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마사카다"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괌을 대표하는 여자 축구팀이다. 2003년 남태평양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거두었고, EAFF E-1 풋볼 챔피언십(구 동아시아컵)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4번 출전하여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괌의 축구 - 괌 축구 국가대표팀
괌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6년 AFC와 FIFA 정회원이 된 괌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Matao'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지만, 자금난과 경쟁력 부족으로 FIFA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 괌의 축구 - 괌 축구 협회
괌 축구 협회는 발렌티노 산 길이 회장이 이끌며 괌의 축구 국가대표팀과 리그, FA컵 등 주요 대회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협회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팀 명 |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Masakåda (용감한 여성들) |
FIFA 코드 | GUM |
협회 | 괌 축구 협회 |
하위 연맹 | EAFF (동아시아) |
연맹 | AFC (아시아) |
감독 | 크리스틴 톰슨 |
주장 | 아리야 크루스 |
최다 득점 선수 | 페이지 서버 (10) |
FIFA 랭킹 | 101 |
FIFA 최고 랭킹 | 66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3년 7월, 2003년 12월 – 2004년 3월 |
FIFA 최저 랭킹 | 101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24년 3월 |
첫 국제 경기 | 일본 21–0 괌 (중국 광저우, 1997년 12월 5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괌 11–0 마카오 (괌 하몬, 2014년 7월 22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일본 21–0 괌 (중국 광저우, 1997년 12월 5일) |
유니폼 | |
홈 유니폼 하의 | 000049 |
홈 유니폼 양말 | 000049 |
원정 유니폼 하의 | ffffff |
원정 유니폼 양말 | ffffff |
지역 대회 | |
지역 대회 이름 | AFC 여자 아시안컵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4회 |
첫 지역 대회 출전 | 1997년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조별리그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
지역 대회 2 이름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지역 대회 2 출전 횟수 | 6회 |
첫 지역 대회 2 출전 | 2008년 |
지역 대회 2 최고 성적 | 2라운드 |
2. 역사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마사카다"(차모로어로 "용감한 여성"이라는 뜻)라는 공식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03년 남태평양 게임에서 2위를 차지했다.[2]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2007년 예선에서 대한민국, 차이니즈 타이베이, 홍콩과 경기를 치렀고,[3]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아컵 예선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와 홍콩에 패했다.[4]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아컵 예선 2라운드에 진출했고, 사만다 카우프만은 대회 MVP, 페이지 서버는 득점왕을 수상했다.[5] 2016년에도 EAFF 대회 2라운드에 진출, 사만다 카우프만은 대회 MVP, 페이지 서버는 공동 득점왕을 차지했다.[6]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 1라운드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7]
2. 1. 초기 역사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괌은 1999년 대회에서 홍콩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것을 제외하고는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서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이 과정에서 괌은 단 5득점만 기록하고 112골을 실점했다.[2]2003년 대회에서는 6경기 3승 2무 1패로 통가와 동률을 이루었으나, 득실차에서 앞서면서 4승 1무 1패의 파푸아뉴기니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2] 그러나 2011년 대회에서는 2무 1패의 저조한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여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 2. 발전과 도전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대회 준결승 리그를 통해 EAFF E-1 풋볼 챔피언십(구 동아시아컵)에 처음으로 참가했다.[2] 이후 이 대회에 정기적으로 참가하며 동아시아 지역 강팀들과 경쟁했지만, 현재까지 결승 리그 진출 기록은 없다.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까지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발전을 위한 도전을 계속했다. 2007년 예선에서는 대한민국, 차이니즈 타이베이, 홍콩과 같은 강팀들과 경기를 치르며[3] 국제 무대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아컵 예선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와 홍콩에 패하며[4] 아쉬움을 남겼지만,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아컵 예선 1라운드에서 북마리아나 제도를 7-0, 마카오를 11-0으로 크게 이기며 2라운드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5] 특히 마카오전 11-0 승리는 괌 여자 축구 역사상 국제 경기 최다 점수 차 승리였다. 이 대회에서 괌의 사만다 카우프만은 MVP를, 페이지 서버는 득점왕을 차지했다.[5]
2016년에도 마크 차르구알라프 감독의 지휘 아래 북마리아나 제도와 마카오를 상대로 각각 5-0 완승을 거두며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라운드에 진출했다.[6] 괌의 사만다 카우프만은 또다시 대회 MVP를 수상했고, 페이지 서버와 공동 득점왕을 차지하며 괌 여자 축구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6]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 1라운드에서는 가장 많은 골을 넣고 가장 적은 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최국 몽골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7]
2. 3. 최근 동향 (2010년대 후반 ~ 현재)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 1라운드에서 괌은 개최국 몽골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비록 괌은 대회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고 가장 적은 실점을 기록했지만, 2위에 머물렀다.[7]3. 국제 대회 경력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지만,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AFC 여자 아시안컵에는 4번 출전하여 1999년 대회에서 홍콩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것이 유일한 승리이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구 동아시아컵)에는 여러 차례 참가했지만, 결승 리그에 진출한 적은 없다. 퍼시픽 게임에서는 2003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
대회 | 최고 성적 |
---|---|
FIFA 여자 월드컵 | 본선 진출 없음 |
AFC 여자 아시안컵 | 조별 리그 (1997, 1999, 2001, 2003)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예선 통과 실패 |
퍼시픽 게임 | 준우승 (2003) |
3. 1. FIFA 여자 월드컵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1991년과 1995년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고, 이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9년 대회에는 예선 참가를 포기했다.[1]3. 2. AFC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는 4번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9년 대회에서 홍콩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둔 것이 유일한 승리이며, 나머지 경기에서는 모두 패배했다.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대회들에서 총 5득점을 기록했고, 112골을 실점했다.[1]AFC 여자 아시안컵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975년 ~ 1995년 | 참가하지 않음 | ||||||||
1997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32 | −32 | |
1999년 | 조별 리그 | 4 | 1 | 0 | 3 | 2 | 31 | −29 | |
2001년 | 조별 리그 | 4 | 0 | 0 | 4 | 1 | 34 | −33 | |
2003년 | 조별 리그 | 4 | 0 | 0 | 4 | 2 | 15 | −13 | |
2006년 | 예선 탈락 | ||||||||
2008년 ~ 2018년 | 참가하지 않음 | ||||||||
2022년 | 예선 탈락 | ||||||||
총계 | 4/19 | 15 | 1 | 0 | 14 | 5 | 112 | −107 |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됩니다.[1]
3.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0년 대회 준결승 리그를 통해 EAFF E-1 풋볼 챔피언십(구 동아시아컵)에 첫 출전하였으나 현재까지 결승 리그 진출 기록은 없다. 그나마 2015년 대회와 2017년 대회 1라운드에서 2대회 연속 2연승을 거두며 2라운드까지 진출한 경험은 있다.[1] 2014년 7월 22일 홈에서 열린 마카오와의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 2차전 경기에서 11-0의 대승을 거두며 괌 여자 축구 역사상 국제 경기 최다 점수차 승리를 가져오면서 2연승으로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1]EAFF E-1 챔피언십 | |||||||
---|---|---|---|---|---|---|---|
년도 | 결과 | 예선 라운드 |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EAFF 여자 챔피언십 | |||||||
2005년 | 참가하지 않음 | ||||||
2008년 | 예선 통과 실패 | 3 | 0 | 0 | 3 | 1 | 13 |
2010년 | 예선 통과 실패 | 4 | 1 | 0 | 3 | 5 | 21 |
EAFF 여자 동아시아컵 | |||||||
2013년 | 예선 통과 실패 | 2 | 1 | 0 | 1 | 9 | 4 |
2015년 | 예선 통과 실패 | 5 | 2 | 0 | 3 | 18 | 22 |
EAFF E-1 챔피언십 (여자) | |||||||
2017년 | 예선 통과 실패 | 5 | 2 | 0 | 3 | 11 | 22 |
2019년 | 예선 통과 실패 | 3 | 1 | 1 | 1 | 5 | 1 |
2022년 | 참가하지 않음 | ||||||
합계 | 0/7 | 22 | 7 | 1 | 14 | 49 | 83 |
3. 4. 퍼시픽 게임
2003년 대회에서 6경기 3승 2무 1패로 통가와 동률을 이뤘지만 득실차에서 앞서면서 4승 1무 1패의 파푸아뉴기니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며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나, 2011년 대회에서는 2무 1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면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1]연도 | 결과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2003 | 준우승 | 6 | 3 | 2 | 1 | 8 | 2 | +6 |
2007 | 불참 | |||||||
2011 | 조별리그 | 3 | 0 | 2 | 1 | 2 | 3 | -1 |
2015 | 불참 | |||||||
2019 | ||||||||
총계 | 2/5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1]
4. 팀 이미지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Masakåda|마사카다ch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하갓냐에 위치한 괌 국립 축구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4][8] 이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1,000명이다.[9]
4. 1. 별칭
Masakåda|마사카다ch는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칭이다.[4]4. 2. 홈 경기장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하갓냐에 위치한 괌 국립 축구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8] 괌 국립 축구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1,000명이다.[9]5.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범례
- 승리
- 무승부
- 패배
- 예정 경기
날짜 | 경기 | 상대팀 | 결과 | 득점 (괌) | 득점 (상대팀) | 대회 | 경기장 | 관중 | 주심 | 비고 |
---|---|---|---|---|---|---|---|---|---|---|
2023년 12월 2일 | 6–0 | |||||||||
2023년 12월 4일 | 0–3 | |||||||||
2023년 12월 6일 | 1–1 | |||||||||
2024년 2월 19일 | 3–4 | |||||||||
2024년 2월 21일 | 0–3 | |||||||||
2024년 2월 23일 | 2–0 | |||||||||
2024년 4월 6일 | 3-0 | |||||||||
2024년 4월 7일 | 2-2 |
6. 코칭 스태프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 크리스틴 톰슨 감독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적의 코치들로 구성된 코칭 스태프의 지원을 받고 있다. 역대 감독 중에는 김상훈 감독이 세 차례나 팀을 이끈 경력이 있다.
6. 1. 현재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 | -- 크리스틴 톰프슨 (Kristin Thompson) |
수석 코치 | -- 마르넬리 딤존(Marnelli Dimzon) |
수석 코치 | -- 마이클 밀너 (Michael Milner) |
골키퍼 코치 | -- 치마 엠바크윰 (Chima Mbakwem) |
팀 의사 | -- 루이스 크루즈 박사 (Dr. Luis Cruz) |
물리치료사 | -- 켈시 쿠엔 박사 (Dr. Kelsey Kuehn) |
물리치료사 | -- 마가렛 하 (Margaret Ha) |
팀 매니저 | -- 시나 뉴웰 (Sheena Newell) |
팀 매니저 보조 | -- 가다 알 주르디 (Ghada Al Jurdi) |
고성능 매니저 | -- 파벨 구벤코 (Pavel Gubenko) |
고성능 담당 | -- 아리아 크루즈 (Ariya Cruz) |
미디어 담당관 | -- 질 에스피리투 (Jill Espiritu) |
6. 2. 역대 감독
국적 | 이름 | 재임 기간 |
---|---|---|
노엘 카실라오 | 1996년–1999년 | |
토마스 렌프로 | 1999년–2004년 | |
김상훈 | 2004년–2009년 | |
체리 스튜어트 | 2010년–2011년 | |
엘리아스 머팔렌 | 2012년–2013년 | |
김상훈 | 2014년–2015년 | |
벨린다 윌슨 | 2016년–2019년 | |
김상훈 | 2020년–2021년 | |
로스 아와 | 2021년 | |
사키코 오구라 | 2021년–2022년 | |
치나 라미레즈 (대행) | 2022년 | |
크리스틴 톰슨 | 2023년~현재 |
7. 선수
2007년 7월 1일부터 7월 5일까지 열린 2008년 동아시아축구연맹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한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이름 |
---|---|
GK | 캐럴린 칸토 (Caralyn Canto) |
GK | 올리비아 베넷 존슨 (Olivia Benet Johnson) |
DF | 균 희콴 (Kyung Hi Quan) |
DF | 샤나 마리 스핀델 (Shana Marie Spindel) |
DF | 타냐 조린 블라스-크루즈 (Tanya Joleen Blas-Cruz) |
DF | 애슐리 로바톤 베사가르 (Ashley Lobaton Besagar) |
DF | 안젤리카 클레어 페레스 (Anjelica Claire Perez) |
DF | 다니엘 마리 라파다스 (Danielle Marie Rapadas) |
DF | 엘리사 니콜 레마푸 (Elyssa Nicole Lemapu) |
MF | 에이미 리넷 앳킨슨 (Amy Lynette Atkinson) |
MF | 조이 레네 아바린토스 (Joi Renee Abarintos) |
MF | 데이드레 마리 위클리 (Deidre Marie Weakley) |
MF | 시몬 니콜 윌터 (Simone Nichole Willter) |
MF | 제브라 린 나번 (Gebra Lynn Naburn) |
MF | 아이카 안나 영 (Aika Anna Young) |
FW | 빅토리아 자딘 시미즈 (Victoria Jadine Shimizu) |
FW | 크리스틴 레네 톰슨 (Kristin Renee Thompson) |
FW | 앰버 로바톤 라베나 (Amber Lobaton Rabena) |
7. 1. 현재 선수 명단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소속팀 |
---|---|---|---|
GK | 1 | 이사벨라 하라 | |
GK | 18 | 가브리엘 모저 | 괌 은행 스트라이커스 |
GK | 21 | 시에라 루엘 | |
GK | 5 | 야스민 로페즈 | |
DF | 3 | 미하엘라 페레즈 | |
DF | 4 | 사만다 케니 | 괌 은행 스트라이커스 |
DF | 7 | 카이아 말라쿠티 | |
DF | 10 | 메일 차르구알라프 | |
DF | 16 | 칼레 다미안 | |
DF | 17 | 아이다-로즈 페데몬테 | |
DF | 22 | 소피아 산 아구스틴 | |
MF | 2 | 에밀리 월튼 | |
MF | 6 | 트루 다이야스코 | |
MF | 8 | 레베카 바르토시 | 로마 CF |
MF | 9 | 제네 페레즈 | 캘리포니아 주립대 풀러턴 타이탄스 |
MF | 11 | 제나 메릴 | 소속팀 없음 |
MF | 12 | 이니사 페레즈 | 소속팀 없음 |
MF | 20 | 카이아 빌라누에바 | 트로이 워리어스 |
MF | 23 | 아리아나 산체스 | |
FW | 13 | 아날레아 메노 | |
FW | 14 | 캠린 크루즈 | |
FW | 15 | 마리아 아나야 | |
FW | 19 | 렉시 타이타구에 |
7. 2. 최근 차출 선수
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클럽 국적 | 최근 차출 | |
---|---|---|---|---|---|---|---|---|---|
DF | 5 | 마리아나 고메즈(Mariana Gomez) | Mariana Gomez|마리아나 고메즈영어 | 2007년 11월 2일 | 3 | 폴리테크닉 팬서스 |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
MF | 16 | 살로라 라 로사(Salora La Rosa) | Salora La Rosa|살로라 라 로사영어 | 2005년 1월 23일 | 휘티어 포에츠 |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
FW | 14 | 자다 한(Jada Han) | Jada Han|자다 한영어 | 2005년 2월 11일 |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
FW | 19 | 렉시 타이가투에(Lexi Taigatue) | Lexi Taigatue|렉시 타이가투에영어 | 2006년 2월 2일 |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
켈시 쿠엔(Kelsey Kuehn) | Kelsey Kuehn|켈시 쿠엔영어 |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8. 기록
'''굵은 글씨'''는 현재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를 의미한다. 통계는 2020년 11월 1일 기준이다.
8. 1. 최다 출장 선수
# | 선수 | 년도 | 출전 경기 수 |
---|
8. 2. 최다 득점 선수
# | 선수 | 년도 | 골 | 출전 경기 수 |
---|
9. FIFA 랭킹
FIFA 여자 월드랭킹은 2003년부터 발표되었으며, 현재는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9년에 랭킹에서 제외된 적도 있었으나, 이후 다시 랭킹에 포함되었다. 2006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가 아시아축구연맹(AFC)에 가입하면서 AFC 내 랭킹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8년부터는 잠정랭킹 팀이 FIFA 랭킹 집계에서 제외되면서 랭킹 변동에 영향을 주었다.
발표일 | 순위 | 변동 | AFC 내 랭킹 | 변동 |
---|---|---|---|---|
2003년 7월 16일 | 66위 | - | 13위 | - |
2003년 8월 29일 | 67위 | ↓ | 13위 | → |
2003년 10월 24일 | 67위 | → | 13위 | → |
2003년 12월 15일 | 66위 | ↑ | 13위 | → |
2004년 3월 15일 | 66위 | → | 13위 | → |
2004년 6월 7일 | 68위 | ↓ | 13위 | → |
2004년 8월 30일 | 68위 | → | 13위 | → |
2004년 12월 20일 | 69위 | ↓ | 13위 | → |
2005년 3월 25일 | 69위 | → | 13위 | → |
2005년 6월 24일 | 72위 | ↓ | 13위 | → |
2005년 9월 16일 | 72위 | → | 13위 | → |
2005년 12월 21일 | 72위 | → | 13위 | → |
2006년 3월 17일 | 73위 | ↓ | 14위 | ↓ |
2006년 5월 19일 | 72위 | ↑ | 14위 | → |
2006년 9월 15일 | 73위 | ↓ | 14위 | → |
2006년 12월 22일 | 75위 | ↓ | 14위 | → |
2007년 3월 16일 | 76위 | ↓ | 14위 | → |
2007년 6월 15일 | 77위 | ↓ | 15위 | ↓ |
2007년 10월 5일 | 82위 | ↓ | 16위 | ↓ |
2007년 12월 21일 | 81위 | ↑ | 16위 | → |
2008년 3월 21일 | 79위 | ↑ | 14위 | ↑ |
2008년 6월 6일 | 77위 | ↑ | 15위 | ↓ |
2008년 9월 5일 | 76위 | ↑ | 14위 | ↑ |
2008년 12월 19일 | 77위 | ↓ | 14위 | → |
2009년 3월 27일 | (순위권 밖) | |||
2009년 6월 26일 | (순위권 밖) | |||
2009년 9월 25일 | 71위 | ↑ | 15위 | ↓ |
2009년 12월 18일 | 64위 | ↑ | 15위 | → |
참조
[1]
웹사이트
Guam Football Association | Matao, Masakada Head Coaches announced for October AFC tournaments
https://www.fifa.com[...]
2021-09-27
[2]
웹사이트
South Pacific Games 2003 (Fiji) – Tournament Details
https://www.rsssf.or[...]
2020-10-19
[3]
웹사이트
EAFF WOMEN'S FOOTBALL CHAMPIONSHIP 2008 Preliminary Competition -MATCH-
https://eaff.com/com[...]
2020-10-19
[4]
웹사이트
Hong Kong nip Guam 4–3 to win women's tourney
https://guamfa.com/m[...]
Guam Football Association
2020-10-19
[5]
웹사이트
RESULTS {{!}} EAFF East Asian Cup 2015 & EAFF Women's East Asian Cup 2015 Preliminary Competition Round 1 in Guam
https://eaff.com/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20-10-19
[6]
웹사이트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2017 ROUND 1 GUAM
https://eaff.com/com[...]
2020-10-19
[7]
웹사이트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2019 Preliminary Round 1 Mongolia
https://eaff.com/com[...]
2020-10-19
[8]
웹사이트
Guam – Guam – Results, fixtures, squad, statistics, photos, videos and news – Women Soccerway
https://us.women.soc[...]
2020-12-08
[9]
웹사이트
Guam National Football Stadium, Hagåtña (Guam) – Data
https://www.worldfoo[...]
2020-12-08
[10]
웹사이트
Masakåda roster finalized, team ready to compete at WAFF tourney
https://guamfa.com/m[...]
Guam Football Association
2024-02-13
[11]
웹사이트
Guam women's national team now called Masakåda
http://www.guampdn.c[...]
Pacific Daily News
2012-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