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검정망둑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정망둑속(Tridentiger)은 망둑어과에 속하는 어류의 한 속으로, 현재 9종이 속해 있다. 한국에는 아작망둑, 민물두줄망둑, 민물검정망둑, 황줄망둑, 검정망둑, 두줄망둑 등 6종이 서식한다. 각 종은 서식 지역과 특징에 차이를 보이며, 학명과 함께 기재 연도, 명명자 등이 함께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검정망둑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Tridentiger
명명자T. N. Gill, 1859
모식종Sicydium obscurum
모식종 명명자Temminck & Schlegel, 1845
이명Triaenophorichthys Gill, 1859
Triaenophorus Gill, 1859
Triaenopogon Bleeker, 1874
Trifissus Jordan & Snyder, 1900
Trigonocephalus Okada, 1961
[[별망둑]]
별망둑
속 정보
망둑어과
검정망둑속 (Tridentiger)
종 목록Tridentiger akihito Ito, Suzuki & Senou, 2006
Tridentiger barbatus (Günther, 1861)
Tridentiger brevispinis Katsuyama, Arai & Nakamura, 1972 (별망둑)
Tridentiger buergeri (Temminck & Schlegel, 1845) (밀어)
Tridentiger coreanus Regan, 1908 (고려망둑)
Tridentiger dentex (Valenciennes, 1837)
Tridentiger filamentosus (Tomiyama, 1936)
Tridentiger kuroiwae (Jordan & Snyder, 1901)
Tridentiger microsquamis (Wu, 1931)
Tridentiger nudicervicus Tomiyama, 1934
Tridentiger obscurus (Temminck & Schlegel, 1845) (검정망둑)
Tridentiger ochroleuca Nichols, 1930
Tridentiger passimulus (Jordan & Snyder, 1901)
Tridentiger radiatus Cui, Ren & Fang, 2018
Tridentiger সাজ্জাদ হোসেন, 2022
Tridentiger trigonocephalus (Gill, 1859)

2. 하위 종

현재 검정망둑속(''Tridentiger'')에는 9종이 속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6종은 한국 연안 및 하천에서도 발견된다.

학명명명자명명 연도영문명한국 서식 여부
Tridentiger barbatusGünther1861Shokihaze gobyO
Tridentiger bifasciatusSteindachner1881Shimofuri gobyO
Tridentiger brevispinisKatsuyama, R. Arai & M. Nakamura1972O
Tridentiger kuroiwaeD. S. Jordan & S. Tanaka (I)1927X
Tridentiger microsquamisH. W. Wu1931X
Tridentiger nudicervicusTomiyama1934Bare-naped gobyO
Tridentiger obscurusTemminck & Schlegel1845Dusky tripletooth gobyO
Tridentiger radiatusR. F. Cui, Y. S. Pan, X. M. Yang & Y. Y. Wang2013X
Tridentiger trigonocephalusT. N. Gill1859Chameleon gobyO


2. 1. 한국 서식 종

한국에서는 다음 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작망둑 (''Tridentiger barbatus'')
  •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
  •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 황줄망둑 (''Tridentiger nudicervicus'')
  •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2. 1. 1. 아작망둑 (''Tridentiger barbatus'')

아작망둑의 학명은 ''Tridentiger barbatus''이며, Günther가 1861년에 명명하였다. 영문명은 Shokihaze goby영어이다. 한국에서는 동해안 및 남해안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2. 1. 2.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은 대한민국에서 발견되는 검정망둑속의 한 종이다. 1881년 프란츠 슈타인드하너(Steindachner)가 명명하였으며, 영문명은 Shimofuri goby이다. 대한민국의 서해안 및 남해안 하천 하구와 연안에 서식한다.

2. 1. 3.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은 검정망둑속에 속하는 어류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972년 가쓰야마 이치로, 아라이 료이치, 나카무라 모리즈미가 처음 학계에 보고하고 명명하였다.

2. 1. 4. 황줄망둑 (''Tridentiger nudicervicus'')

황줄망둑(''Tridentiger nudicervicus'')은 검정망둑속에 속하는 어류의 한 종이다. 1934년 토미야마 이치로가 명명하였으며, 영문명은 Bare-naped goby이다. 한국에서는 남해안 및 동해안 일부 지역의 조간대에 서식한다.

2. 1. 5.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학명: ''Tridentiger obscurus'')은 검정망둑속에 속하는 어류의 한 종이다. 1845년 템민크(Temminck)와 슐레겔(Schlegel)이 처음 기재하였다. 영어권에서는 Dusky tripletooth gobyeng라고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전 연안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망둑어 종류 중 하나이다.

2. 1. 6.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대한민국의 서해안 및 남해안에 분포하는 검정망둑속의 한 종이다. 주로 조수웅덩이 등에서 관찰된다. 학명은 ''Tridentiger trigonocephalus''이며, 1859년 미국의 어류학자 T. N. Gill이 명명하였다. 영문명은 Chameleon goby|카멜레온 고비eng이다.

2. 2. 그 외 종

한국에서 발견되지 않는 종은 다음과 같다.

  • ''Tridentiger barbatus'' Günther, 1861 (Shokihaze goby)
  • ''Tridentiger bifasciatus'' Steindachner, 1881 (Shimofuri goby)
  • ''Tridentiger brevispinis'' Katsuyama, R. Arai & M. Nakamura, 1972
  • ''Tridentiger nudicervicus'' Tomiyama, 1934 (Bare-naped goby)
  • ''Tridentiger obscurus'' Temminck & Schlegel, 1845 (Dusky tripletooth goby)
  • ''Tridentiger trigonocephalus'' T. N. Gill, 1859 (Chameleon goby)

2. 2. 1. ''Tridentiger kuroiwae''

D. S. Jordan과 S. Tanaka (I)가 1927년에 명명한 종이다. 일본 류큐 열도 등지에 분포한다.

2. 2. 2. ''Tridentiger microsquamis''

Tridentiger microsquamis는 1931년 H. W. Wu에 의해 명명되었다. 중국 연안에 분포한다.

2. 2. 3. ''Tridentiger radiatus''

Tridentiger radiatus는 2013년 R. F. Cui, Y. S. Pan, X. M. Yang, Y. Y. Wang이 명명하였다.

참조

[1] 간행물
[2] 논문 A new barbeled goby from south China (Teleostei: Gobiidae)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