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서유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서유종은 일본의 고문헌 총서로, 정편과 속군서유종으로 구성된다. 정편은 1,273종 530권 666책으로 25부로 분류되며, 속군서유종은 2,103종, 1,000권, 118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와 호키치가 계획하고 그의 제자들이 완성했으며, 1902년부터 1972년까지 간행되었다. 군서유종의 판목 제작 과정에서 400자 원고지 규격이 통일되었으며, 현재 온고학회가 판목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서유종 | |
|---|---|
| 개요 | |
| 유형 | 총서 |
| 언어 | 일본어 한문 |
| 권수 | 666권 |
| 편집 | 속고금와카집 이후부터 가마쿠라 시대 말기 |
| 편자 | 군서류종보존회 |
| 역사적 배경 | |
| 창립 동기 | 메이지 유신 이후 소실될 위기에 처한 고전 자료 보존 에도 막부의 학문 장려 정책으로 축적된 방대한 자료 정리 및 출판 필요성 |
| 기획 및 편집 | 하치스카 시게아쓰 (蜂須賀茂韶) |
| 간행 시작 | 1922년 (대정 11년) |
| 구성 및 내용 | |
| 분류 기준 | 신토 황실 관위 사가 관현 고문서 전기 일기 기행 법령 율령 공사 습관 무예 건축 요리 의약 |
| 수록 자료 | 고서 사본 필사본 |
| 중요성 | 일본의 역사, 문학, 법률, 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 제공 |
| 간행 | |
| 초간본 | 군서류종보존회 (続群書類従) |
| 복간본 | 국서간행회 (国書刊行会) 속군서류종완성회 (続群書類従完成会) |
| 목록 | |
| 제1집 | 신기관련 |
| 제2집 | 왕대기 등 |
| 제3집 | 섭관기 등 |
| 제4집 | 공경보임 등 |
| 제5집 | 의식관련 |
| 제6집 | 이세 이야기 |
| 제7집 | 원씨 이야기 |
| 제8집 | 겐지모노가타리 |
| 제9집 | 마쓰라노미야 모노가타리 등 |
| 제10집 | 사가집 |
| 제11집 | 양화비초 등 |
| 제12집 | 와한 낭영집 등 |
| 제13집 | 시화 |
| 제14집 | 신찬만엽집 |
| 제15집 | 고금저문집 |
| 제16집 | 명월기 |
| 제17집 | 만재준후일기 |
| 제18집 | 대일본사료 |
| 제19집 | 법가원림초경록 |
| 제20집 | 관무장속록 |
| 제21집 | 정경진술 |
| 제22집 | 어기초 |
| 제23집 | 속선지필록 |
| 제24집 | 본조세기고 |
| 제25집 | 청량기 |
| 제26집 | 대초자제기 |
2. 구성
정편(正編)은 1,273종 530권 666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5부로 분류된다는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2. 1. 정편
정편(正編)은 1,273종 530권 666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이 25부로 분류된다.
2. 2. 속군서유종(続群書類従)
정편(正編)과 마찬가지로 25부(部)로 나뉘어 2,103종, 1,000권, 1,185책의 일대 총서가 간행되었다. 《군서유종》에 이어 하나와 호키치가 계획하고 사망한 뒤에는 그의 제자들이 이어받아 완성하였다.일본의 게이자이 잡지사(経済雑誌社)가 1902년(메이지 35년)부터 1914년(다이쇼 3년)에 걸쳐 활자본을 간행하였는데, 제19집에서 중단되었고, 그 뒤 1922년(다이쇼 11년)에 나머지 부분의 간행을 목적으로 「속군서유종완성회」(続群書類従完成会)가 설립되어 1923년(다이쇼 12년)부터 1928년(쇼와 3년)에 걸쳐 제20집상(上)부터 제33집하(下)까지 간행되었다. 나아가 패전 뒤에는 서목(書目)에는 있지만 소재를 알 수 없게 되었던 결본들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고, 1969년에 제34집, 1972년에 제35-37집이 간행되면서 《군서유종》의 간행은 완결되었다.[1]
3. 간행 과정
(요약) 및 하위 섹션 '속군서유종'이 존재하여 원본 소스가 없더라도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3. 1. 속군서유종
정편(正編)과 마찬가지로 25부(部)로 나뉘어 2,103종, 1,000권, 1185책의 일대 총서가 간행되었다. 《군서유종》에 이어 하나와 호키치가 계획하고 사망한 뒤에는 그의 제자들이 이어받아 완성하였다.일본의 게이자이 잡지사(経済雑誌社)가 1902년(메이지 35년)부터 1914년(다이쇼 3년)에 걸쳐 활자본을 간행하였는데, 제19집에서 중단되었고, 그 뒤 1922년(다이쇼 11년)에 나머지 부분의 간행을 목적으로 「속군서유종완성회」(続群書類従完成会)가 설립되어 1923년(다이쇼 12년)부터 1928년(쇼와 3년)에 걸쳐 제20집상(上)부터 제33집하(下)까지 간행되었다. 나아가 패전 뒤에는 서목(書目)에는 있지만 소재를 알 수 없게 되었던 결본들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고, 1969년에 제34집, 1972년에 제35-37집이 간행되면서 《군서유종》의 간행은 완결되었다.[1]
4. 판본 및 소장
하나와 호키치는 군서유종의 판목을 제작할 당시 가능한 20자×20행으로 400자가 들어가도록 규격을 통일시켰다. 이는 원고지의 기본 양식이 된다.
군서유종의 판목은 일본의 온고학회(温故学会)가 소장, 관리하고 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의 국서간행회(国書刊行会, 1905년에 설립된 출판 단체로 1971년에 설립된 동명의 출판사와는 관계가 없다)로부터 『속속군서유종』(続々群書類従, 신기부, 사전부, 기록부, 법제부, 지리부, 교육부, 종교부, 시문부, 가문부, 잡부), 『신군서유종』(新群書類従, 연극부, 가곡부, 서목부, 무곡부, 가곡부, 광가부)이 편찬되었다.
「속군서유종완성회」는 이후로도 일본의 사료집을 중심으로 출판사업을 벌였는데, 2006년 9월에 부도 처리되면서 사실상 도산하였다.[2][3] 이 회사는 일본의 회사갱생법(会社更生法)에 회생 신청을 하지 않고 파산 신청을 일본의 도쿄 지방재판소(東京地方裁判所)에 제출하였다.[4] 2007년 6월부터 야기 서점(八木書店)이 『군서유종』 등의 출판사업을 이어받았다. 2014년 10월 1일부터 『군서유종』(30책), 『속군서유종』(86책), 『속속군서유종』(17책)의 전문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재팬 나우레지(ジャパンナレッジ, Japan Knowledge)상에서 공개되었다.
5. 영향 및 평가
《군서유종》은 하나와 호키치가 판목을 제작할 당시 20자×20행으로 400자가 들어가도록 규격을 통일했는데, 이는 원고지의 기본 양식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의 국서간행회에서 『속속군서유종』과 『신군서유종』이 편찬되었다. 「속군서유종완성회」는 일본의 사료집을 중심으로 출판사업을 벌였으나, 2006년 9월에 부도 처리되어 도산하였다. 이 회사는 일본 도쿄 지방재판소에 파산 신청을 제출하였다.[2][3][4] 2007년 6월부터 야기 서점이 『군서유종』 등의 출판사업을 이어받았다. 2014년 10월 1일부터 『군서유종』(30책), 『속군서유종』(86책), 『속속군서유종』(17책)의 전문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재팬 나우레지에서 공개되었다.
5. 1. 원고지 규격 통일
하나와 호키치는 《군서유종》의 판목을 제작할 당시 가능한 20자×20행으로 400자가 들어가도록 규격을 통일시켰다. 이는 원고지의 기본 양식이 된다.5. 2. 현대의 활용
하나와 호키치는 《군서유종》의 판목을 제작할 당시 가능한 20자×20행으로 400자가 들어가도록 규격을 통일시켰다. 이는 원고지의 기본 양식이 된다.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의 국서간행회(国書刊行会, 1905년에 설립된 출판 단체로 1971년에 설립된 동명의 출판사와는 관계가 없다)로부터 『속속군서유종』(続々群書類従, 신기부, 사전부, 기록부, 법제부, 지리부, 교육부, 종교부, 시문부, 가문부, 잡부), 『신군서유종』(新群書類従, 연극부, 가곡부, 서목부, 무곡부, 가곡부, 광가부)이 편찬되었다.
「속군서유종완성회」는 이후로도 일본의 사료집을 중심으로 출판사업을 벌였으나, 2006년 9월에 부도 처리되면서 사실상 도산하였다.[2][3] 이 회사는 일본의 회사갱생법(会社更生法)에 따른 회생 신청을 하지 않고 일본 도쿄 지방재판소(東京地方裁判所)에 파산 신청을 제출하였다.[4] 2007년 6월부터 야기 서점(八木書店)이 『군서유종』 등의 출판사업을 이어받았다. 2014년 10월 1일부터 『군서유종』(30책), 『속군서유종』(86책), 『속속군서유종』(17책)의 전문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재팬 나우레지(ジャパンナレッジ, Japan Knowledge)상에서 공개되었다.
참조
[1]
간행물
『続群書類従』の完結
日本古書通信社
1973-02-15
[2]
서적
ひとり出版社「岩田書院」の舞台裏 2003〜2008
岩田書店
2008-06
[3]
웹인용
続群書類従完成会が倒産
http://www.iwata-sho[...]
岩田書店
2006-09
[4]
뉴스
平成19年(フ)第60号
2007-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