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링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링크는 2008년 오라스콤 텔레콤이 북한에서 3G 이동통신 사업권을 획득하여 설립한 이동통신 회사이다. 평양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장하려 했으나, 북한 정부의 통제, 국제 제재,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오라스콤의 통제력을 상실했다. 고려링크는 북한 주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7년부터는 광명망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도 제공했다. 주로 중국 제조사의 피처폰을 판매했으며, 북한 당국의 통제와 수익 송환 문제, 경쟁 심화 등의 문제점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신 - 평양타치
    평양타치는 북한에서 생산되는 스마트폰 시리즈로, 자체 운영체제와 광명망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체제 선전 도서가 기본 설치되어 있고, 보안 및 검열로 인해 와이파이 사용 제한 및 블루투스 공유 범위 통제 등 정보 접근에 제한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신 - 강성네트망
    강성네트망은 2015년부터 3G WCDMA 서비스를 제공하는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자로, 고위 간부, 외국인, 광명망 사용 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3년부터는 화웨이 장비를 이용해 4G LTE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2025년까지 통신망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1912 또는 1913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선불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과학과 기술 - 만리경 1호
    만리경 1호는 북한이 개발한 군사 정찰 위성으로, 2023년 11월 세 번째 발사에 성공했으며 궤도 상승 기동을 수행하고 지상 통신국과 통신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과학과 기술 - 광명성 3호 2호기
    광명성 3호 2호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12년에 발사한 인공위성으로, 작물 수확량 예측, 기상 데이터 수집 등을 목적으로 했으며, 북한은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으나 국제 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위반으로 규정했다.
  • 2008년 설립된 기업 -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는 2011년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로 설립되어 로엔엔터테인먼트의 투자를 받아 사명을 변경하고 에이핑크, 빅톤 등의 아이돌 그룹을 배출했으나, 2019년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합병하여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
  • 2008년 설립된 기업 - 큐브 엔터테인먼트
    큐브 엔터테인먼트는 2008년 홍승성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로, 포미닛, 비스트, (여자)아이들 등 여러 그룹을 데뷔시켰으며, iHQ에 인수되었다가 현재 VT GMP가 최대 주주이며, 펜타곤, (여자)아이들 등이 소속되어 있다.
고려링크 - [회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회사 이름고려링크
원어Koryolink
한자 표기高麗링크
로마자 표기Goryeoringkeu
영문 표기Koryolink
회사 형태합작 투자
설립2008년
위치평양시
서비스 지역평양 및 14개 추가 도시, 8개 고속도로 및 철도
산업원거리 통신
슬로건인트라넷 홈페이지 광명
북한 휴대폰
북한 휴대폰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전화, GPRS
서비스3세대 WCDMA 이동통신 서비스
재정 정보
매출액1/4분기에 5.8 백만 달러
조직 및 인물
최고 경영자 (CEO)아메드 아부 도마, MD
모기업오라스콤 (75%)
조선우편 & 통신 주식회사 (25%)
웹사이트
웹사이트북한 자체 인트라넷인 광명망에 개설

2. 역사

2008년 1월, 이집트의 통신 회사 오라스콤 텔레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3세대 이동통신(3G) 사업 허가를 받아 조선우정성 산하 조선우정총국(KPTC)과 합작하여 고려링크를 설립했다.[23] 이는 2006년 북한 핵실험 이후 국제 사회의 제재가 가해지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논란이 되기도 했다.[2]

고려링크는 초기에 인구 2백만이 넘는 평양을 중심으로 3G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36], 2008년 12월 15일 5,300명의 가입자로 서비스를 시작했다.[36][3][25] 이후 가입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여 2011년 10월에는 80만 명[37], 2012년 2월에는 100만 명[7], 2013년 5월 말에는 200만 명을 돌파했다.[23] 이를 통해 북한 내 휴대전화 보급이 확산되고 통신 환경이 개선되는 계기가 되었다.[26]

2013년에는 외국인 방문객 및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휴대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도 시작되었다.[23] 그러나 2015년경 가입자 수가 3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수익 해외 송금 제한 조치와 경쟁사인 강성넷(Kangsong NET)의 등장으로[10] 모회사인 오라스콤은 고려링크에 대한 경영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발표했다.[11][12][24]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 속에서도 오라스콤은 2018년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제재 면제를 받아 고려링크 운영을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13][14]

2. 1. 설립 배경

2008년 1월, 이집트의 통신 회사 오라스콤 텔레콤(현 글로벌텔레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3세대 이동통신(3G) 사업 허가를 받았다. 이는 오라스콤 텔레콤의 지주회사인 오라스콤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OTMT)와 조선우정성 산하 조선우정총국(KPTC) 간의 합작 투자로 이루어졌다.[23] 합작 회사의 이름은 '''조선체오기술합작회사'''이며, 지분은 OTMT가 75%, KPTC가 25%를 보유하는 구조였다.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6년 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었기에, 오라스콤의 사업권 획득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2]

조선체오기술합작회사는 2004년 사업이 중단된 노스이스트아시아 텔레폰 앤드 텔레커뮤니케이션즈(NEAT&T)의 시설을 인계받아 운영되다 2010년 중단된 KPTC의 "선넷"을 대체하며[23] 북한 내 유일한 민간 이동통신 사업자가 되었다. 회사의 본사는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 위치한 "국제통신센터"에 마련되었다.[27]

고려링크는 초기에 인구 2백만이 넘는 평양을 중심으로 3세대 이동통신(3G)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향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2008년 12월에 정식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했다.

2. 2. 서비스 개시 및 확장

2008년 1월, 이집트의 통신 회사 오라스콤 텔레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3세대 이동통신(3G) 사업권을 획득했다.[36] 오라스콤은 조선우정성 산하 조선우정총국(KPTC)과 합작하여 체오테크놀로지(Cheo Technology)를 설립하고[23], 초기에는 약 200만 명이 거주하는 평양을 중심으로 3G 망을 구축했으며, 점차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36] 체오테크놀로지사에는 25년간의 사업 운영 면허와 초기 4년간의 사업 독점권이 부여되었다.[23]

2008년 12월 15일[23], 고려링크는 공식적으로 3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당시 가입자 수는 5,300명이었다.[36][3][25] 이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국제 사회의 제재가 가해지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논란이 되기도 했다.[2]

서비스 개시 이후 가입자 수는 빠르게 증가했다.

2011년 기준으로 고려링크 가입자의 99.9%가 3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9]

2013년에는 외국인 방문객과 거주자를 위한 서비스도 확대되었다.

  • 1월 7일: 북한 당국이 외국인의 휴대전화 반입을 허용함에 따라, 평양국제공항에서 외국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선불 SIM 카드 판매를 시작했다.[23]
  • 2월 16일: 김정일의 생일(광명성절)에 맞춰 북한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개시했다.[23]


2015년에는 가입자 수가 300만 명을 넘어섰다.[10] 이처럼 고려링크 사업은 북한 내 휴대전화 보급을 촉진하고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통신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26] 그러나 사업 확장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오라스콤의 수익 해외 송금을 제한하고 경쟁사인 강성넷(Kangsong NET)을 설립하는 등[10]의 조치를 취하면서 오라스콤은 점차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11][12][24]

2. 3. 오라스콤의 통제력 상실

2015년, 고려링크의 가입자 수는 300만 명을 넘어서며 외형적으로 성장하고 수익성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이집트의 모회사인 오라스콤 텔레콤 측에 북한 내에서 발생한 수익의 국외 이전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더 나아가 고려링크와 경쟁할 목적으로 제2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강성넷을 설립했다.[10] 이러한 북한 당국의 정책 변화와 경쟁 환경 조성으로 인해, 오라스콤은 결국 2015년 재무 결과 보고서를 통해 고려링크 운영에 대한 통제력을 사실상 상실했다고 발표했다.[11][12][24]

2. 4. 국제 제재와 면제

고려링크는 출범 초기부터 북한이 2006년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 국제 제재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2]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 후, 오라스콤은 북한 내 고려링크 사업을 합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2375호에 따른 면제를 2018년 1월 9일까지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14] 오라스콤은 이러한 노력 끝에 2018년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제재 면제를 받아 북한 내 고려링크 운영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13]

3. 서비스

고려링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서 음성 통화를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다.[23] 서비스는 북한 주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구분되며, 사용하는 회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에 차이가 있다.[30]

북한 주민들은 주로 국내 통화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며, 2011년 1분기부터는 광명망을 기반으로 한 WAP 서비스를 포함한 3G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38] 2017년에는 김정은의 재가 하에 광명망 기반의 3G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도 추가로 개시되었다.[40]

외국인에게는 국제전화가 가능한 별도의 회선이 제공된다.[30] 2013년 2월, 외국인 대상 3G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나[15], 약 한 달 만인 같은 해 3월 말 일반 외국인 대상으로는 중단되었다. 다만 외교관 등 특정 장기 체류자에게는 계속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6]

기술적으로는 2.1GHz 대역의 W-CDMA 방식을 사용하며[30], 요금은 선불식으로 지불한다. SIM 카드는 주로 miniSIM(2FF) 규격이 사용되며[28], 허가된 단말기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IMEI 화이트리스트 제도를 운영한다.[31][32] 서비스 지역은 평양직할시와 5개의 주요 시, 8개의 간선도로 및 철도 노선을 포함하며, 평양에서의 인구 커버율은 90%에 달한다.[32][30] 사용되는 전화번호는 0192로 시작한다.

3. 1. 기술 방식

2014년 기준으로 2.1GHz 대역(Band I)의 W-CDMA 방식을 사용했다.[30] 요금은 선불식(전불) 방식이며, 서비스는 주로 음성 통화를 중심으로 제공된다. 가입 대상(내국인, 외국인 등)에 따라 서비스 내용은 다르다.

SIM 카드는 miniSIM(2FF) 규격을 사용하지만[28], 판매점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를 물리적으로 잘라 3FF(마이크로심)나 4FF(나노심) 규격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기도 한다[28]. SIM 카드는 판매 및 고객 서비스 센터 외에 북한 내 전화국이나 우체국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31]

단말기 관리를 위해 국제 이동 장비 식별 번호(IMEI) 화이트리스트 제도를 운영한다.[31][32] 이는 사전에 등록되고 허가된 단말기만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외국인용과 북한 주민용 회선은 분리되어 있으며, PLMN 번호도 각각 467-05(외국인용)와 467-06(주민용)으로 다르다.[30] 외국인용 회선은 국제전화만 가능하고, 주민용 회선은 북한 내 통화만 가능하며 서로 간의 통화는 불가능하다. 서비스 가능 지역도 차이가 있다.[30]

전화번호는 0192로 시작하는 번호 체계를 사용한다.

3. 2. 서비스 대상

고려링크의 서비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두 그룹은 사용하는 회선(PLMN 번호: 주민용 467-06, 외국인용 467-05)이 다르며, 상호 통화가 불가능하고 서비스 지역에도 차이가 있다.[30] 기본적으로 음성 통화가 중심 서비스이며, 선불식으로 요금을 지불한다.[30] SIM 카드는 miniSIM(2FF) 규격이지만,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다른 규격의 기기에서도 사용한다.[28] SIM 카드는 판매·고객 서비스 센터 외에 전화국이나 우체국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31] IMEI 화이트리스트 제도를 통해 허가된 단말기만 사용 가능하다.[31][32] 전화번호는 0192로 시작한다.
북한 주민 대상 서비스북한 주민들은 주로 국내 통화용으로 고려링크를 이용한다.[30] 2011년 1분기부터 광명망을 기반으로 하는 WAP 서비스를 포함한 3G 데이터 서비스가 개통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이를 신청하고 관련 데이터 요금제를 이용하기 시작했다.[38] 2017년에는 김정은의 재가 하에 광명망 기반의 3G 모바일 인트라넷 서비스가 허용되어 북한 주민들도 모바일 환경에서 인트라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NK News가 단독 보도했다.[40]
외국인 대상 서비스외국인은 국제전화가 가능한 별도의 회선을 이용한다.[30] 방문 외국인이 SIM 카드를 구입하려면 여권 제시가 필요하다.[32] 요금은 외화(위안화, 유로, 미국 달러)나 북한의 전자화폐 "나래"로 지불할 수 있다.[32] 2014년경까지는 7일 이용권(30EUR) 등 다양한 요금제가 있었으나,[31][32] 이후 단기 체류 외국인의 구매율 저조 등을 이유로 요금제가 단순화되어, 1개월 이용 요금은 8,400 (약 70EUR) 수준이다.[32] 2019년 기준으로 공항에서는 200USD에 SIM 카드가 판매되기도 했다.[33] 국제전화 요금은 국가별로 다르며, 1분당 프랑스는 0.38EUR, 러시아는 0.68EUR, 중국 본토는 1.43EUR이다.[31]

외국인은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다. 2013년 2월 26일부터 외국인 대상 3G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초기 설정 비용은 75EUR(약 100USD)이었고, 월 유지비는 10EUR(약 13.1달러)이었다. 데이터 요금은 10GB에 4000EUR(약 5320USD), 5GB에 2500EUR(약 3330USD), 2GB에 150EUR(약 200USD)로 책정되었다.[15] 그러나 일반 외국인 대상 서비스는 약 한 달 만인 2013년 3월 29일에 중단되었다. 다만 외교관 등 특정 장기 체류자에게는 계속 제공되었다.[16] 외국인용 인터넷으로는 구글, 유튜브, 트위터 등 국제적인 웹사이트 접속이 가능하며, 라인, 위챗, 왓츠앱, 텔레그램 등 메신저 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관련 사이트(청와대, 연합뉴스 등)나 카카오톡과 같이 남측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는 접속이 차단되어 있다.

3. 3. 요금제 및 SIM 카드

고려링크는 선불식(전불)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로 음성 통화가 중심이다.[30] 서비스 내용은 북한 주민과 외국인에 따라 다르다.

=== SIM 카드 ===

SIM 카드는 miniSIM(2FF) 규격이다.[28] 다만, 판매점에서 물리적으로 카드를 잘라 마이크로SIM(3FF)이나 나노SIM(4FF) 규격의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해주기도 한다.[28] SIM 카드는 판매·고객 서비스 센터 외에 북한 내 전화국이나 우체국에서도 판매한다.[31] 과거에는 평양순안국제공항에서도 외국인 대상으로 판매했으나(2013년 1월 7일 ~ 2015년 6월 30일), 현재는 중단되었다.[23][32]

고려링크는 국제 이동 장비 식별 번호(IMEI) 화이트리스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31][32] 외국인용과 북한 주민용 회선은 분리되어 있으며, PLMN 번호도 각각 467-05(국제전화용)와 467-06(국내전화용)으로 다르다. 이 두 회선 간의 상호 통화는 불가능하다.[30] 외국인이 SIM 카드를 구매하려면 여권 제시가 필요하다.[32]

=== 외국인 대상 요금제 ===

외국인 대상 요금제는 시기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 '''2013년 초기 인터넷 서비스:''' 2013년 2월, 외국인을 대상으로 3G 인터넷 서비스를 잠시 제공했다. 초기 설정 비용은 75EUR였고, 매달 10EUR의 유지 비용이 필요했다. 데이터 요금은 10GB에 4000EUR, 5GB에 2500EUR, 2GB에 150EUR로 매우 비쌌다.[15] 이 서비스는 약 한 달 만인 2013년 3월 29일에 중단되었고, 이후 외교관 등 특정 장기 체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6]
  • '''2014년경 단기 요금제:''' 2014년경까지는 외국인 방문객을 위해 7일 이용권(30EUR)을 포함한 다양한 단기 요금제가 있었다.[31][32] 하지만 고려링크 측은 단기 체류 외국인들의 SIM 카드 구매율이 낮다는 이유로 저렴한 요금제를 폐지하고 공항 판매점 운영도 중단했다고 밝혔다.[32]
  • '''일반 요금 및 2019년 정보:''' 특정 시점 기준으로 외국인을 위한 1개월 요금은 8,400(약 70EUR) 수준이다.[32] 2019년 기준으로는 공항에서 SIM 카드가 200USD에 판매된다는 정보도 있다.[33]


요금은 위안화, 유로, 미국 달러 등 외화나 북한의 전자화폐인 나래로 지불할 수 있다.[32] 국제전화 요금은 1분당 프랑스 0.38EUR, 러시아 0.68EUR, 중국 본토 1.43EUR 등이다.[31]

=== 외국인 인터넷 접속 ===

외국인용 SIM 카드를 이용하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중국 본토와 달리 구글, 유튜브, 트위터 등 해외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31] 라인, 위챗, 왓츠앱, 텔레그램 같은 메신저 앱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기관 웹사이트(청와대, 연합뉴스 등) 접속은 차단되어 있으며,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카카오톡 역시 이용할 수 없다.

3. 4. 전화번호

전화번호는 0192로 시작한다.

3. 5. 접속 제한

외국인 사용자는 고려링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중국 본토와 달리 구글, 유튜브, 트위터 등 해외 주요 웹사이트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현지 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라인, 위챗, 왓츠앱, 텔레그램과 같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사용도 가능하다.[31]

그러나 일부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은 제한된다. 어느 단계에서 차단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한민국 정부 기관 관련 사이트(예: 청와대, 연합뉴스)에는 접속할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국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메신저인 카카오톡 역시 사용이 불가능하다.[31]

4. 단말기

고려링크에서 유통되는 휴대전화 단말기는 주로 중국 제조사의 피처폰이지만[35], '아리랑'과 같은 스마트폰이나 '평양', '류경' 등의 브랜드명을 가진 모델도 판매된다.[34][35] 이러한 단말기는 조선우정총국(KPTC)을 거쳐 체오테크놀로지를 통해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대부분의 단말기는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나 무선랜, GPS 같은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35]

4. 1. 제조사 및 모델

고려링크에서 판매되는 단말기는 중국 제조사의 피처폰이 많다. ZTE 제품이 가장 많으며[35], 그 외에 화웨이(Huawei), TCL, 유니스코프 커뮤니케이션(Uniscope Communication), 고라이브(GO Live) 등의 제품이 있다.[34][35] 화웨이는 데이터 통신 전용 단말기인 ‘HUAWEI E303s’를, 유니스코프 커뮤니케이션은 스마트폰인 ‘아리랑 AS1201’을 출시하기도 했다.[34][35]

단말기는 대부분 모델 번호만 있지만, ‘아리랑’ 외에 ‘평양(平壌)’, ‘류경(柳京)’과 같은 브랜드명을 가진 기종도 있다.[35] 북한 내에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제한되어 있어, 주민들은 음성 통화 외에 단말기의 카메라, 게임, 학습 애플리케이션 등을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또한, 대부분의 단말기는 무선랜(Wi-Fi)이나 GPS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35]

단말기는 조선우정총국(KPTC)에 먼저 납품된 후, 체오테크놀로지를 통해 판매되는 구조로 알려져 있다.[34][35]

주요 판매 모델은 다음과 같다.

제조사모델명비고
ZTEE850
F106
F107
F109
F160
F600
F952
F955
N281
T2
T3
T7
T95
T158
T201
V716
V720
V810
V880스마트폰
화웨이E303s데이터 통신 전용
S660
U121
U3200
U5900
U7200
유니스코프 커뮤니케이션AS1201스마트폰 ("아리랑")
고라이브GO Live 2


4. 2. 기능 제한

고려링크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단말기는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제한된다.[34][35] 이 때문에 북한 주민들은 음성 통화 외에 단말기의 카메라, 게임, 학습 등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또한, 무선랜(Wi-Fi)이나 GPS 기능 역시 지원되지 않는다.[35]

5. 논란 및 문제점

이집트의 통신 기업 오라스콤 텔레콤과 조선우정총국의 합작으로 설립된 고려링크는 북한 내 이동통신 보급에 기여했으나, 운영상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 2015년 재무보고에서 대주주인 오라스콤 측은 고려링크에 대한 실질적인 경영 영향력을 상실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24] 이는 북한 당국의 통제 강화, 대북 제재로 인한 수익 송금의 어려움, 경쟁 심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외국인 투자 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5. 1. 북한 당국의 통제

오라콤에 따르면, 북한 정부는 적어도 2009년부터 모든 네트워크 활동을 감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17][18] 고려링크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북한 내 통화만 허용된다. 하지만 중국과의 국경 근처에서는 밀반입된 휴대전화를 이용해 국제전화를 거는 경우가 있었다.[19]

2012년 2월, 북한 당국은 김정일 애도 기간 동안 인터넷 사용을 금지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20] 2014년 9월, 고려링크는 북한 주민이 관광객에게만 허용된 국제전화 및 인터넷 접속을 이용할 수 있었던 허점을 차단했다.[21] 이는 통제를 강화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2016년, 오라콤은 북한에 대한 국제 제재로 인해 고려링크 사업으로 발생한 이익을 이집트로 송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으며, 문제 해결을 모색 중이라고 언급했다.[22] 북한의 국영 통신사인 '별'과의 합병이 논의되었으나, 합병 시 오라콤이 합작회사의 경영권을 잃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사실상 오라콤이 고려링크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22][24]

5. 2. 수익 송환 문제

2015년 재무보고에 따르면 오라스콤은 고려링크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24] 2016년, 오라스콤은 북한에 대한 국제 제재로 인해 고려링크 운영으로 발생한 이익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 문제 해결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22] 북한의 국영 통신사인 '별'과의 합병 방안도 논의되었으나, 합병 시 오라스콤이 합병 법인에 대한 통제권을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사실상 오라스콤은 고려링크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한 상태라고 언급되었다.[22]

5. 3. 경쟁 심화

고려링크를 운영하는 합작회사 체오테크놀로지는 2008년 12월 서비스 개시 당시 4년간의 사업 독점권을 부여받았으며, 이후 3년 연장을 추가로 획득했다.[23] 이는 2015년경 독점 기간이 만료되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2015년 재무보고에서 고려링크의 이집트 측 대주주인 오라스콤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OTMT, 구 오라스콤 텔레콤)는 고려링크에 대한 경영권을 실질적으로 상실했다고 밝혔다.[24] 2016년에는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인해 북한에서 발생한 이익금을 이집트 본사로 송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인정하며 문제 해결을 모색 중이라고 발표했다.[22]

이 과정에서 북한 국영 통신사인 '별'과의 합병이 논의되기도 했으나, 합병 후 설립될 기업에 대해 OTMT가 경영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는 OTMT가 이미 고려링크에 대한 통제권을 사실상 포기한 상태임을 시사하는 것이었다.[22] 이러한 외국인 투자 기업의 경영권 약화와 독점권 만료는 고려링크 외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가 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6. 남북 관계에 대한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지침에 따라 검토 및 수정하여 최종 결과물을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Kim Jong Un's Hauptstadt http://blog.br.de/no[...] 2014-04-12
[2] 웹사이트 How a telecom investment in North Korea went horribly wrong https://www.pcworld.[...] 2019-03-02
[3] 웹사이트 Orascom reports DPRK profits http://www.nkeconwat[...] 2017-04-26
[4] 웹사이트 North Korean 3G customers double in Q2 https://www.northkor[...] 2019-03-02
[5] 간행물 Orascom Telecom Holding First Quarter 2011 Results http://www.orascomte[...] 2011-05-20
[6] 간행물 Orascom Telecom Holding Third Quarter 2011 Results http://www.orascomte[...] 2012-04-28
[7] 뉴스 Orascom Telecom Media Shares Jump After North Korea Announcement http://www.businessw[...] 2012-10-15
[8] 뉴스 North Korea embraces 3G service https://www.bbc.co.u[...] BBC 2013-05-18
[9] 웹사이트 North Korea tops 3G ranking https://www.northkor[...] 2019-03-02
[10] 웹사이트 North Korea’s silent hard currency source: That cellphone business with Orascom https://foreignpolic[...] 2017-04-27
[11] 웹사이트 How a telecom investment in North Korea went horribly wrong https://www.networkw[...] Network World 2016-03-13
[12] 뉴스 The limits of North Korea’s meager economic growth https://www.nknews.o[...] NK News 2017-02-06
[13] 웹사이트 UPDATE 1-Orascom's Koryolink JV granted right to operate in North Korea https://www.reuters.[...] 2019-03-02
[14] 웹사이트 Koryolink cellphone service will continue operations in North Korea: Orascom https://www.nknews.o[...] 2019-03-02
[15] 뉴스 Daily NK - Koryolink Mobile Internet Launched http://www.dailynk.c[...] 2013-04-06
[16] 뉴스 Daily NK - Tourist Internet Cut after a Month http://www.dailynk.c[...] 2013-04-06
[17] 웹사이트 Report: Cell phone rentals to visitors suspended https://www.northkor[...] 2019-03-02
[18] 웹사이트 North Korea's Koryolink: Built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19-08-06
[19] 뉴스 Bureau 121: How good are Kim Jong-un's elite hackers? https://www.bbc.co.u[...] 2017-04-27
[20] 웹사이트 North Korea cell phone ban report incorrect, says Orascom https://www.northkor[...] 2019-03-02
[21] 웹사이트 Koryolink moves to plug censorship loophole https://www.northkor[...] 2019-03-02
[22] 웹사이트 Koryolink no longer under Orascom’s control https://www.developi[...] 2020-11-18
[23] 웹사이트 唯一の移動体通信サービス「koryolink」が3Gサービスを提供、過去には2Gサービスも【レポート】 http://s-max.jp/arch[...] 2016-02-09
[24] 뉴스 北朝鮮ハッカー、国内進出の外国企業も標的に-オラスコムPCに侵入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8-03-10
[25] 웹사이트 http://www.nkeconwat[...]
[26] 뉴스 「英雄携帯電話」 https://megalodon.jp[...] 朝鮮新報 2010-02-08
[27] 기타
[28] 웹사이트 外国人の携帯電話持ち込み解禁と同時にプリペイドSIMの販売を開始【レポート】 http://s-max.jp/arch[...] 2016-02-09
[29] 웹사이트 北朝鮮に初めてiPhoneを持ち込んで国際電話をかけた日本人 http://www.funkyblog[...] 2016-02-09
[30] 웹사이트 ネットワーク https://wirelesswire[...] 2016-02-09
[31] 웹사이트 koryolinkのSIMカードと北朝鮮スマホ「Arirang AS1201」を購入してきた【レポート】 http://s-max.jp/arch[...] 2016-02-09
[32] 웹사이트 koryolinkのプリペイドSIMは 約1万円に https://wirelesswire[...] 2016-02-09
[33] 뉴스 実は中国より“自由”だった 北朝鮮に行ってみて初めて分かった最新ネット事情 https://www.fnn.jp/a[...] フジ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2019-12-15
[34] 웹사이트 koryolinkは多種多様な携帯電話を販売【レポート】 http://s-max.jp/arch[...] 2016-02-09
[35] 웹사이트 携帯電話事情(2) – 端末ラインナップ https://wirelesswire[...] 2016-02-09
[36] 웹사이트 North Korean Economy Watch » Orascom Telecom Holding http://www.nkeconwat[...]
[3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telecomas[...] 2012-07-01
[38] 웹인용 Koryolink sees another record quarter https://www.northkor[...] 2019-11-29
[39] 웹인용 모바일 인터넷 시대 연 북한 http://news.khan.co.[...] 2019-11-29
[40] 웹인용 Photos reveal North Korea's new portable intranet devices https://www.nknews.o[...] 2019-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