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수절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고려수절신(高麗守節臣)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을 때, 유교의 대의명분을 따라 충절을 지켰던 고려 말의 학자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조선 왕조에서 벼슬을 하지 않고 은둔하거나,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반대하다가 살해되기도 하였습니다.
두문동 72현(杜門洞七十二賢)특히 두문동에 들어가 은둔했던 72명은 두문동 72현이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조선 건국 후 새 왕조에 출사하지 않고, 두문동(현재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들어가 마을의 동쪽과 서쪽에 문을 세우고 빗장을 걸어 문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두문동 72현의 이름이 모두 전해지지는 않지만, 알려진 인물로는 임선미(林先味), 조의생(曺義生), 성사제(成思齊), 박문수(朴門壽), 민안부(閔安富), 김충한(金沖漢), 이의(李倚) 등이 있습니다.
고려수절신의 상징성고려수절신은 후대에 절개의 상징으로 숭상되었습니다. 조선 영조는 1740년에 개성을 방문했을 때 부조현(不朝峴)의 유래를 듣고 시를 짓고 비석을 세웠으며, 1751년에는 두문동 72현에게 제사를 지내게 하고 비석을 세우도록 하였습니다. 정조 때에는 이들의 이야기가 알려져 개성에 표절사(表節祠)라는 사당이 세워지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고려수절신


  • 이양중(李養中):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석탄(石灘). 두문동 72현 중 한 명으로, 광주시에 묘가 있습니다.
  • 이이(李이): 본관은 원주(原州). 고려 말 예부 상서를 지낸 이반계(李攀桂)의 아들입니다.
  • 노신(魯愼): 함평 노씨, 호는 악은(嶽隱).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었고, 상장군, 함풍군에 봉해졌습니다. 조선 건국 후 두문동에 들어갔다가 함평으로 돌아가 은거했습니다.
  • 길재(吉再), 서견(徐甄), 김주(金澍): 이양중과 함께 절의를 지킨 사군자(四君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려수절신은 단순한 역사 속 인물들을 넘어, 절개와 충절이라는 유교적 가치를 상징하는 존재로 조선시대 내내, 그리고 현재까지도 그 의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고려수절신
기본 정보
이름고려수절신
다른 이름두문동 72현
주요 인물조견
임선미
맹호성
변숭조
서중
이경
장자온
전가식
최여
신석
강진
고천우
김충한
박문수
송복흥
이숭
정신
주저
최운해
관련 정보
관련 장소두문동
관련 서적두문동실기
배경
배경 설명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키며 새 왕조에 나아가지 않고 두문동에 은거한 72명의 충신들을 일컫는 말이다.
역사적 의미
역사적 의미 설명이들은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키며 절의를 숭상하는 상징적인 인물들로 여겨진다.
기원 및 유래
두문동 유래두문동은 본래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廣德面)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이들이 은거한 곳이라 하여 '두문불출(杜門不出)'의 고사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두문동 72현의 삶
은거 생활이들은 두문동에 모여 농사를 짓거나 땔감을 팔아 생활하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조선의 회유이성계는 이들을 회유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들의 충절은 더욱 굳건해졌다.
두문동 관련 설화
방화 설화이들의 절개를 시험하기 위해 불을 질렀다는 설화가 전해지지만,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두문동 72현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존경받으며, 절의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부정적 평가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집을 부렸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