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주식 선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별 주식 선물은 기초 자산인 개별 주식을 만기일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 팔기로 하는 파생 상품이다. 개별 주식 선물 가격은 선물 및 선도 계약 이론에 따라 결정되며, 무위험 이자율, 기초 주식의 가격, 배당금 등을 고려한다. 미국에서는 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 제정 이후 개별 주식 선물 거래가 시작되었으나, 주요 거래소였던 원시카고는 2020년 9월에 폐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생 상품 -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 상품 또는 계약으로, 헤지, 투기, 자산 배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며,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강화된 규제를 받고 있다. - 파생 상품 - 금융상품
금융상품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시장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현금 상품(증권, 대출, 예금 등)과 기초 자산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파생 상품(선물, 옵션, 스왑 등)으로 나뉜다. - 주식시장 - 서킷브레이커 (주식 시장)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수 하락 시 거래를 일시 중단하거나 종료하는 조치를 통해 투자자에게 냉정을 되찾을 시간을 주지만, 매도세 가속화나 가격 발견 지연의 비판도 존재하며, 한국은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하락폭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거래를 중단 또는 종료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선물 시장에는 사이드카 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 주식시장 - 내부자 거래
내부자 거래는 상장 회사 관계자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 증권을 거래하는 불법 행위로, 여러 국가에서 규제되고 있으며, 정보 비대칭성, 규제의 실효성 등 쟁점을 야기한다.
개별 주식 선물 | |
---|---|
개별 주식 선물 | |
![]() | |
계약 세부 정보 | |
기초 자산 | 개별 주식 |
상장 거래소 | 다양한 거래소, 예: 나스닥, 뉴욕 증권 거래소 |
가격 단위 | 주당 가격 |
틱 사이즈 | 일반적으로 $0.01 |
계약 크기 | 일반적으로 100주 |
결제 방식 | 현금 결제 또는 실물 인도 |
만기일 | 일반적으로 분기별 (3월, 6월, 9월, 12월) |
특징 | |
설명 | 개별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선물 계약 |
사용 목적 | 주가 변동 위험 관리 (헤지) 주가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투기 차익 거래 |
장점 | 레버리지 효과를 통한 투자 효율성 증대 소액으로도 거래 가능 공매도 포지션 설정 용이 |
단점 | 높은 레버리지로 인한 큰 손실 가능성 만기일 존재 기초 주식과의 가격 차이 (베이시스) 발생 가능성 |
규제 및 위험 | |
규제 기관 | 각 국가별 금융 감독 기관 (예: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 |
위험 요소 | 시장 위험 (주가 변동) 신용 위험 (계약 불이행) 유동성 위험 (거래량 부족) 레버리지 위험 (손실 확대) |
참고 | |
관련 상품 | 주식 주식 옵션 주식 지수 선물 |
2. 가격 결정
개별 주식 선물의 가치는 표준 선물 및 선도 계약 이론 가격 모형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된다.[4] 가격 결정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기초 주식의 현재 가격 (현물 가격)
- 무위험 이자율
- 계약 만료 시점
- 배당금의 현재 가치
선물 계약의 가치는 계약 체결 시점에는 0이지만, 이후 만기 시점까지 변동한다. 만기 시점의 가치는 주식의 현재 비용에서 선물 계약의 원래 체결 비용을 뺀 값과 같다.
2. 1. 가격 결정 공식
선물 가격은 표준적인 선물 및 선도 계약 이론 가격 모형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된다.:
여기서:
- F는 현재(시간 t) 선물 계약 체결 비용
- S는 기초 주식의 현재 가격(현물 가격)
- r은 연간 무위험 이자율
- t는 현재 시점
- T는 계약 만료 시점
- PV(Div)는 t와 T 사이의 기초 주식에서 발생하는 모든 배당금의 현재 가치
무위험 이자율이 연속 수익률로 표시될 때 계약 가격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r은 연속 수익률로 표시된 무위험 이자율이고, e는 자연 로그의 밑수이다. 두 식에서 r의 값은 약간 다를 것이다. 연속 수익률과 연간 수익률의 관계는 rc = ln(1 + r)이다.[4]
3. 미국 시장 현황
미국에서는 1980년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규제 권한 문제로 개별 주식 선물(SSF)의 거래소 상장이 불가능했다.[2] 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 제정 이후, 두 기관의 관할권 분담 합의로 2002년 11월 8일 거래가 시작되었다. 초기 두 거래소 중 하나는 폐쇄되었고, 원시카고(OneChicago)는 시카고 옵션 거래소(CBOE),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의 합작 투자로 설립, 2006년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nteractive Brokers)가 지분을 투자했다.[3] 2020년 9월 원시카고는 폐쇄되었다.
3. 1. 규제 역사
미국에서는 1980년대에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규제 권한 다툼으로 인해 개별 주식 선물(SSF)이 어느 거래소에도 상장될 수 없었다.[2]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이 제정된 후, 두 기관은 관할권 분담에 합의했고, 2002년 11월 8일에 개별 주식 선물이 거래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두 개의 거래소가 개별 주식 선물을 포함한 '증권 선물' 상품을 제공했지만, 그중 하나는 폐쇄되었다. 남은 시장은 원시카고(OneChicago)로, 시카고 옵션 거래소(CBOE),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의 합작 투자였다. 2006년, 증권 중개 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nteractive Brokers)는 원시카고(OneChicago)에 지분을 투자하여 일부 소유주가 되었다.[3] 2020년 9월 기준으로 원시카고는 폐쇄되었다.
3. 2. 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
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 제정으로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관할권 분담에 합의했고, 2002년 11월 8일에 개별 주식 선물 거래가 시작되었다.[2]3. 3. 주요 거래소
2000년 상품선물 현대화법 제정 이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관할권 분담 계획에 합의했고, 2002년 11월 8일에 개별 주식 선물이 거래되기 시작했다.[2]초기에는 두 개의 거래소가 개별 주식 선물을 포함한 '증권 선물' 상품을 제공했지만, 그 중 하나는 이후 폐쇄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주요 거래소는 원시카고(OneChicago)로, 시카고 옵션 거래소(CBOE),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시카고 상품 거래소(CBOT)의 합작 투자로 설립되었다. 2006년, 증권 중개 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nteractive Brokers)가 원시카고(OneChicago)에 지분 투자를 하여 현재 해당 거래소의 일부 소유주이다.[3]
3. 4. 원시카고 폐쇄
2020년 9월 기준으로 원시카고는 폐쇄되었다.[3]참조
[1]
웹사이트
Die belastingvoordele wat aftreebeleggings vir jou inhou
https://www.moneyweb[...]
2019-07-05
[2]
웹사이트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http://www.cftc.gov/[...]
[3]
문서
One Chicago Fact Sheet
http://www.onechicag[...]
[4]
웹사이트
Single Stock Futures {{!}} OneChicago
http://www.onechic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