/일)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가조 (폐쇄식) | 1,274 | 1,388 | 1,480 | 1,301 | 1,176 | 1,154 | 1,140 | 1,078 | 1,158 | 1,212 |
요금소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가조 (폐쇄식) | 1,157 | 1,136 | 1,178 | 1,201 | 1,317 | 1,540 | 1,602 | 1,463 | 1,494 |
가조 나들목의 교통량은 2000년대 초반에는 하루 평균 1,200~1,400대 수준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증가하여 2019년에는 하루 평균 1,494대를 기록했다.[6]
참조
[1]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51호
http://theme.archive[...]
1984-06-30
[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97호
http://theme.archive[...]
1996-06-27
[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39호
http://theme.archive[...]
1999-11-02
[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162호
http://gwanbo.mois.g[...]
2002-07-24
[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362호
http://gwanbo.mois.g[...]
2007-09-10
[6]
웹사이트
영업소이용차량
http://www.ex.co.kr/[...]
한국도로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