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입실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수자리 입실론은 지구로부터 약 1672 광년 떨어진 이중성계로, 두 별이 137.939일 주기로 질량 중심을 공전한다. 주성은 가시광선 복사 에너지와 스펙트럼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반성이 더 뜨겁고 크다. 주성 주위에는 물질이 원반 형태로 존재하며, 반성으로 흘러 들어간다. 입실론 계는 단선 분광쌍성으로 분류되며, 자외선 영역에서 반성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들뜸선이 나타난다. 궁수자리 입실론1은 A형 초거성으로, 헬륨별이자 네온별로 분류되며, 겉보기 밝기가 약 20일을 주기로 변동하는 변광성이기도 하다. 반성인 궁수자리 입실론2는 B형 주계열성으로 주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는 것으로 보인다.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서는 HD 181615와 HD 181616으로 표기되며, 중화권에서는 두수의 건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형 초거성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A형 초거성 - SS 433
SS 433은 독수리자리에 위치한 특이한 쌍성계로, 콤팩트 천체가 동반성의 물질을 흡수하며 광속의 26%에 달하는 고온의 수소 제트를 분출하고, 초신성 잔해 W50 내에서 제트의 세차 운동으로 성운의 형태를 왜곡시킨다. - 거문고자리 베타형 변광성 - 큰개자리 29
큰개자리 29는 분광형 O9.7Ibe의 청색초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11~44배, 태양 반지름의 12~20배, 태양 광도의 170,000~450,000배의 광도를 가지며 표면 온도는 33,750 K에 이른다. - 거문고자리 베타형 변광성 - WR 20a
WR 20a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무거운 항성 중 하나이며, 두 개의 울프-레이에별로 구성된 쌍성계로 주성은 태양 질량의 약 83배, 반성은 약 82배에 달한다. - B형 주계열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주계열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궁수자리 입실론 | |
|---|---|
| 기본 정보 | |
![]() | |
| 별자리 | 궁수자리 |
| 분광형 | A2 Ia + B2 Vpe |
| 변광성 분류 | PV Tel (β Lyr?) |
| 겉보기 등급 | 4.61 |
| 위치 및 움직임 | |
| 시선 속도 | 8.9 km/s |
| 적경 고유 운동 | 1.34 mas/yr |
| 적위 고유 운동 | -6.25 mas/yr |
| 연주 시차 | 1.83 ± 0.23 mas |
| 물리적 특성 (주성분) | |
| 질량 | 2.5 + 4 태양 질량 |
| 반지름 | 23 태양 반지름 |
| 광도 | 4,700 태양 광도 |
| 유효 온도 | 12,300 K |
| 중원소 함량 | -0.2 |
| 표면 중력 | 1.2 |
| 자전 속도 | ≤10 km/s |
| 나이 | 5,200만 년 |
| 물리적 특성 (보이지 않는 동반성) | |
| 질량 | 6.2 태양 질량 |
| 반지름 | 2.2 태양 반지름 |
| 유효 온도 | 23,000 K |
| 광도 | 1,300 태양 광도 |
| 표면 중력 | 1.0 |
| 자전 속도 | 250 km/s |
| 궤도 요소 | |
| 공전 주기 | 137.9 일 |
| 궤도 긴반지름 | 270.8 태양 반지름 |
| 궤도 이심률 | 0 |
| 궤도 경사 | 50 |
| k1 | 49.6 |
| k2 | 29.7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입실론 (υ Sgr)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궁수자리 46 (46 Sgr) |
| 기타 명칭 | BD-16°5283, FK5 727, GC 26697, HD 181615, HD 181616, HIP 95176, HR 7342, PPM 235885, SAO 162518 |
| 추가 정보 | |
| 참고 문헌 | Simbad: Upsilon+Sgr |
2. 항성계
궁수자리 입실론 계는 지구로부터 약 1672 광년 떨어져 있으며 계의 구성원은 서로의 질량중심을 137.939일에 1회 공전하고 있다. 주성은 입실론 계의 가시광선상 복사 에너지와 스펙트럼 대부분을 차지하나, 표면 온도와 질량은 반성이 더 뜨겁고 크다. 주성 주위에는 주성으로부터 물질이 떨어져 나와 원반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반의 물질들은 반성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두 별은 식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9]
궁수자리 입실론 계는 지구로부터 약 1672광년 떨어져 있으며, 구성원들은 서로의 질량중심을 137.939일에 1회 공전한다. 주성은 이 계의 가시광선 복사 에너지와 스펙트럼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표면 온도와 질량은 반성이 더 뜨겁고 크다. 주성 주위에는 주성으로부터 물질이 떨어져 나와 강착원반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반의 물질들은 반성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두 별은 식쌍성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는다.[9]
궁수자리 입실론1은 A형 초거성으로 보이나 분광형은 논문에 따라 F2p부터 B5II까지 다양하다.[15] 헬륨별로 수소를 거의 다 소진했다.[13] 네온의 상대적인 함유량이 매우 높아서 네온별로도 분류할 수 있다.[14]
[1]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입실론 계는 단선 분광쌍성으로 분류되나 자외선 영역에서 관측시 반성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들뜸선들이 나타난다.[10] 입실론의 시선속도 변화는 1899년 발견되었다.[11] 1914년 첫 번째 공전 궤도를 계산하여 현재 우리가 이 계에 대해 알고 있는 것과 근사한 결과를 얻었다.[12] 광학 간섭 분석 결과 두 별 사이 거리는 1.3mas이고 밝기 차이는 약 3.5등급이다.
3. 속성
이 계는 단선 분광쌍성으로 분류되나, 자외선 영역에서 관측시 반성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들뜸선들이 나타난다.[10] 주성의 시선속도 변화는 1899년 발견되었으며,[11] 1914년 첫 번째 공전 궤도가 계산되어 현재의 연구 결과와 근사한 값을 얻었다.[12]
주성 궁수자리 입실론1은 A형 초거성으로 보이나, 분광형은 논문에 따라 F2p부터 B5II까지 다양하다.[15] 스펙트럼상의 대조적인 요소들은 강착원반, 극 제트 혹은 항성 자체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입실론1은 통상적인 Ia형 항성들에 비해 질량과 광도가 작은데, 이는 왜소한 덩치와 특이한 화학적 조성 때문에 분광형 보정에 어려움을 겪게 만들기 때문이다.[3]
입실론1은 헬륨별로 수소를 거의 다 소진했다.[13] 네온의 상대적인 함유량이 매우 높아 네온별로도 분류할 수 있다.[14] 주계열에서 이탈하여 팽창하면서 바깥쪽 수소층이 벗겨져 나가고 있으며,[13] 주계열이었던 때에는 질량이 태양의 8배 정도였으나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하여 부풀어오른 뒤 지금 남은 질량은 태양의 2.5배 정도에 불과하며, 크게 부풀어올라 초거성의 외관을 하고 있다.[7] 다만 경사각 50°를 대입하여 질량값을 태양의 5.45배 또는 8.56배로 추정한 논문도 있다.[15]
궁수자리 입실론1은 원래 식쌍성으로 등재되었으나, 현미경자리 PV형 변광성으로도 분류된다. 겉보기 밝기는 약 20일을 주기로 +4.51 ~ +4.65 사이에서 요동치고 있다.[16][17]
반성 궁수자리 입실론2는 초거성인 주성보다 질량이 더 크나 가시광선 파장에서는 너무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다. 반성은 B형 주계열성으로 주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5]
4. 명칭
반성 궁수자리 입실론2는 초거성인 주성보다 질량이 더 크나 가시광선 파장에서는 너무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다. 반성은 B형 주계열성으로 주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5]
궁수자리 입실론은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 HD 181615와 HD 181616, 두 개의 항목으로 등재되어 있다.
중국 천문학에서 建중국어 (), 즉 '설립'을 의미하며, 궁수자리 입실론, ξ² 궁수자리, ο 궁수자리, π 궁수자리, 43 궁수자리, ρ¹ 궁수자리로 구성된 별자리를 가리킨다. 따라서 궁수자리 입실론 자체의 중국어 이름은 建六중국어 (, 설립의 여섯 번째 별영어)이다.[18]
참조
[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3]
논문
High-Resolution Spectroscopy of the Hydrogen-Deficient Binary Upsilon Sgr
[4]
논문
Evidence for pulsation in the hydrogen-deficient binary Upsilon Sagittarii
https://archive.org/[...]
[5]
논문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6]
인용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7]
논문
Atmospheric Iron Abundance in the Primary Component of upsilon Sgr
[8]
논문
A large Hα line forming region for the massive interacting binaries β Lyrae and υ Sagitarii
[9]
논문
The circumbinary dusty disk around the hydrogen-deficient binary star υ Sagittarii
[10]
논문
The Mass Ratio of Upsilon-Sagittarii from Ultraviolet Radial Velocities
[11]
논문
Stars whose spectra contain both bright and dark hydrogen lines
https://archive.org/[...]
[12]
논문
The orbit of the spectroscopic binary upsilon Sagittarii
[13]
논문
History of the chemical evolution of the primary component of the binary system υ Sagittarius
[14]
논문
The primary component of υ Sagittarius is a neon star
[15]
논문
Properties and nature of Be stars. 25. A new orbital solution and the nature of a peculiar emission-line binary υ Sagittarii
[16]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17]
논문
Variable Star Designations for Extreme Helium Stars
[18]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 日
http://aeea.nmns.edu[...]
201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