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기념관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기념관 (대한민국)은 1994년 6월 10일 개관한 한국 전쟁 관련 기념관이다. 1988년 육군본부 터에 건립되었으며, 전쟁기념사업회가 운영을 담당한다. 7개의 전시관과 야외 전시장에 한국 전쟁을 포함한 다양한 전쟁 관련 유물 6,3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1988년 전쟁기념사업추진위원회 구성 이후 1990년 기공식을 거쳐 개관했으며, 전시실 개선, 유엔문화주간 개최 등 발전을 거듭했다. 서울 지하철 삼각지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상설 전시는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 박물관 - 낙동강승전기념관
- 한국 전쟁 박물관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은 6.25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인천 상륙 작전을 기념하고 유엔군 참전 용사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2000년 9월 15일 개관한 현충 시설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전쟁 박물관 -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개관하여 1998년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으로 재개관, 임진왜란 관련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며, 두암관 개관 및 역사문화홀 신설을 통해 전시 공간을 확장하고 국보 제105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사·전쟁 박물관 - 백제군사박물관
백제군사박물관은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장군유적지에 위치하여 백제의 군사 활동, 무기, 논산 지역 역사, 특히 계백 장군의 활약상을 조명하며, 세 개의 전시실과 계백장군유적전승지로 구성되어 백제 시대 무기와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하다(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관). - 대한민국의 기념물 - 평화의 소녀상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기억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기 위해 대한민국과 세계 각지에 설치된 조형물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상징이자 전시 성폭력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일본 정부의 반발과 역사 왜곡 시도, 일부 단체의 철거 운동 등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기념물 - 형제의 상
형제의 상은 6.25 전쟁 중 극적 상봉을 한 형제의 실화를 바탕으로 민족의 화합과 자유민주주의 승리를 상징하며, 분열된 민족과 통일을 향한 의지를 담고 있다.
전쟁기념관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쟁기념관 |
한글 이름 | 전쟁기념관 |
한자 이름 | 戰爭紀念館 |
로마자 표기 | Jeonjaeng Ginyeomgwan |
개관일 | 1994년 6월 10일 |
유형 | 전쟁 기념관 및 박물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9 |
조직 | |
관장 | 선영재 |
이사장 | 백승주 |
소장품 | |
소장품 수 | 6,300 |
이미지 | |
![]() |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전쟁기념관 |
2. 연혁
- 1988년 9월 전쟁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서 기념관 건립이 구체화되었다.[25]
- 1990년 9월 28일 전쟁기념관이 기공되었다.
- 1994년 6월 10일 3년간의 공사 끝에 전쟁기념관이 개관하였다.[25]
2. 1. 설립 배경
1988년 9월 전쟁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서 기념관 건립이 구체화되었고, 1994년 6월 10일 3년간의 공사 끝에 개관하였다.[25] 전쟁기념관은 이전에 육군본부가 있던 자리에 건립되었다.[25]2. 2. 개관 및 발전
1988년 9월 전쟁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서 기념관 건립이 구체화되었고, 3년간의 공사 끝에 1994년 6월 10일에 개관하였다.[25] 1990년 9월 28일 기공하여, 1994년 6월 10일 '''전쟁기념관'''이 개관하였다. 한국전쟁기념관 건립은 1993년 12월에 완료되었다.[25] 이 프로젝트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전시품을 수집하는 동시에 군사 전문가와 협의하여 진행되었다. 내부 공사 완료 후 기념관은 공식 개관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전쟁 기념관이 되었다. 전쟁기념관은 1988년 이전한 육군본부 터에 건립되었다. 운영은 비영리 특수법인 전쟁기념사업회(1989년 설립)가 담당하고 있다.[25]1995년~2001년은 전쟁기념관 개관 후 초석을 다지는 시기였다. 그 과정에서 해외 전쟁군사박물관과 국제 교류를 시작했다. 그리고 매달 '이달의 호국인물'을 선정하여 추모행사를 시행했다.[25]
2002년~2008년은 개관 10년을 넘어가며 좀 더 체계화된 기념관의 모습이 되었다. 여러 기획전과 학술회의를 꾸준히 개최하고 해외 군사 박물관과 교류를 하였다.[25]
2009년~2013년은 전시실을 전면 개선하기 위해 전시실 개선사업을 시작했다. 관람객의 편의시설을 확충했다. 그리고 전시 개선, 시설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의 결과 현충시설 만족도 조사 최우수기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25]
2014년~2018년은 전쟁역사실, 해외파병실 등 전시실을 전면 개선했고, 기증실과 국군무기발전실을 신설했다.[25]
2019년부터 유엔참전국들을 기억하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제1회 유엔문화주간을 개최하였고, 6.25전쟁 아카이브센터를 개관했다. 앞으로 용산 지역에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공원이 될 용산공원이 조성될 전망이다.[25]
2. 3. 역대 관장
대수 | 이름 | 계급 | 주요 보직 | 재임 기간 |
---|---|---|---|---|
1 | 이병형 | 육군 중장 | 제5군단장, 제2군 사령관 | 1994년 ~ 1996년 |
2 | 이재전 | 육군 중장 | 제6군단장, 대통령경호실 차장 | 1996년 ~ 1999년 |
3 | 홍은표 | 1999년 ~ 2001년 4월 | ||
4 | 박익순 | 육군 중장 | 국방부 특명검열단장, 보훈복지공단 사장 긴급기획위원장 | 2001년 5월 8일[19] ~ 2004년 |
5 | 김석원 | 육군 중장 | 제5군단장, 군수사령관 | 2004년 5월 10일[20] ~ 2007년 |
6 | 권영효 | 육군 중장 | 국방부 차관 | 2007년[21] ~ 2009년 |
7 | 박장규 | 육군 소장 | 3사관학교 교장[22] | 2009년 ~ 2011년 |
8 | 선영제 | 육군 중장 | 제9군단장, 육군참모차장 | 2011년 7월 18일[23] ~ 2014년 7월 |
9 | 이영계 | 육군 중장 | 육군훈련사령부 사령관 | 2014년 7월 ~ 현재 |
전쟁기념관은 옥내전시와 옥외전시로 구분되며, 33,000여 점의 소장유물 중 10,0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10,900여 평의 옥내전시실은 호국추모실, 전쟁역사실, 6·25전쟁실, 해외파병실, 국군발전실, 대형장비실 등 6개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옥외전시실에는 제2차 세계 대전, 6·25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던 대형 무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주로 중장, 소장급 예비역 장성이 전쟁기념관 관장을 맡으며, 전쟁기념사업회장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다.
3. 전시 구성
6·25전쟁실은 전쟁의 원인, 경과 및 휴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체험 시설 등을 통해 쉽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옥외전시장에는 6·25전쟁 상징 조형물, 광개토대왕릉비, 형제의 상, 평화의 시계탑 등이 전시되어 있다.[3]
기념관 양측 회랑에는 국군 전사자와 유엔군 전사자 20여 만 명의 이름이 새겨진 전사자 명비가 있으며, 전쟁기념관은 대국민 호국문화의 장으로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3] 어린이부터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20여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국군 군악·의장행사, 어린이날 문화축제, 현충일 그림그리기 대회, 6·25 호국문화행사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연간 개최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전쟁기념관의 캐릭터는 무돌이로, 나라를 지킨다는 뜻을 가진 철모와 평화를 상징하는 월계수잎이 특징적이다.
3. 1. 옥내 전시
전쟁기념관은 33,000여 점의 소장 유물 중 10,000여 점을 옥내에 전시하고 있다. 10,900여 평의 옥내전시실은 호국추모실, 전쟁역사실, 6·25전쟁실, 해외파병실, 국군발전실, 대형장비실 등 6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3층 규모의 옥내전시실에는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5000년 대한민국 전쟁사와 위국 헌신한 분들의 공로와 훈장 등이 실물, 디오라마, 복제품, 기록화, 영상 등 다양한 전시기법으로 전시되어 있다.
특히 6·25전쟁실은 전쟁의 원인, 경과 및 휴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체험 시설 등을 통해 쉽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념관 양측 회랑에는 국군 전사자와 유엔군 전사자 20여 만 명의 이름이 새겨진 전사자 명비가 있다.
실내 전시물은 다음과 같다.
3. 2. 옥외 전시
옥외전시장에는 6·25전쟁 상징 조형물, 광개토대왕릉비, 형제의 상, 평화의 시계탑 등과 함께 세계 각국의 대형 무기가 전시되어 있다.[3] 제2차 세계 대전, 6·25전쟁,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되었던 K-1 전차, 곡사포, 미사일, 헬리콥터, 수송기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기념관 양측 회랑에는 국군 전사자와 유엔군 전사자 20여 만 명의 이름이 새겨진 전사자 명비가 있다.
종류 | 품명 | 비고 |
---|---|---|
고정익 항공기 | 선양 J-6는 KPAF 탈영자 이웅평 대위가 대한민국으로 몰고 온 것이다. | |
헬리콥터 | 에어로스파시알 SA319B 알루엣 III는 북한 군인 5명을 사살한 사건을 기념하는 킬 마킹으로 도색되어 있다. | |
장갑차 | ||
포병 및 대공포 | ||
미사일 | ||
선박 |
4. 시설
전쟁기념관은 옛 육군본부 자리에 위치하며, 지상 3층에는 전시관이 있다.[3] 본관 건물은 약 20000m2 부지에 있으며 지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 건물 정면 양쪽에는 폐쇄된 갤러리가 있는데, 여기에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한국 전쟁 이후 북한과의 충돌에서 전사한 이들과 순직 경찰관들의 이름이 새겨진 검은 대리석 기념비들이 줄지어 있다. 박물관 부지 내 광장에는 인공 폭포가 있으며, 그 주변에는 넓은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이 경치를 즐기며 피크닉을 할 수 있다. 광장 중앙에는 형제상이 서 있는데, 형은 한국군 병사, 동생은 북한군 병사로서 한국 분단의 상황을 상징한다.
부지 내에는 동상이나 비석 등의 군사적 기념물이 있다. 또한, 식당과 평화홀(전우회관)이 있으며, 평화홀에는 결혼식장도 마련되어 있다.
5. 교통
서울 지하철 4호선, 6호선 삼각지역 12번 출구를 통해 갈 수 있다.[3]
6. 관람 정보
개장 시간은 09:30~18:00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월요일이 포함된 연휴에는 마지막 연휴 다음 날 휴관한다. 2010년부터 상설 전시는 전면 무료화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reetings
https://www.warmemo.[...]
2023-08-17
[2]
웹사이트
Seoul's best museums
http://www.cnngo.com[...]
2011-10-27
[3]
웹사이트
Guide Map
https://www.warmemo.[...]
2023-08-17
[4]
웹사이트
Prehistoric Period
https://www.warmemo.[...]
2023-08-17
[5]
웹사이트
116837 at Soeul [sic] War Memorial Museum.
http://www.dhc-2.com[...]
[6]
웹사이트
AMARC Experience – TC-46D "44–78541"
http://www.amarcexpe[...]
2018-06-13
[7]
웹사이트
AMARC Experience – Fairchild C-123J Provider "56–4389"
http://www.amarcexpe[...]
2018-06-14
[8]
웹사이트
Grumman S2F (S-2) Tracker
http://www.forgotten[...]
2018-06-13
[9]
웹사이트
North American F-86A, E, F, H Sabre day-fighter series
http://www.forgotten[...]
2018-06-13
[10]
웹사이트
North American F-86D/K/L Sabre
http://www.forgotten[...]
Warbirds Resource Group
2018-12-22
[11]
웹사이트
Northrop F-5 Freedom Fighter
http://www.forgotten[...]
2018-06-13
[12]
웹사이트
The Northrop F-5 Enthusiast Page – "Korean Air Force Units"
https://web.archive.[...]
2019-05-16
[13]
웹사이트
McDonell F-4 Phantom II
http://www.forgotten[...]
Warbirds Resource Group
2018-12-22
[14]
웹사이트
1972 USAF Serial Numbers
http://www.joebaughe[...]
[15]
웹사이트
[2.0] Second-Generation Cobras
http://www.airvector[...]
[16]
웹사이트
Seawolf Aircraft
http://www.seawolf.o[...]
1988-12-00
[17]
웹사이트
Pacific Wrecks
http://pacificwrecks[...]
[18]
웹사이트
List of Sikorsky S-55 H-19 helicopters in South Korea
https://www.helis.co[...]
2018-06-14
[19]
뉴스
【人事】戦争記念事業会長朴益淳さん(【인사】전쟁기념사업회장 박익순씨)
http://news.donga.co[...]
2001-05-08
[20]
뉴스
전쟁기념사업회장에 김석원씨
http://legacy.www.ha[...]
2004-05-10
[21]
뉴스
戦争記念事業会長に権永孝元国防次官就任(전쟁기념사업회장에 권영효 전 국방차관 취임)
http://www.konas.net[...]
2007-09-05
[22]
뉴스
【会いたかったんです】朴章圭戦争記念館長 - ユヨンウォンの軍事世界(【만나고 싶었습니다】 박장규 전쟁기념관장 - 유용원의 군사세계)
http://news.bemil.ch[...]
2010-02-17
[23]
뉴스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장에 선영제씨 임명
http://www.hani.co.k[...]
2011-07-18
[24]
간행물
전쟁기념관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
[25]
웹인용
소개 소식 -> 조직 및 현황 ->연혁
https://www.warmem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