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충청남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충청남도는 1896년 충청도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대한민국의 도이다. 1932년 도청을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했고, 1989년 대전직할시가 분리되었다. 2012년에는 연기군이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으며, 도청은 내포신도시로 이전했다. 지형은 대체로 평탄하며, 금강과 삽교천 유역에 평야가 발달했다. 주요 도시로는 천안, 아산, 당진 등이 있으며, 농업, 수산업, 공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도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의료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복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와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 - 임립미술관
    임립미술관은 1997년 10월 2일에 개관하여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3월부터 10월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월부터 2월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는 미술관이다.
  • 충청남도 - 리각미술관
    리각미술관은 1993년 3월 2일에 개관하여 연중무휴로 무료 관람을 제공한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충청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충청남도 깃발
충청남도 깃발
충청남도 로고
충청남도 로고
공식 명칭충청남도
로마자 표기Chungcheongnam-do
한글 표기충청남도
한자 표기忠淸南道
McCune-Reischauer 표기Ch'ungch'ŏngnamdo
위치대한민국
지역호서 지방
최대 도시천안시
도청 소재지홍성군
하위 행정 구역8시, 7군
도지사김태흠
도지사 소속 정당국민의힘
면적8,226.14 km²
면적 순위6위
인구2,123,037 명 (2022년 기준)
인구 순위4위
인구 밀도258.08 명/km²
ISO 코드KR-44
방언충청 방언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상징
국화
나무수양버들
원앙
경제
GDP128조 원 (2022년)
GDP (미국 달러)1020억 달러 (2022년)
기타 정보
지역 번호041
마스코트충청이 & 충나미
추가 정보
충청남도 슬로건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
행정부지사김기영(제15대)
정무부지사전형식(초대)
도목소나무
도조참매

2. 역사

일제강점기 시절 충청남도청


구 충청남도청 청사 (대전광역시 소재)


현 충남도청사 (내포신도시 소재)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충청도가 남북으로 분리되면서 충청남도가 처음 설치되었고, 도청 소재지는 공주에 두었다.[19] 일제강점기1932년 도청을 대전으로 이전하였다.[20]

해방 이후 1963년에는 전라북도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되었고, 1989년에는 대전직할시가 분리되었다. 2012년에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일부 지역이 분리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28일 도청을 대전에서 내포신도시(홍성군-예산군)로 이전하였다. 이 외에도 여러 시군의 통합과 승격이 이루어졌다.

국제 교류로는 1983년 일본 구마모토현과 자매결연을 맺고 1998년 현지에 사무소를 개설했으며, 2013년에는 일본 시즈오카현과 우호 협정을 체결하였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고대에는 마한에 속해 있었다. 마한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목지국은 지금의 천안시 목천읍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백제가 마한을 점령하면서 백제에 속하게 되었다. 백제 문주왕 때 수도를 웅진(현재의 공주)으로 옮겼고, 성왕 때는 사비(현재의 부여)로 다시 수도를 옮겼다. 이는 백제의 중심지가 충청남도 지역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후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후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나누면서, 충청남도 지역에는 9주 중 하나인 웅주를 설치하였다. 고려 시대에 들어서는 현재의 경기도, 충청북도 지역과 함께 양광도에 속하게 되었다.

2.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 충청도로 개편되었으며, 충청남도의 서부 지역에는 홍주목, 동부 지역에는 공주목이 설치되었다. 선조 31년(1598년)에는 충청도 감영충주에서 공주로 이전하면서 공주가 충청도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후 충청도의 명칭은 공청도, 충청도, 공홍도, 충홍도, 공충도 등으로 여러 차례 바뀌다가 순조 34년(1834년)에 공청도에서 다시 충청도가 되었다.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23부제가 실시되었을 때는 충청도 지역에 홍주부와 공주부가 설치되었다. 1896년 8월 4일에 13도제가 시행되면서 충청도를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나누었고, 충청남도의 수부(首府, 도청 소재지)는 공주에 두었다.[19]

2. 3.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충청남도청 소재지를 공주에 그대로 두었으나, 1932년 대전으로 도청을 이전하였다.[20] 1914년에는 충청남도 평택군경기도로 이관하였다.

2. 4. 대한민국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충청남도청 소재지를 공주로 하였으나, 1932년 대전으로 도청을 이전하였다.[20] 1914년에는 충청남도 평택군경기도로 이관되었다. 해방 이후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충청남도는 2012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56133USD에 달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이다.[2]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평균 9.7%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을 기록했으며, 2010년에는 12.4%까지 가속화되었다.[3] 이러한 급속한 성장을 통해 21세기에 들어 충청남도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던 경제에서 고도로 산업화된 경제로 변모하였다.

교통 측면에서 충청남도는 강원도와 함께 수도권 밖에서 유일하게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는 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천안아산을 지난다. 새롭게 건설된 천안아산역을 중심으로 아산신도시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역을 통해 충청남도의 최대 도시인 천안에서 KTX 고속열차를 이용하여 서울역까지 30분 이내에 연결된다.

충청남도의 지역번호는 041이다.

3. 지리

충청남도는 호서 지역에 속하며, 동쪽으로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와 접하고, 서쪽은 황해에 면하며, 남쪽으로는 전라북도, 북쪽으로는 경기도와 경계를 이룬다. 2012년 기준 면적은 8204km2이다.[5]

충청남도의 지형은 대체로 낮고 평평하다. 해발 고도 1000m 이상을 넘는 곳이 없으며, 도 전체의 평균 고도는 약 10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낮다. 평균 고도 600m 이하의 낮은 차령산맥이 도를 남북으로 가르며 동서 방향으로 지나간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오서산( 791m), 칠갑산( 561m), 광덕산( 699m) 등이 있다. 계룡산( 845m)은 가장 높은 산으로, 독특한 암석 지형을 이루고 있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사찰이 자리 잡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금강삽교천이 있다. 차령산맥 남쪽의 금강은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큰 강으로, 금산에서 시작하여 충청북도를 거쳐 공주, 청양, 논산, 부여, 서천을 지나 장항에서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 금강 유역에는 부여의 구룡평야와 논산의 논산평야가 발달했으며, 논산천 유역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차령산맥 북쪽의 삽교천아산만으로 흐르며 예당평야를 형성했고, 이 유역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예당저수지가 있다.

서쪽의 황해 해안선은 출입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서북쪽으로는 태안반도가 돌출되어 있다. 과거에는 해안선이 더 복잡했으나, 서산 A·B지구 방조제, 아산만 방조제, 삽교 방조제, 대호 방조제 등 대규모 간척사업이 진행되면서 해안선이 비교적 단순해졌다. 해안 사구가 발달하여 만리포, 연포, 몽산포, 대천, 무창포 등 여러 해수욕장이 있다. 1978년에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이 개장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해안 국립공원이 되었다.

충청남도의 산림 면적은 2015년 말 기준 약 408천 ha로, 도 전체 면적의 49.7%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산림 면적의 6.4%에 해당한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일부 산림(23,754 ha)이 세종시로 편입되면서 면적이 다소 감소했다.[22] 2015년 말 기준 ha당 평균 임목축적은 132.1m³/ha로, 2010년 대비 20.4% 증가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OECD 평균 및 미국의 임목축적(131m³/ha)을 추월한 수치이지만, 뉴질랜드, 독일, 스위스 등 임업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22]

충청남도는 도 면적의 약 3분의 1이 농경지이며, 농업 외에 어업도 중요한 산업이다. 약 220km2에 달하는 소금밭이 있으며, 도 남부에서는 , , 석탄, 모나자이트, 지르콘 등의 광물이 채굴된다.

3. 1. 기후

충청남도의 기후대륙성 기후이다. 겨울에는 북서풍을 막을 지형적 장애물이 적어 같은 위도의 동해안보다 춥다. 특히 서북부 해안지대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연간 쾌청일수는 60~70일이며, 일조율은 58~60%이다. 일조일수는 해안지방이 200~220일, 내륙지방은 180~200일 정도이다. 1월 평균기온은 도서지방이 -1°C, 내륙지방은 -3°C이다. 8월 평균기온은 도서지방이 24°C, 내륙지방이 26°C로, 약 2°C의 차이를 보인다.

주요 지역별 평균 기온
지역1월 평균기온 (°C)8월 평균기온 (°C)
서산-1.9°C25°C
천안-3°C25°C
보령-1.2°C25.2°C
금산-2.9°C24.7°C



강수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며, 금강 유역과 태안반도 지방이 가장 많다. 서해안의 연간 강수량은 1150mm~1350mm이다. 연간 강우 일수는 해안지방이 약 90일, 내륙지방이 약 110일이며, 월별로는 7월에 비가 가장 많이 내리고 1월에 가장 적게 내린다.[23]

4. 행정 구역

당진


2018년 6월 기준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은 8시 7군, 25읍 136면 4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4] 2020년 1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수, 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25][26]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이름한자세대수인구면적 (km²)
천안시天安市282,073652,845636.14km2
공주시公州市50,502106,294864.19km2
보령시保寧市48,341100,908573.69km2
아산시牙山市135,376314,238542.19km2
서산시瑞山市76,830174,663741.2km2
논산시論山市57,290118,781554.75km2
계룡시鷄龍市15,92442,73560.72km2
당진시唐津市76,202166,815704.26km2
금산군錦山郡25,53452,120577.13km2
부여군扶餘郡33,36966,676624.52km2
서천군舒川郡26,45052,702365.7km2
청양군靑陽郡16,25331,577479.1km2
홍성군洪城郡45,911100,347443.99km2
예산군禮山郡38,31779,126542.62km2
태안군泰安郡32,06662,628515.79km2
합계960,4382,122,4558226.32km2


4. 1. 도청 소재지



1910년 10월 1일 일제강점기 시작과 함께 충청남도청 소재지는 공주에 있었으나, 1932년 대전으로 이전되었다.[20] 이후 1989년 대전광역시가 충청남도로부터 분리되어 대전직할시로 승격된 후에도 충청남도청은 계속 대전광역시에 위치하였다.

2006년 충청남도청 및 주요 기관들의 이전을 결정하였고,[43] 2010년 전국 공모를 통해 새로운 도청 소재지의 명칭을 '내포'로 정했다.[42] '내포'는 예로부터 서해 바다에 인접한 충남 서북부 지역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일제강점기김좌진, 윤봉길, 한용운 등 많은 독립투사를 배출한 곳이자 불교와 천주교의 전파 통로 역할을 한 지역이다.[43] 또한, 충남의 발전과 비전, 정체성, 상징성을 잘 나타낸다는 평가를 받았다.[42]

2012년 12월 28일부터 예산군 삽교읍홍성군 홍북읍 일원에 조성된 내포신도시로 도청 이전을 시작하여,[44] 2013년 충청남도청, 충청남도의회, 충청남도교육청, 충남지방경찰청의 이전이 완료되었다. 내포신도시는 충청남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하는 LOHAS형 신도시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45]

5. 인구

2020년 1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960,438세대, 2,122,455명이다.[26]

이름한자세대수인구면적 (km2)
천안시天安市282,073652,845636.14km2
공주시公州市50,502106,294864.19km2
보령시保寧市48,341100,908573.69km2
아산시牙山市135,376314,238542.19km2
서산시瑞山市76,830174,663741.2km2
논산시論山市57,290118,781554.75km2
계룡시鷄龍市15,92442,73560.72km2
당진시唐津市76,202166,815704.26km2
금산군錦山郡25,53452,120577.13km2
부여군扶餘郡33,36966,676624.52km2
서천군舒川郡26,45052,702365.7km2
청양군靑陽郡16,25331,577479.1km2
홍성군洪城郡45,911100,347443.99km2
예산군禮山郡38,31779,126542.62km2
태안군泰安郡32,06662,628515.79km2
합계960,4382,122,4558226.32km2



통계청의 시도별 장래인구추계(2015~2045)를 바탕으로 산정한 충청남도 시군 장래인구추계(2015~2035) 결과, 2017년 기준 211만 명보다 30만 명이 늘어난 2035년 241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27]

1970년에는 서산군(서산시)과 논산군(논산시)이 전국 시·군 중에서 인구 6위, 10위로 상위권을 차지하며 도내에서 대전시 다음으로 인구가 많았다. 그러나 수도권의 확장 및 규제 강화로 경기도와 인접한 천안, 아산, 내포지방인 당진, 서산, 내포신도시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그 외 충청남도 도부 및 남부 인구는 감소하여 지역 내 불균형이 심화되었다.[28]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2,026,837명
1955년2,220,895명
1960년2,528,133명
1965년2,902,941명
1970년2,858,202명
1975년2,947,023명
1980년2,954,662명
1985년2,999,837명
1990년2,013,270명1989년 대전 승격 분리 감소
1995년1,765,021명
2000년1,840,410명
2005년1,879,417명
2006년2,000,844명
2007년2,026,084명
2008년2,053,791명
2009년2,075,249명
2010년2,118,264명
2011년2,149,374명
2012년2,074,918명2012년 세종 승격 분리 감소
2013년2,097,555명
2014년2,116,830명
2015년2,134,232명
2016년2,096,727명
2017년2,116,770명
2018년2,126,282명
2019년2,125,797명
2020년2,122,455명


6. 정치

충청남도청은 충청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이다. 도지사는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하며, 현재 도지사는 국민의힘 소속의 김태흠이다. 도청은 충청남도 내포신도시에 위치한다.

'''충청남도의회'''는 총 42석으로 구성되며, 이 중 지역구 의석은 38석, 비례대표 의석은 4석이다. 지역구 선거는 소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다.

2018년 10월 기준 정파별 의석수
구분총계정당별 현황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정의당
총계423381
선거구별지역구383170
비례대표4211



'''역대 민선 충청남도지사'''

대수선거이름정당임기
32대민선 1기심대평자유민주연합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33대민선 2기자유민주연합
국민중심당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4대민선 3기자유민주연합
국민중심당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4일
권한대행유덕준2006년 3월 24일 ~ 2006년 6월 30일
35대민선 4기이완구한나라당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4일
권한대행이인화2009년 12월 4일 ~ 2010년 6월 30일
36대민선 5기안희정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37대민선 6기더불어민주당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6일
권한대행남궁영2018년 3월 7일 ~ 2018년 6월 30일
38대민선 7기양승조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39대민선 8기김태흠국민의힘2022년 7월 1일 ~


7. 경제

충청남도는 2012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56133USD에 달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2]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9.7%의 높은 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2] 2010년에는 성장률이 12.4%까지 가속화되었다.[3] 이러한 급속한 성장을 통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주로 농업에 의존하던 경제 구조에서 고도로 산업화된 경제로 변모하였다.

교통 인프라 확충도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충청남도는 강원특별자치도와 함께 수도권 밖에서 유일하게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는 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천안아산을 지난다. 또한, 천안아산역을 통해 KTX 고속열차를 이용하면 천안에서 서울역까지 3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교통 편의성을 바탕으로 천안아산역 주변에는 아산 신도시와 같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활발한 투자 유치와 산업 기반 조성도 이루어지고 있다. 천안, 인주 등 총 5곳에 단지형 외국인 투자지역이 조성되어 있으며, 총 66개의 외국 기업이 입주했거나 입주 준비 중이다.[49] 또한, 최근 7년간 총 4,865개의 국내 기업을 유치했으며, 이 중 308개는 수도권에서 이전한 기업이다.[50] 2017년 말 기준으로 충청남도에는 총 151개의 산업단지가 운영되고 있다.[51]

대외적으로는 환황해권의 경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환황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환황해포럼'을 개최하고 있으며, 관련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52][53] 충청남도는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해외 무역사절단 파견, 해외지사화 사업 지원 등을 통해 도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54][55][56] 그 결과, 충청남도의 수출액과 무역수지는 꾸준히 전국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3분기에는 무역수지 411.1억달러를 기록하며 전국 1위를 차지했다.[57]

7. 1. 산업

충청남도는 전체 면적 8226.1km2 중 약 3분의 1이 경작지인 중요한 농업 지역이다.[6] 또한 서해안을 접하고 있어 수산업도 발달하였다.

== 농업 ==

충청남도는 농업 발전을 위해 3농혁신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3농혁신은 지속가능한 농어업, 살기 좋은 농어촌, 행복한 농어업인을 목표로 하며,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농가인구 감소, 고령화,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민선 5기부터 시작되었다.[59][60][61] 주요 목표는 농어업의 가치를 높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누구나 살고 싶은 농어촌을 만들며, 농어업인이 주체가 되는 협치 농정을 실현하는 것이다.[61]

또한,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 농업환경실천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농업인이 중심이 되어 농업 환경 개선 사항을 자율적으로 실천하도록 행정과 마을 간 협약을 맺고, 이를 통해 토양 환경을 개선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수산업 ==

2017년 말 기준으로 충청남도의 수산업 종사자는 8,598가구, 18,114명으로 도내 인구의 0.8%를 차지하며, 전국 어가 인구의 14.9%에 해당하여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이어 전국 3위 규모이다. 행정구역 상 8개 시와 7개 군 중 7개 시·군이 바다와 접하고 있으며, 8개의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과 169개 어촌계가 조직되어 있다. 총 5,948척의 어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약 16만 2천 톤의 수산물을 생산하여 전국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며 전국 4위를 기록하고 있다.[58] 서해안의 넓은 갯벌을 이용한 소금 생산도 이루어지는데, 태양열 증발을 이용하는 염전 면적이 220km2에 달한다.[6]

어업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 조업을 지원하며 수산 자원을 보호하고 어업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어업지도선 '충남해양호'를 운영하고 있다. 충남해양호는 총톤수 180톤, 길이 39.9m, 폭 7.5m, 깊이 3.6m 규모이며, 최대 40명(승무원 13명, 기타 27명)이 탑승할 수 있다. 최대 속력은 27노트(시속 약 50km)이며, 총 86.4억의 예산이 투입되었다.[62]

== 축산업 ==

충청남도는 동물복지 증진과 안전한 축산물 공급을 위해 다양한 축산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유기·유실동물 보호관리 사업: 2013년 1월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버려지거나 주인을 잃은 유기동물을 보호하고 새로운 가족을 찾아주는 활동을 통해 동물복지를 실현하고, 안락사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충남 15개 시·군의 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할 경우, 질병 검사, 예방 접종, 중성화 수술 등에 드는 비용을 마리당 20만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63]
  • 축산물이력제 관리사업: 소와 쇠고기의 출생부터 유통까지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여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높인다. 또한, 위생이나 안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소의 출생 신고 시 귀표 부착 비용을 지원하는 등 사육 단계부터 이력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64]
  • 소 농가 진료비 지원사업: 2010년부터 시행된 사업으로, 가축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때 치료하여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농가 스스로 가축을 치료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여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8년에는 3만 마리를 대상으로 30억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한우, 육우, 젖소를 키우는 소규모 영세 농가를 우선으로 진료비의 50%를 지원하고 관련 상담 및 컨설팅도 제공한다.[65]
  • 오리 휴지기 사육제한 농가 지원사업: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에 취약한 오리 농가를 대상으로 AI 발생 위험이 높은 겨울철(11월~2월) 동안 사육을 중단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는 사업이다. 과거 AI가 여러 번 발생했던 농가나 철새 도래지 인근의 위험 지역 농가를 우선 대상으로 하며, 사육 제한에 따른 지원금은 농가 순수익의 80% 수준으로 지급된다.[66]


== 광업 및 에너지 ==

충청남도는 농수축산업 외에도 석탄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광산도 존재한다. 희귀 광물인 토륨을 함유한 모나자이트지르콘도 산출된다.[6]

에너지 분야에서는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전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그러나 같은 해, 충청남도는 아시아 지역 최초로 석탄 없는 미래 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에 가입하여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고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것을 국제 사회에 약속하였다.[6]

8. 교통

충청남도는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서부에는 장항선, 남부에는 호남선, 동부에는 호남고속선[47], 북동부에는 경부선경부고속선이 지난다. 도의 북부 지역인 천안시아산시경부선장항선 구간[48]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KTX천안아산역(아산시 배방읍), 공주역(공주시 이인면), 계룡역(계룡시 두마면), 논산역(논산시 반월동)에 정차한다. SRT는 공주역천안아산역에 정차한다.

충청남도의 법정도로 총 연장은 7234km이며, 2017년 12월 기준 도로 포장률은 85.6%이다. 동부에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서부에는 서해안고속도로가 도의 남북을 연결한다. 동북부 천안으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고, 남부 논산, 계룡으로는 호남고속도로지선, 동남부 금산으로는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난다. 2009년 충청남도 동서를 연결하는 당진대전고속도로와 남북을 연결하는 서천공주고속도로가 개통하였으며, 2023년에는 동서를 연결하는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천안 구간이 개통되었다. 국도 역시 2000년대에 들어서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2017년 말 기준 시외버스는 587개 노선을 운행 중이며, 농촌 또는 산간지역을 잇는 829개 노선과 시 지역 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888개 노선이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46]

9. 교육

충청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 교육기관과 중등 교육기관이 있다.

'''고등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

'''충청남도 소재 주요 고등학교'''
구분학교명
특수목적고등학교충남과학고등학교
충남외국어고등학교
자율형 고등학교충남삼성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이 외에도 충청남도는 자유학기제 운영 지원, 농어촌 학생을 위한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지원, 특성화고 학생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학생들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해소 지원 등 다양한 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0. 문화

충청남도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유서 깊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명산으로는 높이 845m의 계룡산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독특한 암석 지형과 관촉사를 비롯한 여러 오래된 사찰을 품고 있다. 특히 관촉사에는 한국에서 가장 큰 석불이 모셔져 있다.[7] 서해안에는 1978년 개장한 태안해안국립공원이 있다. 이 공원은 대천해수욕장, 만리포, 안면도꽃지해수욕장 등 국내 유수의 해수욕장을 포함하며, 1966년 민병갈(미국명: C. Ferris Miller)이 설립한 천리포수목원도 이곳에 있다. 천리포수목원은 희귀 및 멸종 위기종을 포함하여 약 14,000종의 다양한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7]

이 외에도 충청남도 각지에는 다양한 역사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가 산재해 있다. 천안시에는 독립기념관유관순 열사 사적지가 자리하고 있으며, 아산시온양온천현충사로 잘 알려져 있다. 백제의 고도였던 공주시부여군에는 각각 계룡산 국립공원과 낙화암(부소산성), 정림사지 오층석탑 등 역사적 명소가 많다. 서산시해미읍성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논산시대둔산 도립공원과 탑정호, 서천군국립생태원마량리 동백나무숲, 청양군천장호 출렁다리와 칠갑산 도립공원, 홍성군용봉산과 홍주성과 여하정, 예산군의 덕산온천과 수덕사 등도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 자원이다.

10. 1. 음식 / 특산물

충청남도는 각 시군별로 특색있는 다양한 음식과 특산물이 있다. 대표적으로 홍성한우, 논산딸기, 천안병천 순대호두과자, 금산인삼 등이 유명하다. 각 시군의 대표적인 음식과 특산물은 다음과 같다.

충남 시군별 대표 음식 및 특산물
구분대표 음식/특산물 1대표 음식/특산물 2
천안시호두과자병천순대(국밥)
공주시알밤막걸리
보령시꽃게탕(찜)조개구이
아산시염치한우인주장어
서산시어리굴젓·게국지꽃게
논산시논산딸기강경젓갈
계룡시산채비빔밥계룡 엿, 물엿
당진시우렁쌈밥간재미 회무침
금산군금산인삼튀김인삼어죽
부여군연잎밥버섯전골
서천군모시송편한산소곡주
청양군고추, 구기자구기자 불고기 전골
홍성군홍성한우대하구이
예산군예산소갈비수덕사 산채정식
태안군꽃게 간장게장, 양념게장대하구이


11. 복지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2016년 말 기준 전체 인구의 13.5%(6,955천명)이다. 충청남도는 16.6%(350천명)으로 대한민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 고령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는 제2차 노인복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소득 지원 사업, 소외된 노인 보호, 노인들의 여가 활동 지원,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통한 요양 서비스 증진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92] 또한 지역보건소·복지관·지역 주민과 협력하여 생계·의료·돌봄·건강관리 등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 방방곡곡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읍면동 주민센터의 복지 공무원과 방문 간호사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93]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와 함께 부모양육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저출산 문제 심화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영유아 보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충청남도 내 학교 입학 전 영유아는 136,336명이며, 이 중 69,364명이 보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충청남도에는 1,974개의 어린이집이 있으며, 만 0~2세 아동 37,521명에게 보육료를 지원하여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에게도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충청남도 어린이 인성학습원, 충청남도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94]

충청남도는 '충청남도 아기수당 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하여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0~12개월 영유아에게 매월 10만 원씩 아기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사회보장급여의 이용, 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35조에 따라, 충청남도지사는 4년마다 복지, 보건의료, 고용, 주거, 환경, 문화, 교육 등 7개 영역에 걸친 지역사회보장기본계획인 '제4기 충청남도 지역사회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충남 양성평등 비전 2030'은 충청남도의 특성을 반영한 장기 미래 비전 계획이다. 이는 충남의 성평등 현황을 점검하고, 성평등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실행 계획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 계획은 법정 계획인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과 양성평등기본법의 틀을 넘어 도민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충청남도는 자원봉사활동기본법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지원 및 진흥, 행복한 시민 공동체 건설을 목적으로 2016년 1월 1일 사단법인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를 설립하였다.[95]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는 충남도청 별관(의회동)에 위치하고 있으며,[96] 도민의 25%를 자원봉사자로 등록시키고, 등록된 도민 중 25%가 활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7] 주요 업무[98]로는 충청남도 내 자원봉사 종합계획 및 시책 사업 추진,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지원, 시군 자원봉사센터 협력 및 조정, 자원봉사 진흥 홍보, 읍면동 자원봉사 거점센터 사업 수행 등이 있다.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은 할머니들이 유아교육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선현들의 삶의 지혜와 교훈이 담긴 이야기를 유아들에게 들려주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미래 세대인 유아의 인성 함양을 돕고 세대 간 단절을 극복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어르신들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아실현과 사회봉사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99]

12. 환경

충청남도의 산림 환경은 제6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1~2015) 결과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산림 면적은 408000ha로 충청남도 전체 면적 821000ha의 49.7%를 차지하며, 전국 산림 면적 6334000ha의 6.4%에 해당한다.[22] 산림 면적은 개발 등으로 인해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2012년 7월 1일 세종시가 출범하면서 기존 충청남도 소관이었던 연기군(19837ha)과 공주시(3917ha)의 임야 23754ha가 세종시에 편입되어, 2010년 말 438000ha에 비해 2015년 말에는 6.8% 감소하였다.[22]

산림의 울창한 정도를 나타내는 임목축적은 2015년 말 기준 총 53918000m3로 전국 임목축적 924809000m3의 5.8%를 차지한다.[22] ha당 평균 임목축적은 132.1 ㎥/ha로, 치산녹화 원년인 1973년 전국 평균 11.3 ㎥/ha에 비해 11.6배 증가하는 등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22] 이는 OECD 평균(131 ㎥/ha) 및 미국(131 ㎥/ha) 수준을 넘어선 수치이다.[22] 그러나 임업 선진국인 뉴질랜드(392 ㎥/ha), 독일(321 ㎥/ha), 스위스(352 ㎥/ha)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22] 2010년 대비 2015년 말 충청남도의 ha당 임목축적은 109.7 ㎥/ha에서 132.1 ㎥/ha로 22.4 ㎥/ha(20.4%) 증가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8개 도 중 산림 면적은 가장 적지만 임목축적 증가율은 1위를 기록하였다.[22]

13. 소방

충청남도 소방본부는 화재 예방, 경계, 진압 및 구조, 구급 활동 등을 통해 도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충청남도 119광역기동단, 종합방재센터, 16개 소방서, 충청소방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청남도 의용소방대는 민간 소방 조직으로, 소방 업무를 보조하고 있다.

14. 국제 교류

황해를 중심으로 역내 공동번영 방안을 모색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여 환황해권의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한다. 현재는 사업 발굴 단계에 있다. '환황해포럼'은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환황해이니셔티브 시행계획'은 2018년 수립된 계획을 토대로 연차별로 추진될 예정이다.[52][53]

충청남도는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54], 해외 무역사절단 운영 지원[55], 해외지사화 사업 지원[56] 등을 통해 도내 내수 및 초보 기업을 수출 기업으로 육성하여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충청남도의 수출액과 무역수지는 꾸준히 전국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3분기에는 무역수지 411.1억달러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57]

단지형 외국인 투자지역은 천안, 인주, 천안5, 송산2, 송산2-1 등 총 5개소가 있다. 전체 면적 1310769.7m2 중 분양 면적 22750m2를 제외한 임대 면적은 1054204.3m2이며, 임대율(83.2%)은 높은 편이다. 기업 입주 현황은 천안 42개사, 인주 7개사, 천안5 14개사, 송산2 2개사, 송산2-1 1개사로 총 66개 기업이 가동 중이거나 입주 준비 중이다.[49]

충청남도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2] 웹사이트 1인당 총생산 1위 '울산'..소비는 '서울' -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2009-07-29
[3] 웹사이트 지표누리 https://www.index.go[...] 2023-02-20
[4]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5] 웹사이트 일반현황 http://www.chungnam.[...] Chungcheongnam-do 2013-03-18
[6] 웹사이트 South Chungcheong Province, home to half of South Korea's coal power generation, joins PPCA {{!}} Powering Past Coal Alliance https://poweringpast[...] 2019-10-06
[7] 웹사이트 Gwanchoksa Temple (관촉사)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english.visit[...]
[8] 웹사이트 Population-Households http://www.chungnam.[...] Chungcheongnam-do 2013-06-07
[9]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10] 웹사이트 Sister/Twin Cities of Balıkesir http://balikesir.bel[...]
[11] 웹사이트 충청남도公式サイト http://www.chungnam.[...] 2016-09-11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3]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06-16
[14]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3-06-16
[15]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3-06-16
[16]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3-06-16
[17]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18] 텍스트
[19] 서적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 1896-08-04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10-10-01
[21] 지역
[22] 서적 산림백서 http://www.chungnam.[...]
[23]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24] 웹사이트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 http://www.chungnam.[...]
[25] 웹사이트 충청남도의 일반 현황 http://www.chungnam.[...]
[26] 웹사이트 충청남도의 인구 및 세대 http://www.chungnam.[...]
[27] 뉴스 충남 인구 2035년 241만명 된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8] 뉴스 여야 모두 지적한 "충남 불균형 심각" http://www.goodmorni[...] 굿모닝충청
[29] 웹인용 충남 도민참여예산제 http://www.chungnam.[...]
[30] 뉴스 충남도, 전국 최초 지방보조금 정산결과 도의회 제출 http://www.chungnami[...] 충남일보 2018-06-25
[31] 웹인용 충남도, 제1회 충남 혁신포럼 개최 http://www.newspago.[...]
[32] 웹인용 충남도, 제1회 혁신포럼 개최 http://www.newspago.[...]
[33] 웹인용 충청남도 공공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조례 http://www.law.go.kr[...]
[34] 뉴스인용 충남도, 조직개편…인권증진·갈등관리 전담팀 신설 http://www.kpa.so/su[...]
[35] 뉴스인용 충남도 공동체정책관실 신설 추진 http://www.goodmorni[...]
[36] 웹인용 충남도, 갈등 사전진단제·경보제 도입 http://news1.kr/arti[...]
[37] 웹사이트 http://news.kmib.co.[...]
[38] 웹사이트 http://www.hankookil[...]
[39] 웹인용 충남도 '행정혁신 성과' 대한민국 지식대상 '대상' http://www.ajunews.c[...]
[40] 웹인용 충남도, '대한민국 지식대상'서 대통령상 영예 http://www.fnnews.co[...]
[41] 웹사이트 세입세출예산서 http://www.chungnam.[...]
[42] 웹인용 내포신도시 명칭 결정 http://www.naeponewt[...] 2018-02-07
[43] 웹인용 내포의미 http://www.naeponewt[...] 2018-02-07
[44] 웹인용 내포신도시 http://www.naeponewt[...] 2013-04-12
[45] 웹인용 내포신도시 개발방향 http://www.naeponewt[...] 2013-04-12
[46] 웹인용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p1034
[47] 웹사이트 천안아산역, 공주역
[48] 웹사이트 성환역~신창역
[49]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50]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51]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52] 웹인용 제3회 환행해포럼 https://www.cni.re.k[...]
[53] 뉴스인용 ‘환황해 이니셔티브 시행계획’ 수립 착수 http://www.chungnam.[...]
[54] 뉴스인용 충남, 해외바이어 초청 ‘700만달러 수출상담’ 성과 http://view.asiae.co[...]
[55] 뉴스인용 중소기업진흥공단 충남본부,중국 무역사절단 참여기업 모집 https://web.archive.[...]
[56] 뉴스인용 충남도, ‘보호무역 장벽’ 해외지사화로 넘는다 https://web.archive.[...]
[57] 웹인용 한국무역협회-국내통계-지자체 수출입(순위) https://web.archive.[...]
[58] 웹인용 충청남도 수산현황 http://www.chungnam.[...]
[59] 웹인용 3농혁신 http://www.chungnam.[...]
[60] 웹인용 3농혁신 http://www.chungnam.[...]
[61] 웹인용 3농 http://www.chungnam.[...]
[62] 웹인용 충남해양호 출항 http://www.chungnam.[...]
[63] 웹인용 2018년 축산사업 시행지침 - 475페이지 http://www.chungnam.[...]
[64] 웹인용 2018년 축산사업 시행지침 - 456페이지 http://www.chungnam.[...]
[65] 웹인용 2018년 동물방역위생사업 시행지침, 47P http://www.chungnam.[...]
[66] 웹인용 2018년 동물방역위생사업 시행지침, 168P http://www.chungnam.[...]
[67] 웹사이트 2012년도 문화관광축제 선정 http://www.mcst.go.k[...] 문화관광체육부 2011-12-27
[68] 뉴스 충남 '강경발효젓갈축제' 2년 연속 최우수축제 선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2-18
[69] 웹인용 현충사 http://hcs.cha.go.kr[...]
[70] 웹인용 현충사 연혁 http://hcs.cha.go.kr[...]
[71]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72] 간행물 홍성소식 2012년 4월호 http://www.hongseong[...]
[73] 웹인용 먹거리 http://www.naeponewt[...]
[74] 뉴스 천안이 변하고 있다 http://media.daum.ne[...] 한국경제 2012-04-19
[75] 웹사이트 천안시 통계 홈페이지 http://stat.cheonan.[...]
[76] 웹인용 먹거리 http://www.naeponewt[...]
[77] 웹인용 먹거리 http://www.naeponewt[...]
[78] 뉴스 ‘내포 보부상촌’ 10년만에 첫발 http://www.hani.co.k[...]
[79] 뉴스 준공 1년 앞으로… 킬러콘텐츠는 아직 http://www.yesm.kr/n[...]
[80] 뉴스 [예산] 내포보부상촌 조성사업 순항 http://www.shanews.c[...]
[81] 뉴스 “내포보부상촌 조성 만전” https://web.archive.[...] null
[82] 뉴스 '내포보부상촌 밤마실 문화저잣거리' 지역특화사업 선정 https://web.archive.[...] null
[83] 웹인용 템플스테이 플러스원 투어 http://www.chungnam.[...] null null
[84] 웹인용 충청남도교육청 학교현황 https://web.archive.[...] null null
[85] 웹인용 충청남도 사설학원, 독서실, 공공도서관 현황 https://web.archive.[...] null null
[86] 웹인용 충청남도 교육청 교육의 기본방향 https://web.archive.[...] null null
[87] 웹인용 자율학기제 뉴스 http://edu.donga.com[...] null null
[88]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null null
[89] 웹인용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상담 출발 http://www.joongdo.c[...] null null
[90] 웹인용 건강한 인터넷·스마트폰 사용환경 조성 https://web.archive.[...] null null
[91] 뉴스 메이커 교육의 장을 열다'…2018 충남과학창의축전 개최 http://www.yonhapnew[...]
[92]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93] 웹인용 전국 방방곡곡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http://www.chungnam.[...]
[94]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95] 웹인용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http://www.v1365.org[...]
[96] 웹인용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http://www.v1365.org[...]
[97] 웹인용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http://www.v1365.org[...]
[98] 웹인용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http://www.v1365.org[...]
[99] 웹인용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사업 http://storymama.kr/[...]
[100] 웹인용 충청남도 홈페이지 병원선 http://www.chungnam.[...]
[101] 웹인용 충청남도 응급의료네트워크 https://web.archive.[...]
[102] 웹인용 국가대기오염물질배출량 통계 자료(2015년 기준) http://airemiss.nier[...] 2018-10-30
[103] 웹인용 제3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 https://web.archive.[...]
[10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0-24
[105] 웹사이트 http://www.asiae.co.[...]
[106] 웹사이트 http://news.kmib.co.[...]
[10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0-24
[108]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109] 서적 2017충청남도도정백서 http://www.chungnam.[...]
[110] 웹사이트 http://www.chungnam.[...]
[111] 웹인용 충남넷(충청남도 공식 홈페이지) http://www.chungnam.[...]
[112] 웹인용 비엘코폴스카주 부주지사 및 공연단 방문 안내계획 https://www.open.go.[...] 2017-10-18
[113] 일반텍스트
[114] 웹인용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지자체별 국제교류현황 https://web.archive.[...] 2017-10-25
[115] 웹인용 충남도, 해외 공무원 초청 ‘K2H 연수 프로그램’ 운영 https://web.archive.[...]
[116] 웹인용 충남도 '글로벌 인적교류 우수 지자체' 선정 https://web.archiv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