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물통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물통이속(Parietaria)은 쐐기풀과에 속하는 속으로, 2013년 11월 기준으로 더 플랜트 리스트에서 10종을 인정하고 있다. 몇몇 종은 잡초로 여겨지며, 특정 종은 다른 지역으로 귀화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쐐기풀과 - 쐐기풀속
쐐기풀속은 쐐기풀과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50여 종이 분포하는 속씨식물 속으로, 쏘는 털이 있는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식용, 약용, 섬유용 등으로 활용된다. - 쐐기풀과 - 서양쐐기풀
서양쐐기풀은 자극성 털이 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식용, 의학, 섬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개물통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물통이속 (Parietaria) | |
![]() | |
| 분류 정보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목 | 장미군 |
| 목 | 장미목 |
| 과 | 쐐기풀과 |
| 속 | 개물통이속 (Parietaria) |
| 속 명명 | L. |
| 종 수 | 20~30종 (본문 참조) |
| 학술 분류 | |
| 학명 | Parietaria L. |
| 명명자 | L. |
2. 종 목록
더 플랜트 리스트에 따르면, 2013년 11월 기준으로 개물통이속에는 10종이 인정되었다.[7] 그 외에 다른 종들은 다른 속으로 옮겨지거나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다.[7] 몇몇 종들은 잡초일 수 있으며, 지중해 종인 개물통이(''P. judaica'')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아메리카 종인 ''P. pensylvanica''는 유럽에서 널리 귀화되었다.[1][3]
현존하는 종과 기타 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현존하는 종
더 플랜트 리스트(The Plant List)에서 2013년 11월 기준으로 인정한 개물통이속 식물은 다음과 같다.[7]| 학명 | 한국어 명칭 | 비고 |
|---|---|---|
| Parietaria cretica | 개물통이 | |
| Parietaria debilis | 애기개물통이 | Parietaria micrantha와 동의어 |
| Parietaria floridana | ||
| Parietaria judaica | 개물통이 | Parietaria diffusa와 동의어 |
| Parietaria lusitanica | ||
| Parietaria macrophylla | ||
| Parietaria mauritanica | ||
| Parietaria officinalis | 개물통이 | |
| Parietaria pensylvanica | ||
| Parietaria praetermissa |
2. 2. 기타 종
더 플랜트 리스트에서 미해결 상태로 간주되거나 다른 속으로 재분류된 종은 다음과 같다.[7]- ''Parietaria australis'' (Nees) Blume
- ''Parietaria cardiostegia'' Greuter
- ''Parietaria filamentosa'' Webb & Berthel.
- ''Parietaria hespera'' B.D.Hinton
- ''Parietaria laxiflora'' Engl.
- ''Parietaria ruwenzoriensis'' Cortesi
- ''Parietaria alsinifolia'' Delile = ''Freirea alsinaefolia'' (Delile) Gaudich.
3. 생태 및 분포
몇몇 종들은 잡초일 수 있다. 지중해 종인 개물통이(`P. judaica`)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널리 귀화되었으며, 반대로 아메리카 종인 `P. pensylvanica`는 유럽에서 귀화되었다.[1][3]
참조
[1]
간행물
Parietaria
http://rbg-web2.rbge[...]
Flora Europaea
[2]
간행물
Parietaria
http://www.ville-ge.[...]
African Flowering Plants Database
[3]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Flora of North America
[4]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Flora of China
[5]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Flora of Pakistan
[6]
간행물
Parietaria
http://www.anbg.gov.[...]
Australian Plant Name Index
[7]
Citation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13-11-02
[8]
간행물
Parietaria
http://rbg-web2.rbge[...]
유럽 식물지
[9]
간행물
Parietaria
http://www.ville-ge.[...]
아프리카 속씨식물 정보
[10]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북아메리카 식물지
[11]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중국 식물지
[12]
간행물
Parietaria
http://www.efloras.o[...]
파키스탄 식물지
[13]
간행물
Parietaria
http://www.anbg.gov.[...]
오스트레일리아 식물 이름 색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