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의 죄는 부유한 부부와 가정부의 평화로운 일상이 아들과 가정부의 재판으로 인해 흔들리는 이야기를 그린다. 아들은 전 부인 살해 미수 혐의로, 가정부는 영아 살해 혐의로 기소된다.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부는 아들의 충격적인 범죄 행각을 알게 되고, 여성 폭력의 복잡성을 마주한다. 영화는 가족의 죄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며, 마지막에 가족 모임을 갖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범죄 영화 - 클랜 (영화)
클랜은 1980년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일어난 푸치오 가족의 납치 및 살인 사건을 다룬 파블로 트라페로 감독의 영화이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베니스 국제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아르헨티나의 범죄 영화 - 다크니스 (2010년 영화)
2010년 스릴러 영화 다크니스는 남미 여행 중 납치된 여자친구 엘리를 구하려는 스테파니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앰버 허드와 칼 어번이 주연을 맡았고 아르헨티나에서 촬영 후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로 출시, 로튼 토마토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 아르헨티나의 스릴러 영화 - 아우라 (영화)
파비안 비엘린스키 감독의 2005년 아르헨티나 영화인 아우라는 박제사 에스테반 에스피노사가 살인 사건에 휘말려 기억 장애와 혼란을 겪는 이야기를 다루며, 리카도 다린과 돌로레스 폰지가 주연을 맡아 평론가들의 호평과 영화제 수상을 받았다. - 아르헨티나의 스릴러 영화 - 다크니스 (2010년 영화)
2010년 스릴러 영화 다크니스는 남미 여행 중 납치된 여자친구 엘리를 구하려는 스테파니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앰버 허드와 칼 어번이 주연을 맡았고 아르헨티나에서 촬영 후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로 출시, 로튼 토마토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 아르헨티나의 드라마 영화 - 모노스
《모노스》는 알레한드로 란데스 감독의 콜롬비아 영화로, 남미 외딴 산악 지대를 배경으로 가명으로 불리는 10대 특공대원 '모노스' 부대와 그들이 감시하는 미국인 엔지니어 '라 독토라'의 이야기를 다루며, 콜롬비아 분쟁 속 청춘의 고립과 폭력성을 탐구하고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아르헨티나의 드라마 영화 - 오피셜 스토리
오피셜 스토리는 아르헨티나의 더러운 전쟁 시기를 배경으로, 입양한 딸의 출생에 대한 의혹을 품은 역사 교사가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가족의 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Crímenes de familia (가족의 죄) |
감독 | 세바스티안 쉰델 |
각본 | 파블로 델 테소 세바스티안 쉰델 |
출연 | 세실리아 로스 미겔 앙헬 솔라 소피아 갈라 카스틸리오네 |
제작사 | 버팔로 필름스 마고야 필름스 타이리스 미디어 |
배급사 | 넷플릭스 |
개봉일 | 2020년 8월 20일 |
상영 시간 | 99분 |
제작 국가 | 아르헨티나 |
언어 | 스페인어 |
2. 줄거리
영화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고급 주택가에서 70세의 은퇴한 엔지니어 남편 이그나시오(미겔 앙헬 솔라), 가정부 글래디스(야니나 아빌라)와 함께 사는 알리시아(세실리아 로스)의 평화로운 일상으로 시작된다. 글래디스의 3살 난 아들 산티는 알리시아를 이모라고 부른다.[2]
이들의 평온한 삶은 두 가지 재판으로 인해 송두리째 흔들린다. 알리시아의 아들 다니엘(벤하민 아마데오)은 전 부인 마르셀라(소피아 갈라 카스티글리오네) 살해 미수 혐의로, 글래디스는 갓 태어난 아기를 질식사시킨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다.[2]
알리시아는 아들과 가정부를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점차 드러나는 충격적인 진실 앞에서 혼란에 빠진다.
2. 1. 다니엘의 재판
다니엘은 전 부인 마르셀라(소피아 갈라 카스티글리오네)를 폭행하고 살해하려 한 혐의로 기소된다.[2] 알리시아는 아들의 무죄를 굳게 믿고 유능한 변호사를 고용하지만, 증거는 점점 다니엘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2] 알리시아의 부유한 친구들은 그녀를 버리고, 산티가 다니는 비싼 유치원에서는 더 다양한 학교에 등록하라고 권유한다.[2]혼란스럽고 절망한 알리시아는 아들을 돕기 위해 비싼 형사 변호사를 고용하기로 결심한다. 이그나시오는 알리시아가 고용하려는 변호사는 부도덕하며, 법정 밖에서 뇌물 등으로 사건을 이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경고한다.[2] 알리시아가 변호사 고용을 위해 이사하고 지출을 줄이겠다고 하자, 이그나시오는 그녀를 떠나겠다고 말한다.[2]
2. 2. 글라디스의 재판
야니나 아빌라가 연기한 글래디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알리시아 부부의 집에서 갓 태어난 아기를 질식사시킨 혐의로 살인죄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글래디스는 자신의 변호에서 침묵을 지켰기 때문에 변호사 비에이테스가 그녀를 도울 수 없었다. 그녀는 특히 가혹한 17년 형을 선고받았다.[2]재판이 끝날 무렵, 글래디스는 법정에서 자신이 겪었던 부당한 대우에 대해 알리시아에게 사과하고, 산티를 잘 돌봐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진술을 했다. 그녀는 법원에 알리시아에게 산티에 대한 양육권을 부여해 달라고 요청했다.[2]
2. 3. 진실과 변화
세실리아 로스가 연기한 알리시아는 벤하민 아마데오가 연기한 아들 다니엘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쏟느라, 아들이 여성에 대한 폭행, 강간, 스토킹, 폭력의 가해자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2]알리시아는 가정부 글래디스(야니나 아빌라)가 다니엘에게 강간당해 아이를 임신했으며, 협박 때문에 범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한, 다니엘이 전 부인, 자녀, 글래디스에게 지속적인 범죄를 저질러왔음을 깨닫게 되면서 큰 충격에 빠진다.[2]
알리시아는 파올라 바리엔토스가 연기한 여성 폭력 문제를 다루는 심리학자를 만나면서 여성에 대한 폭력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다니엘의 두 피해자인 마르셀라와 글래디스와 연대하게 된다. 알리시아는 다니엘에게 유리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거액의 돈(40만달러)을 지불한 변호사를 통해 마르셀라에게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고, 글래디스의 항소를 돕는다.[2]
3. 등장인물
- 세실리아 로스 : 알리시아 역
- 디에고 크레모네시 : 에스테반 팔레로스 역
- 알리사 레예스 : 마르셀라 (목소리) 역
3. 1. 주요 인물
- '''세실리아 로스''' - 알리시아 캄포스 역: 다니엘의 어머니. 아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아들의 범죄를 인지하지 못하다가, 여성 폭력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피해자들과 연대한다.[2]
- '''미겔 앙헬 솔라''' - 이그나시오 아리에타 역: 알리시아의 남편이자 은퇴한 엔지니어. 아내에게 부도덕한 변호사를 고용하지 말라고 경고한다.[2]
- '''벤하민 아마데오''' - 다니엘 아리에타 역: 알리시아와 이그나시오의 아들. 전 부인 마르셀라를 폭행, 강간, 스토킹하고 글래디스를 강간, 협박한 가해자이다.[2]
- '''소피아 갈라 카스틸리오네''' - 마르셀라 소사 역: 다니엘의 전 부인이자 폭력 피해자.[2]
- '''야니나 아빌라''' - 글래디스 페레이라 역: 알리시아 부부의 가정부. 갓 태어난 아기를 질식사시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다니엘에게 강간 및 협박당한 피해자이다.[2]
- '''파올라 바리엔토스''' - 심리학자 역: 알리시아가 여성 폭력 문제를 이해하도록 돕는 인물.[2]
- '''마르셀로 수비오토''' - 페드로 비에이테스 역: 글래디스의 변호사.[2]
- '''산티아고 아빌라''' - 산티아고 페레이라 역: 글래디스의 아들. 알리시아를 이모라고 부른다.[2]
3. 2. 주변 인물
4. 촬영 장소
5. 영화 평가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예술, 월드와이드''(MEAWW)는 이 영화를 "매혹적"이고 "매력적인" 범죄 드라마라고 묘사했다.[2]
필름 어피니티 사이트의 평론가 디에고 바틀은 이 영화를 "놀랍고", "엄격하고, 야심차고 지적인" "법정 스릴러"라고 평했으며,[3] '디사이더'(Decider)의 존 서바는 배경, 등장인물, 주제가 "흡입력" 있지만 "항상 독창적이거나 잘 쓰여진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3]
라 나시온은 이 영화를 "탄탄한 심리 스릴러"라고 불렀다.[4]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를 "음울한 멜로드라마"라고 평가하며,[5] 같은 감독인 세바스티안 신델의 2019년 넷플릭스 영화 ''더 선''과 비교했다.[6]
6. 한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크라임 오브 패밀리》는 가정 폭력, 여성 혐오 범죄, 계급 간 불평등과 같이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심각하게 다뤄져야 할 문제들을 제기한다.[2] 가부장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성들이 겪는 폭력과 불이익,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영화 속 사건들과 맞닿아 있다.[2]
영화는 부유층 가정의 위선과 허위의식을 드러내면서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 아들 다니엘의 범죄를 인지하고 변화하는 알리시아의 모습은 개인의 각성과 사회적 연대를 통해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다.[2]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 영화를 통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여성 인권 신장과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ebastián Schindel explora la culpa en "Crímenes de familia"
https://www.rionegro[...]
2020-08-20
[2]
웹사이트
'The Crimes that Bind' aka 'Crímenes de Familia': Release date, plot, cast, trailer and all you need to know about Netflix's Argentinian film
https://meaww.com/cr[...]
2020-08-11
[3]
FilmAffinity
Film Affinity
https://www.filmaffi[...]
[4]
뉴스
Netflix: Family Crimes, a solid and uninspiring thriller on hot topics
https://www.lanacion[...]
2020-08-23
[5]
뉴스
'The Crimes That Bind' Review: A Mother's Trying Times
https://www.nytimes.[...]
2020-08-20
[6]
뉴스
'The Son' Review: She's Having a Baby (Without You)
https://www.nytimes.[...]
1919-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