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보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 시대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중 모범이 될 만한 사실들을 뽑아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이다.
편찬 경위
- 최초 구상: 세종 때 정치의 모범이 될 만한 일들을 모아 후세의 귀감으로 삼고자 편찬을 계획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했다.
- 세조: 1457년(세조 3년), 수찬청을 설치하고 신숙주, 권람 등에게 명하여 태조, 태종, 세종, 문종 4대 보감 7권 3책을 처음으로 완성하였다.
- 숙종: 1684년(숙종 10년), 이단하에게 명하여 선조의 업적을 모은 《선묘보감(宣廟寶鑑)》 10권을 완성하였다.
- 영조: 1730년(영조 6년), 이덕수 등에게 명하여 숙종의 업적을 모은 《숙묘보감(肅廟寶鑑)》 15권을 완성하였다.
- 정조: 1782년(정조 6년), 정종부터 영조까지 13명의 임금의 보감을 조경 등에게 명하여 찬수하게 하고, 기존의 보감과 합쳐 68권 19책을 완성하였다. 이 때 정조는 서문을 직접 작성하였으며, 편찬에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 총서, 범례, 목록 등을 함께 수록하였다.
- 헌종: 1847년(헌종 13년), 조인영 등에게 명하여 정조, 순조, 익종의 보감을 찬수하고, 이전의 보감과 합쳐 82권 24책을 완성하였다.
- 순종: 1908년(융희 2년), 이용원 등에게 명하여 헌종, 철종 2조의 보감을 찬수, 1909년에 전의 것과 합하고 순종의 어제서와 이용원의 진전을 첨부하여 90권 28책으로 최종 완성하였다.
내용
- 《국조보감》은 주로 유교적 덕목을 바탕으로 임금의 모범적인 정치 행적을 기록하였다. 민생, 행정, 인사, 사법, 예법, 재난, 재이, 윤리, 경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왕의 역할과 위상을 보여주는 내용이 강조되었다.
- 세조 때 편찬된 최초의 《국조보감》은 후대 보감의 체재와 내용의 기준이 되었으며, 주로 왕위 계승 과정과 국왕으로서의 성덕을 보여주는 일화 등이 수록되었다.
- 정조 때에는 《영조실록》 외에도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봉모당 봉안 어제 등 다양한 자료에서 내용을 발췌하여 편찬하였다.
- 《국조보감》은 실록과 달리 왕의 업적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공개함으로써, 국왕의 통치 모범을 제시하고 후대 왕들이 이를 본받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징
- 《국조보감》은 각 왕의 업적을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이다.
- 실록을 참고하여 만들었지만, 실록과는 달리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편찬하였다.
- 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후대 임금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으며, 제왕학 교과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 정조는 자신의 정통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선왕들의 보감을 편찬하였고, 완성 후에는 종묘에 직접 고하는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 정조에 의해 대대적으로 보완되어 조선 모든 국왕의 보감이 갖추어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소장처규장각,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고궁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국조보감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국조보감 | |
원제 | 國朝寶鑑 |
언어 | 한문 |
장르 | 역사서 |
판본 | 90권 28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