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백미꽃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백미꽃족은 박주가리아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12개의 아족으로 구성된다. 각 아족은 고유한 분포 지역과 특징을 가지며, 덩굴성 식물이 많다. 주요 아족으로는 고놀로부스아족, 관백미꽃아족, 디플롤레피스아족, 메타스텔마아족, 박주가리아족, 아스테파누스아족, 오르토시아아족, 옥시페탈룸아족, 왜박주가리아족, 타사디아아족, 토페아아족, 펜타키푸스아족 등이 있다. 이 중 관백미꽃아족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한국에는 관백미꽃이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8년 기재된 식물 - 치커리아과
치커리아과는 국화과의 아과로, 1998년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분류군이 재정립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224개 속, 3,200종을 포함한다. - 1828년 기재된 식물 - 강남성족
강남성족은 천남성과의 한 족으로, 천남성, Biarum, Dracunculus, Eminium, Sauromatum, Helicodiceros, Theriophonum, Typhonium 등이 속한다. - 박주가리아과 - 야래향
야래향은 인도차이나 원산의 덩굴식물로, 저녁에 강한 향기를 내는 연녹색 꽃이 피며 식용, 건축 자재, 약재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 박주가리아과 - 밀크위드
밀크위드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Asclepias` 속 식물로, 독특한 꽃과 꽃가루받이 방식, 솜털 달린 씨앗을 가지며, 제왕나비 유충의 먹이이자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고, 역사적으로 약재 및 단열재 등으로 활용되었다.
관백미꽃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관백미꽃족 | |
![]() | |
학명 | Asclepiadeae |
명명자 | Duby, 1828 |
모식속 | 관백미꽃속(Asclepias L.) |
하위 분류 |
2. 하위 분류
박주가리아과는 다음과 같이 12개의 아족으로 분류된다.[2]
아족(Subtribe) | 학명 | 주요 속(Genus) |
---|---|---|
고놀로부스아족 | Gonolobinae G.Don ex Liede | |
관백미꽃아족 | Asclepiadinae Decne. ex Miq. | |
디플롤레피스아족 | Diplolepinae Liede & Meve | |
메타스텔마아족 | Metastelmatinae Endl. ex Meisn. | |
박주가리아족 | Cynanchinae K.Schum. | |
아스테파누스아족 | Astephaninae Endl. ex Meisn. | |
오르토시아아족 | Orthosiinae Liede & Rapini | |
옥시페탈룸아족 | Oxypetalinae E.Fourn. | |
왜박주가리아족 | Tylophorinae K.Schum. | |
타사디아아족 | Tassadiinae Liede & Meve | |
토페아아족 | Topeinae H.A.Keller & Liede | |
펜타키푸스아족 | Pentacyphinae Liede & Meve |
참조
[1]
서적
Botanicon Gallicum 1
1828
[2]
간행물
Taxon
1997
[3]
서적
Flora van Nederlandsch Indië 2
1857
[4]
논문
Phytotaxa 159(3)
2014
[5]
서적
Plantarum vascularium genera secundum ordines naturales digesta eorumque differentiae et affinitates tabulis diagnostacis expositae 1
1840
[6]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4(2)
1895
[7]
서적
Plantarum vascularium genera secundum ordines naturales digesta eorumque differentiae et affinitates tabulis diagnostacis expositae 1
1840
[8]
논문
Systematic Botany 30
2005
[9]
서적
Flora Brasiliensis 6(4)
1885
[10]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4(2)
1895
[11]
논문
Phytotaxa 159(3)
2014
[12]
간행물
Bonplandia 26(2)
2017
[13]
논문
Phytotaxa 159(3)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