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에 고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노에 고레코는 고모모조노 천황의 비이자, 고카쿠 천황의 양어머니이다. 1769년 황태자 히데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1770년 히데히토 친왕이 즉위하며 뇨고가 되었다. 1779년 1황녀 요시코 내친왕을 낳았으며, 같은 해 준삼후에 봉해졌으나, 고모모조노 천황이 붕어하자 방계 왕족인 사치노미야를 양자로 삼아 황위를 잇게 했다. 1781년 황태후가 되었으며, 1783년 2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세이카몬인이라는 뇨인호가 추증되었다. 능묘는 쓰키노와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3년 사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83년 사망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고노에가 - 고노에 사키코
고노에 사키코는 고노에 사키히사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로, 고요제이 천황의 후궁이 되어 고미즈노오 천황을 낳았으며, 12명의 자녀를 통해 일본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고노에가 - 고노에 아쓰마로
일본 메이지 시대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고노에 아쓰마로는 공작 작위를 받은 화족 출신으로 귀족원 의원, 귀족원 의장, 가쿠슈인 원장을 역임하며 문벌 정치를 비판하고 범아시아주의를 주창, 동아동문회 설립과 대러동지회 조직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다. - 일본의 황태후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황태후 - 쇼켄 황태후
쇼켄 황태후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로서 사회 사업과 여성 교육에 헌신했으며, 일본 적십자사 설립에 기여하고 국제 적십자 기금 조성에 힘썼다.
고노에 고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노에 고레코 |
원어 이름 | 近衛 維子 |
로마자 표기 | Konoe Koreko |
작위 | 황태후 (천황의 적모) |
재위 시작 | 안에이 10년 (1781년) 3월 15일 |
시호 | 세이카몬인 (盛化門院) |
로마자 표기 | Seikamon-in |
재위 시작 | 덴메이 3년 (1783년) 10월 12일 (1783년 11월 6일) |
출생일 | 호레키 9년 12월 9일 (1760년 1월 26일) |
사망일 | 덴메이 3년 10월 12일 (1783년 11월 6일) |
능묘 | 쓰키노와 능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
휘 | 노리기미 (倫君) |
아버지 | 고노에 우치사키 |
어머니 | 요시다 요시카타의 양녀 |
배우자 | 고모모조노 천황 |
자녀 | 요시코 내친왕 |
양자 | 고카쿠 천황 |
2. 약력
메이와 5년 (1769년) 11월, 황태자 히데히토 친왕 (후의 고모모조노 천황)과 혼인하였다. 메이와 7년 (1770년), 히데히토 친왕이 즉위함에 따라, 안에이 원년 (1772년) 12월에 뇨고 선하를 받았다.
안에이 8년 (1779년) 1월, 요시코 내친왕을 출산하였고, 같은 해 6월에 준삼후에 봉해졌다. 같은 해 11월, 고모모조노 천황이 승하하였다. 고모모조노 천황에게는 요시코 내친왕 외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칸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6왕자 사치노미야 (훗날의 고카쿠 천황)를 고레코의 양자로 삼아 황위를 계승하게 하였다.
안에이 10년 (1781년) 3월, 황태후가 되었다. 덴메이 3년 10월 12일 (1783년 11월 6일)에 2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날, 여원호를 선하받아 '''세이카몬인 (盛化門院)'''이라 불리게 되었다. 능묘는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의 츠키노와릉이다.
2. 1. 혼인과 중궁 책봉
1769년(메이와 5년) 11월, 황태자 히데히토 친왕 (후의 고모모조노 천황)과 혼인하였다. 1770년(메이와 7년), 히데히토 친왕이 고모모조노 천황으로 즉위함에 따라, 1772년(안에이 원년) 12월에 뇨고 선하를 받았다. 뇨고는 천황의 후궁 중 높은 지위였다.2. 2. 고모모조노 천황 시대
안에이 8년 (1779년) 1월에 첫째 딸 요시코 내친왕을 출산하고, 같은 해 6월에 준삼후에 봉해졌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에 고모모조노 천황이 붕어하였다. 천황에게는 요시코 내친왕 외에 다른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급히 방계인 칸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6왕자 사치노미야 (훗날의 고카쿠 천황)를 고레코의 양자로 삼아 황위를 계승하게 하였다.2. 3. 고카쿠 천황 시대
고모모조노 천황이 승하했을 당시, 천황에게는 요시코 내친왕 외에 자녀가 없었다. 이 때문에 급히 방계인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여섯째 아들 사치노미야(훗날의 고카쿠 천황)를 고레코의 양자로 삼아 황위를 계승하게 하였다. 이는 당시 일본 사회에서 여성의 정치적 역할이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레코가 황실의 연속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음을 보여준다.안에이 10년 (1781년) 3월, 황태후가 되었으나, 덴메이 3년 10월 12일(1783년 11월 6일)에 24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 붕어한 날, '''세이카몬인(盛化門院)'''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능묘는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의 쓰키노와릉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