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문은 고대 중국의 문어 문법으로 쓰인 글을 의미하며, 현대 중국어로는 문언문 또는 고문이라고 불린다.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문은 간결성, 함축성, 리듬감을 특징으로 하며, 한자를 사용하여 표현의 효율성을 높였다. 한국에서는 전통 문화 계승과 동아시아 문화 교류를 위해 한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문 - 한문 (일본)
    한문 (일본)은 5세기 한자 전래 이후 일본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하여 발전해 온,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로 작성된 문서이자 일본어 읽기 방식 및 역사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훈독 방식을 통해 일본어 어순에 맞춰 한자를 배열하고 조사, 조동사를 붙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만드는 특징을 가진다.
  • 중국 문학사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중국어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중국어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에 설립된 위키백과의 중국어 버전으로, 간체자와 번체자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중국 정부의 검열과 논란 속에서 바이두 백과와 경쟁한다.
한문
기본 정보
이름문언(文言), 고문(古文)
로마자 표기wényán (문언), guwen (고문)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 중국어
문자한자
사용 지역중국, 일본, 류큐 제도, 한국,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
사용 시기기원전 5세기 ~ 서기 2세기경 최초 기록, 20세기까지 널리 사용
ISO 639-3 코드lzh
Glottolog 코드lite1248
Linguee 코드79-AAA-aa
표기
중국어 간체文言
중국어 정체文言
병음wényán
웨이드-자일스wen²-yen²
통용 병음wúnyán
광동어 예일man4 jin4
광동어 로마자maahnjihn
민난어 백화자bûn-giân
객가어 패화자vùn-ngièn
오어ven ghe
복주어ùng-ngiòng
상고 중국어 (정사)*mən ŋan
중고 중국어mjun ngjon
한자 (한국)漢文
한국어 로마자hanmun
한자 (일본)漢文
일본어 로마자kanbun
한자 (베트남)漢文, 古文, 文言
베트남어Hán văn, cổ văn, văn ngôn
고문(古文) 표기
중국어 간체古文
중국어 정체古文
병음gǔwén
웨이드-자일스ku³-wên²
통용 병음gǔwún
광동어 예일gu2 man4
광동어 로마자gúmàhn
민난어 백화자kó͘-bûn
객가어 패화자kú-vùn
오어ku ven
복주어gū-ùng
상고 중국어 (정사)*kˤaʔ mən
중고 중국어kuX mjun
기타 정보
언어 형태서면어 (문어)
주요 사용 시기20세기 초반까지 동아시아 지역의 서면 링구아 프랑카
관련 항목한문 교육, 국어 (교과)

2. 정의

한문은 일반적으로 고대 중국의 고전 문어 문법으로 쓰인 글을 의미하며, 현대 중국어로는 '문언문'(文言文) 또는 '고문'(古文)이라고 한다.[15]

시경(詩經) 사본의 페이지
기원전 11세기부터 7세기까지, 일반적으로 "고전 이전 중국어"라고 불리는 시대에 저술된 305편의 문학 작품 모음인 시경


한나라는 최초의 장기적인 안정 통일 정권으로, 중앙과 지방 간의 문서 교환을 위해 한문법을 확립하였다. 그 후 중국에서는 한나라의 전통적인 문법에 따라 문장이 쓰였으며, 시대나 지역에 따른 구어의 다양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문어인 한문의 문법상 변화는 적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에서도 민중 문화가 발전하여 민중의 회화체(백화문)를 도입한 소설 등이 쓰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설은 관료의 정론이나 상류 계급의 문학 작품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세기 초, 량치차오, 후스 등의 활약으로 백화문이라 불리는 구어체 기반의 문체가 시도되었고, 이를 통해 현대 표준 한어문(중국어 보통화)이 확립되었다. 현대 중국어문은 한자를 나열하여 쓴다는 점과 문법적인 면에서 한문과 유사하지만, 전통적인 한문으로 부르지 않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한문은 고대 중국어의 글말이 그대로 전해져 내려온 것이므로 정체자로 쓴다. 간체자는 1960년대 중국공산당의 주도로 만들어진 간략화한 한자이다.

"고전 중국어"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5세기부터 한나라(기원전 202년~기원후 220년) 말까지의 중국 문학 고전에서 사용된 언어를 가리키지만, 이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는 없다.

2. 1. 용어

영어권에서는 'Classical Chinese'(고전 중국어) 또는 'Literary Chinese'(문어 중국어)라고 하며, 일본의 한문 훈독은 'Kanbun'(칸분)이라고 한다.[15]

2. 2. 범위

넓은 의미로는 한자를 사용하여 쓰인 모든 글을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중국 고전 문법에 따라 쓰인 '순한문'(純漢文) 또는 '정칙한문'(正則漢文)을 가리킨다.[6]

중국에서는 현대 중국어로 '''고문'''(古文|고문중국어)[15] 혹은 '''문언문'''(文言文|문언문중국어)이라고 한다. 황하 유역에서 비롯한 중국 문명은 한자를 낳아 한자로 자신들의 언어를 기록하는 문화를 발달시켰다. 그러나 한자는 다른 언어를 이용하는 복수의 문화 집단에게도 수용되었기 때문에, 중국 문명권 안에서 민족과 부족을 초월한 공통의 문어가 형성되어 갔다. 이것을 한문의 탄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회화체 수준에서는 변화가 크고 지역차도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가 문장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여러 구어를 이야기하는 한인은 공통 문어인 한문에 의해서 이어질 수 있었다. 반대로 각 지역의 구어 발전은 한문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아서 보통화, 광둥어, 타이완어 등 중국어는 물론, 본래는 다른 계통의 언어인 베트남어, 일본어, 한국어 등도 포함하여 현저한 지역차를 가지면서도 일정한 공통성을 가진 언어군(한자문화권)의 형성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문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6]

  • 순한문(純漢文): 고대 중국의 고전 문어문법으로 쓰여진 것. 순수한문, 정칙한문이라고도 한다. 현대 중국에서는 「문언문」이라고 부른다.
  • 변체한문(変体漢文): 그 외의 변칙적인 문법의 한자 문서. 표준어나 국어와 같은 현대 중국어 문(현대 중국에서는 「漢文」( )이라고 부른다) 및 그 여러 방언 문, 백화체, 일본 독자적인 화습과 만엽가나를 포함한 한문 및 한자만으로 된 일본어 문, 신라·고구려의 어습을 많이 포함한 비문 등.

3. 역사

한문은 황하 문명에서 비롯된 한자를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 문법이 확립되었다.[15] 한자는 중국뿐 아니라 주변 여러 문화권에 전파되어 각 지역 언어와 결합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고전 중국어"는 기원전 5세기부터 한나라(기원전 202년~기원후 220년) 말까지의 중국 문학 고전에서 사용된 언어를 가리킨다. 기원전 4세기 이전에 쓰여진 오경(五經)과 같은 작품에서 사용된 중국어 형태는 후대 작품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르다. "고전 이전 중국어"라는 용어는 이러한 초기 형태를 고전 중국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나라 이후 구어와 문어의 차이는 점점 더 명확해졌다. "문어 중국어"라는 용어는 고전을 의식적으로 모방한 후대의 중국어 형태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진시황의 분서갱유로 인해 많은 고전 시대의 작품이 소실되었고, 현존하는 작품도 원본이 아닌 후대의 사본으로 전해진다. 한서의 예문지에 따르면 653종의 목록 중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은 6%에 불과하다.

쿠빌라이 칸이 1266년 일본 국왕에게 보낸 한문 편지


한자는 음운 변화를 반영하지 않아, 고대 중국어 발음을 재구성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문어 중국어는 재구성된 고대 중국어 발음이 아닌, 2세기에서 4세기 사이 낙양의 중국 중세 음운론을 기반으로 한 운서의 발음으로 읽는다. 원나라명나라 시대에는 초기 만다린어를 반영했다. 과거 시험에서는 ''시'' 장르로 시를 지어야 했기에, 만다린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표준 광둥어나 남민어처럼 고전 중국어에서 빌린 발음을 사용했다.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 사용자는 각자의 언어에 특정한 문어 중국어 발음 시스템을 사용한다.

문어 중국어는 현재 동음이의어가 많다. 고전 텍스트를 현대 발음으로 읽으면, 원래 고대 중국어에서는 발음이 달랐지만 이후 합쳐진 동음이의어가 나타난다.

.



1930년대 언어학자 조원렴(Yuen Ren Chao)의 ''돌굴 속 사자를 먹는 시인''은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다양한 성조를 가진 로 발음되는 단어만으로 구성되어, 소리내어 읽으면 이해하기 어렵지만, 읽으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문어 중국어의 특징을 보여준다.

3. 1. 중국

중국에서는 현대 중국어로 '''고문'''(古文중국어[15]) 혹은 '''문언문'''(文言文중국어)이라고 한다.

황하 유역에서 비롯한 중국 문명한자를 낳아 한자로 자신들의 언어를 기록하는 문화를 발달시켰다. 한자는 다른 언어를 이용하는 복수의 문화 집단에게도 수용되었기 때문에, 중국 문명권 안에서 민족과 부족을 초월한 공통의 문어가 형성되어 갔다. 이것을 한문의 탄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초의 장기적인 안정 통일 정권인 한나라에는 중앙과 지방과의 문서 교환을 위해 한문법을 확립하였고, 그 뒤 중국에서는 이 한나라의 전통적인 문법에 따라 문장이 쓰이게 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른 구어의 다양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문어인 한문의 문법상 변화는 적었다.

물론, 회화체 수준에서는 변화가 크고, 또 지역차도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가 문장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여러 구어를 이야기하는 한인은 공통 문어인 한문에 의해서 이어질 수 있었다. 반대로 각 지역의 구어 발전은 한문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아서 중국어(보통화, 광둥어, 타이완어 등)는 물론, 본래는 다른 계통의 언어인 베트남어, 일본어, 한국어 등도 포함하여 현저한 지역차를 가지면서도 일정한 공통성을 가진 언어군(한자문화권)의 형성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근세로 들어가면서, 중국에서도 민중 문화가 꽃 피게 되어, 민중의 회화체(백화문)를 도입한 소설 등이 쓰이기도 했다. 그러나, 결코 관료의 정론이나 상류 계급의 문학 작품과 같은 것에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20세기 초에는, 중국에서는 량치차오, 후스 등의 활약에 의해 백화문이라 불리는 구어체 기반의 문체가 시도되었다. 이로써 현대 표준 한어문(중국어 보통화)이 확립되었다. 현대 중국어문도 한자를 늘어 놓고 쓴다는 점에서는 한문과 같고, 문법적으로도 한문과 꽤나 유사하다. 하지만 현대 한어문을 전통적 한문이라고 부르지 않는 견해가 꽤 있다.

한문은 고대 중국어의 글말이 그대로 전해져 내려온 것이기 때문에 정체자로 쓴다. 참고로 간체자는 비교적 가까운 시기인 1960년대 중국공산당의 주도로 만들어진 간략화한 한자이다.

또, 한문으로 쓰인 중국의 서적은 한문 서적으로 불린다. 거기에는 현대 중국의 서적은 포함되지 않는다.

1919년 5·4 운동으로 시작된 중국의 문학 혁명 이전에는 18세기 소설인 『홍루몽』과 같은 구어체 중국어 문학의 두드러진 사례들이 있었다. 중화민국의 대부분의 정부 문서는 1970년대 옌자간(Yen Chia-kan) 대통령이 주도한 구어체 중국어로의 전환 개혁이 있기 전까지는 문어체 중국어로 작성되었다.[1] 그러나 대만의 법률 대부분은 여전히 문어체 중국어의 하위 집합으로 작성된다. 결과적으로 현대 대만 변호사들은 문어체 중국어의 하위 집합을 적어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당시의 시가 등 고전 및 문어체 중국어로 된 많은 문학 작품들은 중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문법과 어휘를 알더라도 문어체 중국어로 된 작품들은 빈번한 암시와 다른 역사적 문학에 대한 언급, 그리고 매우 간결한 문체 때문에 구어체 사용자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현재 순수한 문어체 중국어는 공식적이거나 의례적인 맥락에서 가끔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화민국 국민의 노래』는 문어체 중국어로 되어 있다. 문어체 중국어로 된 불교 경전들은 여전히 그것들이 산스크리트어에서 번역되거나 저술된 당시부터 보존되어 있다. 실제로 구어체와 문어체 중국어 사이에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연속체가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공식 공고와 공식 편지는 구어체 산문 내에서 관용적인 문어 표현을 사용한다.

고전적인 구절의 개인적인 사용은 주제와 필자의 교육 수준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전문 학자와 애호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현대 작가들은 문어체 중국어로 쉽게 글을 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이며 대학 입학 시험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문어체 중국어를 읽을 수 있다. 학교 교육 과정에서의 문어체 중국어는 주로 문학 작품을 제시하고 구절의 의미를 설명하는 구어체 해설을 포함하여 가르친다. 시험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이 문어체 중국어로 된 단락을 읽고 구어체로 그 의미를 설명해야 한다.

현대 변종의 발음은 고대 중국어와 중국 중세 음운론과 같은 다른 역사적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한때 운이 맞았던 글자들이 더 이상 운이 맞지 않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시와 다른 운율 기반의 글쓰기는 원래 읽었을 때보다 일관성이 떨어진다.

3. 2. 한국

기원전 2세기한자가 전래된 이후 2천여 년간 한자 문화가 새로운 외국 문화로 수용되어 이를 바탕으로 고도의 세련된 문화를 이룩했다. 그리고 중국에서 전래된 한자의 사용으로 이제까지 구송된 역사·문학을 정착시켰다.

삼국 중 중국에 가장 가까운 고구려는 대략 3세기인 산상왕 때부터 ·와 교통했으므로 많은 문물과 함께 한적을 가져왔을 것으로 추측되며, 그 일례로 광개토왕릉비문이 남아 있어 그 웅대한 판도와 아울러 찬란한 문물을 짐작케 한다.

또 기록에 따르면 애초에 《유기》(留記) 백 권의 사기(史記)가 있었는데 영양왕 때인 600년, 이문진이 〈신집〉(新集) 5권으로 요약하였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또한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의 오언고시 〈여수장우중문시〉는 수나라의 가슴을 서늘하게 하던 늠름한 무인다운 면목이 엿보인다.

고구려 제20대 장수왕 2년(414년)에 그 아버지 광개토왕의 비를 세우고 비에 그의 사적을 새겼다. 이 비는 만포진 건너편 만주 지안 현(輯安縣중국어)에 있는데, 높이 약 7.32m에 고구려 임금 대대의 계통과 광개토왕이 나라를 크게 일으킨 역사를 예서로 새겼다. 이는 한민족에 한자가 전래된 연대와 한국 한자 글씨의 본을 아는 데 도움이 된다.

백제는 육상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겠지만 나중에는 해상으로 중국과 연락하여 문화 교류가 활발했고, 중국의 동오, 일본과도 교역하여 그 문화적 수준이 높았다. 근구수왕 1년(375년)에는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펴내었고, 그 당시 박사 왕인(王仁)은 일본에 《천자문》, 《논어》를 전래시켜 일본 문화에 획기적인 변혁을 가져오게 했다.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와 비슷한 시대에 한자가 전래되었으리라고 추측되나, 신라의 거칠부가 《국사》를 수찬한 것은 진흥왕 6년(545년)이므로 백제보다 2세기나 뒤졌음을 알 수 있다. 신라의 한문학 작품인 진덕여왕의 《치당태평송》은 비록 굴욕적인 송시이나 외교 문학의 소산으로 현재까지 전한다. 또 한문학의 전래와 함께 당나라에 많은 유학생을 보내어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힘썼다. 그리하여 이름이 전하는 한문학자로서는 태종 무열왕 때의 강수를 비롯하여 강수, 제문, 수진[16], 양도, 풍훈, 골번[17] 등이 있고, 신라 《국사》를 수찬한 거칠부 등은 그 사적은 없어졌으나 영원히 이름을 기억할 만한 사람들이다.

1948년 '''한글전용법''' 제정 이후의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에서 말하는 한자 교육을 '''한문 교육'''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일본의 중등 교육에서의 한문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한문”이라는 이름이 붙은 워크북이 단순한 한자 연습장인 경우도 있다. 이는 한자가 대한민국의 국자(國字)가 아니고, 중국에서 전래된 외국 문자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대한민국의 한자 부활파는 '''한자 교육'''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데 반해, '''한글 전용'''파는 '''한문 교육'''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한문 교육에 사용되는 “한문” 교과서의 내용은 한자 학습에서부터 한시문의 독해에 이르는, 이른바 한자 교육과 한문 교육을 합체한 것이다. 교과서에서 다루는 한시문 중에는 조선인의 저작(정칙 한문에 의한)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다.

3. 3. 일본

일본에서는 한문이 전래된 이후,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를 표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고, 이는 훈독만요가나 등의 독자적인 문자 사용 방식으로 이어졌다. 일본의 한문은 '간분(漢文)'이라고 불리며, 일본어 문법에 따라 번역하여 읽는 '요미쿠다시(読み下し)' 방식이 사용된다.[11] 이는 한국 한문의 현토나 한글토, 석독구결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백제는 육상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지만, 해상으로 중국과 교역하며 문화 교류가 활발했다. 근구수왕 1년(375년),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편찬했고, 박사 왕인은 일본에 《천자문》, 《논어》를 전래하여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12]

일본에 처음으로 한문이 들어온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후한서』에는 57년의 노국(奴國)이 후한의 광무제에게 사신을 보내 책봉되고 금인(金印)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에도 시대에 발견된 금인에는 “漢委奴国王”이라는 한자가 새겨져 있어, 당시 왜국 사람들이 한문을 알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역사서인 『고사기』 응신기(応神記)에는 백제왕인을 보내 《논어》 10권, 천자문 1권, 합쳐 11권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서기』 응신기에는 아직기응신천황 15년(서기 284년)에 파견되어 태자 도도와키라코의 스승이 되었고, 왕인응신천황 16년(서기 285년)에 와서 태자의 스승이 되어 경전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천자문”은 6세기 전반에 만들어져 5세기 전후의 응신천황이 얻을 수 없었을 것이므로, 이 기록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도래인들이 일본에 기술을 전해준 것은 사실이며, 문자를 해독하고 기록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일본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초창기 한문은 중국 본토의 정칙 한문 문법에 따라 읽혔지만, 점차 일본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사용하거나 일본어로 읽으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춘(春)'자를 중국어식 '슌' 대신 야마토코토바인 '하루'로 발음하고, 한자를 일본어 문법 순서로 읽는 훈독이 나타났다.

한문 훈독체는 나라 시대 무렵의 언어를 기본으로 한 독특한 문체로, 일본어의 쓰기말과 말하기말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오랫동안 일본의 공용어였고, 상류 계급이나 지식인교양으로 여겨졌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나 궁가 자제들은 한문 교육을 받았다. 전전의 법률에도 가나 섞어쓰기이지만 한문 훈독체적인 문체가 사용되었다.

한자를 사용한 일본어 표기에는 한자의 소리를 빌리는 방법(음)과 의미를 빌리는 방법(훈)이 있다.

  • 음(音): 야마토코토바를 한자의 소리를 빌려 표기 (만요가나)
  • * 예: “夜麻登波 久爾能麻本呂婆 多多那豆久 阿袁加岐 夜麻碁母礼流 夜麻登志宇流波斯” (『고사기경행기)
  • 훈(訓): 순수 한문처럼 쓰고 야마토코토바로 읽음. 야마토코토바로 이해하기 쉽도록 순수 한문 문법에 어긋나는 변체한문이 되기도 함.
  • * 예: “悉言向和平山河荒神及不伏人等” (『고사기경행기) → “やまかはの あらぶるかみ および まつろはぬ ひとらを ことごとく ことむけやはす”
  • 두 방법 병용: 와칸혼코체로 이어짐.
  • * 예: “'''新'''年'''乃'''始'''乃''' '''波都波流'''能 '''家布敷流由伎'''能 伊夜之家餘其騰” (『만엽집』 20권) → “あらたしき としのはじめの はつはるの けふふるゆきの いやしけよごと” (굵은 글씨는 훈, 나머지는 음)


일본 고등학교에서는 한문을 일본어 고전 문어의 일부로 보고 국어 교육의 일부로 한문 교육을 한다.[13] 고대 중국 고전이 주로 학습되며, 1961년 개정 이후 국어 과목 중 고전 과목에서 학습하게 되었다. 번역되지 않은 한적도 “외국어 문헌”으로 현대어 번역이 진행 중이다. 전전에 제정된 법령 일부(상법 등)는 현재도 한문 훈독조여서 법학 학습에 이해 능력이 필요하며, 부분 개정 시 현대에도 한문 훈독조 법률 문장이 제작된다.[14] 한문 훈독문은 한문 사료를 일본어로 번역할 때 사용된다. (예: “이마사나리묘지”)

1990년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한시기행”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주 음성으로 쓰기내림, 부 음성으로 현지어로 방송하여 약 1500년 만에 현지어로 한문이 읽히는 상황이 되었다.

3. 4.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20세기까지 한문이 공식적인 문어로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으면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는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인 꾸옥응어(𡨸國語) 교육을 추진하여 기존의 문자 환경에 변화가 시작되었다.[11] 190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도시 지역에서는 신흥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꾸옥응어 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가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한문·쯔놈(chữ Nôm) 문자 사용자들을 점차 압도하였다. 반면 지방에서는 여전히 한학 교육이 권위를 가졌으며, 과거 시험 응시생을 위한 사숙에 자녀를 보내는 가정도 많았다. 예를 들어 호찌민의 아버지인 응우옌 신삭도 과거 시험을 통해 관리가 되었고, 호찌민(胡志明) 자신도 한학을 공부했다.[11]

당시 베트남은 문자 해독률이 낮았지만, 꾸옥응어와 한문·쯔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최상위 엘리트층, 한문·쯔놈만 읽을 수 있는 전통적인 지식인층, 꾸옥응어만 사용할 수 있는 신흥 지식인층이 공존했으며, 잡지와 서적도 여러 문자로 발행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독립으로 종지부를 찍게 되었는데,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문자 해독률 향상을 목표로 꾸옥응어를 베트남어의 공식 표기 문자로 정했다. 1950년 임시 교육 개혁으로 중등 교육에서 한문 교육이 폐지되면서 북베트남에서 한문 교육의 역사는 끝났다. 남베트남에서는 1975년 붕괴할 때까지 한문 교육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학교 등 전문 교육 기관에서는 현재도 한문과 쯔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1]

4. 특징

한문은 주어 생략 언어로 설명될 수 있으며, 구문에서 의미가 이해될 경우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품사로 제한되지 않으며, 많은 한자들이 명사, 동사 또는 형용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서술어는 고전 중국어에 없다. 특정 상황에서 서술어로 기능할 수 있는 한자로는 일시적인 상황을 나타낼 때 為lzh (wéi, '만들다', '하다')와 '라고 불리다'의 의미로 사용될 때 曰lzh (yuē, '말하다')가 있다.[5]

고전 중국어는 현대 구어체보다 더 많은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현대 표준 중국어는 일반적으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한자 하나를 가지고 있는 반면, 고전 중국어는 여러 개의 1인칭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많은 것이 존칭 체계의 일부로 사용된다. 많은 종결어미와 의문사가 고전 중국어에서 발견된다.[5]

구어체 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고전 중국어는 간결하고 압축적인 문체를 사용하며, 어휘 또한 다소 다르다. 고전 중국어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5] 산문 작품에서도 병렬성과 리듬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전형적이다. 또한 작품들은 암시와 같은 문학적 기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언어의 간결성에 기여한다.

4. 1. 간결성

한문은 시제, 접속사, 보조사 등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 간결하게 표현된다.[5] 예를 들어, 한문에서는 시제가 생략되어 현재, 미래, 과거인지는 독자가 판단해야 한다.[5] 또한, 구와 구, 어와 어의 관계가 조건과 결과일 때, 순접이나 역접일 때도 접속사 없이 어순으로만 나타내고 독자의 판단에 맡긴다.[5] 보조사(而・之・於・者・焉의 종류)도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5]

이러한 간결함을 추구한 이유는 한자를 사용했기 때문이다.[5] 표어문자인 한자만을 사용하는 중국에서는 구두의 어로서는 발생하고 존재하더라도, 그것을 표기해야 할 한자가 아직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5] 따라서 고대의 기록 방법은 한자로 표기할 수 있는 어만을 구어에서 골라내어 쓰는 방법을 취했고, 이를 통해 문장어는 의식적으로 간결한 방향으로 발전했다.[5]

4. 2. 함축성

한문은 한 글자에 여러 의미를 담고 있어 함축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이는 한자표의문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특징이다. 한문을 기록할 때, 구어에서 한자로 표현 가능한 단어만 골라 썼기 때문에 문장이 간결해졌다.[5]

4. 3. 리듬감

한문은 간결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리듬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특히 사자성어나 대구 등을 통해 이러한 리듬감을 살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와 같은 문학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5]

한문은 한자라는 표의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구어에서 사용하는 모든 어휘를 표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한자로 표현 가능한 어휘만을 골라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문장을 더욱 간결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간결함 속에서 리듬감을 살리기 위해 보조사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 보조사들은 의미보다는 리듬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5]

노자와 같은 고대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대구는 같은 문법적 조건을 가진 어구를 반복하는 수사법으로, 한문의 리듬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대구는 율시나 사육병려문과 같은 후대 문학 양식에도 영향을 미쳤다.[5]

5. 문법

한문 문법은 현대 중국어 문법과는 차이가 있다. 구어체 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고전 중국어는 간결하고 압축적인 문체를 사용하며, 어휘 또한 다소 다르다. 고전 중국어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7]

고전 중국어는 현대 구어체보다 더 많은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현대 표준 중국어는 일반적으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한자 하나를 가지고 있는 반면, 고전 중국어는 여러 개의 1인칭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많은 것이 존칭 체계의 일부로 사용된다. 많은 종결어미와 의문사가 고전 중국어에서 발견된다.

문법과 어휘의 차이점 외에도 고전 중국어는 그 문학적 특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문 작품에서도 병렬성과 리듬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전형적이다. 또한 작품들은 암시와 같은 문학적 기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언어의 간결성에 기여한다.

5. 1. 어순

고전 중국어는 주어 생략 언어로 설명될 수 있으며, 구문에서 의미가 이해될 경우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품사로 제한되지 않으며, 많은 한자들이 명사, 동사 또는 형용사로 기능할 수 있다. 기본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다.
:* 子曰,學而時習之、不亦説乎。|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중국어 (논어)

  • 주어-수식어-술어-보어

:* 其劍自舟中墜於水。|기검자주중추어수.중국어 (여씨춘추)

  • 주어-수식어-술어-목적어-보어

:* 王之臣有託其妻子於其友而之楚遊者。|왕지신유탁기처자어기우이지초유자.중국어 (맹자)

  • 주어-수식어-술어-보어-보어

:* 然不自意能先入關破秦、得復見將軍於此。|연불자의능선입관파진, 득복견장군어차.중국어 (사기・항우본기)

수식어에는 전치사구, 부사, 시간 부사, 조동사가 될 수 있다. 술어에는 동사, 형용사가 될 수 있다.

5. 2. 생략

고전 중국어 문법에서 볼 수 있듯이, 구어체 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고전 중국어는 간결하고 압축적인 문체를 사용하며, 어휘 또한 다소 다르다. 고전 중국어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7]

고전 중국어는 주어 생략 언어로 설명될 수 있다. 구문에서 그 의미가 이해될 경우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품사로 제한되지 않는다. 많은 한자들이 명사, 동사 또는 형용사로 기능할 수 있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是|shì중국어가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서술어는 고전 중국어에 없다. 특정 상황에서 서술어로 기능할 수 있는 한자로는 일시적인 상황을 나타낼 때 為|wéilzh ('만들다', '하다')와 '라고 불리다'의 의미로 사용될 때 曰|yuēlzh ('말하다')가 있다.

고전 중국어는 현대 구어체보다 더 많은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현대 표준 중국어는 일반적으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한자 하나를 가지고 있는 반면, 고전 중국어는 여러 개의 1인칭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많은 것이 존칭 체계의 일부로 사용된다. 많은 종결어미와 의문사가 고전 중국어에서 발견된다.

문법과 어휘의 차이점 외에도 고전 중국어는 그 문학적 특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문 작품에서도 병렬성과 리듬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전형적이다. 또한 작품들은 암시와 같은 문학적 기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언어의 간결성에 기여한다.

5. 3. 품사

고전 중국어에서 한자는 품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많은 한자들이 명사, 동사, 형용사 등 여러 품사로 기능할 수 있다.[7]

6. 현대적 의의

한문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공유되는 유산으로서,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아시아 지역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지만, 중국의 문학 문화가 수용되면서 문어체 중국어와 각 나라의 고유 언어가 함께 사용되는 이중 언어 사용(Diglossia)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유럽의 라틴어, 페르시아의 아랍어,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산스크리트어 사용 사례와 유사하다. 하지만 한문은 소리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표의 문자인 한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사례들과 구별된다.

일본에서는 한문 학습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이며, 문어체 중국어 시를 창작하는 전통이 남아있다.

참조

[1] 서적 Will Taiwan Break Away: The Rise of Taiwanese Nationalism World Scientific
[2] 일반텍스트
[3] 서적 漢文の話 筑摩書房
[4] 서적 漢文の話 筑摩書房
[5] 서적 漢文の話 筑摩書房
[6] 서적 変体漢文 東京堂出版
[7] 일반텍스트
[8] 뉴스 彭富春代表建议强化古代汉语教学 http://news.xinhuane[...] 新華網 2020-02-00 # 링크 끊김으로 인해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임의로 2020-02-00으로 설정
[9] 뉴스 立院公文難懂 王金平:會改革 http://tw.news.yahoo[...] 中央通訊社 2012-03-05
[10] 뉴스 立院公文好艱澀 前立委看嘸 http://www.appledail[...] 蘋果日報 2012-03-05
[11] 서적 漢文と東アジア——訓読の文化圏 岩波書店 2010-08-20
[12] 서적 中学校 高等学校 学習指導要領 国語科編(試案) http://www.nicer.go.[...] 2020-02-00 # 링크 끊김 날짜를 date로 처리. 일 정보가 없으므로 00으로 표기.
[13] 간행물 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 https://www.mext.go.[...]
[14]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내용이므로 웹페이지로 분류. 명확한 출처가 없으므로 type을 웹페이지로 지정. 민법 및 刑法의 현대어화
[15]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내용이므로 웹페이지로 분류. 명확한 출처가 없으므로 type을 웹페이지로 지정. 고문진보
[16]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내용이므로 웹페이지로 분류. 명확한 출처가 없으므로 type을 웹페이지로 지정. 삼국시대 신라의 강수
[17]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내용이므로 웹페이지로 분류. 명확한 출처가 없으므로 type을 웹페이지로 지정. 삼국사기 권46 강수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