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소방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주소방서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소방서이다. 1947년 4월 18일 처음 설치되었으나 1950년 5월 27일 폐지되었다가, 1985년 12월 13일 재설치되었다. 현재 소방행정과와 현장대응단을 두고 있으며, 6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구급센터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소방서 - 당진소방서
충청남도 당진시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는 당진소방서는 소방행정과, 화재대책과, 현장대응단으로 구성되어 소방 행정, 화재 예방 및 진압, 구조 및 구급 활동을 수행하며, 1개의 현장대응단, 6개의 119안전센터, 1개의 소방정대를 산하에 두고 당진시 전역의 안전을 책임진다. - 충청남도의 소방서 - 서천소방서
서천소방서는 2008년 부여소방서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충청남도 서천군의 소방기관으로, 화재 진압, 구조·구급, 예방 안전 활동을 수행하며 서천군민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119안전센터와 구조구급센터를 운영하며 의용소방대와 협력하여 재난 방지 활동을 수행한다. - 공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은 공주고적보존회에서 시작하여 조선총독부 박물관 공주분관을 거쳐 1975년 국립박물관으로 독립했으며,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포함한 1만 점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백제 문화를 중심으로 전시와 체험실을 운영하는 국립 박물관이다. - 공주시 소재의 관공서 - 공주교도소
공주교도소는 1908년 공주감옥으로 개설되어 공주형무소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1978년 금흥동으로 이전했고, 한국 전쟁 중 학살 사건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1947년 설치 - 대전지방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은 1908년 공주지방재판소 검사국으로 시작하여 194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검찰청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일부를 관할하며 여러 지청과 부서를 두고 법 질서 유지 및 사회 정의 구현에 힘쓰고, 특히 여성·아동 범죄와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1947년 설치 - 천안동남소방서
천안동남소방서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47년 설치 후 한국 전쟁으로 폐지, 1970년 재설치되었으며, 1989년과 2011년 소방서 분리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 소방행정과, 화재대책과, 현장대응단 및 5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119구조구급센터를 운영한다.
공주소방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공주소방서 |
영문 이름 | Gongju Fire Station |
설치 년도 | 1947년 (1950년 폐지) 1985년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로 55 |
상급 기관 | 충청남도 소방본부 |
관할 구역 | 충청남도 공주시 |
관할 센터 | 웅진 유구 신관 동학사 계룡 정안 공주119구조대 |
웹사이트 | 공주소방서 웹사이트 |
2. 연혁
날짜 | 사건 |
---|---|
1947년 4월 18일 | 공주소방서 설치[3] |
1950년 5월 27일 | 공주소방서 폐지[3] |
1985년 12월 13일 | 공주소방서 재설치 및 개서 |
1986년 12월 22일 | 교동파출소 및 유구파출소 개소 |
1989년 5월 6일 | 논산파출소 개소 |
1990년 3월 16일 | 부여파출소 개소 |
1990년 3월 27일 | 조치원파출소 개소 |
1995년 6월 8일 | 임천파출소 개소 |
1995년 12월 15일 | 강경파출소 개소 |
1996년 11월 18일 | 공주소방서 119구조대 및 논산119구조대 발대 |
1997년 9월 30일 | 논산소방서 분리, 금산군, 부여군 관할 |
2. 1. 설립과 폐지 (1947년 ~ 1950년)
1947년 4월 18일 공주소방서가 설치되었으나,[3] 1950년 5월 27일 폐지되었다.[3]2. 2. 재설치와 확장 (1985년 ~ 현재)
1985년 12월 13일, 공주소방서가 재설치되어 다시 문을 열었다.[3] 이후 여러 파출소가 설치되었는데, 1986년 12월 22일에는 교동파출소와 유구파출소가, 1989년 5월 6일에는 논산파출소가 개소하였다. 1990년에는 3월 16일에 부여파출소, 3월 27일에 조치원파출소가 각각 설치되었다.1995년에는 6월 8일에 임천파출소, 12월 15일에 강경파출소가 문을 열었다. 1996년 11월 18일, 국민의 안전을 위한 구조 역량 강화를 위해 공주소방서 119구조대와 논산 119구조대가 발대하였다.
1997년 9월 30일, 논산소방서가 분리되면서 금산군과 부여군을 관할하게 되었다.
3. 조직
공주소방서는 소방행정과와 현장대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방행정과는 소방행정팀, 예산장비팀을 두고 있으며, 현장대응단은 구조구급팀을 두고 있다.
3. 1. 소방행정과
- 소방행정팀
- 예산장비팀
3. 2. 현장대응단
구조구급팀4.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
공주소방서는 6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구급센터를 산하에 두고 있다.[4] 각 센터의 명칭, 주소, 관할구역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주소 | 관할구역 | 지역대 |
---|---|---|---|
웅진119안전센터 | 무령로 55 | 웅진동, 금학동, 중학동, 옥룡동, 우성면 | |
유구119안전센터 | 유구읍 유구외곽로 368 | 유구읍, 신풍면, 사곡면 | 사곡119지역대 신풍119지역대[5] |
신관119안전센터 | 의당로 31 | 신관동, 월송동, 의당면 | |
동학사119안전센터 | 반포면 동학사1로 110 | 반포면 | |
계룡119안전센터 | 계룡면 월암송정길 18 | 계룡면, 이인면, 탄천면 | 이인119지역대 탄천119지역대 경천119지역대 |
정안119안전센터 | 정안면 광정장터길 18 | 정안면 | |
공주소방서 119구조구급센터 | 무령로 55 | 충청남도 공주시 일원 |
4. 1. 119안전센터
신풍119지역대[5]탄천119지역대
경천119지역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