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왕산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왕산 전투는 한국 전쟁 중 고왕산을 점령하기 위해 1951년 10월부터 1952년 10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투를 통칭한다. 1차 전투는 1951년 10월 3일부터 4일까지 영연방 제1사단 예하 부대가 고왕산과 277고지를 점령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2차 전투는 1951년 11월 22일부터 25일까지 캐나다 왕립 제22연대와 중공군 간에 벌어졌으며, 미 제3보병사단이 355고지 정상을 탈환하는 과정에서 캐나다군과 미군 모두 많은 사상자를 냈다. 3차 전투는 1952년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캐나다 왕립 연대가 중공군의 공격을 받아 고지를 빼앗겼다가 탈환하는 과정에서 캐나다군이 큰 피해를 입었다. 캐나다 왕립 연대는 이 전투를 기념하여 매년 10월 25일을 고왕산의 날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10월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52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사회당 분열 속에서 자유당이 압승을 거두며 장기 집권을 이끌었으나, 공산당 몰락, 야당 지지율 하락, 높은 기권율, 무소속 당선 등 정치적 혼란과 특징을 남겼다.
  • 1952년 10월 - 백마고지 전투
    백마고지 전투는 1952년 한국 전쟁 중 철원 서북방 395고지(백마고지)를 두고 국군 제9보병사단과 중공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10일간 12차례의 공방전 끝에 국군이 승리하여 한국군 증강에 기여했으며, 격전으로 산의 모습이 백마와 같아 백마고지로 불리게 되었다.
  • 캐나다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캐나다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52년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저격능선 전투
    한국전쟁 중 철의 삼각지대 내 저격능선에서 벌어진 저격능선 전투는 국군 제2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과의 치열한 고지 쟁탈전 끝에 승리하여 유엔군이 휴전 회담을 유리하게 이끄는 데 기여했다.
  • 1952년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백마고지 전투
    백마고지 전투는 1952년 한국 전쟁 중 철원 서북방 395고지(백마고지)를 두고 국군 제9보병사단과 중공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10일간 12차례의 공방전 끝에 국군이 승리하여 한국군 증강에 기여했으며, 격전으로 산의 모습이 백마와 같아 백마고지로 불리게 되었다.
고왕산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고왕산 전투 또는 355고지 전투
전체한국 전쟁
날짜1951년 10월 3일~4일
장소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고왕산
결과유엔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유엔
참가국 1영국
교전국 2중화인민공화국
군대 1King's Own Scottish Borderers
전투 정보
분쟁고왕산 전투 또는 355고지 전투
전체한국 전쟁
날짜1951년 11월 22일~25일
장소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고왕산
결과유엔군 및 캐나다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유엔
참가국 1캐나다 왕립 제22연대
교전국 2중화인민공화국
병력 121명
병력 214,000명
사상자 116명 전사
전투 정보
분쟁고왕산 전투 또는 355고지 전투
전체한국 전쟁
날짜1952년 10월 23일~24일
장소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고왕산
결과유엔군 및 캐나다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유엔
참가국 1캐나다 왕립 연대
교전국 2중화인민공화국
병력 121명
병력 214,000명
사상자 118명 전사

2. 1차 고왕산 전투 (1951년 10월 3일~4일)

1951년 10월 3일, 코만도 작전의 일환으로 영연방 제1사단 예하 영연방 제28여단 소속 King's Own Scottish Borderers 부대가 고왕산(355고지)을, King's Shropshire Light Infantry 부대가 277고지를 공격했다. 10월 4일, 이들 부대는 양 고지를 점령하였다.[7]

같은 날, 제1영연방사단은 중국인민지원군으로부터 고왕산과 인접 지형을 점령하기 위한 공격을 개시했다. 다음 날, KOSB는 355고지(고왕산)를, KSLI는 277고지를, 3 RAR는 199고지를, 로열 22 연대는 강서리 지역을, 2 PPCLI는 부곡리 서쪽 지역을, 로열 캐나다 연대는 187고지 지역을 점령했다.

3. 2차 고왕산 전투 (1951년 11월 22일~25일)

1951년 11월 22일부터 25일까지 캐나다 왕립 제22연대와 중공군이 고왕산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캐나다 왕립 22연대는 16명이 전사하였다.[2]

미국 제3보병사단은 "리틀 지브롤터"로 알려진 355고지(고왕산) 정상을 점령하고 있었으나, 여러 사단의 중국 인민지원군 병력의 공격으로 인해 이 전략적 요충지에서 밀려났다.

로열 22연대 (반두스)는 중국 인민지원군의 공격을 받았지만, 355고지(고왕산)의 서쪽 측면을 사수했다. 레오 메이저가 이끄는 20명의 특수 작전 소대는 하룻밤 동안의 공격으로 로열 22연대(RCR) 진지를 내려다보는 355고지 서쪽 측면에 위치한 227고지를 점령했다.

다음 날, 미 제3사단은 355고지 정상을 탈환하려 했고, 이틀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해당 지점을 되찾았다.

이 전투에서 캐나다군은 16명이 전사하고, 34명이 부상당했으며, 3명이 포로로 잡혔다.[2] 미 제3사단 또한 3일간의 전투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다.

4. 3차 고왕산 전투 (1952년 10월 23일~24일)

1952년 10월 23일 캐나다 왕립 연대중공군의 급습을 받고 한때 고왕산 서측방의 고지를 잃었으나 역습으로 이를 되찾아 주저항선을 회복하였다. 10월 24일 중공군은 다시 공격하여 여단의 포병 화력지원에도 불구하고 진내로 접근하였고, 중대는 수류탄과 백병전으로 맞섰으나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진지 일부가 적의 수중에 들어갔다. D중대는 자정 무렵 특공대를 조직하여 역습하였고 진지를 다시 탈환하였다.[8]

로열 캐나디안 연대가 고지를 점령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중공군의 포병 공격에 이어 보병 공격이 가해져 많은 병력이 밀려났다. 그 후 캐나다군의 야간 포격이 이어졌는데, 이는 은신할 기회를 갖지 못한 중공군에게 강력한 효과를 발휘했고, 이어서 캐나다 보병의 반격이 뒤따랐다.[3]

이 전투에서 캐나다군 18명이 전사하고 35명이 부상당했으며 14명이 포로로 잡혔는데, 이는 한국 전쟁 중 캐나다군의 두 번째로 높은 일일 사상자 수였다.[3]

5. 오보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제2차 후크고지 전투와 혼동하여 보도된 적이 있다.[9][10] 그러나 제2차 후크고지 전투와 고왕산 전투는 각각 완전히 별개의 전투이다.[11][12]

6. 기념

로열 캐나디안 연대는 매년 10월 25일(고왕산의 날)에 이 전투를 기념한다.[4][13]

참조

[1] 웹사이트 Past Events - Official website https://www.thercrmu[...]
[2] 웹사이트 Canada Remembers Hill 355 https://www.veterans[...]
[3] 웹사이트 Remembering Hill 355 — a forgotten battle in an almost forgotten war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10-24
[4] 웹사이트 Upcoming Events - Upcoming events - Royal Canadian Regiment Official website https://thercr.ca/up[...]
[5] 뉴스 조희용 대사, 캐나다 왕립 연대 창설 130주년 기념행사 참석 http://www.dongponew[...]
[6] 웹인용 Canada Remembers Hill 355 Historical Sheet https://www.veterans[...] 2019-11-30
[7] 웹인용 한국전쟁사(韓國戰爭史) 제7권 - 대진 초기 (p. 429)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https://new.mnd.go.k[...] 2023-09-25
[8] 웹사이트 UN군의 전투 https://demaclub.tis[...]
[9] 웹사이트 밴쿠버 고왕산 전투 기념식 거행 https://joinsmediaca[...]
[10] 뉴스 "총성 멈추자 전선에서 노래…" 69년 만에 전해진 소년병의 편지 https://www.yna.co.k[...]
[11] 서적 UN군지원사
[12] 서적 6·25전쟁과 UN군
[13] 웹사이트 Upcoming Events - 캐나다 왕립 연대 공식 웹사이트 https://thercr.ca/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