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네트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성네트망은 2015년 3G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한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자이다. 2023년 12월부터는 화웨이 중고 장비를 활용한 4G LTE 시범 서비스를 평양시 일부 지역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4G 통신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3세대 WCDMA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허가받은 고위 간부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3G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북한 주민에게는 광명망을 통해 3G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화번호는 1912 또는 1913으로 시작하며, 선불 방식을 사용한다.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2015년 기준 이용자 수는 100만 명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신 - 평양타치
평양타치는 북한에서 생산되는 스마트폰 시리즈로, 자체 운영체제와 광명망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체제 선전 도서가 기본 설치되어 있고, 보안 및 검열로 인해 와이파이 사용 제한 및 블루투스 공유 범위 통제 등 정보 접근에 제한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신 - SunNet
SunNet은 본문 내용이 없어, 특정 주제를 가정하여 도입부를 작성할 수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과학과 기술 - 만리경 1호
만리경 1호는 북한이 개발한 군사 정찰 위성으로, 2023년 11월 세 번째 발사에 성공했으며 궤도 상승 기동을 수행하고 지상 통신국과 통신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과학과 기술 - 광명성 3호 2호기
광명성 3호 2호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12년에 발사한 인공위성으로, 작물 수확량 예측, 기상 데이터 수집 등을 목적으로 했으며, 북한은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으나 국제 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위반으로 규정했다. - 2015년 설립된 기업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2015년 삼성탈레스가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2018년 한화S&C와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및 IT 서비스 기업으로, 레이다, 지휘 통제 체계, 위성 통신 체계 등 방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장비 개발과 IT 서비스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 2015년 설립된 기업 - SK (기업)
SK 주식회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강성네트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성네트망 |
원어 | Kangsong network Carrier |
형태 | 공기업 |
창립 | 2015년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소 | 평양시 |
사업 지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국 |
산업 | 원거리 통신 |
서비스 | 4세대 LTE 이동통신 서비스 |
대표 제품 | 전화 |
모기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 |
웹사이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체 인트라넷인 광명망에 개설되었다. |
회사 정보 | |
영문 명칭 | Kangsong Net |
유형 | 국유 기업 |
설립 | 2015년 |
위치 | 평양 |
산업 분야 | 통신 |
서비스 지역 | 북한 |
제품 | 전화, 이동 통신망 접속 |
모회사 | 정보산업성 |
홈페이지 | 광명 (인트라넷 홈페이지) |
2. 역사
강성네트망은 2015년에 3G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3년 12월, 화웨이(Huawei)의 중고 장비를 이용하여 4G LTE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재 평양시 등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2025년까지 4G 통신 타워를 80% 이상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2][3][4]
2. 1. 3G 서비스 개시 (2015년)
강성네트망은 2015년 3G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했다.[1][2][3][4] 3세대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허가받은 고위 간부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3G 데이터 서비스도 지원한다. 북한 주민에게는 3G 데이터 서비스를 광명망으로 제공하고 있다.2017년 고려링크가 HSPA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를 김정은의 재가로 허용하였을 때 강성네트도 허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 제공자로 지정되어 있다.[5]
2. 2. 4G LTE 시범 서비스 개시 (2023년)
2023년 12월, 중국의 도움을 받아 4G LTE 통신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시작했다.[1][2][3][4] 평양시 중심구역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지만, 2025년까지 4G 서비스 통신탑을 80% 이상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2. 2. 1. 4G 서비스 확장 계획
2023년 12월, 화웨이(Huawei)의 중고 장비를 사용하여 4G LTE 통신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시작하였다.[1][2][3][4] 현재 평양시 중심 지역 및 기타 도시에만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2025년까지 4G 서비스 통신 타워를 80% 이상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2][3][4]3. 서비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중국의 도움을 받아 4G LTE 통신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시작했다. 평양시 중심구역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4G 서비스를 위한 통신탑은 오는 2025년까지 80% 이상 구축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3. 1. 3G 서비스
3세대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허가받은 고위 간부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3G 데이터 서비스도 지원한다.[5]현재는 북한 주민에게도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북한 주민에게는 3G 데이터 서비스를 광명망으로 서비스하고 있다.[5]
2017년에 고려링크가 HSPA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를 김정은의 재가로 허용하였을 때 강성네트도 허용했을 것으로 보여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 제공자로 지정되어 있다.[5]
3. 2.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
2017년에 고려링크가 HSPA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를 김정은의 재가로 허용하였을 때 강성네트도 허용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 제공자로 지정되어 있다.[5]4. 번호 체계
김일성 주석이 태어난 해를 상징하는 1912 혹은 1913으로 시작하는 번호를 부여받는다.
5. 요금 지불 방식
강성네트망의 요금은 경쟁사인 고려링크와 마찬가지로 선불 방식으로, 최소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화폐로 정해진 금액 이상을 납입한 뒤 필요할 때마다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해진 납입 시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충전된 금액이 통화 시 바로 차감된다.
6. 가입 대상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고려링크와 마찬가지로 외국인도 가입할 수 있다.
6. 1. 대한민국과의 통화 제한
고려링크와 마찬가지로 외국인도 가입 가능하지만, 방북한 대한민국 국민은 대한민국과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7. 이용자 수
2015년 기준으로 100만 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양강도와 함경도 부근의 이용자가 많고 서비스 품질도 나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6]
참조
[1]
웹사이트
N. Korea begins accepting subscribers to 4G cellular network
https://www.dailynk.[...]
2023-12-29
[2]
웹사이트
Why North Korea finally embraced 4G mobile networks, years after rest of world
https://www.nknews.o[...]
2024-03-12
[3]
웹사이트
North Korea’s Kangsong is operating a 4G network
https://www.northkor[...]
2024-03-07
[4]
웹사이트
North Korea’s 4G launch: Pyongyang first in phased rollout
https://www.dailynk.[...]
2024-11-14
[5]
웹인용
Photos reveal North Korea's new portable intranet devices
https://www.nknews.o[...]
2017-08-10
[6]
서적
북한의 서비스 산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