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익산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익산박물관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1997년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하여 201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91년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건립 부지 발굴 조사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명칭 변경과 증축을 거쳐 2020년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금속, 토제, 도자기, 석재 등 다양한 유물이 있으며, 매일 10시부터 18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익산시의 교육 - 전북특별자치도익산교육지원청
전북특별자치도익산교육지원청은 익산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교육과정 운영 지원, 교원 인사 관리, 학교 시설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교육행정기관이다. - 2015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의 역사를 기억하고 알리기 위해 설립된 국립 박물관으로, 전시 및 연구, 교육 프로그램 운영, 홍보 등의 활동을 하며 일본 개인 소장품 기증, 평화의 소녀상 이전 전시,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방문 등의 사례가 있다. - 2015년 설립된 박물관 - 둘리뮤지엄
둘리뮤지엄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2015년 7월 24일 개관하여 둘리도서관 운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0년 5월 1일부터 도봉문화재단에서 운영한다. - 1994년 설립된 박물관 - 전쟁기념관 (대한민국)
전쟁기념관은 1994년 개관한, 한국 전쟁사를 다루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비영리 시설로, 전시 공간과 야외 전시장을 운영하며, 2010년부터 상설 전시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1994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은 1994년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 분관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며 정도사 터 오층석탑 등의 문화유산과 13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한 박물관이다.
| 국립익산박물관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명칭 | 국립익산박물관 |
| 원어 명칭 | Iksan bakmulgwan |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
| 개관일 | 2015년 12월 30일 |
| 유형 | 역사박물관 |
| 소장 작품 수 | 20,500점 |
| 방문객 수 | 156,976명 |
| 운영자 | 문화체육관광부 |
| 관장 | 김울림 |
| 웹사이트 | 익산 국립박물관 |
| 좌표 | 36°00′42″N 127°01′43″E |
![]() | |
| 역사 | |
| 설립 | 1994년 |
| 기타 | |
| 관장 | 종욱 채 |
| 사장 | 한옥 백 |
2. 연혁
- 1991년 :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건립부지 발굴조사
- 1992년 ~ 1994년 :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건립
- 1994년 10월 7일 :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설치조례 제정
- 1995년 1월 :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개소
- 1996년 7월 4일 : 미륵사지 출토 국가귀속유물 위·수탁 협약(19,049점)(국립전주박물관장-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장)
- 1996년 11월 22일 : 미륵사지유물전시관 등록(제1종 종합박물관, 제95호)
- 1997년 5월 9일 :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개관
- 2002년 : 사무동 1동 신축 및 기획전시실 1실 신설
- 2007년 7월 30일 : 중원 출토 금동향로 국가귀속 및 보관청 지정(보관청: 미륵사지유물전시관)
- 2007년 8월 3일 :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명칭 및 기구변경
- 2009년 9월 ~ 2010년 3월 : 상설전시실 리모델링.
- 2015년 12월 30일 :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개편.
- 2019년 2월 26일 : '''국립익산박물관'''으로 개편.
- 2020년 1월 10일 : '''국립익산박물관''' 증축·개관
2. 1. 미륵사지유물전시관 (1997년 ~ 2015년)
1991년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건립부지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전시관 건립이 진행되었다. 1994년 10월 7일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설치조례가 제정되었고, 1995년 1월 동 사업소가 개소하였다. 1996년 7월 4일 미륵사지 출토 국가귀속유물 위·수탁 협약(19,049점)이 국립전주박물관장과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장 간에 체결되었다.1996년 11월 22일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제1종 종합박물관(제95호)으로 등록되었고, 1997년 5월 9일 개관하였다. 2002년에는 사무동 1동 및 기획전시실 1실이 신축되었다. 2007년 7월 30일 중원 출토 금동향로가 국가귀속 및 보관청으로 지정(보관청: 미륵사지유물전시관)되었으며, 같은 해 8월 3일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명칭 및 기구가 변경되었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상설전시실 리모델링이 진행되었다.
2. 2.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15년 ~ 2019년)
1997년 5월 9일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개관하였다. 2002년에는 사무동 1동 및 기획전시실 1실을 신설하였다. 2007년 7월 30일 중원 출토 금동향로가 국가에 귀속되었고, 보관청으로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지정되었다. 2007년 8월 3일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명칭 및 기구가 변경되었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상설전시실 리모델링을 하였다.2015년 12월 30일,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2019년 2월 26일 국립익산박물관으로 개편되었다.
2. 3. 국립익산박물관 (2019년 ~ 현재)
2019년 2월 26일,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은 국립익산박물관으로 개편되었다. 2020년 1월 10일에는 증축·개관이 이루어졌다.3. 관람 안내
매일 10:00 ~ 18:00까지 관람할 수 있다. 매년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개관하고 다음 평일에 휴관한다.
4. 조직
4. 1. 관장
wikitext국립익산박물관에는 기획운영과와[4] 학예연구실이 있다.[5]
5. 소장품
보석
패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