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잡초는 인간이 교란한 환경에서 빠르게 번식하는 식물을 의미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거나 미관을 해치는 존재로 인식된다. 역사적으로는 농업의 시작과 함께 존재해 왔으며, 성경에도 언급될 정도로 오래된 개념이다. 잡초는 경작지, 비경작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자생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잡초는 생태적으로 적응력이 뛰어나며, 빠른 번식력과 다양한 환경 적응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농업 생산량 감소, 생태계 교란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거나 유익한 곤충을 유인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잡초 방제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제초제 저항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잡초는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보여주며, 작물 육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과 식물 - 식물 맹시
식물 맹시는 인간이 식물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과소평가하는 현상이며, 이는 인간의 본성과 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식물 보전 노력 및 교육의 부족을 초래하여 인식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잡초 | |
---|---|
정의 | |
의미 | 특정 장소나 상황에서 원치 않는 식물 |
특징 | |
번식력 | 번식력이 강함 |
생명력 | 생명력이 강함 |
적응력 | 환경 적응력이 뛰어남 |
관리 | |
제거 방법 | 손으로 뽑기 제초제 사용 멀칭 윤작 |
기타 | |
관련 용어 | 잡초 방제 귀화 식물 생태계 교란 식물 |
주의사항 | 잡초의 정의는 주관적일 수 있음 |
2. 역사
잡초는 인간이 환경을 교란하면서 빠르게 진화하는 식물로, 약 12,000년 전 신석기 혁명과 함께 진화한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졌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23,000년 전 오할로 II 유적지에서 "원시 잡초"의 증거가 발견되면서, 잡초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3]
잡초는 꽃, 화서, 열매, 잎, 줄기, 뿌리 등의 형태적 특성을 통해 식별한다. 잡초 검색표를 이용하면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지만, 분류 용어에 익숙해야 하고 형태를 자세히 관찰해야 하므로 어려움이 따른다. 이럴 때는 보통 잡초도감을 이용하여 잡초의 과를 먼저 찾은 후, 사진과 설명을 참고하여 확인한다.
"잡초"라는 개념은 역사적으로 보편적이지 않았다. 1200년 이전에는 잡초 방제에 대한 우려나 농업 관행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다. 이는 여성과 아이들의 값싼 노동력으로 잡초를 제거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4] 잡초는 농업 시작 이후부터 "피할 수 없는 골칫거리"로 여겨졌다.[15]
성경에는 "잡초"로 해석될 수 있는 식물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8]
일부 초기 로마 작가들은 농경지에서 잡초 제거를 언급했지만, 근대 이전 시대의 잡초 방제는 쟁기질의 부수적인 효과였을 것이다.[17]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수메르에서는 "잡초"라는 특정 단어가 없었고, 모든 식물이 어떤 용도로든 사용된다고 생각했다. 영어 단어 "weed"는 대청을 가리키는 고대 영어 ''weod''에서 유래되었다.[18]
16세기에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잡초"를 "유해한" 식물로 은유적으로 언급했다.[18] 소네트 69번에서 셰익스피어는 잡초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이 시기 런던에서는 가난한 여성들이 낮은 임금을 받고 잡초를 제거했다.[20]
종교개혁 이후, 기독교 신학은 자연을 지배하고 복종시키는 인간의 역할을 강조했다. 유럽 작가들은 특정 식물을 "해충"으로 지정했지만, 많은 식물이 정원사, 약제사 등에 의해 가치를 인정받았다.[18] 17세기 초, 잡초 방제를 의무화하는 법률이 등장했다. 1691년 뉴욕에서는 "유독하고 악취가 나는 잡초"를 제거하도록 요구하는 법이 통과되었다.[21]
19세기에는 유럽 도시에서 잡초 방제를 위해 수작업과 화학적 방법이 사용되었다. 1831년 프랑스 저널에는 석회, 유황, 물을 섞은 혼합물이 제초제로 효과적이라는 기록이 있다.[20]
19세기 후반 미국 도시에서는 잡초와 도덕적 퇴보를 연결 짓는 인식이 지속되었다. 도시 확장과 개발은 잡초에게 이상적인 서식지를 제공했다.[21] 개혁가들은 잡초를 도시 문제의 일부로 보았고, "부랑자"와 범죄자들의 피난처로 간주했다. 세인트루이스 포스트-디스패치는 디프테리아, 성홍열, 장티푸스의 원인으로 잡초를 지목했다.[21] 1905년부터 1910년까지 세인트루이스에서는 잡초가 장티푸스와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주요 공중 보건 위험으로 간주되어 잡초 방제 법률이 채택되었다.[21]
3. 정의 및 분류
잡초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식물분류학적, 형태학적 분류에 따라 벼과, 광엽, 방동사니과 잡초로 구분되며, 생활형에 따라 일년생, 월년생, 다년생 잡초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벼과 일년생·다년생 잡초, 광엽 일년생·다년생 잡초, 방동사니과 일년생·다년생 잡초 등으로 분류하거나, 반대로 일년생 벼과, 광엽, 방동사니과 잡초 또는 다년생 벼과, 광엽, 방동사니과 잡초로 구분한다.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는 식물 분류의 기본 단위인 종이 대체로 같은 유전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을 포괄한다고 정의했다. 종은 학명으로 표시할 때 린네가 제창한 이명법을 따르며, 속명, 종소명, 명명자를 함께 쓴다. 예를 들어 밭두렁, 인가, 유휴지에 자라는 닭의장풀 학명은 ''Commelina communis'' L.이다. 속명은 ''Commelina'', 종소명은 ''communis'', 명명자는 Linne (L.로 표기)이다. 국제적으로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불가능할 경우 밑줄), 속명은 대문자, 종소명은 소문자로 쓴다.
다음은 종종 잡초로 여겨지는 식물들의 목록이다.
잡초는 특정 분류군을 지칭하지 않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교란된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 공통적인 생태적 특성을 공유한다. 양치식물 중 잡초는 드물고, 겉씨식물은 없으며, 속씨식물 중에서는 벼과·국화과가 많고 귀화식물도 많다.[78]
자생지에 따라 경작지 잡초와 비경작지 잡초로 나뉜다. 경작지 잡초는 논, 밭, 과수원, 정원, 잔디밭 등 특정 식물 육성을 목표로 하는 장소에 침입하여 자라는 식물이고, 비경작지 잡초는 운동장, 주차장, 도로 주변 등 식물 육성을 목표로 하지 않는 장소에 자라는 식물이다. 논에는 벼 성장 동안 제거되지만, 수확 후 다음 봄까지 방치되는 논 잡초라는 특수한 식물군이 존재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바다 잡초'(Seaweeds)로 통칭하지만, 일본에서는 식용이므로 잡초라고 부르지 않는다.
3. 1. 정의
잡초는 일반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79][80]
이 중 농학적 관점만을 잡초로 간주하는 견해도 있다.
잡초는 선구종 및 루데랄 종과 밀접하게 연관된다.[22] 선구종은 기존 식물 및 토양 군집이 교란되거나 손상된 환경에 적응하며, 이는 작물, 목초지, 관상용 식물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서식지 특성과 교란은 어떤 잡초 군집이 우세할지 결정한다.[23] 잡초 생태학에서는 식물(plant), 장소(place), 인식(perception)의 관계를 "세 개의 P"라고 하며, H.G. 베이커가 제시한 잡초 특성이 널리 인용된다.[24][25]
사구,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 충적 범람원, 강둑, 삼각주, 반복적으로 불타는 지역 등에 적응한 식물이 루데랄 종 또는 선구종의 예이다.[26] 인간의 농업 및 원예는 이러한 자연적 교란을 모방하므로, 일부 잡초는 농업, 잔디밭, 정원, 길가, 건설 현장 등에서 성장하고 번식하도록 미리 적응되었다. 농업 관행이 발전하면서 잡초도 진화하며, 인간은 서식지 조작과 잡초 제어를 통해 잡초에 진화 압력을 가한다.[10]
다른 식물이 살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생존하고 번성하는 능력 때문에 잡초는 극호성 생물로 간주되기도 한다.[27]
잡초는 특정 분류군을 지칭하지 않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교란된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 공통적인 생태적 특성을 공유한다.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지만 끈질긴 존재라는 점에서 비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77]
잡초는 다양한 식물군으로 구성되지만, 양치식물 중 잡초로 간주되는 것은 드물고, 겉씨식물은 없다. 속씨식물 중에서는 벼과와 국화과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들은 진화가 진전된 그룹으로 여겨진다. 귀화식물도 많은데,[78] 이는 사람의 생활 범위에 밀착된 식물이기에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재배식물에는 그에 대응하는 잡초가 존재하기도 한다.
잡초가 번성하면 모기, 파리 등 곤충, 거미 등 절지동물, 쥐 등 소형 포유류, 소형 새와 같은 소동물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된다. 그러나 잡초는 인간 활동에 해충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본어에서는 멸시를 담은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물 이름을 붙인 카라스우리, 까마귀 콩, 뱀딸기, 개갓냉이, 참새피, 혐오감을 나타내는 독말풀 등이 있다. 하키다메기쿠(쓰레기 더미 국화), 헤크소카즈라(똥덩굴)처럼 불쾌한 이름이 붙여진 종도 있는데, 이는 유용하지 않거나 하찮은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잡초는 약 12,000년 전 신석기 혁명과 함께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스라엘의 23,000년 전 오할로 II 유적지에서 "원시 잡초"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3]
"잡초"를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로 보는 관점은 역사적으로 보편적이지 않았다. 1200년 이전에는 잡초 방제에 대한 우려나 잡초 방제 목적의 농업 관행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는데, 이는 여성과 아이들의 값싼 노동력으로 잡초를 통제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4] 잡초는 농업 시작부터 존재했으며 "피할 수 없는 골칫거리"로 여겨졌다.[15]
현대적 의미의 "잡초"를 나타내는 용어는 아니지만, 성경에는 "잡초"로 해석될 수 있는 식물이 언급되어 있다:[8]
너 때문에 땅은 저주를 받았다. 너는 평생토록 괴로운 노동으로 땅의 소산을 먹고살 것이다. 땅은 너에게 가시와 엉겅퀴를 내고, 너는 들에서 나는 풀을 먹을 것이다. 너는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얻고, 마침내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한국어
초기 로마 작가들은 농경지 잡초 제거를 언급했지만, 근대 이전 잡초 방제는 쟁기질의 부수적 효과였을 것이다.[17] 고대 이집트인, 아시리아인, 수메르인은 "잡초"라는 단어가 없었고, 모든 식물이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영어 단어 "weed"는 대청(woad)을 가리키는 고대 영어 ''weod''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 중세 유럽 본초학에서는 각 식물이 고유한 "효능"을 가진다고 여겼다.[18]
16세기까지 "잡초"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품에서 "유해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유형으로 은유적으로 언급되었다.[18]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69번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네 아름다운 꽃에 잡초의 악취가 더해졌네: / 하지만 왜 네 향기가 네 모습과 맞지 않느냐 하면, / 토양이 이러하니, 너는 흔하게 자라네.한국어
당시 런던에서는 가난한 여성들이 정원과 뜰의 잡초를 제거하고 낮은 임금을 받았다.[20]
종교개혁 이후, 인간의 타락 이후 자연의 퇴보와 자연 지배를 강조하는 기독교 신학이 발전했다. 유럽 작가들은 특정 식물을 "해충", "오물"로 지정했지만, 많은 식물이 정원사, 본초학자, 약제사에게 가치를 인정받았고, 어떤 식물도 목적이나 가치가 없을 수 없다는 의문이 제기되었다.[18] 17세기 초부터 잡초 방제 의무화 법률이 등장했으며, 1691년 뉴욕에서는 "유독하고 악취가 나는 잡초" 제거를 요구하는 법이 통과되었다.[21]
19세기 유럽 도시에서는 수작업으로 잡초를 방제했고, 화학적 잡초 방제 방법도 등장했다. 1831년 프랑스 저널에는 석회, 유황, 물 혼합물이 조약돌 사이 잡초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기록이 있다.[20]
19세기 후반 미국 도시에서는 잡초와 도덕적 퇴보를 연결 짓는 인식이 지속되었다. 도시 확장과 개발은 잡초에게 이상적인 서식지를 제공했고,[21] 개혁가들은 잡초를 오물, 질병, 도덕적 부패 문제의 일부로 보았으며, "부랑자" 등의 피난처로 간주했다. 세인트루이스 포스트-디스패치는 디프테리아, 성홍열, 장티푸스의 원인으로 잡초를 지목했다.[21] 1905년부터 1910년까지 세인트루이스에서는 잡초가 장티푸스와 말라리아를 유발하는 주요 공중 보건 위험으로 간주되어 잡초 방제 법률 채택의 법적 선례가 마련되었다.[21]
3. 2. 분류
잡초는 꽃, 화서, 열매, 잎, 줄기, 뿌리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식별한다. 잡초 검색표를 이용하면 정확하지만, 분류 용어에 익숙해야 하고 형태를 자세히 관찰해야 하므로 어려운 점이 많다. 이럴 때는 보통 잡초도감을 이용하여 잡초의 과를 먼저 알아낸 후 사진과 본문 내용을 바탕으로 확인한다.
잡초는 종류가 많고 다양하기 때문에 식물분류학적 분류, 형태학적 분류에 따라 벼과잡초, 광엽잡초 및 방동사니과 잡초로 구분하며, 생활형에 따라 일년생잡초, 월년생잡초 그리고 다년생잡초로 나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잡초를 부를 때는 벼과 일년생잡초·다년생잡초, 광엽 일년생잡초·다년생잡초, 방동사니과 일년생잡초·다년생잡초 등으로 분류하거나, 반대로 일년생 벼과잡초, 광엽잡초, 방동사니과 잡초 또는 다년생 벼과잡초, 광엽잡초, 방동사니과 잡초로 구분한다.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에 따르면, 식물을 분류할 때 기본 단위인 종은 대체로 같은 유전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을 포괄한다. 종은 학명으로 표시할 때 린네가 제창한 이명법을 사용하며, 속명, 종소명 및 명명자의 이름을 함께 쓴다. 예를 들어 밭두렁이나 인가 또는 유휴지에 발생하는 닭의장풀의 학명은 ''Commelina communis'' L.이다. 여기서 속명은 ''Commelina'', 종소명은 ''communis'', 명명자는 Linne (Linne는 이명법의 제창자로 단지 L.로 표기)이다. 국제적으로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이탤릭체로 표기할 수 없을 때는 밑줄을 긋고), 속명은 대문자로, 종소명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다음은 종종 잡초로 여겨지는 식물들의 목록이다.
는 잔디밭에서 잡초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사료, 꿀, 토양 질소의 공급원으로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다.[52][53]
특정 분류군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활동에 의해 강하게 교란을 받은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다는 점에서 공통의 생태학적 특성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잡초는 분류상 다양한 식물로 이루어진 무리이지만, 양치식물에서 잡초로 간주되는 것은 극히 드물고, 겉씨식물은 전무하다. 속씨식물에서도 벼과·국화과 식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들은 속씨식물 중에서도 진화가 진전된 그룹으로 여겨진다. 또한, 귀화식물도 많다.[78]
자생지에 따라 잡초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논의 경우, 벼의 성장 동안에는 잡초가 제거 대상이 되지만, 벼 수확에서 다음 봄까지는 잡초는 비교적 방치된다. 여기에는 논 잡초라고 불리는 특수한 식물군이 존재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즈쿠 등의 해조류를 식용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다 잡초'(Seaweeds)라고 통칭하여 부른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해조류를 식용으로 하기 때문에 잡초라고 부르지 않는다.
4. 생태적 특성
잡초는 특정 분류군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심하게 교란된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다는 공통적인 생태적 특성을 공유한다.
분류학적으로는 다양한 식물군으로 구성되지만, 양치식물 중 잡초로 간주되는 것은 극히 드물며, 겉씨식물은 아예 없다. 속씨식물 중에서는 벼과와 국화과 식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귀화식물도 많다.[78]
잡초는 경작지(논, 밭, 과수원, 정원, 잔디밭 등)뿐만 아니라 비경작지(운동장, 주차장, 도로 주변 등)에도 침입하여 성장하고 번식한다. 특히 논의 경우, 벼의 성장 동안에는 잡초가 제거 대상이 되지만, 벼 수확 후 다음 봄까지는 비교적 방치되어 논 잡초라는 특수한 식물군이 존재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식용으로 하지 않는 미역, 다시마, 모즈쿠 등의 해조류를 '바다 잡초''(Seaweeds)라고 통칭한다. 반면 일본에서는 이러한 해조류를 식용으로 하기 때문에 잡초라고 부르지 않는다.
잡초가 생존하는 환경은 극도로 인위적인 교란을 심하게 받는 장소라는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운동장이나 도로변은 강한 햇빛, 물 부족, 얕은 토양과 부족한 영양분, 먼지와 매연, 잦은 밟힘 등의 특징을 보이며, 최소 몇 달마다 풀베기가 이루어진다. 밭이나 정원은 물과 토양 조건은 식물 생장에 적합하지만, 토양이 정기적으로 뒤섞이고 풀베기가 더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살아남는 잡초는 대부분 인간 거주지 주변에서만 생활하며, 자연이 보존된 산야에서는 보기 어렵다.
목본 식물은 세대 시간이 길고, 풀베기에 의해 지상부가 제거되면 자원 투입이 낭비되기 때문에 잡초로 생육하기 어렵다. 찔레나무와 같이 지하에 상당한 영양분을 저장하여 풀베기 후에도 지상부를 빠르게 재생시키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인류가 사는 환경에는 제방처럼 항상 사람의 손길이 닿지는 않지만 정기적으로 풀베기나 불을 지르는 환경도 있다. 이러한 곳에 자라는 식물은 인리 식물(광의의 잡초)이라고 불리며, 사람의 손길이 전혀 닿지 않는 환경과는 다른 식물상이 나타나기 쉽고, 잡초와 공통된 성질을 보이기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 잡초는 빠른 번식, 광범위한 확산, 다양한 서식지에서의 생존, 낯선 장소에 정착하는 능력, 교란된 생태계에서의 성공, 그리고 일단 정착하면 제거하기 어려운 저항성 등의 특징을 보인다.[11] 흔한 예로는 집비둘기, 갈색쥐, 미국너구리 등이 있다. 코요테, 흰꼬리사슴, 검은머리소똥개와 같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오히려 서식 범위를 확장한 종도 있다.[11]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자블론스키는 인간이 환경 파괴로 인해 멸종에 직면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인간은 광범위한 환경에 널리 퍼져 있어 멸종 가능성이 매우 낮은 잡초 종이라고 반박한다.[11]
일본어에서는 잡초의 종 이름에 멸시의 의미를 담은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물의 이름을 붙인 카라스우리, 까마귀 콩, 뱀딸기, 개갓냉이, 참새피나, 혐오감을 나타내는 독말풀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하키다메기쿠(쓰레기 더미 국화)나 헤크소카즈라(똥덩굴)와 같이 불쾌한 이름이 붙여진 종도 있다.
잡초 연구는 잡초의 제거와 관리를 목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4. 1. 환경 특성
"잡초"라는 식물 분류는 선구종 및 루데랄 종과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과 겹친다.[22] 선구종은 기존 식물 및 토양 군집이 어떤 방식으로든 교란되거나 손상된 환경에 적응한다. 교란에 대한 적응은 잡초가 바람직한 작물, 목초지 또는 관상용 식물보다 유리한 점을 갖게 할 수 있다. 서식지의 특성과 교란은 어떤 유형의 잡초 군집이 우세해질지를 결정하거나 심지어 결정하기도 한다.[23] 잡초 생태학에서 일부 권위자들은 "세 개의 P" 사이의 관계, 즉 식물(plant), 장소(place), 인식(perception)에 대해 이야기한다.[24][25]그러한 루데랄 종 또는 선구종의 예로는 사구 및 토양 이동이 일어나는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 충적 범람원, 강둑 및 삼각주, 반복적으로 불타는 지역 등에 적응한 식물이 있다.[26] 인간의 농업 및 원예 관행은 잡초 종이 적응해 온 이러한 자연적 교란을 종종 모방하기 때문에, 일부 잡초는 농업, 잔디밭, 정원, 길가 및 건설 현장과 같이 인간에 의해 교란된 지역에서 성장하고 번식하도록 효과적으로 미리 적응되었다.[10]
다른 식물에게는 도전적이거나 적대적인 조건에서도 생존하고 번성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잡초는 극호성 생물로 간주되어 왔다.[27] 잡초는 교란에 적응한 선구자로서의 진화적 유산 때문에, 대부분의 잡초는 표현형 가소성이 매우 높다. 즉, 개별 식물은 환경에 반응하여 형태, 성장 및 외관을 적응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22] 단일 개체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만능 유전자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8] 교란에 적응한 식물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며, 일부 한해살이 잡초는 단일 생육 기간에 여러 세대를 거치기도 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토양 종자 은행에 수년 동안 생존하는 종자를 가지고 있다. 여러해살이 잡초는 종종 토양 표면 아래로 퍼지는 지하 줄기를 가지고 있거나, 담쟁이덩굴(Glechoma hederacea)과 같이 땅 위로 뻗어 뿌리를 내리고 퍼지는 줄기를 가지고 있다.[29]
개별 식물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외에도, 잡초 개체군은 더 오래된 진화 모델이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진화한다.[28] 농업 환경에 정착하면, 잡초는 인간의 관리에 의해 가해지는 선택적 압력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적 변화를 겪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몇 가지 예로는 종자 휴면의 변화, 계절적 생활 주기의 변화, 식물 형태의 변화, 그리고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의 진화가 있다.[10]
개척종으로서 잡초는 교란 사건 이후 생태 천이 과정을 시작한다. 잡초의 빠르고 공격적인 성장은 새롭게 드러난 맨땅에서 침식을 빠르게 방지하며,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한 토양 침식으로 인한 표토 손실을 실질적으로 늦춘다.[50]
특정 분류군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활동, 조작에 의해 강하게 교란을 받은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다는 점에서 공통의 생태학적 특성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분류상 다종다양한 식물로 이루어진 무리이지만, 양치식물에서 잡초로 간주되는 것은 극히 드물다. 겉씨식물은 전무하다. 속씨식물에서도 벼과·국화과의 것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환경에 공통된 특징은 극도로 인위적인 교란을 심하게 받는 장소라는 것이다. 운동장이나 도로변에서는 강한 일조, 물 부족, 토양의 부족과 빈약한 비료분, 먼지나 매연, 그리고 짓밟힘이 있으며, 그 위에 최소 몇 달마다 풀깎기가 행해진다.
밭이나 정원에서는 물이나 토양 등의 점에서는 식물의 생활에 적합하지만, 토양은 정기적으로 교반되고, 풀깎기 손질은 더 빈번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그 생활에 강하게 적응한 식물이며, 잡초의 대부분은 인가 주변에서만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은 자연이 보존된 산야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사람이 길을 만들면 반드시 나타난다.
목본은 이러한 생육을 유지할 수 없다. 세대 시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또한, 재료에 자원을 투입해도 풀깎기에 의해 낭비되기 때문이다. 찔레나무 등, 이에 가까운 생육을 보이는 것도 있지만, 그것들은 지하에 상당한 영양분을 가지고 있으며, 풀깎여도 곧 지상부를 재생시킨다.
4. 2. 생존 전략
잡초는 선구종 및 루데랄 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어떤 방식으로든 교란되거나 손상된 환경에 적응한다.[22] 이러한 환경에서 잡초는 바람직한 작물, 목초지, 관상용 식물보다 유리하다. 서식지의 특성과 교란은 어떤 잡초 군집이 우세할지 결정한다.[23]사구, 충적 범람원, 강둑, 삼각주, 반복적으로 불타는 지역 등은 루데랄 종 또는 선구종이 적응하는 환경의 예시이다.[26] 인간의 농업 및 원예 관행은 이러한 자연적 교란을 모방하여, 일부 잡초는 농업, 잔디밭, 정원, 길가, 건설 현장 등 인간에 의해 교란된 지역에서 성장하고 번식하도록 미리 적응되었다.[10]
잡초는 다른 식물에게는 도전적이거나 적대적인 조건에서도 생존하고 번성할 수 있어 극호성 생물로 간주된다.[27] 대부분의 잡초는 높은 표현형 가소성을 나타내어 환경에 따라 형태, 성장, 외관을 적응시킨다.[22] 이러한 능력은 "만능 유전자형"이라고도 불린다.[28] 교란에 적응한 식물은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며, 일부 한해살이 잡초는 단일 생육 기간에 여러 세대를 거친다. 이들은 토양 종자 은행에 수년 동안 생존하는 종자를 가지며, 여러해살이 잡초는 지하 줄기나 땅 위로 뻗어 뿌리를 내리는 줄기를 가진다.[29]
잡초 개체군은 빠르게 진화하며, 농업 환경에서 인간의 관리에 의해 가해지는 선택적 압력에 적응한다. 종자 휴면, 계절적 생활 주기, 식물 형태의 변화, 제초제 저항성 등이 그 예시이다.[10] 빠른 생활 주기, 대규모 개체군, 장거리 종자 분산 능력은 잡초 종의 빠른 진화를 돕는다.[30]
개척종으로서 잡초는 교란 사건 이후 생태 천이를 시작하며, 빠르고 공격적인 성장은 맨땅에서 침식을 방지하고 표토 손실을 늦춘다.[50]
사람의 활동, 조작에 의해 강하게 교란을 받은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 잡초는 공통의 생태학적 특성을 공유한다.
잡초는 다양한 식물로 구성되지만, 양치식물은 드물고 겉씨식물은 없다. 속씨식물 중에서는 벼과·국화과가 많으며, 귀화식물도 많다.[78]
일본어에서는 멸시를 포함한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 카라스우리, 까마귀 콩, 뱀딸기, 개갓냉이, 참새피, 독말풀, 하키다메기쿠(쓰레기 더미 국화), 헤크소카즈라(똥덩굴))
잡초 연구는 잡초의 구제와 관리를 목표로 한다. 잡초가 생존하는 환경은 인위적인 교란을 심하게 받는 곳으로, 운동장이나 도로변은 강한 일조, 물 부족, 토양 부족, 빈약한 비료분, 먼지, 매연, 짓밟힘 등의 특징을 가진다. 밭이나 정원은 토양이 정기적으로 교반되고 풀깎기가 빈번하게 행해진다.
목본은 세대 시간이 길고 자원 투입이 풀깎기로 낭비되기 때문에 잡초로 생존하기 어렵다.
잡초는 가혹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특수한 능력을 가진다.
- 밟힘에 대한 저항력: 질경이, 잔디 등은 밟힘에 강하다.
- 강한 번식력: 쇠뜨기, 약모밀, 띠, 돼지풀, 방동사니 등은 지하경과 종자로 번식한다.[82]
- 융통성 있는 세대 시간 및 성장: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귀리, 개보리 등은 조건이 나쁘면 작은 개체 상태로 꽃을 피우고 종자를 만든다.
- 휴면에 적합한 구조: 종자나 뿌리줄기 등으로 조건이 나쁜 시기를 극복하고, 적합한 조건이 되면 발아하지만 일부는 휴면을 계속한다.
- 작물로의 의태: 돌피는 논에서 벼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벼와 비슷한 시기에 결실하고 종자를 퍼뜨린다.[83][93] 호밀이나 귀리처럼 의태 과정에서 곡물이 된 종류도 있다.
- 베어내기 등에 대한 반응: 괭이밥 등은 베어내기로 강한 일조를 얻으면 싹을 틔운다.
4. 3. 확산
"잡초"라는 식물 분류는 선구종 및 루데랄 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2] 선구종은 기존 식물 및 토양 군집이 교란되거나 손상된 환경에 적응하며, 이러한 적응은 잡초가 작물, 목초지, 관상용 식물보다 유리하게 작용한다. 서식지의 특성과 교란은 어떤 유형의 잡초 군집이 우세해질지를 결정하기도 한다.[23]사구, 충적 범람원, 강둑, 삼각주, 반복적으로 불타는 지역 등은 루데랄 종 또는 선구종이 적응한 환경의 예시이다.[26] 인간의 농업 및 원예 관행은 이러한 자연적 교란을 모방하기 때문에, 일부 잡초는 농업, 잔디밭, 정원, 길가, 건설 현장 등 인간에 의해 교란된 지역에서 성장하고 번식하도록 미리 적응되어 있다. 농업 관행이 발전함에 따라 잡초는 더욱 진화하며, 인간은 서식지 조작과 잡초 개체군 제어 시도를 통해 잡초에 진화 압력을 가한다.[10]
많은 잡초 종은 인간의 이동과 상업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잡초 종자는 곡물 수확 후 작물과 함께 수집 및 운송되는 경우가 많아, 인간은 잡초 종이 잘 적응하는 교란된 환경의 생산자이자 운송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그 결과 많은 잡초가 인간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31][32]
새로운 환경에 도입된 식물은 원래 환경의 경쟁자나 포식자가 없어 우위를 점하기도 한다. ( "자연적 적 가설") 클라마트 잡초는 북아메리카에 도입된 후 클라마트 잡초 딱정벌레가 수입되면서 희귀해졌다.[33][34] 어떤 종은 토착 식물이 적응하지 못한 타감 작용 화학 물질을 생산하여 우위를 점하기도 한다. ("새로운 무기 가설") 이러한 화학 물질은 기존 식물의 성장이나 종자 및 묘목의 발아와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35][36] 잡초의 성장은 생태적 천이에서 후기 천이 종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37]
도입종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급격한 진화적 변화를 겪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수십 년에서 수 세기 단위의 시간 척도로 나타난다.[38] 침입종은 원산지 환경보다 새로운 환경에서 더 적응력이 뛰어나 더 넓은 범위를 차지할 수 있다. 유사한 종 간의 잡종 형성은 주변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새로운 침입 식물을 생성할 수 있다. 배수성 또한 중국의 ''Solidago canadensis''와 같은 일부 침입 개체군에서 강력하게 선택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많은 잡초 종은 이제 거의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지역 개체군을 환경에 맞게 적응시키는 새로운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28]
생물학자들은 모든 종이 어떤 환경에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고 정의하기도 한다.[11] 잡초종의 특징으로는 빠른 번식, 광범위한 확산, 다양한 서식지 생존, 낯선 장소 정착, 교란된 생태계 성공, 근절 저항 등이 있다. 이러한 종들은 다른 종들이 적응하지 못하는 인간 지배 환경에서 잘 번성한다. 집비둘기, 갈색쥐, 미국너구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코요테, 흰꼬리사슴, 검은머리소똥개와 같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범위를 확장한 종도 있다.[11]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자블론스키는 인간이 환경 파괴로 멸종에 직면할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해, 인간은 광범위한 환경에 널리 퍼져 있어 멸종 가능성이 매우 낮은 잡초 종이라고 주장한다.[11]
5. 잡초의 영향
잡초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민들레나 흰 명아주처럼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는 등 유익한 특성을 가진 경우도 있다. 잡초의 영향은 크게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으로 나눌 수 있다.
5. 1. 부정적 영향
잡초는 농업에서 식량 및 섬유 생산을 방해하여 작물 수확량 감소를 유발하며, 잔디밭, 조경, 경기장, 골프장 등 미용 및 레크리에이션 목적을 방해하기도 한다. 또한, 침입종의 경우 자생 식물과 경쟁하여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다.[40] 유해 잡초로 지정된 일부 잡초는 관리되지 않으면 자생 식물이나 작물에 해를 끼치거나 가축에게 피해를 준다.[41]잡초는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원하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직사광선, 토양 영양분, 물, 성장 공간 등을 두고 경쟁한다.
- 식물 병원체의 숙주 및 매개체 역할을 하여 원하는 식물의 품질을 저하시킨다.[43]
- 씨앗을 먹는 새나 과실파리 같은 동물 해충에게 먹이와 은신처를 제공한다.[43]
- 가시, 가시털, 독극물 등으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자극을 준다.[44]
- 배수관, 도로 표면, 기초 등에 뿌리 손상을 일으킨다.[45]
- 수생 식물의 경우 하천과 수로를 막아 보트 타기, 관개, 낚시, 수력 발전을 방해한다.[46][47]

5. 2. 긍정적 영향
"잡초"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잡초로 알려진 많은 식물들은 유익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민들레와 흰 명아주와 같은 많은 잡초는 식용이 가능하며, 잎이나 뿌리는 음식이나 약초로 사용될 수 있다.[48] 우엉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며, 동아시아에서는 수프와 약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48]일부 잡초는 유익한 곤충을 유인하여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잡초의 존재는 해충이 먹이를 찾는 데 사용하는 긍정적인 신호 발생을 방해하여 해충이 작물을 찾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잡초는 "살아있는 멀칭" 역할을 하여 수분 손실을 줄이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기도 한다.
민들레는 깊은 뿌리로 토양 깊숙한 곳에서 칼슘과 질소와 같은 영양소를 끌어올리고, 토끼풀은 뿌리에 질소 고정 박테리아를 서식시켜 토양을 직접 비옥하게 하는 등 잡초는 토양 비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민들레는 또한 과도하게 경작된 밭의 경반층을 파괴하여 작물이 더 깊은 뿌리 시스템을 갖도록 돕는다.
일부 정원 꽃은 경작지에서 잡초로 시작되어 정원 가치가 있는 꽃이나 잎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량되었다. 정원에서 재배되는 작물 잡초의 예로는 개별꽃이 있는데, 이는 유럽의 밀밭에서 흔한 잡초였지만, 현재는 때때로 정원 식물로 재배된다.[49]
6. 잡초 방제
잡초 방제는 농업이나 기타 관리 환경에서 잡초의 성장과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잡초의 침입을 막는 예방적 방법과, 잡초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문화적 방법, 그리고 잡초와 그 씨앗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56][57] 잡초는 적응력이 뛰어나 단일 방제법에 의존하면 저항성을 가진 잡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종합 해충 관리처럼 여러 방법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58]
예방적 방법으로는 장비 청소, 주변 잡초 제거, 오염된 씨앗이나 거름 사용 방지 등이 있다.[59] 문화적 방법으로는 피복 작물, 작물 윤작, 경쟁력 있는 품종 선택, 멀칭, 최적 밀도 파종, 간작 등이 활용된다.[60] 기계적 방법으로는 경운, 예초, 소각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된다.[61] 그러나 제초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기계적 방법은 점차 대체되고 있다.[62]
제초제 사용은 제초제 저항성을 가진 잡초의 출현을 가속화시켰다.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에 저항성을 가진 잡초는 2023년 현재 58종에 달한다.[63][65] 또한, 비표적 부위 저항성(NTSR)은 여러 제초제에 대한 동시 저항성을 유발하여 방제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66]
기후 변화로 인해 잡초 방제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온 상승과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잡초의 서식지를 확장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칡은 북쪽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수목농업 적용과 알레로파시성 작물 잔류물 사용 등 새로운 농업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71]
벼 재배 시 논에서는 벼의 생장 기간 동안 잡초를 제거하지만, 수확 후에는 논 잡초라 불리는 특수한 식물군이 방치되기도 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해조류를 '''바다 잡초'''(''Seaweeds'')라고 부르지만, 일본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즈쿠 등을 식용으로 사용하므로 잡초로 여기지 않는다.
6. 1. 전통적 방법
기계적 잡초 방제는 잡초를 물리적으로 절단, 제거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파괴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규모 농장에서는 손으로 잡초를 뽑는 것이 주된 잡초 방제 수단이었지만, 대규모 농장이 농업을 지배하면서 이 방법은 덜 실용적이게 되었다.[6] 그러나 많은 작업에서 어느 정도 손으로 잡초를 뽑는 것은 불가피한 잡초 방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57] 경운, 예초, 소각은 대규모 기계적 잡초 방제의 일반적인 예이다. 새로운 기술은 기계적 잡초 방제 옵션의 범위를 넓혀주는데, 새롭게 부상하는 기계적 잡초 방제 방법 중 하나는 전기를 사용하여 잡초를 죽이는 것이다.[61]잡초의 습성을 이해하는 것은 경운, 표면 긁기, 더 유익한 피복 작물 촉진, 밭의 씨앗 축적 방지와 같은 비화학적 잡초 방제 방법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마란스는 현대 농업에서 잡초로 간주되지만 식용으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아마란스는 여러 해 동안 지속되는 풍부한 씨앗(식물당 최대 100만 개)을 생산하며, 일찍 발아하는 빠른 성장 식물이다. 아마란스를 제어하려는 사람들은 "올해의 씨앗은 내년의 잡초가 된다!"라는 말을 인용한다.[68] 그러나 아마란스를 탄력적인 식량원으로 여기는 다른 관점도 있다.[69]
6. 2. 현대적 방법
농작물 경작 시 잡초는 수확량 및 수익 감소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농업 해충의 발생원이 되어 방치하면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잡초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84] 잡초 방제 방법에는 풀 베기 외에도, 제초제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초하거나, 방초 블록 및 방초 시트를 사용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화전 농업이나 열처리를 통해 살균 및 제초를 하는 경우도 있다.[85]
제초기에는 인력 중경 제초기, 축력·동력용 컬티베이터, 제초 해로우, 위더, 배토기, 간벌기 등이 있다.[86]
1950년대 이후 제초제가 보급되면서 거위를 이용한 밭의 제초는 일반적이지 않게 되었다.[87] 염소[88], 돼지[89][90] 등에 의한 채식 및 짓밟기를 통한 제초를 하는 경우도 있다.
수선화 등이 갖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화학 물질 살포 능력인 알렐로파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91]
작물보다 먼저 벼과 잡초를 번무하게 한 다음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는 Stale seed bed|Stale seed bed영어 수법이 2014년에는 약 80%의 경영체에서 사용되고 있다.[92]
잡초는 인간의 제초 작업에 대항하여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한다.[93]
경작지 잡초 중에는 제초제 등 근대화로 인해 멸종이 우려되는 종도 존재한다.[94] 따라서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경작지 주변에 녹지대를 설치하여 멸종 위기 잡초의 보호와 다양성 확보를 위한 활동이 이루어진다.[95]
6. 3. 잡초의 대응 전략
잡초는 환경에 적응하여 형태, 성장 등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22]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며, 토양 종자 은행에 수년 동안 생존하는 종자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여러해살이 잡초는 땅속줄기나 땅 위로 뻗는 줄기로 퍼져나가기도 한다.[29]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잡초는 인간의 관리에 적응하며 빠르게 진화한다.[10]농업 환경에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예방적 방법으로는 장비 청소, 주변 잡초 제거, 오염된 씨앗이나 거름 피하기 등이 있다.[59] 문화적 방법으로는 피복 작물, 작물 윤작, 경쟁력 있는 품종 선택, 멀칭, 최적 밀도 파종, 간작 등이 활용된다.[60]
기계적 방법으로는 잡초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경운, 예초, 소각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방법도 등장했다.[61] 그러나 기계적 방법은 제초제 사용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62] 농작물 경작 시에는 잡초로 인해 수확량이 감소하고, 농업 해충의 발생원이 되므로, 잡초 방제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84] 잡초 방제 방법에는 풀 베기 외에도, 제초제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초하거나, 방초 블록 및 방초 시트를 사용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화전 농업이나 열처리를 통해 살균 및 제초를 하는 경우도 있다.[85]
제초제에 대한 의존은 잡초의 제초제 저항성 진화를 가속화시켜, 글리포세이트와 같은 제초제의 효과를 떨어뜨렸다.[63] 2023년 현재 58종의 잡초가 글리포세이트 저항성을 획득했다.[65] 비표적 부위 저항성(NTSR)은 여러 제초제에 대한 동시 저항성을 부여하여 대응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66]
잡초의 습성을 이해하는 것은 비화학적 잡초 방제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마란스는 식용 식물이지만, 많은 씨앗을 생산하고 빠르게 성장하여 잡초로 간주되기도 한다.[68]
잡초는 밟힘에 대한 저항력, 강한 번식력, 휴면에 적합한 구조 등 다양한 생존 능력을 갖추고 있다.[82]
7. 잡초와 문화
잡초는 인간이 교란한 환경을 이용하여 빠르게 진화하는 식물이며, 약 12,000년 전 신석기 혁명에 대응하여 진화한 것으로 오랫동안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들은 이스라엘의 23,000년 된 고고학 유적지인 오할로 II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원시 잡초"의 증거를 발견했다.[13]
"잡초"를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범주로 보는 생각은 역사적으로 보편적이지 않았다. 서기 1200년 이전에는 잡초 방제에 대한 우려나 잡초 방제만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 관행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다. 이는 인류 역사 대부분 동안 여성과 아이들이 잡초를 통제하는 데 값싼 노동력이 풍부했고, 직접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이다.[14] 잡초는 농업이 시작된 이후부터 존재해 왔으며 "피할 수 없는 골칫거리"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5]
성경에는 "잡초"로 해석될 수 있는 식물에 대한 언급이 있다:[8]
וְקוֹץ וְדַרְדַּר תַּצְמִיחַ לָךְ וְאָכַלְתָּ אֶת עֵשֶׂב הַשָּׂדֶה|베코츠 베다르다르 타츠미아흐 라흐 베아하르타 에트 에세브 핫사데|가시덤불과 엉겅퀴가 돋아나 너는 들에서 나는 풀을 먹을 것이다.he
일부 초기 로마 작가들은 농경지에서 잡초 제거 활동을 언급했지만, 근대 이전 시대의 잡초 방제는 쟁기질의 부수적인 효과였을 것이다.[17] 고대 이집트인, 아시리아인, 수메르인에게는 "잡초"라는 특정 단어가 없었으며, 모든 식물이 어떤 용도로든 사용된다고 생각했다. 영어 단어 "weed"는 현대적 용법과 같이 식물의 범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대청(woad)을 가리키는 고대 영어 ''weod''에서 유래되었다; 초기 중세 유럽 본초학에서는 각 식물이 고유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겼다.[18]
16세기까지 "잡초"라는 개념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은유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유해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유형으로 더 잘 정의되었다.[18] 셰익스피어가 잡초를 언급한 예는 소네트 69번에서 찾을 수 있다.
19세기에는 유럽 도시에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수작업이 사용되었고, 화학적 잡초 방제 방법이 등장했다. 예를 들어, 1831년 프랑스 저널은 석회, 유황, 물을 섞어 쇠솥에서 끓인 혼합물을 조약돌 사이에서 풀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제초제로 기록했다.[20]
잡초와 도덕적 또는 정신적 퇴보 사이의 문화적 연관성은 19세기 후반 미국 도시에서도 지속되었다. 도시 확장과 개발은 19세기 미국에서 잡초에게 이상적인 서식지를 만들었다.[21] 그 결과, 개혁가들은 잡초를 도시 환경을 괴롭히는 오물, 질병, 도덕적 부패의 더 큰 문제의 일부로 보았고, 잡초를 "부랑자" 및 기타 범죄자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람들의 피난처로 간주했다.
특정 분류군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활동, 조작에 의해 강하게 교란을 받은 공간을 서식지로 삼는다는 점에서 공통의 생태학적 특성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중시되지 않지만 억센 존재, 나쁘게 말하면 끈질긴 존재로서 비유에 사용된다[77]。
일본어에서는 종의 명칭에 어떤 종류의 멸시를 포함한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동물의 이름을 관하는 것(카라스우리, 까마귀 콩, 뱀딸기, 개갓냉이, 참새피)이나, 혐오감을 나타내는 것(독말풀. 다만, 이것은 유독하다) 등이 있다. 그 외에 하키다메기쿠(쓰레기 더미 국화)나 헤크소카즈라(똥덩굴)와 같은 고맙지 않은 이름을 붙여진 종도 있다. 이는 사람들에게 유용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는 하찮은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명명되었다.
- 창세기 3장 17-19절에는 금단의 열매를 먹은 저주로 인해 가시와 엉겅퀴가 돋아나 먹을 것을 얻는 데 고생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 일부 전국 시대 무장들은 생명력이 강한 잡초를 가문에 문장으로 사용했다. 괭이밥(片喰紋), 택사 (沢瀉紋), 냉이(薺紋), 그리고 도쿠가와 가문의 세 잎 아욱의 모델인 두잎아욱 등이다[100] .
; 관련 발언
- "잡초라는 식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 마키노 도미타로의 말. 어떤 풀이라도 이름과 역할이 있으며, 사람들의 편의에 따라 함부로 취급하는 호칭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 쇼와 천황 또한 "잡초라는 것은 없다"며 이와 비슷한 취지의 말을 했다고 시종이었던 다나카 나오가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번식력이 강하고 다른 식물에 해를 끼치기 쉬운 외래종은 스스로 풀을 뽑았다[101] .
- "유럽에는 잡초가 없다" - 와쓰지 데쓰로가 저서 『풍토』에서 유럽으로 가는 배 안에서 어떤 생물학자에게 들은 이야기로 기록하고 있다[102] .
- "잡초 정신" - 프로 야구 투수 우에하라 고지가 자신을 빗대어 사용한 말. 1999년 신어·유행어 대상을 수상했다[103] .
8. 한국의 잡초 연구 및 관리
유럽 잡초 학회[96], 미국 잡초 학회[97], 일본 잡초 학회[98], 우츠노미야 대학 잡초 과학 연구 센터[99] 등이 있다.
9. 기후 변화와 잡초
인위적인 기후 변화로 기온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많은 잡초들이 통제하기 더 어려워지고 서식지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덜 "잡초성"인 종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남동부 전역에서 발견되는 악명 높은 침입성 덩굴인 칡(Pueraria montana)은 기후 변화로 인해 북쪽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71] 미래의 기후 조건에서 농업 잡초의 경쟁력이 강화되면 작물 재배 능력이 위협받을 수 있다.[71] 기존의 잡초 관리 방법은 미래의 기후 변화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세계 식량 안보를 위해 새로운 농업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71] 제안된 기술은 종합적이며, 제초제 의존에서 벗어나 수목농업의 적극적인 적용과 잡초 억제를 위한 알레로파시성 작물 잔류물의 사용을 포함한다.[71]
참조
[1]
논문
Impact of Weeds on Human Endeavors
1994
[2]
간행물
Some thoughts about weeds.
1965
[3]
웹사이트
Define the term weed.
https://forages.oreg[...]
Oregon State University Forage Information System
2009-06
[4]
웹사이트
What is a Weed
https://extension.ws[...]
Snohomish County Extension Office
[5]
서적
Biology and ecology of wee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6]
논문
Grand Challenges in Weed Management
2020
[7]
서적
Red Seal Landscape Horticulturist Identify Plants and Plant Requirements
https://kpu.pressboo[...]
Kwantlen Polytechnic University
2020-02-13
[8]
서적
Horticultural Science
https://archive.org/[...]
W.H. Freeman
1979
[9]
서적
Bringing Home the Wild: A Riparian Garden in a Southwest City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0]
논문
Co-evolution of domesticated crops and associated weeds
2007
[11]
간행물
Planet of Weeds
http://sep.csumb.edu[...]
2012-11-15
[12]
간행물
Cultural weed management
CAB International
2007
[13]
논문
The Origin of Cultivation and Proto-Weeds, Long Before Neolithic Farming
2015-07-22
[14]
웹사이트
A Historical View of Weed Control Technology
https://ucanr.edu/bl[...]
[15]
서적
The World's Worst Weeds: distribution and biology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77
[16]
문서
Genesis 3:17-19 New International Version
[17]
논문
A History of Weed Control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s://www.jstor.or[...]
2005
[18]
논문
Weeds, People, and Contested Places
https://www.environm[...]
2003
[19]
서적
The Works of Shakespeare: Sonnets
https://archive.org/[...]
Methuen & Company
1918
[20]
웹사이트
A history of weeding
https://morethanweed[...]
2020-04-24
[21]
논문
Controlling the Weed Nuisance in Turn-of-the-Century American Cities
https://www.jstor.or[...]
2002
[22]
논문
Ten Ways That Weed Evolution Defies Human Management Efforts Amidst a Changing Climate
2021
[23]
서적
The Permaculture Garden
https://archive.org/[...]
Chelsea Green Publishing
[24]
논문
The Evolution of Weeds
https://www.annualre[...]
1974-11
[25]
문서
Characteristics and modes of origin of weeds
Academic Press
1965
[26]
서적
Plant Physiological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0-08
[27]
논문
Into the weeds: new insights in plant stress
2021
[28]
논문
Rapid Evolution of Invasive Weeds Under Climate Change: Present Evidence and Future Research Needs
2021
[29]
웹사이트
Plant Foraging: Two Case Studies
http://employees.csb[...]
2009-02-15
[30]
논문
Understanding the nexus of rising CO2, climate change, and evolution in weed biology
2019
[31]
서적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Current State and Trends: Findings of the Condition and Trends Working Group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005-12-14
[32]
서적
National Geographic Answer Book: 10,001 Fast Facts about Our World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33]
웹사이트
Biological Control of Klamath Weed < ''Hypericum perforatum''
http://faculty.ucr.e[...]
[34]
웹사이트
Chrysolina quadrigemina
https://biocontrol.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2023-07-25
[35]
서적
The History of Allelopat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8-17
[36]
웹사이트
Callaway.qxd
http://plantecology.[...]
2010-03-20
[37]
논문
Plant species diversity as a driver of early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s: a multi-site approach
https://doi.org/10.1[...]
2000-07-01
[38]
논문
Is rapid evolution common in introduced plant species?
2010
[39]
서적
Frontier country: Australia's outback heritage
Weldon Russell
[40]
서적
Crop Production for Agricultural Improv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6-02
[41]
서적
Northwest area noxious weed control program: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 final
https://archive.org/[...]
U.S. Dep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agement, Oregon State Office
[42]
서적
United States Code, 2006, V. 3, Title 7, Sections 701-End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8-04-25
[43]
서적
Insects and mites of cultivated plants in South Africa
Butterworths
[44]
서적
The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E & S Livingstone
[45]
서적
Tree Roots in the Built Environment
The Stationery Office
[46]
웹사이트
Black Willow
http://www.weeds.org[...]
[47]
서적
The World's Worst Weeds: distribution and biology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77
[48]
웹사이트
Burdock Root
http://www.chineseso[...]
2015-05-29
[49]
문서
Preston, Pearman & Dines. (2002). New Atlas of the British Flora.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An Ecological Understanding of Weeds
https://eorganic.org[...]
[51]
웹사이트
How weeds help fight climate change
https://www.bbc.com/[...]
BBC Future
[52]
서적
Grass Productivity
Island Press
[53]
문서
Woodfield, Derek R. White clover, New Zealand's competitive edge. Symposium NZ Agronomy Society and Grassland Association at Lincoln University, New Zealand, November, 1995
[54]
서적
Agrochemicals, Fate in Food and the Environment: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rochemicals: Fate in Food and the Environment Using Isotope Technique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1982
[55]
웹사이트
Weed Risk Assessment for Imperata cylindrica (L.) P. Beauv. (Poaceae) – Cogongrass
https://www.aphis.us[...]
[56]
웹사이트
Describe the five general categories of weed control methods.
https://forages.oreg[...]
Oregon State University
2009-06
[57]
웹사이트
General Methods of Weed Management
https://ipm.ucanr.ed[...]
University of California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58]
웹사이트
What Is Integrated Weed Management?
https://growiwm.org/[...]
[59]
웹사이트
Weed prevention
https://www.alberta.[...]
2024-04-24
[60]
웹사이트
Ch 3. Cultural Weed Management
https://www.sare.org[...]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61]
웹사이트
Electric weeding with high frequency electricity gives better weed control with lower energy use
https://www.futurefa[...]
2022-09-12
[62]
논문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herbicides in worldwide crop production
https://pubmed.ncbi.[...]
2013
[63]
논문
Classification of herbicides according to chemical family for weed resistance management strategies–an update
2015
[64]
논문
What Happens when Weed Killers Stop Killing?
[65]
웹사이트
Number of Resistant Species to Individual Active Herbicides
https://www.weedscie[...]
[66]
뉴스
Attack of the Superweeds
https://www.nytimes.[...]
2021-08-18
[67]
웹사이트
Tank mixing herbicides may not be enough to avoid herbicide resistance
https://www.farmersa[...]
[68]
웹사이트
The Biology and Ecology of Palmer Amaranth: Implications for Control
http://extension.uga[...]
UGA extension
2015-05-29
[69]
웹사이트
Rethinking a Weed: the Truth about Amaranth
http://ourworld.unu.[...]
United Nations University
[70]
문서
Christopher Lloyd, The Well-Tempered Garden, 1973
[71]
논문
Weeds and Their Responses to Management Efforts in A Changing Climate
2021
[72]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92
[73]
논문
雑草の定義と雑草学の役割
日本雑草学会
[74]
웹사이트
雑草管理に関するQ&A
http://cwwm.mine.uts[...]
雑草管理教育研究センター
2009-09-03
[75]
논문
種生物学の立場からみた雑草
日本雑草学会
[76]
문서
一般には、[[発芽]]直後の[[木]](木本)も雑草扱いされることもあるが、大きくなる前に駆除されるのが普通。なお、林業の立場からは有用樹主以外を通常[[雑木]]・柴などと呼ぶ。
[77]
문서
雑草の話 第1話
[78]
문서
『新版 日本原色雑草図鑑』
[79]
문서
雑草の話 第1話 第25話
[80]
문서
三浦 (2009)
[81]
문서
『きらわれものの草の話』p.8
[82]
웹사이트
頑固な雑草の名前としつこい雑草の抜き方
https://spicomi.net/[...]
[83]
웹사이트
雑草学ノート
http://hp.brs.nihon-[...]
日本大学
2023-08-08
[84]
논문
雑草リスク情報-その2:その傷害や病気,実は雑草が原因です
https://www.jstage.j[...]
2018
[85]
웹사이트
農業技術事典NAROPEDIA
http://lib.ruralnet.[...]
2023-06-20
[86]
문서
除草機
[87]
웹사이트
Chapitre 12. Désherbage des cultures par les oies
https://www.fao.org/[...]
2023-06-13
[88]
웹사이트
面倒な草刈りをしてくれる“除草ヤギ”が大人気…かわいすぎて除草させられない人も|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https://www.fnn.jp/a[...]
2020-11-05
[89]
웹사이트
農薬代わりに豚活用 ブドウ園で試み―仏: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09-04
[90]
웹사이트
耕作放棄地対策のための豚放牧技術を確立
https://www.pref.aic[...]
愛知県農業総合試験場
[91]
웹사이트
ヒガンバナ:ご先祖の知恵 (常陽新聞連載「ふしぎを追って」) (情報:農業と環境 No.114 2009年10月)
https://www.naro.aff[...]
2023-06-20
[92]
문서
笹原和哉・吉永悟志 2014. 2013 年度日本農業経済学会論文集. 289-296.
[93]
웹사이트
4章 雑草の除草回避戦略
https://ocw.kyoto-u.[...]
[94]
웹사이트
絶滅に瀕する耕地雑草の現状
https://cir.nii.ac.j[...]
2003-12-25
[95]
웹사이트
100 Äcker für die Vielfalt - 100 Äcker für die Vielfalt
http://www.schutzaec[...]
2023-08-09
[96]
웹사이트
http://www.ewrs.org/
[97]
웹사이트
http://wssa.net/
[98]
웹사이트
http://wssj.jp/
[99]
웹사이트
http://wsc.mine.utsu[...]
[100]
웹사이트
戦国武将は、なぜ雑草を家紋にしたのか
https://toyokeizai.n[...]
2015-03-28
[101]
문서
田中直著「雑草とご愛草」『宮中侍従物語』p.225-230
[102]
논문
ドメスティケーションとは何か : 雑草とは何か : 特にドメスティケーションとの関係において
https://doi.org/10.1[...]
[103]
웹사이트
流行語大賞は「雑草魂」「リベンジ」「ブッチホン」(1999年12月2日 読売新聞)
https://web.archive.[...]
[104]
웹사이트
除草技術のあゆみ(2)日本:『雑草学』の発刊 農薬工業会
http://www.jcpa.or.j[...]
[105]
서적
《Weeds Control》
나이아가라 대학
2009
[106]
간행물
잡초
http://www.forest.go[...]
산림임업용어사전
2009-10-24
[107]
서적
Weeds of Canad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9-11-03
[108]
서적
Weeds of Canad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9-11-03
[109]
서적
Weeds of Canad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9-11-03
[110]
서적
Weeds of Canad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9-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