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 오슬로 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오슬로 교구는 노르웨이의 로마 가톨릭 교구이다. 1070년경 오슬로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1537년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가톨릭 사도 전승이 단절되었다. 1869년 노르웨이 지목구로 분할되었고, 1892년 교황청 대리구로 승격되었다. 1931년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로 분할된 후, 1953년 독립 교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오슬로를 포함한 25개의 본당을 관할하며, 베른트 이바르 에이즈비그 주교가 교구를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슬로의 단체 - 노르웨이 축구 협회
    노르웨이 축구 협회는 1902년에 창립되어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을 운영하며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FIFA 여자 월드컵 금메달 등의 국제 대회 성적을 거둔 노르웨이의 축구 administration 기구이다.
  • 오슬로의 단체 -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노르웨이 의회에서 선출된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선정하며, 국가 간의 우애, 군비 축소, 평화 회의 증진에 기여한 인물에게 상을 수여하는 기관이다.
가톨릭 오슬로 교구
개요
관할 구역교구
국가노르웨이
관구교황청 직속
전례로마 전례
자치 교회라틴 교회
주교좌 성당성 올라프 대성당 (준주교좌 성당)
통계
면적154,560
인구 (2013년)3,880,110
가톨릭 신자118,247
가톨릭 신자 비율3
교구장
교황프란치스코
주교베른트 이바르 에이드스비그, C.R.S.A.
기타
라틴어 명칭Dioecesis Osloënsis
현지어 명칭Oslo Bispedømme
설립1953년
웹사이트오슬로 교구 웹사이트

2. 역사

오슬로 교구는 1070년경 설립되어 성 홀바르드 대성당을 주교좌 성당으로 삼았다. 그러나 1537년 종교 개혁으로 노르웨이 가톨릭 교회는 큰 변화를 맞이했으며, 루터교가 우세해지면서 가톨릭 사도 전승이 중단되었다. 이후 노르웨이 가톨릭 신자들은 여러 교황 대사 및 전교 기구의 관할 아래 놓였다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 지목구가 설정되면서 재건의 기틀을 마련했다. 20세기에 들어 노르웨이 교황청 대리구로 승격되었고, 1931년에는 오슬로, 트론헤임, 트롬쇠의 세 관할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마침내 1953년,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가 독립적인 가톨릭 오슬로 교구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1. 초기 (1070년 ~ 1537년)

1070년경 오슬로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당시 주교좌 성당은 성 홀바르드 대성당이었다. 그러나 1537년 종교개혁 과정에서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3세는 노르웨이 교구의 가톨릭 주교직을 폐지했다. 이 조치로 노르웨이의 가톨릭 사도 전승은 단절되었으며, 이후 루터교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우위를 점했다.

2. 2. 종교 개혁과 억압 (1537년 ~ 1887년)

1537년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3세는 노르웨이 교구의 가톨릭 주교직을 폐지하였다. 이로 인해 노르웨이의 가톨릭 사도 전승은 단절되었으며, 이후 루터교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가톨릭 주교직 폐지 이후, 노르웨이와 기타 북유럽 지역에 남아있던 가톨릭 신자들의 관할권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582년에는 쾰른 주재 교황 대사의 사목권 아래 놓였다. 1622년 교황청에 포교성성(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콩그레가티오 데 프로파간다 피데la, 전교회)이 설립되면서 북유럽 지역의 관할권이 재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브뤼셀 주재 교황 대사가 노르웨이와 덴마크를 담당하게 되었고, 쾰른 교황 대사는 독일 북부 지역을, 폴란드 주재 교황 대사는 스웨덴, 핀란드, 메클렌부르크를 담당하게 되었다.

1688년 노르웨이 교회는 북유럽 전교 대목구(Vicariatus Apostolicus Missionum Septentrionalium|비카리아투스 아포스톨리쿠스 미시오눔 셉텐트리오날리움la)에 편입되었으며, 당시 파더보른 대교구의 주교들이 행정관 역할을 맡았다. 1834년에는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서 스웨덴 지목구(Vicariatus Apostolicus Sueciae|비카리아투스 아포스톨리쿠스 수에키아이la)가 분할되면서 노르웨이 교회는 스웨덴 지목구에 속하게 되었다.

1855년, 노르웨이 북부 지역(북극권 이북)은 새로 설정된 북극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Poli Arctici|프라이펙투라 아포스톨리카 폴리 아르크티키la)의 관할 아래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그 외 노르웨이 지역은 여전히 스웨덴 지목구의 관할 아래 남아 있었다. 이후 1868년 8월 7일, 북극 지목구와 스웨덴 지목구에 속해 있던 노르웨이 지역을 통합하여 수이 유리스 선교지(Missio sui iuris Norvegiae|미시오 수이 유리스 노르베기아이la)가 설립되었고, 이는 1869년 8월 17일에 노르웨이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Norvegiae|프라이펙투라 아포스톨리카 노르베기아이la)로 승격되었다.

2. 3. 재건과 발전 (1887년 ~ 1953년)

1869년 8월 17일, 스웨덴 지목구에서 노르웨이 지역이 분리되어 독립적인 수이 유리스 선교지로 설정되었고, 같은 해 노르웨이 자치지구가 되었다. 이후 1892년 3월 11일에는 노르웨이 교황청 대리구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1913년 6월 1일부터 1925년 12월 15일까지는 '노르웨이와 스발바르 교황청 대리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1931년 4월 10일, 노르웨이 교황청 대리구는 세 개의 관할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남부 노르웨이를 포함하는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 중앙 노르웨이 지역의 트론헤임 성직자치구, 그리고 북부 노르웨이 지역의 트롬쇠 성직자치구가 그것이다. 이 중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는 1953년 6월 29일, 스웨덴의 스톡홀름 교구와 같은 날 독립적인 교구로 최종 승격되었다.

2. 4. 독립 교구 승격 (1953년 ~ 현재)

1931년 4월 10일, 기존의 노르웨이 교황청 대리구는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남부 노르웨이 관할), 중앙 노르웨이 선교 구역, 그리고 북부 노르웨이 선교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이 중 오슬로 교황청 대리구는 1953년 6월 29일, 스웨덴스톡홀름 교구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독립 교구로 승격되었다. 이로써 오슬로 교구는 노르웨이 가톨릭 교회의 중심 교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015년 2월 26일, 오슬로 교구와 주교 베른트 이바르 에이즈비그는 사기 혐의로 노르웨이 당국에 의해 기소되었다. 교구가 신자들의 동의 없이 명단을 등록하고, 이를 통해 수년간 정부로부터 약 5000만노르웨이 크로네에 달하는 지원금을 부당하게 수령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노르웨이 경찰은 교구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3. 교구 관할 구역 및 본당

가톨릭 오슬로 교구는 노르웨이 남부의 광범위한 지역을 관할하며, 총 25개의 본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당들은 오슬로(3개 본당)를 포함하여 모스, 아스킴, 프레드릭스타, 할덴, 릴레스트룀, 하마르, 콩스빙에르, 릴레함메르, 예스하임, Hønefoss|회네포스no, 스타베크, 드람멘, 파게르네스, 퇸스베르그, 라르비크, 산네피요르, 포르스그룬, 아렌달, 크리스티안산, 스타방에르, 하우게순, 베르겐 등 주요 도시에 분포하고 있다.

3. 1. 오슬로 및 인근 지역

오슬로에는 3개의 본당이 있으며, 그 외 인근 지역 본당은 다음과 같다.

성 올라브 대성당

3. 2. 중부 및 남부 지역

오슬로 교구의 중부 및 남부 지역 관할 구역에는 다음 본당들이 포함된다: 하마르, 콩스빙에르, 릴레함메르, 예스하임, Hønefoss|회네포스no, 스타베크, 드람멘, 파게르네스, 퇸스베르그, 라르비크, 산네피요르, 포르스그룬, 아렌달, 크리스티안산.

3. 3. 서부 지역

오슬로 교구의 서부 지역에는 스타방에르, 하우게순, 베르겐에 위치한 본당들이 포함된다.

4. 교구 지도자

스칸디나비아 교구로서는 이례적으로, 오슬로 주교의 대다수는 노르웨이인이었다. 역대 교구 지도자(주교, 교황 대리, 사도 지사)의 상세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교 (1953년 ~ 현재)

스칸디나비아 교구로서는 이례적으로, 오슬로 주교의 대다수가 실제로 지역 출신(노르웨이인)이었다.

주교소속 수도회재임 기간
베른트 이바르 에이즈비그C.R.S.A.2005년 7월 29일 – 현재
게르하르트 슈벤처SS.CC.1983년 11월 26일 – 2005년 7월 29일
요한 빌렘 그란O.C.S.O.1964년 11월 25일 – 1983년 11월 2일
자크 망게르S.M.1953년 6월 29일 – 1964년 11월 25일


4. 2. 교황 대리 (1932년 ~ 1953년)

주교 자크 망게르, S.M. (1932년 7월 12일 – 1953년 6월 29일)

4. 3. 노르웨이 교황 대리 (1928년 ~ 1930년)


  • 주교 요하네스 올라브 스미트 (1925년 12월 15일 – 1928년 10월 11일)
  • 신부 올라프 오퍼달 (사도적 관리자 1928년 10월 11일 – 1930년 3월 13일)
  • 주교 올라프 오퍼달 (1930년 3월 13일 – 1930년 10월 7일)

4. 4. 노르웨이 및 스피츠베르겐 교황 대리 (1913년 ~ 1925년)


  • 주교 요하네스 올라브 팔리제(Johannes Olav Fallize) (나중에 대주교) (1913년 6월 1일 – 1922년 6월 21일)
  • 주교 요하네스 올라브 스미트(Johannes Olav Smit) (1922년 4월 11일 – 1925년 12월 25일)

4. 5. 노르웨이 교황 대리 (1892년 ~ 1913년)

이 시기 노르웨이 교황 대리는 요하네스 올라브 팔리제(Johannes Olav Fallize) 주교였다. 그는 1892년 3월 11일부터 1913년 6월 1일까지 재임했으며, 이후 대주교가 되었다.

4. 6. 노르웨이 사도 지사 (1887년 ~ 1892년)


  • 요하네스 올라브 팔리제 신부 (1887년 2월 6일 – 1892년 3월 11일) (나중에 대주교)

참조

[1] 뉴스 Biskop siktet for grovt bedrageri https://www.dn.no/ny[...] 2015-02-26
[2] 뉴스 Politirazzia i lokalene til Oslo katolske bispedømme https://www.dn.no/ny[...] 2015-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