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갯드렁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갯드렁새속(Dactyloctenium)은 벼과에 속하는 속이다. 갯드렁새속에는 갯드렁새(D. fusca)와 D. gigantea 2종이 있다. 과거에는 100종이 넘는 종이 갯드렁새속에 속한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는 전 세계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0-30cm 높이로 자라며 2-8cm 길이의 잎과 9-10월에 흑색 열매를 맺는 원추화서를 가지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은 53종이 인정되는 식물 속이며, 과거에는 나도바랭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애기나리속
    애기나리속은 줄기 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검은색 장과를 맺는 여러해살이풀로, 히말라야, 인도,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콜키쿰과에 속하고 한국에는 애기나리, 윤판나물 등이 자생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갯드렁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학명
갯드렁새속
학명Diplachne
명명자P.Beauv. 1812, not R.Br. ex. Desf. 1819 (도금양과)
모식종 명명자(Lam.) P.Beauv.
모식종Diplachne fascicularis
하위 종

2. 하위 종

3. 과거 분류

과거에는 100종이 넘는 종이 ''갯드렁새속''에 속한다고 여겨졌지만, 현재는 베우시아속, 카타포디움속, 클레이스토게네스속, 디사키스페르마속, 엔테로포곤속, 갯기름풀속, 페스투카속, 고우이니아속, 렙토카리디온속, 렙토클로아속, 네이라우디아속, 오디세아속, 오리누스속, 포고나르트리아속, 프실로렘마속, 트리코네우라속, 트리포곤속, 트리라피스속, 베르티코르디아속 등 다른 속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참조

[1] 간행물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80-81 https://www.biodiver[...]
[2] 간행물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80-81 https://www.biodiver[...]
[3] 서적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https://www.biodiver[...] 1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