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이치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이치기는 화기 발달 과정에서 발사 메커니즘의 핵심 부품인 해머의 진화와 종류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 플린트락에서 시작하여 퍼커션 록을 거쳐 자체 포함형 탄약통의 도입으로 이어진 해머 시스템의 변화를 다룬다. 외부 해머, 내부 해머, 스트라이커, 선형 해머 등 다양한 종류의 해머와 각 특징을 설명하며, 특히 외부 해머의 안전성 문제와 내부 해머, 스트라이커, 선형 해머의 장단점을 비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이치기 | |
---|---|
공이치기 (화기 부품) | |
![]() | |
종류 | 화기 부품 |
2. 화기 해머의 진화
화기 발달 과정에서 플린트락은 부싯돌이 강철을 쳐서 불꽃을 일으키고, 이 불꽃으로 추진제인 화약을 점화하여 발사했다. 부싯돌은 '코크(cock)'라 불리는 회전하는 팔에 고정되어 있었다. 발사 전에는 코크가 스프링 장력으로 뒤로 당겨져 있다가, 방아쇠를 당기면 코크가 앞으로 회전하면서 강철 프리즌을 쳐 불꽃을 일으켰다. 이 불꽃은 외부 섬광 팬에 있는 소량의 점화약을 점화시키고, 이는 포구 안의 주 추진 장약을 점화시켰다.
퍼커션 록(캡록)은 플린트락 발사 방식을 개량한 것으로, '코크' 대신 '해머'가 타악성 물질을 담은 작은 컵 모양의 캡을 쳐서 발사한다. 캡은 모루 역할을 하는 외부 '니플' 위에 놓이며, 해머가 캡을 치면 포구 내의 주 추진 장약이 점화되었다.[5] 새뮤얼 콜트의 1836년 콜트 패터슨 리볼버는 퍼커션 캡을 사용했으며, 사이드 록 발사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캡록은 발사체, 화약, 퍼커션 캡을 하나의 쉘에 담은 자체 포함형 탄약통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약 50년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5] 자체 포함형 탄약통은 포구에서 쉽게 장전할 수 있었고, 발사 핀 및 해머 시스템을 사용했다. 자체 포함형 탄약통의 퍼커션 캡은 내부에 있어, 포구의 작은 구멍을 통해 프라이머를 쳐서 발사를 유발하려면 '발사 핀'이 필요하다.[6]
외부 해머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 수동으로 코킹하거나 코킹 해제할 수 있다. 내부 해머는 작동 중 수동으로 접근할 수 없으며, 내부 해머가 있는 권총이나 샷건은 '해머리스'라고 불린다.[7] 스트라이커는 해머가 발사 핀을 치는 대신 스프링의 직접 작용으로 작동하는 발사 핀의 일종으로, 스트라이커 작동식 화기에는 해머가 없다.
2. 1. 플린트락 (Flintlock)

플린트락은 부싯돌이 강철을 쳐서 불꽃을 일으켜 화약을 점화하는 방식이다. 부싯돌은 '코크'라고 불리는 팔에 고정되어 있고, 방아쇠를 당기면 코크가 회전하며 강철 프리즌을 쳐 불꽃을 일으킨다. 이 불꽃은 섬광 팬의 점화약을 점화시키고, 이는 다시 포구 안의 추진 장약을 점화시킨다.[5] 한국의 전통 화기 중 부싯돌을 사용한 예시는 주어진 자료에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다. 조선 시대 승자총통은 심지에 불을 붙여 점화하는 방식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서양의 플린트락과는 차이가 있다.
2. 2. 퍼커션 록 (Percussion lock, 캡록)
플린트락에서 발전한 퍼커션 록(캡록)은 타격식 뇌관을 사용하여 발사한다. 플린트락은 부싯돌이 강철을 쳐서 불꽃을 일으켜 화약을 점화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퍼커션 록은 '코크'를 '해머'(망치)로 바꾸고, 타격 감응형 풀민산염을 담은 작은 컵 모양의 캡을 사용한다. 이 캡을 외부 '니플' 위에 놓으면, 해머가 캡을 쳐서 포구 안의 추진 장약을 점화시킨다.[5]
새뮤얼 콜트의 1836년 콜트 패터슨 리볼버는 퍼커션 캡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캡록은 자체 포함형 탄약통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약 50년간 널리 사용되었다.[5] 자체 포함형 탄약통은 발사체, 화약, 퍼커션 캡을 하나의 쉘에 담은 것으로, 발사 핀과 해머 시스템을 통해 발사된다. 캡록의 퍼커션 캡은 외부에 있었지만, 자체 포함형 탄약통의 퍼커션 캡은 내부에 있어 발사 핀이 필요하다.[6]
2. 3. 탄약통 (Cartridge)의 도입과 발사 핀의 등장
화기의 발달 과정에서 플린트락은 부싯돌이 강철을 쳐서 불꽃을 일으켜 화약을 점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이후 타격 감응형 풀민산염을 이용한 퍼커션 록(캡록) 방식이 등장하여, '코크' 대신 '해머'가 타악성 물질이 든 캡을 쳐서 주 추진 장약을 점화했다.[5]캡록 방식은 자체 포함형 탄약통이 널리 도입되기 전까지 약 50년간 사용되었다. 자체 포함형 탄약통은 발사체, 화약, 퍼커션 캡을 하나의 쉘에 담은 형태로, 포구에서 쉽게 장전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발사 핀과 해머 시스템의 구현으로 이어졌는데, 캡록의 퍼커션 캡은 외부에 있었지만 자체 포함형 탄약통의 퍼커션 캡은 내부에 있어 '발사 핀'이 프라이머를 쳐서 발사를 유발해야 했다.[6]
새뮤얼 콜트의 1836년 콜트 패터슨 리볼버는 퍼커션 캡을 사용했으며, 해머와 발사 메커니즘은 프레임 양쪽에 장착되는 사이드 록 발사 메커니즘을 사용했다.
외부 해머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해머로, 수동으로 코킹하거나 코킹 해제할 수 있다. 내부 해머는 작동 중 수동 접근이 불가능하며, 내부 해머가 있는 권총이나 샷건은 '해머리스'라고 불린다.[7] '스트라이커'는 해머가 발사 핀을 치는 대신 스프링의 직접 작용으로 작동하는 발사 핀의 일종이며, 스트라이커 작동식 화기에는 해머가 없다.
K2 소총은 자체 포함형 탄약통을 사용하며, 발사 핀과 해머 메커니즘을 통해 격발이 이루어지는 등 자체 포함형 탄약통과 발사 핀, 해머 시스템은 현대 한국군 화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3. 해머의 종류와 특징
화기에서 해머는 발사를 위해 뇌관을 치는 역할을 한다. 초기 플린트락 방식에서는 부싯돌이 강철을 쳐서 불꽃을 일으켜 화약을 점화시켰다. 새뮤얼 콜트의 1836년 콜트 패터슨 리볼버는 퍼커션 캡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코크'라고 불리던 부품이 '해머'로 불리게 되었다.[5]
캡록 방식은 자체 포함형 탄약통이 도입되기 전까지 약 50년간 널리 사용되었다.[5] 자체 포함형 탄약통은 발사체, 화약, 퍼커션 캡을 하나의 쉘에 포함하여 포구에서 쉽게 장전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발사 핀과 해머 시스템의 구현으로 이어졌으며, 현대의 특정 디자인에서도 사용된다.[6]
해머는 외부 해머와 내부 해머로 나눌 수 있다. 외부 해머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스퍼'(연장부)가 설계되어 있다. 반면 내부 해머는 작동 중 수동으로 접근할 수 없으며, 내부 해머가 있는 권총과 샷건은 '해머리스'라고 불리기도 한다.[7]
스트라이커는 해머가 발사 핀을 치는 대신 스프링의 직접적인 작용으로 작동되는 발사 핀의 일종으로, 스트라이커 작동식 화기에는 해머가 없다.
3. 1. 외부 해머 (External hammer)
외부 해머 시스템은 현대적인 내부 설계에 비해 몇 가지 두드러진 단점이 있다. 특히 단발식 리볼버의 경우, 해머가 실린더에 장전된 탄창에 부딪힐 경우 무기가 실수로 발사될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8] 일부 모델은 해머가 뇌관과 기본적으로 탄창에 닿는 것을 막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총알이 발사될 수 있다.
다른 모델은 실제로 방아쇠를 당기지 않는 한 해머와 뇌관 사이의 접촉을 막는 내부 안전 장치가 있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단발식 리볼버 소유자는 실수로 발사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머를 빈 실린더에 올려놓고 리볼버를 휴대한다. 또한, 개인 방어 무기로 화기를 휴대하는 사람들의 경우, 외부 해머가 무기 뒷면에서 각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 옷에 걸릴 수 있다는 걱정이 항상 존재한다. 소유자가 재빨리 무기를 꺼내려 할 때 해머가 옷에 걸려 위험한 상황에서 몇 초를 잃을 수 있다. 경찰 무기 전문가인 폴 B. 웨스턴은 외부 해머를 빠른 발사 시 옷에 걸리는 경향이 있는 "낚시 바늘"이라고 불렀다.[9]
3. 2. 선형 해머 (Linear hammer)
선형 해머는 스트라이커와 유사하지만, 해머가 공이와 별개의 부품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0] 선형 해머는 해머가 풀리면 용수철의 압력에 의해 총열 축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 후 공이의 뒷부분을 타격한다. 이는 통상적인 방식의 회전하는 해머가 총열 축에 수직으로 놓인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과 다르다. 체코의 vz. 58 및 중국의 QBZ-95와 같은 설계에서 선형 해머를 사용한다.[11]참조
[1]
웹사이트
Principles of Firearms -- Functions -- Firing
http://rkba.org/guns[...]
2016-04-06
[2]
웹사이트
Firearms History, Technology & Development: Hammer Fired vs. Striker Fired
http://firearmshisto[...]
2015-05-25
[3]
웹사이트
Tumbler
http://www.hallowell[...]
Hallowell & Co., Fine Sporting Guns
2016-01-05
[4]
웹사이트
Sear
http://www.hallowell[...]
Hallowell & Co., Fine Sporting Guns
2016-01-05
[5]
웹사이트
NRA Museums
http://www.nramuseum[...]
2016-04-06
[6]
서적
Handgun Safety Certificate
California Department of Justice
2009
[7]
Youtube
J-Frame Disassembly.mpg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Pistol
http://www.georgia4h[...]
4-H Shooting Sports Guide
[9]
웹사이트
Hammer Or… "-Less?"Guns Magazine.com {{!}} Guns Magazine.com
https://gunsmagazine[...]
2012
[10]
웹사이트
A Matter of Purpose: Striker Fire vs. Hammer Fire – Small Arms Defense Journal
https://sadefensejou[...]
2023-09-19
[11]
Youtube
Mechanics and Disassembly of the Norinco QBZ-97 / Type 97 NSR
https://www.youtube.[...]
[12]
웹인용
Firearms History, Technology & Development: Hammer Fired vs. Striker Fired
http://firearmshisto[...]
2015-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