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관은 화기에서 추진제를 점화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초기 화기에서는 불씨나 횃불로 화약을 점화했지만, 기술 발전으로 마치락, 휠락, 플린트락, 캡락 등 다양한 점화 방식이 개발되었다. 캡락은 뇌관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19세기 중반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뇌관 점화 방식은 부싯돌 방식보다 신뢰성이 높고 기존 무기를 개조하기 쉬웠다. 현대 화기에서는 전기식 점화, 핀파이어, 림파이어, 센터파이어 방식이 사용되며, 뇌관 작동식 블로우백 방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세 화기 - 수발총
    수발총은 17세기 초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부싯돌을 이용해 화약을 점화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된 초기 화기이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나 뇌관총의 등장으로 사용이 줄어들었다.
  • 신관 - 인계철선
    인계철선은 지뢰나 폭발물의 기폭 범위를 넓히거나 작업 설비의 비상 정지를 위해 사용되는 철선이다.
  • 신관 - 화승
    화승은 화승총에 사용되는 천천히 타도록 화학 처리된 끈으로, 솜심지 양쪽에 불을 붙여 화약 섬광으로 인한 불 꺼짐을 방지하고 연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며, 현대에는 복제 머스킷 총에도 사용된다.
  • 화기 작동 방식 - 펌프 액션
    펌프 액션은 손잡이를 앞뒤로 움직여 탄환을 장전 및 배출하는 화기 작동 방식이며, 산탄총에 널리 사용되고 반자동 방식보다 극한 환경에 강하다.
  • 화기 작동 방식 - 볼트 액션
    볼트 액션은 노리쇠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탄약을 장전하고 폐쇄하는 소총의 작동 방식으로, 군용 소총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반자동 소총으로 대체되었고, 현재는 저격, 사냥, 사격 등 정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되며 회전식과 직동식으로 나뉜다.
뇌관
기본 정보
다양한 소화기 프라이머
다양한 소화기 프라이머
유형중심 점화
링 점화
측면 점화
구성 요소점화 컵
점화 혼합물
모루
기능추진제 발화
용도소화기 탄약
폭발물
작동 원리
점화 방법충격
마찰
전기
점화 과정점화 혼합물에 충격이나 마찰, 전기 에너지 등이 가해지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발생한 고온의 불꽃이 추진제를 발화시켜 탄환을 발사하게 된다.
유형
중심 점화탄약의 밑면 중앙에 프라이머가 위치하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모루는 프라이머 컵 내부에 있거나 탄약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다.
링 점화탄약의 밑면 가장자리에 프라이머가 위치하며, 주로 소구경 탄약에 사용된다. 모루는 탄약 케이스의 일부이다.
측면 점화탄약의 측면에 프라이머가 위치하며, 일부 특수 탄약에 사용된다.
구성 요소
프라이머 컵금속으로 만들어진 작은 컵 모양의 부품으로, 점화 혼합물과 모루를 담고 있다.
점화 혼합물충격, 마찰, 전기 에너지 등에 반응하여 고온의 불꽃을 발생시키는 화학 물질이다.
모루점화 혼합물을 압착하여 점화되도록 돕는 작은 금속 부품이다.
안전성
위험성프라이머는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해야 한다. 부적절하게 보관하거나 취급할 경우 폭발할 위험이 있다.
역사
발명'최초의 프라이머는 19세기 초에 발명되었으며, 이후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현재의 형태로 발전해 왔다.'
주요 발명가'조슈아 쇼, 에드워드 찰스 하워드'
기타
참고일부 군용 및 특수 탄약에는 전기로 발화되는 전자식 프라이머가 사용되기도 한다.

2. 점화 방식의 역사

어떤 종류의 화기든 발사하는 첫 단계는 추진제에 점화하는 것이다. 초기 화기에서 현대 화기까지 점화 방식은 다음과 같이 발전하였다.


  • '''소형 대포''' : 초기 화기는 관의 막힌 끝에 뚫린 "점화구"에 미세하게 갈아놓은 화약을 채우고 뜨거운 불씨횃불로 점화했다.
  • '''마치락''' : 화약심지를 점화구멍으로 내려 화약에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 락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정확한 사격이 가능했다.
  • '''휠락''' : 황철석을 문질러 불꽃을 발생시켜 화약이 채워진 점화접시에 점화하는 방식이다. 장시간 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악천후에도 견딜 수 있었다.
  • '''화승총''' : 휠락보다 간단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부싯돌과 강철을 사용해 안정적인 점화원을 제공했다. 200년 이상 군사적으로 사용되었다.
  • '''뇌관''' : 화약 뇌관("캡")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포사이스 목사가 발명했다. 부싯돌 방식보다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미국 남북 전쟁에서 양측 모두 사용했다.

2. 1. 초기 점화 방식

초기 화기는 간단한 밀폐된 관인 소형 대포였다. 관의 막힌 끝에는 주요 화약 장약으로 이어지는 작은 구멍인 "점화구"가 뚫려 있었다. 이 구멍에는 미세하게 갈아놓은 화약을 채운 다음, 뜨거운 불씨횃불로 점화했다. 휴대용 화기가 등장하면서 이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게 되었다. 뜨거운 막대기를 들고 화약을 조심스럽게 총열에 부으려고 하는 것은 위험하며, 한 손으로 총을 잡고 동시에 표적을 조준하고 점화구를 찾으려고 하는 것은 정확하게 발사하기 매우 어려웠다.

2. 2. 마치락 (Matchlock)

마치락(Matchlock)은 소형 화기를 더 쉽게 발사하기 위한 초기 시도였다. 마치락은 당시의 문 자물쇠와 비슷하게 생겨서 "락(lock)"이라고 불리는 장치를 통합했는데, 이 장치는 원래 "트리커(tricker)"라고 불렸던 방아쇠에 의해 작동되었다. 락은 간단한 레버로, 당기면 회전하여 화약심지를 점화구멍으로 내렸다. 화약심지는 질산염, , 유황 용액에 적셔 말린 식물 섬유로 만든 서서히 타는 퓨즈였다. 이 "서서히 타는 심지"는 이 필요하기 전에 점화되었고, 서서히 타면서 타는 끝에 뜨거운 숯을 유지했다. 총에 장전을 하고 점화구멍에 화약을 채운 후, 타는 심지의 끝을 락이 점화구멍에 닿도록 위치시켰다. 총을 발사하려면 조준하고 방아쇠를 당겼다. 그러면 화약심지가 점화구멍에 닿아 화약에 불이 붙었다. 주의만 잘 기울이면 서서히 타는 심지는 오랫동안 타도록 유지할 수 있었고, 락 메커니즘의 사용으로 상당히 정확한 사격이 가능해졌다.[1]

2. 3. 휠락 (Wheellock)

다음 점화 기술의 혁신은 "휠락(wheel-lock)"이었다. 이것은 스프링으로 작동되는, 톱니 모양의 강철 바퀴를 사용하여 현대 라이터와 유사하게 황철석 조각을 문질러 불꽃을 발생시키는 방식이었다.[1] 휠락은 키를 사용하여 바퀴를 감아 스프링에 장력을 가하고, 장력이 가해진 바퀴는 방아쇠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었다.[1] 방아쇠를 당기면 강철의 톱니 모양 가장자리가 황철석에 문질리면서 불꽃을 발생시켰다.[1] 이 불꽃은 화약이 채워진 점화접시로 향했고, 이는 점화구멍으로 이어졌다.[1] 점화접시는 보통 스프링으로 작동되는 덮개로 보호되었으며, 방아쇠를 당기면 덮개가 움직여 화약이 불꽃에 노출되었다.[1]

휠락은 주요한 혁신이었다.[1] 연소 물질을 열원으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시간 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고, 덮개가 있는 점화접시는 악천후에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기 때문이다.[1] 바람, 비, 습한 날씨는 마치락을 무용지물로 만들었지만, 장전된 휠락에 점화접시 주변에 약간의 윤활유를 발라 방수 처리하면 대부분의 조건에서 발사할 수 있었다.[1]

2. 4. 플린트락 (Flintlock)

화승총

휠락(wheel-lock)은 더 간단하고 견고한 디자인으로 대체되기 전 짧은 기간 동안만 인기를 누렸다. 플린트락(flintlock)은 휠락과 마찬가지로 플래시팬(flashpan)과 불꽃을 사용하여 화약에 점화했다. 플린트락은 쇳돌(iron pyrite) 대신 부싯돌(flint)을 사용했다. 부싯돌은 닭이 쪼는 동작과 비슷하여 "콕(cock)"이라고 불리는 스프링 장착 암(arm)에 고정되었다. 콕은 약 90도 각도로 회전했으며 방아쇠에 의해 장전되거나 "장전된" 위치에 고정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승총은 콕을 두 위치에 고정할 수 있었다. "하프콕(half-cock)" 위치는 콕을 절반 정도 뒤로 당겨놓은 상태로, 방아쇠를 당겨도 콕이 해제되지 않도록 깊은 노치(notch)를 사용했다. 하프콕은 화승총을 장전하거나, 보관하거나, 장전된 상태로 휴대할 때 사용하는 안전 위치였다. "풀콕(full-cock)" 위치는 콕을 완전히 뒤로 당겨놓은 위치로, 총을 발사하는 위치였다.

L자 모양의 "프리젠(frizzen)"은 화승총 점화 시스템의 다른 한쪽이었다. 이것은 플래시팬 덮개와 부싯돌을 위한 강철 타격면의 역할을 했다. 프리젠은 경첩이 달리고 스프링 장착되어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고정될 수 있었다. 닫히면 타격면이 위치하여 부싯돌이 적절한 각도로 타격하여 불꽃을 생성했다. 타격하는 부싯돌은 프리젠을 열어 플래시팬을 불꽃에 노출시켰다.

화승총 메커니즘은 휠록보다 간단하고 강력했으며, 부싯돌과 강철은 좋고 신뢰할 수 있는 점화원을 제공했다. 화승총은 200년 이상 군사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역사 재현과 머즐로딩(muzzle-loading) 사격 경기, 그리고 화승총이 제공하는 추가적인 어려움을 즐기는 사냥꾼들을 위해 제작되고 있다.

2. 5. 캡락 (Caplock)

뇌관


점화 기술의 다음 주요 발전은 화약 뇌관 또는 "캡"의 발명과 그것을 사용하는 장치인 "캡락"이었다. 뇌관 점화는 1807년 스코틀랜드의 성직자 포사이스 목사에 의해 발명되었지만, 1820년대에서 1830년대에 걸쳐 점차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전에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했다. 19세기 중반까지 뇌관 또는 캡락 시스템은 확립되었다. 이것은 미국 남북 전쟁 양측 모두에 의해 채택되었는데, 이는 부싯돌 점화 방식보다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캡락이 그렇게 빠르게 채택된 주된 이유는 부싯돌 방식과의 유사성과 기존 무기를 뇌관 점화 방식으로 개조하는 용이성 때문이었다. 일반적으로 같은 자물쇠와 총열을 약간의 변경만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화약 받침과 부싯돌은 제거되고 작은 속이 빈 수평 원통(드럼)으로 대체되었는데, 이것은 뚫리고 나사로 고정된 화약구멍에 나사로 고정되었고, 캡을 장착할 수 있는 "젖꼭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반 격철(캡을 장착하고 장전하기 위해)과 완전 격철 위치를 가진 "망치"가 격철을 대체했다. 방아쇠를 당겨서 해제하면 망치가 캡을 치면서 젖꼭지에 눌러 깨뜨린다. 뇌관은 얇은 금속 컵으로, 소량의 압력 감지 폭발물, 종종 폭발성 수은을 포함하고 있었다. 깨지면 폭발물이 폭발하여 뜨거운 가스의 흐름을 젖꼭지의 구멍을 통해 총의 점화구로 보내 화약을 점화한다. 발사 과정에서 캡은 일반적으로 깨지고 망치가 장전을 위해 반 격철 위치로 이동하면 떨어진다. 캡락 시스템은 잘 작동했으며, 사냥꾼화승식 무기를 사용하는 레크리에이션 사수들에게 여전히 선호되는 점화 방법이다.

3. 현대 화기의 점화 방식

사격 후 림파이어 및 센터파이어 탄피


19세기에 화학 뇌관, 발전된 야금술 및 제조 기술이 결합하여 탄약식 화기라는 새로운 종류의 화기가 탄생했다. 화승총과 캡록 총 사수들은 탄약을 종이 탄약 형태로 휴대했는데, 이는 일정량의 화약과 탄환을 하나로 묶어 보관하는 역할을 했다. 종이는 탄환을 총열에 밀봉하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점화원은 별도로 취급되었다. 화학 뇌관의 출현과 함께 탄환, 화약, 뇌관을 하나로 묶는 여러 시스템이 발명되었고, 이는 화기의 후장부에서 빠르게 장전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장전 절차를 간소화하고 반자동 및 완전 자동 화기를 위한 길을 열었다.

하지만 각 탄약에 탄피라는 부품이 추가되었고, 재장전을 위해서는 이를 제거해야 했다. 화승총은 발사 후 즉시 재장전할 수 있었지만, 황동 탄피를 채택하면서 탄피 추출 및 배출 문제가 발생했다. 현대식 총은 장전, 발사 외에도 사용한 탄피를 제거해야 하므로 더 많은 부품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19세기 발명가들은 이러한 복잡성을 꺼려 다양한 자체 소모성 탄약을 실험했지만, 결국 황동 탄피의 장점이 단점을 능가한다고 판단했다.

시간의 시험을 견뎌낸 자체 포함 금속 탄약 점화 시스템에는 림파이어, 베르당 센터파이어 뇌관 및 폭서 센터파이어 뇌관이 있다.

3. 1. 전기식 점화 (Electric-fired)

일부 기관총기관포 탄약(예: MG 131 13mm 및 M61 발칸 20mm)은 기계적 충격이 아닌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하로 작동하는 화학 물질을 포함하는 내부 전기뇌관을 사용한다. 뇌관은 충격 민감형 또는 외부 전기형과 마찬가지로 주 추진제를 점화시킨다.[4]

이 방식은 자동 화기에서 탄약 점화 시점을 무기의 기계적 작동과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루프트바페가 전투기의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통과하여 기관총과 기관포를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동조 장치에 사용되었다. 반면, 소련과 같은 다른 국가들은 더 조잡한 기계 시스템에 의존하여 사격 속도가 더 크게 감소했다.[4]

전기뇌관은 레밍턴이 일부 스포츠 소총에 대해 개발 및 판매한 EtronX 시스템에도 사용되었지만, 더 빠른 락타임을 가진 화기로 판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기 있는 스포츠 무기 시스템이 되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3. 2. 내부 뇌관 (Internal Priming)

19세기에는 화학 뇌관, 발전된 야금술 및 제조 기술이 결합하여 탄약식 화기가 탄생했다. 화승총과 캡록 총 사수들은 종이 탄약 형태로 탄약을 휴대했는데, 여기에는 일정량의 화약과 탄환이 들어 있었다. 종이는 탄환을 총열에 밀봉하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점화원은 별도로 취급되었다. 화학 뇌관의 출현과 함께 탄환, 화약, 뇌관을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하는 여러 시스템이 발명되었고, 이는 화기의 후장부에서 빠르게 장전할 수 있게 하여 장전 절차를 간소화하고 반자동 및 완전 자동 화기를 위한 길을 열었다.

하지만 각 탄약에 탄피라는 추가 부품이 필요해졌고, 총을 재장전하려면 이를 제거해야 했다. 화승총은 발사 후 즉시 재장전할 수 있었지만, 황동 탄피를 사용하면서 탄피 추출 및 배출 문제가 발생했다. 현대식 총은 장전, 발사 외에도 사용한 탄피를 제거해야 하므로 더 많은 부품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19세기 발명가들은 이러한 복잡성을 꺼려 다양한 자체 소모성 탄약을 실험했지만, 결국 황동 탄피의 장점이 단점을 능가한다고 판단했다.

시간의 시험을 견뎌낸 자체 포함 금속 탄약 점화 시스템에는 림파이어, 베르당 센터파이어 뇌관 및 폭서 센터파이어 뇌관이 있다.

3. 2. 1. 핀파이어 (Pinfire)

핀파이어 화기 탄약은 낡은 형태의 황동제 탄약으로, 탄약 밑부분 바로 위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작은 핀을 타격하여 점화제를 점화하는 방식이다.[1] 카지미르 르포슈(Casimir Lefaucheux)가 1828년에 발명했지만 1835년까지 특허를 받지 못했으며, 금속제 탄약의 초기 실용적인 설계 중 하나였다.[1] 그러나 돌출된 핀은 손상, 변위 및 우발적인 점화에 취약했다.[1] 게다가 핀은 장전할 때 작은 홈에 신중하게 위치시켜야 했기 때문에, 핀파이어는 연발 또는 자동 장전 무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1] 핀파이어는 오늘날 소음기를 목적으로 설계된 매우 작은 공포탄과 장난감 총에서만 소수 사용된다.[1]

3. 2. 2. 림파이어 (Rimfire)

림파이어 탄약은 얇은 황동 탄피 뒷부분에 오목한 돌기, 즉 림(rim)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 림은 제조 과정에서 충격에 민감한 뇌관으로 채워진다. 젖은 상태에서는 뇌관이 안정적이며, 젖은 뇌관 알갱이를 탄피에 넣고 림 전체에 골고루 덮이도록 회전시킨다. 건조 상태에서는 림 안의 뇌관이 충격에 민감해진다. 망치 또는 격발핀이 림을 압착하면 뇌관이 폭발하여 화약을 점화한다. 림파이어 탄약은 일반적으로 단일 사용이며 재장전할 수 없다. 또한 림은 쉽게 압착될 수 있을 만큼 얇아야 하므로, 얇은 림의 강도에 따라 탄피 내 최대 압력이 제한된다.[1]

림파이어 탄약은 약 2.54cm 구경까지 사용되었지만, 약 0.56cm 구경과 그보다 작은 구경을 제외한 모든 구경은 결국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권총에서도 사용되는 .22 LR탄은 저렴하고 비교적 소음이 적으며 반동이 매우 작기 때문에 오늘날 가장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용 구경이다.[1]

림파이어 뇌관 방식은 필요한 얇은 탄피로 인해 제한적이지만 최근 몇 차례 부활을 경험했다. 1959년 윈체스터(Winchester)의 .22 WMR을 시작으로, 1970년에는 레밍턴(Remington)의 단명한 5mm 림파이어가 뒤따랐다. 2002년에는 호르나디(Hornady)가 .22 WMR을 기반으로 새로운 .17 구경 탄약인 .17 HMR을 출시했다. .17 HMR은 본질적으로 .17구경 탄환을 사용하도록 목을 좁힌 .22 WMR 탄약이며, 평탄한 탄도의 경량 소형 유해동물 사냥용 탄약으로 사용된다. .17 HMR에 이어 2003년 호르나디의 .17 HM2가 출시되었는데, 이는 약간 길고 목을 좁힌 .22 LR 탄약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 .17 구경 림파이어 탄약은 총기 제조업체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1]

2013년 윈체스터는 .17 Winchester Super Magnum을 출시했는데, 이 탄약은 20gr 탄환으로 3000ft/s에 달하는 속도를 가지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강력한 림파이어 탄약이다.[1]

3. 2. 3. 센터파이어 (Centerfire)

중앙약실 탄약의 특징은 탄피 바닥 중앙의 홈에 삽입된, 화약을 넣은 금속 컵이다. 발사핀이 이 폭발물을 컵과 앤빌(모루) 사이에서 압착하여 고온의 가스와 incandescent|백열영어 입자를 분출시켜 화약을 점화한다.[2] 베르당 및 폭서 뇌관이 중앙약실 탄약에 사용되며, 그 구조가 다르다. 다양한 크기의 뇌관에 다양한 점화 혼합물이 사용되어 화약을 신속하게 점화한다. 무연화약의 방수 코팅을 신속하게 점화하려면 비교적 높은 열용량을 가진 입자가 필요하다. 일부 뇌관 폭발물은 백열의 고체 또는 액체로 분해된다. 폭발물이 가스로 분해될 때 불활성 성분이 백열의 불꽃으로 가열될 수 있다. 군사용 탄약은 안정적인 뇌관 조성이 필요하므로, 소형 무기 탄약의 전쟁 비축물은 수년간의 저장 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3]

3. 3. 뇌관 작동식 블로우백 (Primer-actuated blowback)



뇌관 작동식 화기는 뇌관 후퇴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기를 해제하고 작동 순환시킨다. 존 가랜드는 1920년대 초 M1903 볼트액션 소총을 대체하려는 시도에서 이 시스템을 개발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5] 가랜드의 시제품은 미군 .30-06 탄약과 압착되지 않은 뇌관과 잘 작동했지만, 이후 군 당국이 속사 화약에서 점진 연소식 개량형 군용 소총(IMR) 화약으로 변경했다. 더 느린 압력 상승으로 인해 뇌관 작동식 시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져 가랜드는 설계를 포기하고 M1 가랜드가 된 가스 작동식 소총을 개발했다.[5][6] AAI 사는 SPIW 경쟁에 제출한 소총에 뇌관 피스톤을 사용했다.[7] 이 시스템을 사용한 다른 소총으로는 포스트니코프 APT와 클라크 카빈 소총이 있다.[8]

LAW 80과 어깨발사 다목적 돌격 무기의 조준경 소총에는 유사한 시스템이 사용되며, 9mm, .308 윈체스터 기반의 탄약에 뇌관 대신 .22 호넷 사격용 빈 탄피를 사용한다. 발사 시 호넷 탄피가 약간 후퇴하여 작동을 해제한다.[9]

참조

[1] 간행물 Ammo Review: New .17 Winchester Super Magnum, World's Fastest Rimfire Round http://www.outdoorli[...] Outdoor Life
[2] 서적 Handloading National Rifle Association
[3] 서적 Handloading National Rifle Association
[4] 웹사이트 WORLD WAR 2 FIGHTER GUN EFFECTIVENESS http://www.quarryhs.[...]
[5] 서적 Hatcher's Notebook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016-11-02
[6] 웹사이트 Experimental semi-automatic rifles by John Garand, 1919-1936 http://www.nps.gov/s[...] National Park Service 2014-12-28
[7] 웹사이트 Flirting With Flechettes: The US Army's Search for the Ideal Rifle Projectile http://www.cruffler.[...] 2007-09-27
[8] 웹사이트 Clarke carbine https://www.forgotte[...] 2010-10-27
[9] 웹사이트 9 x 51mm SMAW - International Ammunition Association http://cartridgecoll[...] 200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