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전체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전체회의는 1982년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에 의해 창당된 예멘의 정당으로, 다양한 정치적 이해관계를 대표하는 우산 조직으로 시작했다. 1990년 예멘 통일 이후 살레는 대통령직을 유지하며 1993년 총선에서 최대 정당으로 부상했고, 이후 1997년, 2003년 총선에서 과반수를 확보했다. 1999년과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살레가 재선되었으나, 2011년 예멘 혁명으로 살레가 퇴진하고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당은 분열되었다. 2014년 예멘 내전 발발 이후 국민전체회의는 하디 지지파, 살레 지지파, 후티 반군 지지 파벌로 갈라졌으며, 2017년 살레가 사망한 후 당내 분열은 더욱 심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 혁명 - 알이슬라
알이슬라는 1990년 예멘에서 창당되어 무슬림 형제단 정치 파벌, 하시드 부족 연맹, 살라피 운동으로 구성된 정당으로, 2003년 총선에서 제2당의 위치를 확보했으나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 변화를 겪었다. - 예멘 혁명 - 후티
후티는 1990년대 예멘에서 시작된 시아파 무장 단체로, 반란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여 예멘 내전의 주요 당사자가 되었으며, 인권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다. - 예멘의 정당 - 예멘 사회당
예멘 사회당은 1978년 창당되어 남예멘의 집권 여당이었으나 예멘 통일 후 주요 정당이 되었고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사회민주주의와 범아랍주의로 이념을 변화했으며 현재는 예멘 내전으로 인해 분열되었다. - 예멘의 정당 - 알이슬라
알이슬라는 1990년 예멘에서 창당되어 무슬림 형제단 정치 파벌, 하시드 부족 연맹, 살라피 운동으로 구성된 정당으로, 2003년 총선에서 제2당의 위치를 확보했으나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 변화를 겪었다. - 예멘의 아랍 민족주의 - 예멘 국가민주전선
예멘 국가민주전선은 2003년 총선에 참여했으나 의석을 얻지 못했고, 예멘 혁명 기간 선거를 요구했으며, 후티 반군 장악을 지지하며 침략 반대와 국민 대화를 지지하는 정당이다. - 예멘의 아랍 민족주의 - 아랍 합중국
아랍 국가 연합은 범아랍주의를 지향한 아랍 연합 공화국에 예멘 왕국이 합류하여 성립된 느슨한 연합이었으나, 시리아의 탈퇴로 아랍 연합 공화국이 붕괴하며 해소되었다.
국민전체회의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알무으타마르 앗샤으비 알아암) |
창립 | 1982년 8월 24일 |
본부 | 사나 |
신문 | 알-모타마르 |
국가 | 예멘 |
지도부 | |
의장 (논쟁 중) | 라샤드 알-알리미 (친-하디/알리미 진영) 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 (친-후티 진영) 아메드 살레 (친-아메드 살레 진영) |
대변인 | 압도 알-자나디 |
이념 | |
정치 성향 | 예멘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 경제 자유주의 포괄정당 |
정치적 위치 | 중도주의 |
의회 | |
하원 의석수 | 168 / 301석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알-모타마르 (친-후티) 알-메타크 뉴스 (친-하디/알리미) |
2. 역사
1982년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에 의해 창당된 국민전체회의는 예멘의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창당 초기에는 북예멘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1990년 예멘 통일 이후에는 통일 예멘의 여당으로서 국가를 이끌었다.
1999년과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살레 대통령이 재선되었고, 2003년 총선에서는 국민전체회의가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2011년 예멘 혁명으로 살레 대통령이 퇴진하고, 2014년부터 시작된 예멘 내전으로 인해 당은 심각한 분열을 겪게 되었다. 현재는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 Sadeq Ameen Abu Rass|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영어 (후티 지지), Ahmed Saleh|아흐마드 알리 압둘라 살레영어 (살레 전 대통령의 장남)를 각각 지지하는 세 파벌로 나뉘어 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82년 ~ 1990년)
1982년 8월 24일, 예멘 아랍 공화국(북예멘) 사나에서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에 의해 창당되었으며,[6][8] 모든 정치적 이해관계를 대표하려는 우산 조직이었다.[7] 같은 해 8월, 북예멘의 어용 조직으로 성립하여 제1차 전국대표대회(국회)에서 애국 헌장을 통과시켰다.2. 2. 예멘 통일과 살레 집권 시기 (1990년 ~ 2011년)
1990년 예멘 통일 이후,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은 통일 예멘의 대통령직을 유지하며 국민전체회의를 집권 여당으로 이끌었다.[8] 1993년 총선에서 301석 중 123석을 얻어 최대 정당이 되었다.[8] 예멘 사회당이 선거를 보이콧한 가운데 치러진 1997년 총선에서는 과반수인 187석을 획득했다.1999년 첫 직접 대통령 선거에서 살레 대통령이 재선되었고, 2003년 총선에서는 국민전체회의가 301석 중 226석을 얻으며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야당 세력은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항의했다. 이후 몇몇 무소속 국회의원들도 국민전체회의에 합류했다. 2006년 대선에서도 살레 대통령이 다시 재선되었다.
2. 3. 예멘 혁명과 분열 (2011년 ~ 현재)
예멘 혁명의 결과로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물러나고,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가 후임으로 선출되었다.[6] 살레는 이후 내전에서 국가와 국민전체회의에 대한 권력을 되찾으려 했다. 2015년 국민전체회의의 상당 부분을 결집하여 후티 반군 편에 섰고, 당을 하디 지지파와 살레 지지파로 분열시켰다.[6]두 파벌은 살레가 후티 반군을 전복하려 할 때까지 서로 전쟁을 벌였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했고, 전 대통령이자 당 사무총장 아레프 알-주카는 2017년 말 사나 전투에서 사망했다. 알리 압둘라 살레의 죽음 이후 국민전체회의는 더욱 분열되었으며, 전 살레 추종자들의 상당 부분이 후티 반군에 충성을 맹세했다. 후티 반군 지지 파벌은 사나에서 반군 정부를 계속 지원했고, 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를 새로운 국민전체회의 의장으로 선출했다. 후티 반군 지지 파벌의 한 구성원은 "알리 압둘라 살레는 후티 반군에게 살해당했다. 만약 우리가 그의 지시를 따르고 후티 반군에 저항한다면, 살레와 같은 최후를 맞이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장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을 지지하는 것을 선호한다."라고 설명했다.[6]
살레의 또 다른 지지자 그룹은 후티 반군으로부터 도망쳤다. 이 국민전체회의 파벌은 하디 및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국제 연합과 동맹을 맺었지만, 여전히 완전히 분리되었고 알리 압둘라 살레의 아들 아흐메드 살레를 새로운 ''사실상'' 지도자로 선택했다. 한편, 전 대통령의 조카 타레크 살레는 이 파벌을 위해 새로운 사설 군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6]
3. 선거 역사
2003년 예멘 총선에서 득표율 58%를 기록했으며, 선거구에서 238석(전체 의석의 79%)을 확보했다. 이후 예멘에서는 의회 선거가 치러지지 않고 있다.
3. 1. 대통령 선거
선거 | 정당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1999년 | 알리 압둘라 살레 | 3,584,399 | 96.2% | 당선 |
2006년 | 알리 압둘라 살레 | 4,149,673 | 77.2% | 당선 |
2012년 |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 6,621,921 | 100.0% | 당선 |
3. 2. 총선
선거 | 득표수 | % | 의석 | +/– | 순위 | 결과 |
---|---|---|---|---|---|---|
1993 | 640,523 | 28.7% | 123 / 301 | +123 | 1위 | 소수 정부 |
1997 | 1,175,343 | 43.1% | 187 / 301 | +64 | 1위 | 다수 정부 |
2003 | 3,429,888 | 58.0% | 226 / 301 | +39 | 1위 | 초다수 정부 |
2003년 총선 이후 예멘에서는 의회 선거가 치러지지 않고 있다.
4. 분파
1982년 8월 24일, 사나 예멘 아랍 공화국에서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에 의해 창당된 국민전체회의는[6][8] 모든 정치적 이해관계를 대표하려는 우산 조직이었다.[7] 1990년 예멘 통일 이후 살레가 통일 국가의 대통령직을 계속 유지하면서 당은 1993년 총선에서 301석 중 123석을 얻으며 최대 정당으로 부상했다.[8]
예멘 혁명으로 살레가 물러난 후,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살레는 내전에서 권력을 되찾으려 했다. 2015년, 살레는 국민전체회의 상당 부분을 결집하여 후티 편에 섰고, 당은 하디 지지파와 살레 지지파로 분열되었다.[6]
2017년 말 사나 전투에서 살레와 당 사무총장 아레프 알-주카가 사망하면서 국민전체회의는 더욱 분열되었다. 이후, 국민전체회의는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 지지파, 후티가 지지하는 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 지지파,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의 아들 아흐메드 살레 지지파로 나뉘었다.
4. 1. 하디 지지파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현 대통령을 지지하는 파벌은 국민전체회의 내에서 현재 분열된 세 파벌 중 하나이다. 2017년 12월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이 사망한 이후, 국민전체회의는 하디 대통령을 지지하는 파, 후티가 지지하는 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 그리고 살레 전 대통령의 장남인 아흐마드 알리 압둘라 살레를 지지하는 파로 나뉘었다.[1]4. 2. 후티 지지파
알리 압둘라 살레가 사망한 후, 국민전체회의는 더욱 분열되었으며, 이전 살레 추종자들의 상당수는 후티 반군에 충성을 맹세했다. 후티 지지 파벌은 사나에서 반군 정부를 계속 지원했고, 사데크 아민 아부 라스를 새로운 국민전체회의 의장으로 선출했다. 후티 지지 파벌의 한 구성원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알리 압둘라 살레는 후티 반군에게 살해당했다. 만약 우리가 그의 지시를 따르고 후티 반군에 저항한다면, 살레와 같은 최후를 맞이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장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을 지지하는 것을 선호한다."[6]4. 3. 아흐메드 살레 지지파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의 아들 아흐메드 살레를 지지하는 파벌은 후티 반군으로부터 도망친 국민전체회의의 일파이다. 이들은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및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국제 연합과 동맹을 맺었지만, 여전히 분리된 상태로 남아있다.[6] 아흐메드 살레는 이 파벌의 ''사실상'' 지도자로 여겨진다. 한편, 전 대통령의 조카 타레크 살레는 이 파벌을 위해 새로운 사설 군대를 조직하기 시작했다.[6]참조
[1]
웹사이트
Weak and Divided, the General People's Congress Turns 40
https://sanaacenter.[...]
2023-02-11
[2]
웹사이트
The General People's Congress in Ma'rib Governorate salutes its leadership, members and supporters on the 40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https://almethaqnews[...]
General People's Congress
2023-02-11
[3]
뉴스
Yemeni party names new leader after Saleh killed
https://www.reuters.[...]
2018-01-07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5]
문서
Burrowes, p111
[6]
뉴스
Death of a leader: Where next for Yemen's GPC after murder of Saleh?
http://www.middleeas[...]
2018-05-31
[7]
문서
Frank Tachau
Greenwood Press
[8]
서적
The Dynamic of Democratisation – Political Parties in Yemen
http://library.fes.d[...]
Toennes Satz + Druck GmbH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11]
웹사이트
"国民全体会議[イエメン] -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12-24
[12]
뉴스
Death of a leader: Where next for Yemen’s GPC after murder of Saleh?
https://www.middleea[...]
2018-11-05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