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민지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인민지원군은 1950년 10월 19일부터 1958년 10월 26일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군대이다. 6.25 전쟁 발발 후 유엔군의 북진에 대응하여 펑더화이의 지휘 하에 압록강을 건너 참전했으며, '지원군'이라는 명칭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을 파견했다. 중국은 한국 전쟁 참전을 "유엔의 가면을 쓴 미국의 침략"에 대한 대응이라고 정당화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은 인해전술, 매복, 측면 공격 등 다양한 전술을 사용했으며, 1953년 휴전 이후에도 북한에 주둔하며 전후 복구를 지원했다. 중국과 북한은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을 기념하며, 관련 기념관과 열사릉을 건립하여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인민지원군 -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윈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중국인민지원군 전사자들을 안장하고, 전쟁의 희생을 기리며 평화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묘역이다. - 1958년 폐지 -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지지 세력이 창당 후 윤치영을 중심으로 재창당되어 원내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 자유당 창당과 이승만의 권위주의 통치 강화로 쇠퇴하여 자유당에 흡수, 해산되었으며, 일민주의를 당의 강령으로 삼았다. - 1958년 폐지 - 시리아 공화국
시리아 공화국은 1930년 프랑스 위임 통치 하에 시리아 국가에서 시작되어 1946년 독립을 달성했으나, 쿠데타와 정권 교체를 겪었으며, 1963년 바트당의 쿠데타로 일당 독재 체제가 구축되었다.
중국인민지원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중국인민지원군 |
원어 명칭 | 중국어 간체: 中国人民志愿军 중국어 정체: 中國人民志願軍 병음: Zhōngguó Rénmín Zhìyuànjūn 웨이드-자일스: Chung-kuo Jen-min Chih-yüan-chün 주음 부호: ㄓㄨㄥ ㄍㄨㄛˊ ㄖㄣˊ ㄇㄧㄣˊ ㄓˋ ㄩㄢˋ ㄐㄩㄣ 광둥어: Zung¹gwok³ Jan⁴man⁴ Zi³jyun⁶gwan¹ 한국어: 중국인민지원군 |
영문 명칭 | People's Volunteer Army (PVA) |
약칭 | PVA |
별칭 | 가장 귀여운 사람들 (Most Beloved People) 최가애적인 (最可爱的人) |
표어 | 항미원조, 보가위국 (抗美援朝,保家卫国) |
표어 (영어) | "Resist U.S. and aid Korea, to defend our homeland" (미국에 저항하고 한국을 지원하여 조국을 지키다) |
군사 정보 | |
창설 | 1950년 |
해체 | 1958년 (전투 부대) 1954년–1994년 (대표단)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
병과 | 육군 해군 공군 |
규모 | 300만 명 이상 |
역할 | 연합군 북한 방어 중국 동북부 방어 원정군 단기 공격 |
사령 구조 | 중국 공산당 |
주둔지 | 북한 |
군가 | Battle Hymn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펑더화이 천겅 덩화 훙쉐즈 한셴추 쑹스룬 |
지휘관 (펑더화이) | 초대 사령관 겸 정치위원 (1950–1952) |
지휘관 (천겅) | 2대 사령관 겸 정치위원 (1952) |
지휘관 (덩화) | 3대 사령관 겸 정치위원 (1952–1953)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전투 | 한국 전쟁 |
참전 전투 | 온정리 전투 운산 전투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의정부 전투 (1951년) 선더볼트 작전 설마리 전투 지평리 전투 가평 전투 용문산 전투 한강 해전 (1951년) 외 다수 |
2. 배경
1950년 6월 25일 새벽, 조선인민군의 기습 남침으로 6.25 전쟁이 발발했다. 초기에는 조선인민군이 우세했으나, 미국군을 주축으로 한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성공시키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유엔군은 평양을 점령하고 압록강까지 진격했다.
1949년에 수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군이 38선을 넘을 경우 국가 안보를 이유로 참전할 것이라고 경고했었다. 더글러스 맥아더를 비롯한 일부는 중국과 만주까지 확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소련 참전의 빌미를 우려하여 반대했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은 강계시를 임시 수도로 정하고 중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마오쩌둥은 펑더화이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중국인민지원군을 결성하여 1950년 10월 19일부터 한국 전쟁에 개입하였다. 최초 전투 개시일은 10월 25일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날을 중국인민지원군의 날로 기념한다.
중국은 미국과의 전면전을 피하기 위해 '지원군'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5] 이는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을 도왔던 조선 의용군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의미도 있었다.[6]
중국은 전쟁 개입을 "UN의 가면을 쓴 미국의 침략"에 대한 대응이라고 정당화했다. 중국 정책 결정자들은 미국 주도의 북한 침공이 결국 중국 침략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고, 국내 반혁명 활동 고조와 맥아더의 전쟁 확대 발언도 이러한 두려움을 강화시켰다.[13]
1950년 10월 15일, 웨이크 섬 회담에서 트루먼은 맥아더에게 중국 개입 가능성을 물었고, 맥아더는 "만약 중국이 평양으로 내려오려 한다면, 엄청난 학살이 일어날 것"이라고 답했다.
2. 1. 중화인민공화국의 결정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 발발 이후, 한국군은 미군 중심의 유엔군과 함께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를 역전시켜 평양을 점령하고 압록강 근처 중국 국경까지 도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38선을 넘으면 군대를 보내겠다고 경고했으나,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관은 이를 무시했다.[5] 북한의 김일성은 중국에 지원을 요청했다.유엔군은 미국의 지휘를 받았지만, 공식적으로는 UN의 "경찰" 부대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 및 다른 UN 회원국들과의 전면전을 피하기 위해, 인민해방군을 "지원군"이라는 이름으로 파견했다.[5] 이 명칭은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동안 중국 공산당을 도왔던 조선 의용군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의미도 있었다.[6]
1950년 7월 7일,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 함께 한국 전쟁에 대한 군사 준비 회의를 주재했고, 인민해방군 제13군을 동북변방군으로 전환하여 전쟁 개입 준비를 결정했다.[8] 8월 20일, 저우언라이는 UN에 "한국은 중국의 이웃... 중국 인민은 한국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라고 알렸다.[9]
10월 1일, 스탈린은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에게 군사 개입을 요청했고, 김일성도 간절히 호소했다. 10월 2일부터 5일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중국 지도자들은 참전 여부를 논쟁했고, 마오쩌둥은 개입을 강력히 지지했다. 펑더화이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중앙정치국은 한국 개입을 결정했다.[11]
10월 8일, 마오쩌둥은 동북변방군을 중국인민지원군으로 재지정하고 압록강 도하 준비 명령을 내렸다.[12] 저우언라이는 스탈린의 지원을 받기 위해 소련을 방문했다. 스탈린은 처음에는 군사 장비와 탄약 지원을 약속했지만, 이후 소련 공군의 작전 준비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스탈린은 장비를 신용으로만 제공하고, 소련 공군은 중국 영공에서만 작전할 것이라고 통보했다.[10]
10월 13일 회의에서 정치국은 소련의 공중 지원 없이도 개입하기로 결정했다.[13] 10월 18일, 20만 명의 인민지원군을 북한에 투입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10월 19일 압록강을 건넜다.[12]
초기 투입 병력은 20만 명, 후방 대기 부대까지 포함하면 100만 명에 달했으며, 간도 (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조선족 부대도 다수 포함되었다.
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고 한국군은 계속 밀렸다. 그러나 미군을 중심으로 한 국제 연합군이 참전하고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를 역전시켜 서울을 수복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반도 정세에 개입하여 38선을 넘으면 군대를 북한에 보낸다고 경고하였으나, 연합군 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는 대한민국의 통일을 위해 북상하여 평양을 점령하고 압록강 근처 중국 국경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은 강계시를 임시 수도로 정하고 중화인민공화국에 지원을 요청하였다.3. 주요 전투 및 작전
1950년 10월 25일, 중국인민지원군은 온정 전투와 운산 전투에서 첫 공세를 시작했다.[19] 이 초기 교전에서 중국군은 뛰어난 위장술을 발휘하여 병력 규모를 숨겼고, 유엔군은 이들의 철수를 약점으로 오판했다.
1950년 11월 25일, 중국인민지원군은 서부의 청천강 전투와 동부의 장진호 전투에서 대대적인 제2차 공세를 개시했다. 청천강 전투에서는 미군 제2보병사단이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고, 장진호 전투에서는 제7보병사단의 신앙 기동 부대(Task Force Faith)가 포위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는 중국인민지원군에게 큰 성공으로 기록되었다.[6] 1950년 12월, 중공군은 평양을 점령했으며, 이 과정에서 흥남 철수가 이루어져 10만 명의 군인과 물자, 10만 명의 민간인이 흥남 항구에서 철수했다.
1950년 12월 31일, 중국인민지원군은 38선을 넘어 한국군을 공격하며 1·4 후퇴를 초래, 1951년 1월 4일 서울을 재점령했다. 그러나 과도한 전선 확장으로 인해 중국인민지원군은 큰 피해를 입고 휴식이 필요했다.
1951년 1월, 유엔군은 썬더볼트 작전과 라운드업 작전을 통해 반격을 시작했다. 이에 중국인민지원군은 횡성 전투에서 반격했지만, 지평리 전투에서 저지당했다. 이후 킬러 작전과 리퍼 작전으로 1951년 3월, 유엔군은 서울을 탈환했다.
1951년 4월 22일, 중국인민지원군은 70만 명의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춘계 공세를 시작했다. 이 공세는 임진강 전투, 율정 전투, 화천 전투, 가평 전투, 소양강 전투 등에서 치열한 전투로 이어졌으나, 유엔 1951년 5~6월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저지되었다. 특히 제180사단의 궤멸은 중국군에게 최악의 패배로 기록되었다.[22]
이후 전선은 38선 부근에서 교착되었고, 1951년 7월부터 개성에서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다. 협상 기간 동안에도 단장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삼각고지 전투, 후크 고지 전투 등 치열한 고지전이 계속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전투는 종료되었고, 군사 분계선을 따라 비무장 지대가 설치되었다.
시기 | 작전명 | 주요 전투 |
---|---|---|
1950년 10월 | 제1차 공세 | 온정 전투, 운산 전투 |
1950년 11월 ~ 12월 | 제2차 공세 | 청천강 전투, 장진호 전투, 신앙 부대 |
1950년 12월 ~ 1951년 1월 | 제3차 공세 | 3차 서울 |
1951년 1월 ~ 3월 | 제4차 공세 | 번개, 쌍굴 전투, 라운드업, 횡성 전투, 지평리 전투, 3차 원주, 킬러 작전, 리퍼 작전, 러기드 작전, 던틀리스 작전 |
1951년 4월 ~ 5월 | 중국 춘계 공세(제5차 공세) | 임진강 전투, 율정 전투, 화천 전투, 가평 전투, 소양강 전투 |
1951년 6월 ~ 1953년 7월 | 교착 상태 | 단장의 능선 전투, 코만도, 1차 마량산, 학당리 전투, 폴차지, 2차 마량산, 힐 이리 전투, 올드발디 전투, 블레이즈, 벙커 힐, 켈리 전초 기지, 백마고지 전투, 삼각고지 전투, 잭슨 하이츠 전투, 노리스 전투, 1차 후크, 2차 후크, 챗콜 전투, 라스베가스 전초 기지, 돼지 고지 전투, 네바다 컴플렉스, 3차 후크, 해리 전초 기지, 금성 전투, 베를린 전초 기지 및 볼더 시티, 사미천 전투 |
3. 1. 전술 및 전략
중국인민지원군은 국공 내전에서 사용했던 과감한 우회와 매복, 그리고 결정적인 순간에는 수많은 인명피해를 무릅쓴 소위 "인해전술"을 사용하였다.[86] 국제 연합군이 승리감에 도취되어 경계를 소홀히 하며 전진할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깊은 산악 지대에서 매복하고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전력을 집중시켜 국제 연합군을 격파하고 남하하였다. 특히 인민지원군은 상대방의 약한 고리를 먼저 치는 고전적이면서도 확실한 전법을 선호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군보다 실력이 부족한 대한민국 국군이 주된 공세의 대상이었다.[86]1950년 10월 19일, 중국인민지원군은 엄격한 기밀 속에 압록강을 건너 참전했다. 펑더화이의 지휘 아래 27만 명의 병력이 투입되어 10월 25일 제1차 공세가 시작되었다.[19] 중국인민지원군은 야영지 규율과 "어둠에서 어둠으로"(19:00-03:00) 행군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중 탐지를 최소화했다.[19] 이러한 전장 규율을 통해 세 사단 군대가 만주 안둥에서 전투 지역까지 약 460km를 19일 만에 행군할 수 있었다.[19]
중국인민지원군은 우세한 병력으로 보이도록 측면 공격 및 후방 공격을 빠르게 수행하고 침투 전술을 유엔군 후방에 사용했다. 병력을 병력 집중하여 상대보다 국지적으로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술을 사용했다.[24][25] 초기 중국인민지원군의 승리는 큰 사기 진작이 되었다. 그러나 1951년 말까지, 지나치게 확장된 보급선과 우수한 유엔군의 화력으로 인해 교착 상태가 되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주요 무기는 노획한 일본 및 국민당 무기였다.[26]
베빈 알렉산더는 그의 저서 ''전쟁은 어떻게 승리하는가''에서 중국의 전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중국군은 공군력이 없었고, 소총, 기관총, 수류탄, 박격포만으로 무장했다. 훨씬 더 강력하게 무장한 미국을 상대로 그들은 1946-49년의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을 상대로 사용했던 기술을 채택했다. 중국군은 일반적으로 야간에 공격을 가해 소규모 부대 위치(일반적으로 소대)에 접근하여 국지적 수적 우위를 점했다. 일반적인 방법은 50명 규모의 소대에서 200명 규모의 중대까지 소규모 부대를 침투시켜 별도의 분대로 나누는 것이었다. 한 팀이 미군의 퇴로를 차단하는 동안 다른 팀은 정면과 측면을 동시에 공격했다. 방어군이 파괴되거나 철수할 때까지 모든 측면에서 공격이 계속되었다.
로이 애플먼은 초기 중국 전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제1단계 공세에서 고도로 숙련된 적 경보병 부대가 중국군의 공격을 수행했으며, 일반적으로 박격포보다 큰 무기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그들의 공격은 중국군이 잘 훈련된 규율 있는 전투병이며, 특히 야간 전투에 능숙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위장의 기술에 능숙했다. ... "팔기식(八字式)"이라는 전술을 사용했는데, 이는 적군이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V자형 대형이었으며, V자의 측면은 적군을 포위하는 동안 다른 부대가 V자 입구 아래로 이동하여 갇힌 부대를 구출하려는 병력과 교전했다.[27]
중국인민지원군은 한반도 북부 특유의 산지를 엄폐로 활용하면서 병사를 밀어 넣는 인해 전술을 펼쳤다. 대규모로 쇄도하는 중국인민지원군에 맞서 유엔군은 M16 대공 자주포를 보병에게 사용할 정도였다.[62] 또한 전선에서는 차르멜라나 징을 울려 미국군과 한국군을 위협했다.[63]
4. 편제 및 구성
중국인민지원군은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조선인민군이 유엔군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인해 평양을 점령당하고 압록강까지 밀리자,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참전을 결정하면서 편성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련과의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을 맺고 있었기에, 미국과의 전면전으로 확전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정규군인 중국 인민해방군 대신 "지원군"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5] 1950년 7월 7일, 저우언라이가 소집한 국방군사회의에서 동북변방군 창설이 결정되었고,[60] 제13병단(제38군, 제39군, 제40군) 및 제42군 등을 주축으로 편성되었다.
10월 8일, 마오쩌둥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명령에 따라 동북변방군은 중국인민지원군으로 개편되었고, 펑더화이가 사령관 겸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었다.[61] 초기 참전 병력은 20만 명이었으며, 후방 대기 부대까지 포함하면 100만 명에 달했다. 간도 (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조선인 부대도 다수 포함되었다.
10월 19일, 중국인민지원군은 압록강을 건너 참전하여,[85] 10월 25일 온정리 전투에서 한국군을 기습 공격하며 첫 번째 공세를 시작했다. 중조 연합 사령부가 설치되어 조선인민군은 박일우의 지휘 하에 놓였다. 중국인민지원군은 인해 전술과 미그-15 전투기 등을 동원하여 유엔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중국인민지원군 병사들은 게릴라전 경험과 평등주의적 전통에 따라 비교적 간소한 복장을 착용했다.[14] 녹색 또는 카키색 면/모직 셔츠와 바지를 입었고, 지휘관은 재단이 다른 군복을 입었다.[15][16]
초기에는 일본 제국 육군에서 노획하거나 국민당 군에게서 빼앗은 무기를 사용했고, 체코슬로바키아산 무기도 구입했다.[15] 톰슨 기관단총의 현지 복제품도 생산되었다.[15] 이후 소련의 지원을 받아 PPSh-41 기관단총 (Type 50) 등 소련제 무기를 면허 생산했다.[17][18] Karabiner 98k 소총과 같은 제2차 세계 대전 독일제 소형 무기도 사용했다.
참전 당시(1950년 10월~12월)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85]
부대 | 구성 |
---|---|
사령부 | |
정치부 | |
동북군구 후근부 전방 지휘소 | 제1분부, 제2분부, 제3분부, 제4분부 |
포병 사령부 | 포병 제1사, 포병 제2사, 포병 제8사 |
철도병 | 제1사 |
공정병 지휘소 | 제4단, 제5단, 제6단, 제8단 |
제38군 | 제112사, 제113사, 제114사 |
제39군 | 제115사, 제116사, 제117사 |
제40군 | 제118사, 제119사, 제120사 |
제42군 | 제124사, 제125사, 제126사 |
제50군 | 제148사, 제149사, 제150사 |
제66군 | 제196사, 제197사, 제198사 |
제9병단 | 제20군(제58사, 제59사, 제60사, 제89사), 제26군(제76사, 제77사, 제78사, 제88사), 제27군(제79사, 제80사, 제81사, 제94사) |
4. 1. 지휘부

중국인민지원군은 펑더화이를 사령관 겸 정치위원으로, 덩화를 부사령관 겸 부정치위원으로 임명하였다. 이외에도 홍학지, 한선초가 부사령관을, 해방이 참모장을, 사평이 정치부 주임을 맡았다.[8]
직책 | 담당자 |
---|---|
사령관 겸 정치위원 | 펑더화이 |
부사령관 겸 부정치위원 | 덩화 |
부사령관 | 홍학지, 한선초 |
참모장 | 해방 |
정치부 주임 | 사평 |
부대 | 구성 |
사령부 | |
정치부 | |
동북군구 후근부 전방 지휘소 | 제1분부, 제2분부, 제3분부, 제4분부 |
포병 사령부 | 포병 제1사, 제2사, 제8사 |
철도병 | 제1사 |
공정병 지휘소 | 제4단, 제5단, 제6단, 제8단 |
중국인민지원군은 군사 지휘관과 정치위원이 함께 부대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정치위원 제도를 두었다. 1950년 10월 1일, 소련 대사는 스탈린으로부터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에게 한국에 5~6개 사단을 파견하라는 전보를 전달했고, 김일성은 마오쩌둥에게 군사 개입을 간절히 호소했다.[11]
5. 정치 및 사상 통제
중국인민지원군은 서방 기준에서 엄격한 규율을 적용했으며, 이는 1912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을 통치했던 국민당 및 군벌 군대와 비교했을 때 뚜렷하게 개선된 것이었다.[28] 규율은 군대 내 모든 구성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었고, 중국 공산당 당원은 비당원보다 같은 위반 행위에 대해 더 엄격한 처벌을 받았다.[28] 구타와 학대는 금지되었으며, 특정 명령에 불복종하는 경우에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으나, 중국 전통에 따라 드물게 시행되었다.[28] 일반적으로 탈영과 같은 심각한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공개적인 망신과 정치 교화소 수용이 선호되었고, 처벌받은 병사들은 원래 부대로 복귀하여 전선에 투입되었다.[28]
소련군처럼, 인민지원군은 정치 장교와 군사 장교의 이중 지휘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이는 최하위 부대 단위까지 적용되었다.[29] 정치 장교는 병력 통제와 사기 유지를 담당했고, 전투에서 모범을 보여야 했다.[29] 다른 공산주의 군대와 달리, 정치 장교가 전투 결정에 있어 군사 장교보다 더 큰 권한을 가졌지만, 군사 장교도 정치 장교의 승인 없이 명령을 내릴 수 있었다.[29] 또한, 정치 장교는 군사 경험이 풍부했고, 대부분의 군사 장교는 부대 내 고위 당원이었기 때문에 군사 장교와 정치 장교의 경계는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29]
정치 장교 외에도 당원과 당 후보자는 부대 내 정치 통제를 시행하는 역할을 했다.[29] 소대는 3개의 화력 분대로 나뉘었고, 각 화력 분대는 당원이나 당 후보자가 이끌었다.[29] 부대 결속력 유지를 위해 집단 회의가 자주 열렸고, 회의에서 공개적인 망신과 비판을 통해 사기를 높이고 병사들을 교화했다.[30]
인민지원군 내 강력한 정치 통제의 결과, 전투력 유지를 위해 당원의 존재에 크게 의존했다.[31] 당원이 전투에서 사망하거나 부상당하면 부대가 붕괴될 수 있었다.[31] 또한, 강력한 정치 통제는 계급 간 불만을 야기했고, 높은 사기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정치 교화와 동료 압박이 필요했다.[6]
유엔군 총사령관 매튜 리지웨이는 자신의 저서 《한국전쟁》에서 중국군 포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는데, 이는 포로를 학대하는 조선인민군의 정책과 대조적이었다. 그는 중국군을 훈련된 군대이자 존경할 만한 적으로 평가했다.[32] 한국 전쟁 당시 미군 최전선 전투 부대 역시 인민지원군의 전투 의지를 높이 평가했다.[33]
6. 전쟁 포로
한국 전쟁에서 포로 문제는 1951년 이후 전쟁 지속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미국은 중국이 미군 포로들에게 이른바 "세뇌"를 했다고 비난했다. 반면 중국은 미국이 포로들을 타이완으로 보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6. 1. 유엔군 포로
중국인민지원군은 조선인민군에 비해 포로 처형 건수가 비교적 적었다.[6] 포로 처형은 주로 상부의 지시 없이 하급 지휘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포로의 탈출이나 구조를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35]스스로를 조선인민군보다 인도적이라고 여겼던 중국인민지원군은 참전 초기 대규모 포로 유입에 대비하지 못했다. 1950-51년 겨울, 임시 수용소에 수용된 많은 포로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중국인민지원군은 포로들을 영구적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죽음의 행진을 실시했다.[2] 1951년 1월 영구 수용소가 설치된 이후 상황이 개선되기 시작했지만, 기아로 인한 사망은 1951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2] 1950년 11월부터 1951년 4월까지 미군 포로의 약 43%가 사망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포로로 잡힌 미군 사망자 비율(34%)보다 높은 수치였다.[2]
중국 측은 당시 중국인민지원군 병사들도 열악한 보급 체계로 인해 기아와 질병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73] 그러나 유엔군 포로들은 많은 중국 수용소가 중·조 국경 근처에 위치했으며, 기아가 포로들에게 공산주의 사상 주입을 강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73] 기아와 포로 사망은 정전 회담이 시작된 1951년 여름에 멈췄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언론인이자 미국 정보 요원으로 활동했던 에드워드 헌터는 중국의 정신 조작에 대한 기사와 책을 저술하며, 이를 "세뇌"라고 명명했다.[36]
중국어 용어 洗腦|xǐnǎo중국어 (문자 그대로 "뇌를 세척하다")[37]는 원래 마오쩌둥 정권 하에서 강압적 설득 방법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38] 정권은 개인을 비인간화하고, 수면 박탈, 감각 박탈, 심리적 괴롭힘, 죄책감 주입 및 집단 사회적 압력 등의 기술을 사용했다. 이 용어는 특정 의식을 수행하기 전에 "마음을 정화/세척"(洗心|xǐ xīn중국어)하는 도교 관습을 말장난한 것이다.
헌터 등은 이전 전쟁과 달리 높은 비율의 미국 GI가 전쟁 포로가 된 후 적에게 귀순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북한의 중국군이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포로의 조직 능력과 저항 능력을 방해했다고 믿었다.[39] 영국 무선 통신병 로버트 W. 포드[40][41]와 영국 육군 대령 제임스 카네도 중국이 전쟁 기간 동안 투옥 중에 자신들에게 세뇌 기술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전쟁 후, 로버트 리프턴[42]과 에드가 셰인[43]은 미국 전쟁 포로의 송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세뇌(리프턴은 "사상 개조", 셰인은 "강압적 설득"이라 칭함)가 일시적인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중국은 포로를 신체적, 사회적 박탈 및 혼란 상태에 놓은 다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일부 포로가 반미주의 성명서를 발표하도록 유도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포로는 공산주의 신념을 실제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극심한 신체적 학대를 피하기 위해 그렇게 행동했다. 강압적 설득은 소수의 포로에게만 성공했으며, 그 효과는 매우 불안정하여 대부분 강압적 환경을 떠난 직후 이전 상태로 되돌아갔다. 1961년에 두 사람은 이 발견을 확장한 책을 출판했다. 셰인은 ''강압적 설득''을,[44] 리프턴은 ''전체주의 심리학과 사상 개조''를 출판했다.[45] 미하일 헬러를 포함한 최근 작가들은 리프턴의 세뇌 모델이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서 대중 선전의 사용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46]
1963년 요약본에서 에드가 셰인은 세뇌 현상의 기원에 대한 배경 역사를 제공했다.
> 사상 개조는 중국 문화(대인 관계적 민감성, 암기 및 자기 수양 강조)에서 나타나는 요소, 교황청 종교 재판 (13세기)에서 알려지고 수세기에 걸쳐 정교화된 고백 추출 방법, 가치 변화를 생성하기 위한 교정 감옥, 정신 병원 및 기타 기관을 조직하는 방법, 종교 단체, 친목 단체, 정치 엘리트 또는 원시 사회가 새로운 구성원을 개종시키는 데 사용하는 방법, 심리적 원칙과 일치하지만 그러한 원칙에서 명시적으로 파생되지 않은 기술을 포함한다.[47]
한국 전쟁 시대의 정신 조작 이론은 이후 비판을 받았다. 범죄 심리학자 딕 앤서니는 CIA가 한국 공산주의 캠프에서 미국 전쟁 포로들이 자발적으로 공산주의에 동조했다는 주장을 무너뜨리기 위한 선전 전략으로 "세뇌"라는 개념을 발명했다고 주장했다. 앤서니는 세뇌가 아니라 공포와 강압이 서방 전쟁 포로의 협력을 유발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헌터의 책이 CIA 세뇌 이론을 대중에게 퍼뜨렸다고 주장했다.[48]
또한, 허버트 브라우넬 주니어(Herbert Brownell Jr.) 미국 법무 장관은 "만약 미국 전쟁 포로들이 북한에서 투옥되는 동안 공산당과 협력한다면, 그들은 사형을 받을 수 있는 반역 혐의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 미국 정부와 군의 위협과 압력 외에도 전쟁 포로들은 가족의 영향으로 인해 큰 심리적 압력에 직면했으며, 이는 많은 미국 전쟁 포로들이 귀국 후 중국을 옹호하는 진술을 철회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49][50]
6. 2. 중국군 포로
판문점 휴전 협상 과정에서 1951년 겨울부터 1952년까지 최종적인 정전 협정 체결의 가장 큰 걸림돌은 포로 교환 문제였다. 언뜻 보면 양측이 준수하기로 약속한 1949년 제네바 협약에 따르면, 적대 행위가 종료되면 모든 포로를 즉시 완전하게 교환하도록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논쟁할 만한 것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이 겉보기에는 간단한 원칙이 많은 미국인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우선 유엔 포로 수용소에는 4만 명이 넘는 대한민국 출신 포로가 수용되어 있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공산주의 측에 징집되어 전쟁이 끝나고 북으로 송환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더욱이 상당수의 북한군과 중국군 포로들 역시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특히 중국군 포로의 경우, 중국 국공 내전 당시 공산군에 의해 강제로 징집되어 이후 한국으로 파병된 중국 인민해방군(PLA) 부대에 소속된 반공주의자들이 많았다.[51][52]
7. 휴전 이후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이 성립된 후에도 중국인민지원군은 북한에 계속 주둔하였다.[66] 이들은 공동경비구역 경비 일부를 맡거나 전후 복구 사업을 도왔다.[66] 휴전 협정은 외국군 철수 문제를 추후 정치 협의에 위임했지만(협정 제60조),[66] 1954년 4월 제네바 회담에서 미국과 철수 문제를 협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66] 이에 1954년 9월 6일, 중국은 인민지원군 철수를 발표했다.[67] 철수는 1954년부터 1955년까지 제1기, 1958년에 제2기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실행되었으며, 1958년 10월 26일 주둔했던 전군 철수를 완료했다.[68]
포로가 된 약 2만 1400명 중 약 1만 4000명은 중화민국(타이완)으로 망명했고, 나머지 7110명은 본국으로 송환되었다.[69] 김영남(후에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과 같이 북한에 남은 병사도 있었다.[69]
한국 박근혜대통령의 제안으로 한국에 남은 중국인민지원군 병사 유해 반환이 2014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 3월 기준으로 589구의 유해가 반환되었다.[71][72]
8. 유산 및 평가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은 여러 국가와 국제 관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 많은 중국인에게 한국 전쟁은 중국사에서 영예로운 투쟁으로 여겨진다. 중국인민지원군은 1세기 동안 서방 군대에 맞서 주요 분쟁에서 버틸 수 있었던 최초의 중국 군대였다. 그들은 "가장 사랑받는 사람들(最可爱的人)"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이는 1951년 웨이웨이가 쓴 에세이 가장 사랑받는 사람은 누구인가?에서 유래했다.[57] 중국 정부는 오늘날까지도 중국인민지원군 구성원들의 영웅담을 계속해서 홍보하고 있으며, 학교 교과서에도 등장한다. 중국이 미국에 대항하여 북한을 지원하려는 의지와 그들이 보여준 무력 시위는 중국이 다시 한번 주요 세계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였다.
- 북한: 김정은은 2020년에 중국인민지원군 묘지를 방문하여 그들의 희생을 기렸다.[54] 평양 타임스는 그 군인들을 '비할 데 없는 용기, 대중 정신, 국제적 영웅주의'를 가진 자들로 묘사하고, 중국인민지원군이 제공한 다른 지원에 대해 설명했다.[55]
- 한국: (별도 내용 없음 - 주로 중공군 유해 송환 관련 내용은 '기념 사업'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히 기술되어 있음)
- 중소 관계: 이 전쟁은 중소 관계의 쇠퇴에 기여했다. 중국은 전쟁에 참여할 만한 자체적인 이유(예: 한반도의 전략적인 완충 지대)가 있었지만, 소련이 그들을 대리인으로 이용했다는 견해는 서방 블록에서도 공유되었다. 중국은 소련 무기를 구입하기 위해 붕괴된 경제를 재건하는 데 원래 사용될 예정이었던 소련 차관을 사용해야 했다.
- 타이완 문제: 전쟁 전까지 미국은 타이완으로 후퇴한 장제스 정부를 사실상 포기했고, 중국 내전에 개입할 계획이 없었다. 한국 전쟁의 발발은 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PRC)의 통제 하에 놓이게 할 수 있는 어떠한 정책도 지지할 수 없게 만들었다. 해리 S. 트루먼의 타이완 해협에 미군을 파견하기로 한 결정은 중화인민공화국이 타이완을 침공하는 것을 더욱 억제했다. 한국 전쟁과 냉전에 대한 서방의 반공 분위기는 1979년까지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외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꺼리는 데 기여했다. 오늘날, 중화민국과 중국 본토 간의 외교는 여전히 긴장된 상태이며, 중국 본토는 계속해서 타이완의 주권을 주장하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유엔군이 억류하고 있던 중국인민지원군 포로 14,235명이 타이완으로 이송되었다.[59] 그들은 1954년 1월 23일에 타이완에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반공 의사" (反共義士)로 불렸다. 타이완에서는 1월 23일이 그들을 기리는 세계 자유의 날 (自由日)이 되었다.
중국 공식 자료에 따르면, 한국 전쟁 중 중국인민지원군의 사상자는 39만 명이었다.
구분 | 인원 |
---|---|
전사 | 110,400명 |
부상으로 사망 | 21,600명 |
질병으로 사망 | 13,000명 |
실종/포로 | 25,600명 |
부상 | 260,000명 |
그러나 서방 및 기타 자료에서는 중국이 전쟁에 투입한 약 300만 명의 군인 중 약 40만 명이 교전 중 사망하거나 질병, 기아, 노출 및 사고로 사망했으며 약 48만 6천 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추정한다.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전쟁 중 중국인민지원군 장교였으며 유엔 공습으로 사망했다.[58]
8. 1. 기념 사업
북한에서는 회창군에 위치한 중국인민지원군 묘지에서 중국인민지원군(PVA)의 전쟁 기여를 기념하고 있다.[56][54] 특히 평안남도 회창군의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은 한국 전쟁에서 전사한 마오안잉의 묘가 있어 북중 간의 "혈연의 유대" 상징이 되고 있으며, 2012년 10월 중국인민지원군 참전 62주년에 준공되었다.[78] 김정일[79]과 김정은[80][81][82][83][84] 등 북한 최고 지도자도 자주 참배하고 있다. 개성과 안주 등에도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이 존재하며, 이들은 개축되기도 하였다.[77]평양 타임스는 중국인민지원군을 '비할 데 없는 용기, 대중 정신, 국제적 영웅주의'를 가진 자들로 묘사했다.[55] 2000년(50주년)과 2010년(60주년)에는 김정일 등 당 간부와 인민이 참가하는 군중 대회가 평양에서 개최되었고, 중국에서는 고위 군사 대표단이 파견되었다.[78]
중국에서는 랴오닝성 단둥 시의 항미원조 기념관, 베이징 시의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항미원조 전쟁관[76] 등이 존재한다. 많은 중국인에게 한국 전쟁은 중국사에서 영예로운 투쟁으로 여겨지며, 중국인민지원군은 1세기 동안 서방 군대에 맞서 주요 분쟁에서 버틸 수 있었던 최초의 중국 군대로 평가받는다.[57] 중국 정부는 중국인민지원군 구성원들의 영웅담을 계속 홍보하고 있으며, 이는 학교 교과서에도 등장한다. 10월 25일은 중국인민지원군이 처음 전투를 벌인 날로, 항미원조의용군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의 제안으로 2014년부터 한국에 남은 중국인민지원군 병사의 유해 반환이 시작되어 2018년 3월 기준으로 589구의 유해가 반환되었다.[71][72]
9. 관련 매체
- 웨이웨이의 에세이 ''가장 사랑받는 사람은 누구인가?''(谁是最可爱的人?|누가 가장 사랑스러운 사람인가?중국어)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중국 군인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문학 및 선전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73]
- 삼각고지 전투를 배경으로 한 중국 영화 ''상감령 전투''(上甘岭|상감령중국어)는 며칠 동안 터널에 갇힌 중국 군인들이 식량과 물 부족에도 불구하고 구원 부대가 올 때까지 진지를 지키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도 상영이 금지되지 않았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73]
- 하진의 소설 ''전쟁 폐기물''은 중국 인민지원군으로 참전한 위위안의 회고록 형식으로, 포로수용소에서의 경험을 묘사한다. 이 소설은 PEN/포크너 상을 수상하고 퓰리처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73]
- 북한은 1951년 11월에 "최종 승리를 위해"라는 제목으로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병사가 그려진 10원 우표를 발행했고, 1958년에도 중국인민지원군의 귀국을 기념하는 10원 우표를 발행했다.[73]
참조
[1]
웹사이트
Тараптардың күштері және шығындар
https://web.archive.[...]
2019-02-10
[2]
웹사이트
China welcomes return of CPV soldiers' remains for 10 consecutive years
https://english.www.[...]
2024-04-20
[3]
웹사이트
Identities of ten Chinese People's Volunteers martyrs confirmed -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ttp://eng.mod.gov.c[...]
2024-04-20
[4]
논문
抗美援朝战争决策中的苏联因素
2000
[5]
서적
Chinese warfighting: The PLA experience since 1949
M.E. Sharpe
2003
[6]
서적
The Dragon Strikes
Presidio
2000-05-04
[7]
서적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2000-09
[8]
간행물
China's Changing Aim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1
https://www.jstor.or[...]
1992
[9]
서적
Another Such Victory: President Truman and the Cold War, 1945–1953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10]
문서
"Mao's Role in the Korean Conflict: A Revision"
2014-09
[11]
서적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2000-09
[12]
서적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2000-09
[13]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14]
Youtube
Chinese Reds Enter the Korean War - The Big Picture
https://www.youtube.[...]
[15]
간행물
A Reminiscence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in the Korean War
1984-06
[16]
뉴스
The ‘Mao suit’: how a military-style uniform changed the face of China – and clothed Australian prisoners during the Korean War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3-07-26
[17]
웹사이트
Centrefire automatic submachine gun - Type 50 (PPSh-41) - 1953
https://royalarmouri[...]
[18]
웹사이트
Type 50
https://www.iwm.org.[...]
[19]
서적
Memoirs of a Chinese Marshal: The Autobiographical Notes of Peng Dehuai (1898-1974)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20]
웹사이트
Pyongyang taken as UN retreats, 1950
https://www.bbc.co.u[...]
2021-08-22
[21]
문서
The Strange Connection: U.S. Intervention in China, 1944–1972
[22]
문서
Zhang
1995
[23]
웹사이트
Chinese Question Role in Korean War, from POW-MIA InterNetwork
http://www.aiipowmia[...]
[24]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 Korean War
http://www.globalsec[...]
[25]
문서
Strategy: One Against Ten, Tactics: Ten Against One.
Foreign Languages Press
1966
[26]
서적
Chinese warfighting: The PLA experience since 1949
M.E. Sharpe
2003
[27]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www.history.a[...]
2010-07-29
[28]
문서
Mahoney
2001
[29]
문서
Mahoney
2001
[30]
문서
Mahoney
2001
[31]
문서
Mahoney
2001
[32]
서적
《朝鲜战争回忆录》
https://www.kanunu8.[...]
A Da Capo paperback
[33]
서적
《The Coldest Winter: America and the Korean War》
Hyperion
[34]
문서
Mahoney
2001
[35]
문서
Mahoney
2001
[36]
서적
The Search for the Manchurian Candidate: The CIA and Mind Control
https://archive.org/[...]
Times Books
2008-12-30
[37]
웹사이트
brainwashing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2-01-15
[38]
서적
Brainwashing: The Science of Thought Contro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7-02
[39]
뉴스
Was Kidnapped Utah Teen Brainwashed?
2003-03-14
[40]
서적
Captured in Tibet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Wind Between the Worlds: Captured in Tibet
https://archive.org/[...]
SLG Books
[42]
간행물
Home by Ship: Reaction Patterns of American Prisoners of War Repatriated from North Korea
http://ajp.psychiatr[...]
2008-03-30
[43]
간행물
The Chinese Indoctrination Program for Prisoners of War: A Study of Attempted Brainwashing
1956-05
[44]
서적
Coercive Persuasion: A Socio-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Brainwashing" of American Civilian Prisoners by the Chinese Communists
W.W. Norton
[45]
서적
'Thought Reform and the Psychology of Totalism; a Study of "Brainwashing" in Chin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6]
서적
Cogs in the Soviet Wheel: The Formation of Soviet Man
https://archive.org/[...]
Collins Harvill
[47]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63
[48]
간행물
Pseudoscience and Minority Religions: An Evaluation of the Brainwashing Theories of Jean-Marie
[49]
문서
Stephen L·Endicott,Germ Warfare and"Plausible Denial":the Korean War,1952~1953,Modern China,Vol.5,No.1,Jan.1979,P87~89
[50]
문서
New York Times,Aug.15,1953;Canadian Far Eastern Newsletter,Nov.1953
[51]
서적
The Korean War: Years of Stalemat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8-09
[52]
문서
Operation Big Switch
[53]
웹사이트
志愿军老兵重返朝鲜谈感受:他们水深火热 很痛心
http://news.ifeng.co[...]
2012-03-02
[54]
웹사이트
Supreme Leader Kim Jong Un sends flower baskets in honour of CPV martyrs
http://www.pyongyang[...]
2021-03-18
[55]
웹사이트
CPV performs distinguished services on Korean front
http://www.pyongyang[...]
2021-03-18
[56]
웹사이트
Chinese martyrs honoured
http://www.pyongyang[...]
2021-03-18
[57]
간행물
Who are the Most Beloved People?(谁是最可爱的人)(In Chinese)
http://www.people.co[...]
2018-10-02
[58]
웹사이트
The Cold War, The Korean War: An Overview
https://www.bbc.co.u[...]
[59]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Truce Tent and Fighting Front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60]
문서
朱(1991年)、80-81ページ。
[61]
문서
朱(1991年)、222-224ページ。
[62]
Youtube
中国人民志願軍の様子
http://www.youtube.c[...]
[63]
서적
Brain-washing in Red China: the calculated destruction of men’s minds
Vanguard Press
[64]
웹사이트
The MiG-15's role during the Korean War
http://www.migflug.c[...]
MiGFlug.com
2018-02-03
[65]
웹사이트
前中国人民志愿军联络员回忆“三八线”风云
http://people.com.cn[...]
2018-03-07
[66]
문서
和田(2013年)、73ページ。
[67]
문서
伊豆・平岩(1994年5月)、151ページ。
[68]
문서
伊豆・平岩(1994年5月)、149-150ページ。
[69]
웹사이트
] 평창 동계올림픽 북한 대표단장으로 오는 1928년생 김영남의 처세술은?
http://m.monthly.cho[...]
朝鮮日報
2018-04-14
[70]
문서
1992年の中国人民志願軍烈士統計
http://kmyc.china500[...]
[71]
뉴스
朝鮮戦争で戦死した中国兵の遺骨、引き渡し控え公開 韓国
https://www.afpbb.co[...]
2018-03-26
[72]
뉴스
朝鮮戦争時の中国兵の遺骨20柱 韓国が引き渡し
http://japanese.yonh[...]
2018-03-28
[73]
서적
北朝鮮事典―切手で読み解く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竹内書店新社
2001
[74]
서적
北朝鮮トリビア
飛鳥新社
2004
[75]
뉴스
中国常務委員、中国烈士陵訪れ「烈士外交」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5-11-09
[76]
뉴스
抗美援朝战争馆
http://www.jb.mil.cn[...]
2018-04-14
[77]
뉴스
劉雲山氏が朝鮮労働党創立70周年慶祝行事に出席
http://j.people.com.[...]
人民網
2018-04-14
[78]
웹사이트
緊密な中朝関係と米中対立 朝鮮戦争参戦70周年北朝鮮と中国の動き
https://www.koreawor[...]
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20-11-02
[79]
뉴스
金総書記の「中朝血盟ショー」、毛岸英氏の墓に献花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8-04-14
[80]
뉴스
正恩氏、デビューの途端に出ずっぱり 「後継」アピー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8-04-14
[81]
뉴스
金正恩氏が中国人民志願軍烈士の墓地を参拝
http://j.people.com.[...]
人民日報
2016-09-26
[82]
뉴스
金正恩総書記、中国人民志願軍の墓に花輪を贈呈
http://japanese.chin[...]
中国網
2016-09-26
[83]
뉴스
金正恩氏 毛沢東氏長男の墓参拝=休戦協定締結65周年迎え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8-07-28
[84]
웹사이트
金正恩委員長、中国人民志願軍烈士陵園を訪問/朝鮮戦線参戦70周年に際して
https://www.koreawor[...]
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20-11-02
[85]
웹사이트
抗美援朝戦争運動戦初期(1950年10月至12月)
http://www.pladaily.[...]
[86]
서적
그들이 본 한국전쟁 1 - 항미원조 - 중국인민지원군
눈빛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