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는 17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 신학자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의 저서에서 처음 언급된 표현으로, 개혁된 교회는 끊임없이 갱신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표현은 칼 바르트와 같은 신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개신교와 가톨릭 교회 모두에서 교회 쇄신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이후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진보적 진영과 신앙의 순수성 회복을 강조하는 보수적 진영 모두에서 이 표어를 사용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에서 이 개념을 사용했으며, 한스 큉과 같은 교회 개혁가들이 지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혁교회 - 미국 개혁교회
    미국 개혁교회는 17세기 네덜란드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에 설립되었으며, 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등 다양한 교리를 따르고, 장로교 정치 체제를 따르며, 에큐메니컬 관계를 맺고 교육 기관을 운영한다.
  • 개혁교회 - 남아공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개혁교회는 1859년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분열되어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혁교회 교단으로, 장로교-노회 제도를 따르며 개혁주의 신학과 '세 가지 일치 양식'을 신앙의 표준으로 삼고, 포체프스트룸에 신학대학을 두고 선교 및 봉사 활동을 펼치며 다른 교단과 협력하고 있다.
  • 교회론 - 공교회
    공교회는 '보편적인 교회'를 뜻하는 기독교의 중요 개념으로, 하나의 교회, 거룩한 교회, 보편적인 교회, 사도적인 교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며,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개신교의 공교회주의로 나뉜다.
  • 교회론 - 초교파 교회
    초교파 교회는 특정 교단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교회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현대적인 예배 방식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얻으며 성장하여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 개신교 신학 - 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막스 베버의 연구로 알려진 개념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적 가치관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현대적 영향력 감소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 개신교 신학 - 신정통주의
    신정통주의는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 하나님의 초월성 강조, 실존주의 개념 수용, 죄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학적 흐름이다.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2. 역사

이 표현의 초기 사례로는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의 저서 『시온의 관조(Beschouwinge van Zion)』(암스테르담, 1674–1678)가 있으며,[3] 그는 "교회에서도 항상 개혁해야 할 것이 많다"고 주장했다.[4] 로버트 갓프리는 이 문구가 개혁교회의 외적인 구조나 제도의 부족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혁성도들의 마음이 항상 새롭게 개혁되어야 한다는 내적인 문제를 거론한 것이라고 지적한다.[14]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용어는 칼 바르트가 사용하기도 했는데, 그는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이 인용한 "학식 있는 사람"의 바람, 즉 교회가 "개혁된(Reformata)"이 아니라 "개혁되어야 할(Reformanda)"이라고 불려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5]

2. 1. 초기 기원

로버트 갓프리는 이 문구의 의미가 개혁교회의 외적인 구조 및 정치제도의 부족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로덴슈타인이 의미하는 바는 개혁교회의 외적인 교리나 교회정치 등이 부족하거나 수정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닌, 내적인 요소, 즉 개혁성도들의 마음이 항상 새롭게 개혁되어야 한다는 내면의 문제를 거론한 것이라고 지적한다.[14]

이 표현의 초기 사례로는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의 저서 『시온의 관조(Beschouwinge van Zion)』(암스테르담, 1674–1678)가 있으며,[3] 그는 "교회에서도 항상 개혁해야 할 것이 많다"고 주장했다.[4]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용어의 변형은 칼 바르트가 사용하기도 했는데,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이 인용한 "학식 있는 사람"의 바람, 즉 교회가 "개혁된(Reformata)"이 아니라 "개혁되어야 할(Reformanda)"이라고 불려야 한다는 점을 가리킨다.[5]

2. 2. 칼 바르트의 사용

20세기 신학자 칼 바르트는 이 표현을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교회가 "개혁된(Reformata)" 상태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개혁되어야 할(Reformanda)" 존재임을 강조했다.[5]

3. 개신교에서의 사용

이 표현은 개혁교회와 장로교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며, 비공식적인 모토로 사용되기도 한다. 로버트 갓프리는 이 문구가 교회의 외적인 구조나 제도의 부족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혁 성도 개개인의 마음이 항상 새롭게 개혁되어야 한다는 내적인 문제를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한다.[14]

3. 1. 한국 개신교에 미친 영향

이 표현은 오늘날 개혁교회와 장로교 교회에서 널리 쓰이지만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 개혁 교회는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를 모토로 사용한다.[14] 로버트 갓프리는 이 문구가 개혁교회의 외적인 구조 및 정치제도의 부족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갓프리에 따르면 로덴슈타인이 의미하는 바는 개혁교회의 외적인 교리나 교회정치 등이 부족하거나 수정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닌, 내적인 요소 즉, 개혁성도들의 마음이 항상 새롭게 개혁되어야 한다는 내면의 문제를 거론한 것이다.[14]

4. 가톨릭 교회에서의 사용

가톨릭교회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이 표현이 교회 쇄신을 촉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스 큉[6]과 같은 교황청 개혁을 지지했던 신학자들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을 받은 교회 개혁가들이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R. 워커 닉클리스 주교의 2009년 사목 서한에도 이 표현이 나타난다.[9]

4.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서인 인류의 빛 8항은 교회가 죄인들을 품에 안으면서도 거룩하며, 끊임없이 정화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리스도는 '거룩하시고, 흠없으시며, 더럽혀지지 않으셨으며'(히브 7,26), 죄를 모르셨으나(2코린 5,21 참조), 백성의 죄를 속죄하러 오셨으며(히브 2,17 참조), 교회는 죄인들을 품에 안으면서도 거룩하며 끊임없이 정화되어야 하며, 끊임없이 참회와 쇄신을 추구한다."[7] "그리스도께서는 거룩하고, 순수하며, 흠이 없으시며 죄를 알지 못하셨으나, 백성의 죄를 속죄하러 오셨습니다. 교회는 죄인들을 품에 안으면서도 거룩하고 항상 정화될 필요가 있으며, 항상 참회와 쇄신의 길을 따릅니다."[8]

4. 2. 한스 큉

한스 큉은 교황청 개혁을 지지했던 신학자로, 이 표현을 통해 교회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6]

5. 대중 문화에서의 사용

해당 문구(최상급 어미 'est'는 제외)는 메리 도리아 러셀의 1998년 소설 ''신의 아이들''에서 허구의 교황 젤라시우스 3세의 입을 통해 언급된다.

참조

[1] 기타 Steve Perisho: "Semper reformanda," at http://spu.libguides.com/DCL2017/Reformation#s-lg-box-wrapper-18675181, citing himself (August Bauer in 1893) but more importantly J. N. Mouthaan, "Besprekingsartikel: Ecclesia semper reformanda: modern of premodern?," ''Documentatieblad Nadere Reformatie'' 38, no. 1 (2014): 88 (86– 89), who cites Abraham Kuyper in 1892, and observes that this means both that "The formulation ''ecclesia semper reformanda'' is much older than 1947", and that "The origin of this formulation lies therefore even earlier [than in] Kuyper."
[2] 서적 '"Ecclesia semper reformanda". Eine historische Aufarbeitung. Neue Bearbeitung' Torbjörn Johansson, Robert Kolb, Johann Anselm Steiger (Hrsg.): ''Hermeneutica Sacra. Studien zur Auslegung der Heiligen Schrift im 16. und 17. Jahrhundert''
[3] 논문 Calvin and the Reformanda Sayings Vandenhoeck & Ruprecht
[4] 기타 Cited according to Theodor Mahlmann, p. 423.
[5] 기타 Cf. Theodor Mahlmann, p. 387.
[6] 기타 Cf. Theodor Mahlmann, p. 387.
[7]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8]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9] 뉴스 Pastoral letter http://www.catholicg[...]
[10] 기타 Steve Perisho: "Semper reformanda," at http://spu.libguides.com/DCL2017/Reformation#s-lg-box-wrapper-18675181, 인용 (August Bauer in 1893); J. N. Mouthaan, "Besprekingsartikel: Ecclesia semper reformanda: modern of premodern?," ''Documentatieblad Nadere Reformatie'' 38, no. 1 (2014): 88 (86-89)
[11] 서적 '"Ecclesia semper reformanda". Eine historische Aufarbeitung. Neue Bearbeitung' Torbjörn Johansson, Robert Kolb, Johann Anselm Steiger (Hrsg.): ''Hermeneutica Sacra. Studien zur Auslegung der Heiligen Schrift im 16. und 17. Jahrhundert''
[12] 서적 '"Ecclesia semper reformanda". Eine historische Aufarbeitung. Neue Bearbeitung' Torbjörn Johansson, Robert Kolb, Johann Anselm Steiger (Hrsg.): ''Hermeneutica Sacra. Studien zur Auslegung der Heiligen Schrift im 16. und 17. Jahrhundert''
[13] 서적 '"Ecclesia semper reformanda". Eine historische Aufarbeitung. Neue Bearbeitung' Torbjörn Johansson, Robert Kolb, Johann Anselm Steiger (Hrsg.): ''Hermeneutica Sacra. Studien zur Auslegung der Heiligen Schrift im 16. und 17. Jahrhundert''
[14] 웹인용 What Does Semper Reformanda Mean? https://www.ligonier[...] 2020-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