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토부는 일본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수도였던 교토시를 포함한 15개의 시와 10개의 정, 1개의 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광업과 하이테크 산업이 발달했으며, 닌텐도, 교세라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전통 공예품을 보유하고 있다. 1994년 '고도 교토의 문화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북부는 동해, 남부는 오사카부와 접하며, 기후와 지형이 다양하다. 인구는 2005년 265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교토 시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마이즈루 항을 통해 중국, 한국, 러시아와 교류하며, 산시성, 오클라호마주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부 - 교토 신문
교토 신문은 교토부와 시가현을 중심으로 발행되는 주요 지역 일간지로서, 1879년 창간 이후 여러 변화를 거쳐 1942년 현재 명칭으로 통합되었으며, 교토의 역사, 문화, 불교 등에 대한 심도있는 보도를 특징으로 한다. - 교토부 - 무코시
무코시는 교토부 남서부에 위치한 면적 7.67km²의 작은 도시로, 높은 인구밀도를 가지며 죽순 산지로 유명하고, 과거 나가오카쿄의 일부였으며, 현재는 시장-시의회 형태의 정부를 운영하고, 미국 사라토가와 중국 항저우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교토부 - 우지시
우지시는 교토부 남부에 위치하며 우지강을 따라 발달한 도시로, 다양한 지형과 오랜 역사, 전통적인 차 산업으로 유명하며, 우지차의 주요 생산지이자 『겐지 이야기』의 배경,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표주박원을 포함한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교토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교토부 |
일본어 이름 | 京都府 |
로마자 표기 | Kyōto-fu |
유형 | 부 |
위치 | 일본 간사이 지방 혼슈 |
수도 | 교토시 |
면적 | 4,612.19 km² |
면적 순위 | 31위 |
물 면적 비율 | 1.0% |
인구 (2020년 10월 1일) | 2,578,087명 |
인구 순위 | 13위 |
인구 밀도 | 566명/km² |
ISO 코드 | JP-26 |
공식 웹사이트 | 교토부 공식 웹사이트 |
상징 새 |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 |
상징 꽃 | 수양 벚꽃 (Prunus spachiana) |
상징 나무 | 기타야마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
상징 마스코트 | 도스에쨩 |
현의 노래 | 교토부의 노래 (1984년 제정)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군: 6개 시정촌: 26개 |
정치 | |
지사 | 니시와키 다카토시 |
우편 번호 | 602-8570 |
위치 | 교토시 가미교구 시모타치우리도리 신마치니시이루 야부노우치초 85-3 |
경제 | |
GDP | 10조 7,660억 엔 (2019년) |
인접 지역 | |
인접 도도부현 | 후쿠이현 미에현 시가현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
2. 역사
교토는 오랫동안 일본의 역사적인 수도였다. 교토의 역사는 6세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544년부터 좋은 날씨와 풍년을 기원하는 아오이 마쓰리라는 의식을 행하였다.[3]
교토는 처음부터 일본 수도가 아니었다. 초기 일본 수도는 나라였다. 741년 쇼무 천황이 수도를 나라와 교토 사이의 '구니쿄'로 옮겼다. 784년에는 나가오카쿄로 수도를 이전했고,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로 천도하면서 현재 교토 역사가 시작되었다. 오늘날 교토의 거의 모든 거리, 가옥, 상점, 절, 신사는 그 당시의 위치에 그대로 남아있다.
1192년 가마쿠라에 가마쿠라 막부가 세워지면서 정치 권력은 가마쿠라로 이동했지만, 교토는 여전히 수도의 지위를 유지했다.[3] 1333년 겐무 신정으로 잠시 천황의 통치가 복원되었으나, 3년 후 새로운 막부가 교토에 세워졌다. 1467년 오닌의 난으로 교토 대부분이 불타 없어졌고, 일본은 전국 시대로 접어들었다.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지금의 도쿄)에 막부를 세웠다.[3]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천황제가 복원되면서 메이지 천황은 수도를 도쿄로 정했다. 이후 율령국 체제가 개편되어 단고국, 야마시로국, 단바국 동부가 합쳐져 오늘날의 교토부가 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많은 도시들이 폭격을 받았지만, 교토는 그 피해를 면했다.[4] 점령 기간 동안 미국 제6군과 제1군단이 교토에 본부를 두었다.[5][6]
; 쇼와 시대
연도 | 사건 |
---|---|
1945년 (쇼와 20년) | (미국) 제6군 사령부 설치 |
1946년 (쇼와 21년) | (미국) 육군 제1군단 사령부 설치 |
1950년 (쇼와 25년) | 교토부 지사 선거에서 니나가와 도라조 당선, 혁신부정( - 1978년) |
1956년 (쇼와 31년) | 지방재정재건촉진특별조치법에 의한 “재정재건단체”로 지정됨 |
1957년 (쇼와 32년) | 육상자위대 오쿠보 주둔지 설치 |
1964년 (쇼와 39년) |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
1966년 (쇼와 41년) | 국립교토국제회관 개관 |
1972년 (쇼와 47년) |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발족 |
; 헤이세이 시대
연도 | 사건 |
---|---|
1994년 (헤이세이 6년) | 고도 교토의 문화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간사이 문화학술연구도시 도시 개척. |
1997년 (헤이세이 9년) | 교타나베시 발족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교탄고시 발족, 지방진흥국을 재편하여 광역진흥국 설치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교탄바정 발족. 교토 영빈관 개관.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난탄시, 요사노정 발족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기즈가와시 발족 |
2023년 (레이와 5년) | 문화청 이전 개청 |
2. 1. 고대
교토는 오랫동안 일본의 역사적인 수도였다. 교토 역사는 6세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하며, 544년부터는 좋은 날씨와 성공적인 수확을 위하여 아오이 마쓰리라는 의식을 행하였다.[3]교토는 처음부터 일본 수도가 아니었다. 처음 일본 수도는 나라였다. 741년에는 쇼무 천황이 나라와 교토 사이 있었던 '구니쿄'로 수도를 천도하였다. 784년에는 수도를 나가오카쿄로 이동하였고, 794년에는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로 천도하였다. 헤이안쿄 천도는 현대 교토 역사의 시작이었다. 오늘날에도 교토의 거의 모든 거리, 가옥, 상점, 절과 신사가 예전의 자리에 그대로 존재한다.
1192년에는 정치적인 권력이 가마쿠라로 이동하고 사무라이 일족이 가마쿠라 막부를 세웠으나, 교토는 여전히 일본의 수도로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1333년 겐무 신정으로 잠시 천황이 복원되었지만, 다른 사무라이 일족이 3년 후에 교토에 막부를 세웠다. 1467년 오닌의 난으로 교토 안에서 큰 내전이 발생하여 도시 대부분이 불타 없어졌다. 일본은 전국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2. 2. 중세
1192년 막부가 가마쿠라에 세워지면서 실질적인 정치 권력은 가마쿠라로 이동했지만, 교토는 여전히 일본의 수도로서 그 지위를 유지했다.[3] 1333년 겐무 신정으로 천황의 통치가 잠시 복고되었으나, 3년 후 아시카가 가문이 교토에 새로운 막부를 세웠다. 1467년 교토에서 오닌의 난이 일어나 도시 대부분이 불타버렸고, 일본은 전국 시대로 접어들었다. 1603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지금의 도쿄)에 막부를 세웠다.[3]15세기, 쇼군들은 필리핀에서 교토 우지로 가져온 찻잎을 일본 다도에 사용했다.
2. 3. 근세
1192년 가마쿠라 막부가 가마쿠라에서 세워졌지만, 교토는 여전히 일본의 수도로서 자리를 지켰다. 1333년 겐무 신정으로 잠시 천황이 복원되었지만, 3년 후 막부가 교토에 세워졌다. 1467년 오닌의 난으로 교토 대부분이 불탔고, 일본은 전국시대에 돌입했다.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지금의 도쿄)에 막부를 세웠다.[3]산성국에는 막부 직할지 거점인 니조성 외에, 요도번, 탄바국의 가메야마번(가메오카번), 후쿠치야마번, 소노베번, 아야베번, 야마가번, 탄고국의 타나베번, 미네야마번, 미야즈번이 있었다.
; 안토쿠시대(安土桃山時代)
- 에이로쿠(永禄) 11년(1568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상락(上洛)
- 겐키(元亀) 4년(1573년)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 멸망
- 덴쇼(天正) 7년(1579년) 아케치 미쓰히데(明智光秀) 단바국(丹波国) 평정. 전년의 가메야마 성(亀山城)(현 가메오카시(亀岡市))에 이어, 후쿠치야마 성(福知山城)을 현 후쿠치야마시(福知山市)에 축성.
- 덴쇼 10년(1582년)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 야마자키 전투(山崎の戦い)
- 덴쇼 13년(1585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관백(関白) 서임
- 덴쇼 14년(1586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쥬라쿠다이(聚楽第) 조영. 오토이(御土居)를 축조하는 등 교토 대개조 실시
- 덴쇼 20년(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후시미 성(伏見城)(지겟쓰 성(指月城)) 축성
- 분로쿠(文禄) 5년/게이쵸(慶長) 원년(1596년) 게이쵸(慶長) 대지진(실제로는 분로쿠(文禄) 연간), 후시미 성 전괴 후 곧바로 재건(기하타야마 성(木幡山城))
- 게이쵸(慶長) 3년(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후시미 성에서 사망. 히데요리 오사카 성으로 이동.
- 게이쵸 5년(1600년) 후시미 성,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 시 서군의 공격으로 소실. 교토 소시다이(京都所司代) 설치.
- 게이쵸 6년(160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에 의해 후시미 성 재건.
- 게이쵸 8년(1603년) 니죠 성(二条城) 준공. 이에야스, 후시미 성에서 장군 선하(将軍宣下)를 받음.
; 에도 시대(江戸時代)
- 겐와(元和) 9년(1623년) 후시미 성 폐성. 이후 후시미(伏見)는 항만 상업 도시로 발전.
- 분큐(文久) 2년(1862년) 교토 수호직(京都守護職) 설치.
- 분큐 3년(1863년) 신센구미(新選組) 결성.
- 겐지(元治) 원년(1864년) 금문의 변(禁門の変).
- 게이오(慶応) 3년 12월 9일(1868년1월 3일) 왕정복고로 교토 마치부교소(京都町奉行所), 교토 수호직 폐지. 교토시 중 취리역소(京都市中取締役所) 설치.
2. 4. 근대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천황제가 복원되었다. 메이지 천황은 절대적인 권력을 갖게 되면서 일본의 수도를 도쿄로 정하였다. 이후 율령국 체제가 개편되면서 예전의 단고국, 야마시로국, 단바국 동부가 합쳐져 오늘날의 교토부가 되었다.[4]; 메이지 시대
- 메이지 원년/게이오 4년 1월 3일 - 6일(1868년1월 27일 - 30일) 도바-후시미 전투 발생. 교토시 중 억제소가 교토 재판소로 개칭되고, 교토 재판소가 다시 교토부로 개칭되었다. 발족 당시 영역은 산성국의 봉토를 제외한 지역(애타군 90촌, 가쓰라군 83촌, 오토훈군 52촌, 우지군 43촌, 기이군 중 33촌, 구세군 중 19촌, 쓰즈키군 중 43촌, 소라쿠군 중 58촌, 단 소라쿠군의 고이즈미번령 1촌 포함) 및 셋쓰국 시마카미군 1촌(사찰령)이었다. 천황의 도쿄 행행이 있었다.
- 메이지 2년(1869년) 천황의 도쿄 재행이 있었다.
-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이 단행되었다. 제1차 부현 통합으로 산성·탄바 6현이 새로운 '''교토부'''가 되고, 탄바·탄고·타지마 11현이 '''도요오카현'''이 되었다. 교토부는 종래의 산성국 영역에 탄바국 영역의 스와다군, 후나이군, 나니카군을 병합하였다.
- 1876년(메이지 9년) 제2차 부현 통합으로 도요오카현이 폐지되었다. 교토부에 탄고 5군과 탄바국 영역의 아마다군을 병합하여 현재의 교토부 영역이 거의 확정되었다.
- 1877년(메이지 10년) 메이지 천황이 교토 고쇼의 보존을 지시하였다.
- 1889년(메이지 22년) 교토시가 발족하였다. 1898년까지 부지사가 시장을 겸임했다(시제 특례). 히가시마이즈루에 해군 제4진수부(마이즈루 진수부)가 설치되었다.
- 1890년(메이지 23년) 비와호 수로(제1기)가 준공되었다.
- 1892년(메이지 25년) 아야베에서 대본(대본교)이 창시되었다.
- 1894년(메이지 27년) 건도 1100년제가 거행되었다.
- 1895년(메이지 28년) 비와호 수로 게조 발전소의 전기로 일본 최초의 전차(교토 전기 철도) 운행이 시작되었다. 헤이안 신궁이 창건되었고, 시대 축제가 시작되었다.
- 1897년(메이지 30년) 교토 제실 박물관과 교토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 1898년(메이지 31년) 시제 특례(교토부 지사에 의한 교토 시장 겸임)가 종료되었다.
- 1907년(메이지 40년) 후카쿠사에 제16사단이 신설되었다(이전부터 제4사단).
; 쇼와 시대
2. 5. 현대
1192년에는 정치적인 권력이 가마쿠라로 이동하고 사무라이 일족은 가마쿠라 막부를 세웠으나 여전히 일본의 수도로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3] 1333년에 겐무 신정으로 잠시 천황이 복원되었지만 다른 사무라이 일족이 3년 후에 교토에 막부를 세웠다. 1467년에는 교토 안에서 오닌의 난이 발생해 거의 모든 도시들이 불타 없어졌다. 일본은 전국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 다음에 1603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지금의 수도인 도쿄)에 막부를 세웠다.1868년의 메이지 유신으로 천황이 복원되었다. 절대적인 권력을 갖게 된 메이지 천황은 그 때부터 일본의 수도를 도쿄로 정하였다. 이후 율령국 체제의 개편으로 예전의 단고국, 야마시로국과 단바국의 동부가 합쳐져 오늘날의 교토 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많은 도시들이 폭격으로 인해 파괴 되면서도 교토만은 그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4] 점령 기간 동안 미국 제6군과 제1군단이 교토에 본부를 두었다.[5][6]
; 쇼와
연도 | 사건 |
---|---|
1945년 (쇼와 20년) | (미국) 제6군(월터 크루거(Walter Krueger) 대장) 사령부 설치 |
1946년 (쇼와 21년) | (미국) 육군 제1군단 사령부 설치 |
1950년 (쇼와 25년) | 교토부 지사 선거에서 니나가와 코조 당선, 진보 부정( - 1978년) |
1956년 (쇼와 31년) | 지방재정재건촉진특별조치법에 의한 “재정재건단체”로 지정됨 |
1957년 (쇼와 32년) | 육상자위대 오쿠보 주둔지 설치 |
1964년 (쇼와 39년) |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
1966년 (쇼와 41년) | 국립교토국제회관 개관 |
1972년 (쇼와 47년) | 무코이치시, 나가오카쿄시 발족 |
; 헤이세이
연도 | 사건 |
---|---|
1994년 (헤이세이 6년) | 고도 교토의 문화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간사이 문화학술연구도시 도시 개척. |
1997년 (헤이세이 9년) | 교토타나베시 발족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교탄고시 발족, 지방진흥국을 재편하여 광역진흥국 설치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교탄바정 발족. 교토 영빈관 개관.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난탄시, 요사노정 발족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키즈가와시 발족 |
2023년 (레이와 5년) | 문화청 이전 개청 |
교토 부는 일본 혼슈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동해와 후쿠이현, 남쪽으로는 오사카부와 나라현, 동쪽으로는 미에현과 시가현, 서쪽으로는 효고현과 접한다. 현의 중앙에는 단바 산맥이 있어 북쪽과 남쪽의 기후가 매우 다르다.[7] 후쿠이현, 미에현, 시가현,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등 1부 5현이 인접해 있으며, 교토 부와 인접해 있는 유일한 부(府)는 오사카부이다.
3. 지리
국토지리원 지리정보에 따르면, 교토 부의 동서남북 각 끝 지점은 다음과 같다.북단 서단 교토부청 소재지 동단 남단
3. 1. 지형
교토 부는 혼슈와 일본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면적은 4612.19km2이며, 일본 전체 면적의 1.2%를 차지한다. 면적 순으로는 일본에서 31번째로 큰 현이다. 북쪽으로는 일본해와 후쿠이현에 접하고, 남쪽으로는 오사카와 나라현에 접한다. 동쪽으로는 미에와 시가현에 접하며, 서쪽으로는 효고현에 접한다. 현의 중앙부는 단바 산맥으로 나뉘어져 있어, 북쪽과 남쪽의 기후가 크게 다르다.[7]
북부는 단고반도와 마이즈루만, 와카사만으로 일본해에 접한다. 북부에는 단고산지, 후쿠치야마 분지, 중앙부에는 탄바고지, 카메오카 분지, 남부에는 교토분지가 있으며, 해발 1,000m 이하의 저산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부(府) 면적의 75% 이상이 산지·구릉지이다.
;주요 산지
;주요 하천
; 반도
; 만
; 주요 섬3. 2. 기후
교토 부는 혼슈와 일본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현의 중앙부는 단바 산맥으로 나뉘어져 있어, 북쪽과 남쪽의 기후가 크게 다르다. 북부는 일본해 측 기후, 남부의 우지시 이남은 세토 내해식 기후이다. 이에 따라 마이즈루, 아야베 및 단고 지역은 해양성 기후, 그 외 지역은 내륙성 기후를 보인다. 또한, 교토부 북부를 중심으로 폭설 지대가 펼쳐진다. 북부 산간 지역은 대표적인 폭설 지대이며,[28] 카미세야, 키고에서는 적설량이 2m를 넘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다.[29]
평년값 (월 단위) | 단고 | 마이즈루·아야베 | 후쿠치야마 | 난탄·교탄바 | 교토·가메오카 | 산조 북부 | |||||||||||
---|---|---|---|---|---|---|---|---|---|---|---|---|---|---|---|---|---|
교토부 단고시 | 미야즈 | 마이즈루 | 아야베 | 후쿠치야마 | 교토부 난탄시 미야마 | 교탄바 | 교토시 | 나가오카쿄 | 교타나베 | ||||||||
마히토 | 미네야마 | 오카마치 | 코야오카 | 아라가와 | 미타케 | 미와 | 혼죠 | 스치 | 니시노쿄 | 쿄호쿠 | |||||||
평균 기온 (°C) | 최난월 | 26.3 (8월) | 26.4 (8월) | 26.5 (8월) | 26.4 (8월) | 24.9 (8월) | 27.8 (8월) | 26.6 (8월) | |||||||||
최한월 | 4.8 (2월) | 3.5 (2월) | 3.4 (1,2월) | 2.0 (1월) | 1.7 (1,2월) | 4.0 (1월) | 3.7 (1월) | ||||||||||
강수량 (mm) | 최다월 | 213.3 (12월) | 213.5 (1월) | 213.5 (9월) | 229.8 (9월) | 198.9 (9월) | 227.9 (9월) | 200.9 (9월) | 196.4 (7월) | 225.0 (9월) | 215.4 (6월) | 197.6 (7월) | 198.6 (7월) | 229.9 (6월) | 204.0 (7월) | 249.9 (6월) | 221.2 (6월) |
최소월 | 101.8 (4월) | 100.7 (4월) | 108.3 (4월) | 115.3 (4월) | 69.7 (12월) | 119.9 (4월) | 62.7 (12월) | 98.2 (11월) | 68.5 (12월) | 103.6 (12월) | 83.3 (12월) | 55.1 (12월) | 41.7 (12월) | 73.9 (12월) | 36.7 (12월) | 40.1 (12월) | |
강수 일수 (일) | 최다월 | 22.4 (1월) | 22.2 (1월) | 19.4 (1월) | 17.9 (1월) | 15.9 (1월) | 20.2 (1월) | 14.8 (1,2월) | 18.2 (1월) | 14.8 (3월) | 17.9 (1월) | 16.0 (1월) | 13.6 (3월) | 11.9 (6월) | 15.3 (2월) | 12.0 (6월) | 12.4 (6월) |
최소월 | 8.3 (8월) | 9.0 (8월) | 9.0 (8월) | 8.8 (8월) | 7.2 (8월) | 9.4 (8월) | 9.0 (8월) | 9.4 (8월) | 8.2 (8월) | 8.9 (8월) | 9.0 (8월) | 7.7 (8월) | 6.1 (11,12월) | 8.8 (8월) | 5.9 (12월) | 6.0 (12월) |
3. 3. 인접 도도부현
교토부는 혼슈와 일본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동해, 후쿠이현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오사카부, 나라현과 접한다. 동쪽으로는 미에현, 시가현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효고현과 접한다. 현은 가운데가 단바 산맥에 의해 분리되고 이것 때문에 북쪽과 남쪽의 기후가 아주 다르다. 후쿠이현, 미에현, 시가현,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등 1부 5현이 인접해 있으며, 교토부와 인접해 있는 유일한 부(府)는 오사카부이다.4. 행정 구역
교토부는 15개의 시, 6개 군, 10개 정, 1개 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의 발음은 모두 「ちょう」이며, 촌은 미나미야마시로촌 1곳뿐으로 「むら」라고 읽는다. 부청에 의해 다나고, 츄탄, 난탄, 교토시, 야마시로의 5개 지역권으로 나뉜다.[31]
교토부는 정령지정도시인 교토시와 일반 시, 그리고 여러 군(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군에는 정(町)과 촌(村)이 속해 있다.
; 일반 시
교토부에는 교토시를 포함하여 15개의 시가 있다.
기, 이름 (접미사 제외) | 정식 명칭 | 면적 (km2) | 인구 | 지도 | ||
---|---|---|---|---|---|---|
일본어 | 로마자 표기 | 번역 | ||||
綾部市 | Ayabe-shi | 아야베시 | 347.1km2 | 31,846 | 1 | |
福知山市 | Fukuchiyama-shi | 후쿠치야마시 | 552.54km2 | 77,306 | 2 | |
城陽市 | Jōyō-shi | 조요시 | 32.71km2 | 74,607 | 3 | |
亀岡市 | Kameoka-shi | 카메오카시 | 224.8km2 | 86,174 | 4 | |
木津川市 | Kizugawa-shi | 키즈가와시 | 85.13km2 | 77,907 | 5 | |
京田辺市 | Kyōtanabe-shi | 쿄타나베시 | 42.92km2 | 73,753 | 6 | |
京丹後市 | Kyōtango-shi | 쿄탄고시 | 501.44km2 | 50,860 | 7 | |
舞鶴市 | Maizuru-shi | 마이즈루시 | 342.13km2 | 80,336 | 9 | |
宮津市 | Miyazu-shi | 미야즈시 | 172.74km2 | 16,758 | 10 | |
向日市 | Mukō-shi | 무코시 | 7.72km2 | 56,859 | 11 | |
長岡京市 | Nagaokakyō-shi | 나가오카쿄시 | 19.17km2 | 80,608 | 12 | |
南丹市 | Nantan-shi | 난탄시 | 616.4km2 | 31,629 | 13 | |
宇治市 | Uji-shi | 우지시 | 67.54km2 | 179,630 | 14 | |
八幡市 | Yawata-shi | 야와타시 | 24.35km2 | 70,433 | 15 |
간사이 과학 도시는 교토부 남서쪽에 있다.
; 군 (정·촌)
기, 이름 접미사 제외 | 정식 명칭 | 면적 (km2) | 인구 | 군 | 지도 | ||
---|---|---|---|---|---|---|---|
일본어 | 로마자 표기 | 번역 | |||||
井手町 | Ide-chō | 이데정 | 18.04km2 | 7,406 | 쓰즈키군 | 16 | |
伊根町 | Ine-chō | 이네정 | 61.95km2 | 1,928 | 요사군 | 17 | |
笠置町 | Kasagi-chō | 카사기정 | 23.52km2 | 1,144 | 소라쿠군 | 18 | |
久御山町 | Kumiyama-chō | 쿠미야마정 | 13.86km2 | 15,250 | 쿠세군 | 19 | |
京丹波町 | Kyōtamba-chō | 쿄탄바정 | 303.09km2 | 12,907 | 후나이군 | 20 | |
南山城村 | Minamiyamashiro-mura | 미나미야마시로촌 | 64.11km2 | 2,391 | 소라쿠군 | 21 | |
大山崎町 | Ōyamazaki-chō | 오야마자키정 | 5.97km2 | 15,953 | 오토쿠니군 | 22 | |
精華町 | Seika-chō | 세이카정 | 25.68km2 | 36,198 | 소라쿠군 | 23 | |
宇治田原町 | Ujitawara-chō | 우지타와라정 | 58.16km2 | 8,911 | 쓰즈키군 | 24 | |
和束町 | Wazuka-chō | 와즈카정 | 64.93km2 | 3,478 | 소라쿠군 | 25 | |
与謝野町 | Yosano-chō | 요사노정 | 108.38km2 | 20,092 | 요사군 | 26 |
4. 1. 정령지정도시
교토시는 정령지정도시로,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일본의 수도였다. 교토부의 부청 소재지이며, 다음과 같은 11개의 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