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년(光年, light-year)은 국제천문연맹(IAU)이 정의한 길이의 단위로, 빛이 1 율리우스년(365.25일) 동안 진공에서 진행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정확히 9,460,730,472,580,800 미터(약 9.461 페타미터 또는 9.461조 킬로미터)에 해당하며, 천문학에서 별, 은하, 은하단 등 천체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 주로 사용된다. 광년은 파섹(parsec)과 함께 사용되며, 일반 대중에게는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 데 유용하다. 광년으로 측정된 거리는 시간의 경과와 우주의 팽창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하며, '광주', '광일', '광시', '광분', '광초' 등의 파생 단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8년 과학 - 1838년 3월 25일 일식
  • 1838년 과학 - 1838년 9월 18일 일식
  • 천문학의 단위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 천문학의 단위 - 태양반경
    태양반경은 태양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천문학적 단위로, 국제천문연맹은 명목 태양 반지름을 695,700 km로 정의하며, 다른 천체 크기 비교나 태양 탐사선 궤도,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시반경 및 시직경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광년
일반 정보
명칭광년 (光年)
영어 명칭light-year
독일어 명칭Lichtjahr
기호ly
단위계비 SI 단위, 비 법정계량단위
물리량길이
정의빛이 자유 공간을 1년 (365.25일) 동안 진행하는 거리
SI 단위 환산'9,460,730,472,580,800 미터 (정확히)'
광년
바깥쪽 구면은 태양으로부터 1광년 떨어진 위치를 나타내고, 안쪽의 작은 구는 1광월의 위치를 나타냄. 왼쪽의 노란색 선은 1910년 1월의 대혜성의 궤도임
미터'9.4607 × 10^15 m'
피터미터'9.46073 Pm'
마일'5.8786 × 10^12 mi'
천문단위63,241 AU
파섹0.3066 pc
참고
관련 링크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Measuring the Universe: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관련 링크EarthSky - How far is a light-year?

2. 정의

국제천문연맹(IAU)에 따르면, 광년은 율리우스년(정확히 365.25일 또는 86400 SI 초)[5]과 빛의 속도()[6]의 곱이다.[6] 1984년부터 사용된 IAU (1976) 천문상수계에 이 두 값이 포함되어 있다.[7]

1광년은 빛이 자유 공간에서 중력장 및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1율리우스년(365.25일 = 31557600초)[45] 동안 가는 거리이다.[46] 진공에서의 광속은 정확히 이므로, 1광년은 정확히 이다.[47] 이는 대략 ()이다.

1984년 이전에는 태양년(율리우스년이 아님)과 측정된 빛의 속도가 1968년부터 1983년까지 사용된 IAU (1964) 천문상수계에 포함되었다.[10] 사이먼 뉴컴의 J1900.0 평균 태양년 역서초와 의 빛의 속도를 곱하면 (빛의 속도의 유효숫자 7자리로 반올림)[11][12][13]의 광년이 나오는데, 이는 C. W. Allen의 1973년 ''Astrophysical Quantities'' 참고 자료[14]와 같은 오래된 자료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일관된 IAU 시스템에서 유도되지 않은 다른 고정밀 값도 있다. 일부 현대 자료[16][17]에서 발견되는 값은 평균 그레고리력 연도(365.2425일 또는 )와 정의된 빛의 속도()를 곱한 값이다.

IAU가 사용하는 광년의 약어는 "ly"이다.[3]

2. 1. 환산

1 광년은 다음과 같이 다른 단위로 환산될 수 있다.

위의 값들은 모두 1 율리우스년(정확히 365.25일, 하루 86,400SI초, 총 31,557,600초)[83] 기준, 빛의 속도 299,792,458m/s 로 정의되는 IAU 1976 개정 천문 상수계에 기반하며 1984년부터 사용되었다.[84]

1 광년의 다양한 단위 환산
단위환산 값
미터 (정확히)
페타미터
킬로미터 (단축)
마일 (단축)
천문단위
파섹


3. 역사

1838년 프리드리히 베셀태양 이외의 별 (백조자리 61)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성공한 후, 광년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베셀은 헬리오미터를 사용하여 백조자리 61의 시차를 측정하고, 빛이 이 거리를 이동하는 데 10.3년이 걸린다는 것을 알아냈다.[24] 1851년, 독일의 오토 울레가 쓴 천문학 논문에 광년 단위가 처음 등장했다.[25] 초기에는 빛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광년 사용을 주저하기도 했지만, 빛의 속도가 정확하게 측정되고 정의되면서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위가 되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1964년에 정한 태양년(율리우스년과 다름)과 광속의 실측값(정의값이 아님)을 천문상수 체계에 포함시켜 1968년부터 1983년까지 사용했다.[49] 사이먼 뉴컴은 J1900.0의 평균 태양년 과 광속 을 사용하여 1광년을 으로 계산했다(광속의 유효숫자를 7자리로 반올림). 이 값은 몇몇 최근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만,[50][51][52] 아마도 1973년의 자료를[53] 참조한 것으로 보이며, 해당 문헌은 2000년까지 개정되지 않았다.[54]

1984년부터 사용된 현재 사용되는 광년의 값은 IAU 1976 개정 천문 상수계에 기반한다.[84]

4. 활용

광년은 주로 항성 간 거리, 은하의 크기, 은하 간 거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현대 천문학자들은 파섹을 선호하지만, 광년은 일반 대중에게 더 친숙하며, 우주의 광대함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8]

광년으로 표현되는 거리는 같은 나선팔이나 구상성단에 속한 별들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은하 자체는 지름이 수천 광년에서 수십만 광년에 이르며, 이웃 은하와 은하단과는 수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퀘이사슬론 장성과 같은 천체까지의 거리는 수십억 광년에 달한다.

길이의 크기 목록
척도 (광년)항목
10−9 표면에서 반사된 태양광이 지구 표면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2~1.3초이다.
10−6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인 하나의 천문단위. 빛이 이 거리를 이동하는 데는 약 499초(8.32분)가 걸린다.[29]
10−6호이겐스 탐사선이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착륙하여 지구에서 12억 킬로미터 떨어진 표면에서 이미지를 전송한다.
10−6뉴 호라이즌스가 47억 킬로미터 떨어진 명왕성에 도착했고, 통신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4시간 25분이 걸린다.
10−3가장 멀리 있는 우주 탐사선보이저 1호는 2014년 10월 기준 지구에서 약 18광시 거리에 있었다.[30]
10−32018년 10월 기준 보이저 1호는 지구에서 거의 20광시 떨어져 있다.
100오르트 구름은 지름이 약 2광년이다.
100천체가 태양을 공전할 수 있는 대략적인 최대 거리.
100가장 가까운 알려진 별(태양 제외)인 프록시마 켄타우리는 약 4.24광년 떨어져 있다.[32][33]
100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
100거주 가능 행성 후보인 타우 세티 e.
100여러 개의 외계 행성이 검출된 적색 왜성 글리제 581.
100지구 하늘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카노푸스.
103두 번째로 가까운 알려진 블랙홀A0620-00.
103은하수 중심은 약 2만 6000광년 떨어져 있다.[36][37]
103은하수는 약 10만 광년에 걸쳐 있다.
103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R136a1은 가장 밝은 별로 알려져 있다.
106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106약 3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삼각형자리 은하(M33)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이다.
106가장 가까운 큰 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106거대 인력체는 1억 5천만 광년에서 2억 5천만 광년 사이의 거리에 있다.
109슬론 장성.
109광학적으로 가장 밝은 퀘이사3C 273.
109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까지의 동거리는 어느 방향으로든 약 457억 광년이다.



1000광년은 kly(Kilo Light Year)로 약칭되며, 은하의 구조 크기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00만 광년은 Mly(Mega Light Year)로 약칭되며, 은하나 은하단까지의 거리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거리 목록
척도 (ly)구체적인 예
태양광이 표면에서 반사되어 지구 지표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1천문단위(태양지구의 거리)
보이저 1호
rowspan="4" |오르트 구름의 지름
태양이 중력적으로 지배하는 영역
프록시마 켄타우리
글리제 581c
rowspan="2" |은하수의 은하핵까지의 거리
은하수의 지름
rowspan="4"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
삼각형자리 은하(M33)까지의 거리
처녀자리 은하단까지의 거리
장성
rowspan="2" |슬론 장성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의 공동거리


4. 1. 관련 단위

국제천문연맹(IAU)에 따르면 1광년은 율리우스년(365.25일)과 빛의 속도의 곱으로,[5][6] 그 값은 다음과 같다.

1 광년
미터 (정확히)
페타미터
≈ 조 킬로미터 (단축)
천문단위
파섹



광년의 약어는 "ly"를 사용하며,[3]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는 ''année-lumière''의 약자인 "al"을 사용하기도 한다.

광년의 배수 단위로는 킬로광년(kly),[19][20] 메가광년(Mly),[21] 기가광년(Gly)[22][23] 등이 있다.

광년보다 작은 단위로는 광초, 광분, 광시, 광일, 광주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이동한 거리로, 미터이다. 광월은 빛이 한 달 동안 이동한 거리로, 대략 광년의 1/12 정도이며,[38][39] 빛이 30일 동안 이동한 거리로 정의하기도 한다.[40]

광년보다 작은 단위
단위
1광주
1광일
1광시
1광분
1광초



1광년은 약 이다.

5. 주의점

광년으로 표시되는 거리를 해석할 때는 시간의 경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63] 예를 들어 지구에서 1광년 떨어진 별을 관측할 때, 우리가 보는 빛은 그 별에서 1년 전에 출발한 것이다. 따라서 1년 전, 1광년 거리에 있던 별의 모습을 현재 지구에서 보고 있는 것이다. 만약 지금 그 별이 소멸하더라도, 지구에서는 1년 전의 빛만 볼 수 있기 때문에 1년 동안은 별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고, 1년 후에야 비로소 별이 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적색편이가 관측되는 매우 먼 천체의 경우, 해석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14년 기준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인 MACS0647-JD는 적색편이 z = 10.7, 거리 133억 9200만 광년으로, 허블의 법칙에 따라 지구에서 광속의 98.5%인 295,444 km/s로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64] 하지만 이는 133억 9200만 년 전 이 천체에서 방출된 빛을 바탕으로 계산된 겉보기 값(광행거리, Light-travel distance|광행거리영어)이다. 실제 현재 시점에서 이 천체는 319억 3900만 광년 거리(Comoving Distance|공동거리영어)[65]에 있으며, 후퇴 속도는 광속의 2배 이상인 695,115 km/s이다. 이러한 후퇴 속도는 계량 자체의 팽창 속도이며, 천체 근처의 국소 관성계에서 천체의 운동은 광속을 초과하지 않는다(광속 불변의 원리와 모순되지 않는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약 457억 광년(14기가파섹)[72]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CMB)의 적색편이 관측값 z = 1090으로 계산된 공동거리 값이다. 이는 탄생 후 약 38만 년 뒤[73]의 우주가 팽창하여 현재 "있는" 위치에서, 현재의 우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457억 년 전의 빛을 지금 관측하는 것도, 457억 광년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과거는 우주 탄생 시점인 138억 년 전이 한계이다. 138억 년에서 38만 년을 뺀 시간 이전의 빛을 낸 공간이 "현재" 457억 광년 앞까지 이동했다는 설명일 뿐, "457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457억 광년 앞의 그 공간"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우주는 그보다 더 뻗어 있을 수 있지만,[74] "(이론 검증을 위한) 관측이 불가능한 이상 생각해도 의미가 없다(=이론이 증명될 수 없다)"는 것이 현재 우주론의 입장이다.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주론의 관점에서 우리를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457억 광년의 구체이며, 이 구면이 우주론적 관점에서의 "우주의 끝", "우주의 크기"가 된다. CMB 관측 결과보다 과거의 우주 정보를 알 수 있는 수단으로 관측할 수 있다면, "관측 가능한 우주"는 더 커질 수 있다.[75]

역설적이지만, 현재 관측되는 CMB 빛은 적색편이로 역산하면 공동거리로 3600만 광년밖에 진행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다. (이 역시 3600만 년 전의 흑체 복사를 관측하는 것도, 3600만 광년 거리를 실측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과거의 그보다 작은 공동거리에서 발생한 사건은 관측할 수 없다.[76]

이처럼 광년 스케일에서의 해석이 모순처럼 보이는 이유는 우주 계량이 팽창하고 있다는 점과, 유한한 광속을 가진 '광년'을 거리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일상성 때문이다.[77][78]

6. 한국의 관점

광년은 시간 단위가 아니라 거리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오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고대부터 이동 수단으로 특정 거리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해왔던 관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는 검치국까지의 거리를 "배로 1년"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배로 항해할 경우 1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현대에도 이러한 관습이 남아있어, 야마구치 모모에의 「사요나라의 저편」이나 더 옐로우 몽키의 「BRILLIANT WORLD」와 같은 일본 음악에서 "광년"을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79]

참조

[1] 웹사이트 The Universe within 12.5 Light Years – The Nearest stars http://www.atlasofth[...] 2022-04-02
[2] 논문 Milliarcsecond structure of BL Lac during outburst https://www.nature.c[...] 1981
[3] 웹사이트 Measuring the Universe: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s://www.iau.org/[...] 2013-11-10
[4] 웹사이트 How far is a light-year? https://earthsky.org[...] EarthSky 2018-07-31
[5] 웹사이트 IAU Recommendations concerning Units https://web.archive.[...]
[6] 문서 The speed of light
[7] 웹사이트 Selected Astronomical Constants https://web.archive.[...] Astronomical Almanac
[8] 간행물 ISO 80000-3:2006 Quantities and Units – Space and Time
[9] 간행물 IEEE/ASTM SI 10-2010,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Metric Practice
[10]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Science Books 1992
[11]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astronomy.sie[...] Sierra College
[12] 웹사이트 Table of astronomical constants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www.braeunig.[...]
[14] 서적 Astrophysical Quantities Athlone 1973
[15] 서적 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Valeg 2000
[16]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 http://www.astronomy[...]
[17]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 https://web.archive.[...] 2008-11-05
[18] 서적 Applied dimensional analysis and modeling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97
[19] 서적 Discovering the Essential Universe https://books.google[...] W. H. Freeman 2013
[20] 논문 Viollier 1994 https://www.scienced[...]
[21] 서적 From Atoms to Galax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
[22] 서적 Encyclopedia of Dista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23] 논문 Sanchez et al. 2022 https://www.progress[...]
[24] 논문 On the parallax of the star 61 Cygni https://books.google[...] 1839
[25] 논문 Was wir in den Sternen lesen https://books.google[...] 1851
[26] 서적 Populäre Himmelskunde u. astronomische Geographie https://books.google[...] 1855
[27] 서적 The Student and Intellectual Observer of Science, Literature and Art https://books.google[...] Groombridge and Sons 1868
[28] 웹사이트 Stellar movem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2014-11-01
[29] 웹사이트 IERS Conventions (2003) http://www.iers.org/[...]
[30] 웹사이트 WHERE ARE THE VOYAGERS? http://voyager.jpl.n[...] 2014-10-14
[31]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Embarks on Historic Journey Into Interstellar Space http://www.nasa.gov/[...] 2014-10-14
[32] 웹사이트 Cosmic Distance Scales – The Nearest Star http://heasarc.gsfc.[...]
[3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strobiology, Astronomy, and Spaceflight http://www.daviddarl[...]
[34] 뉴스 Tau Ceti's planets nearest around single, Sun-like star https://www.bbc.co.u[...] 2012-12-19
[35] 논문 Signals embedded in the radial velocity noise: periodic variations in the τ Ceti velocities http://star-www.hert[...] 2013-03-01
[36] 논문 A Geometric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 2003
[37] 논문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 2000
[38] 논문 Large Angle Bending of the Light-Month Jet in Centaurus A http://sciencelinks.[...] 2000
[39] 간행물 The Inner Light-Month of the M87 Jet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NRAO) 1994
[40] 웹사이트 Light-Travel Time and Distance http://www.haydenpla[...] 2010-10-00
[41] 서적 It's About Time: Understanding Einstein's Relativ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 서적 理科年表、平成28年版 丸善 2015-11-30
[43] 웹사이트 Measuring the Universe,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44] 문서 国際単位系国際文書
[45] 웹사이트 IAU Recommendations concerning Units http://www.iau.org/U[...]
[46] 웹사이트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8-07-05
[47] 웹사이트 Measuring the Universe: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48] 서적 https://books.google[...]
[49]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Science Books
[50]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astronomy.sie[...]
[51] 웹사이트 Table of astronomical constants http://marc.sauvage.[...]
[52]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www.braeunig.[...]
[53] 서적 Astrophysical Quantities Athlone
[54] 서적 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Valeg
[55]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 http://www.astronomy[...]
[56]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 http://www-acc.kek.j[...]
[57] 서적 Applied dimensional analysis and modeling https://books.google[...] McGraw-Hill
[58] 웹사이트 Sun, Moon, and Earth: Light-year http://www.sciencecl[...]
[59] 웹사이트 K6 ASTRONOMICAL CONSTANTS 2014 http://asa.hmnao.com[...]
[60] 논문 Large Angle Bending of the Light-Month Jet in Centaurus A http://sciencelinks.[...] 2000
[61] 논문 The Inner Light-Month of the M87 Jet http://articles.adsa[...]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NRAO) 1994
[62] 문서 ユリウス暦とグレゴリオ暦における光月の定義
[63] 문서 光速を用いた距離測定における時間との積の必要性
[64] 문서 後退しているように見える現象の誤解に関する懸念
[65] 문서 車の長さを測る際のアナロジーを用いた説明
[66] 웹사이트 IERS Conventions (2003) http://www.iers.org/[...]
[67]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Operations Status Report Week Ending March 9, 2007 http://voyager.jpl.n[...] 2005-05-24
[68] 웹사이트 Spacecraft escaping the Solar System http://www.heavens-a[...]
[69] 웹사이트 Cosmic Distance Scales - The Nearest Star http://heasarc.gsfc.[...]
[70] 웹사이트 Proxima Centauri (Gliese 551) https://www.daviddar[...]
[71] 논문 A Geometric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 https://iopscience.i[...]
[72] 저널 A Map of the Universe http://www.astro.pri[...]
[73] arXiv Planck 2013 results. XVI. Cosmological parameters
[74] 문서 우주 원리에 따른 우주
[75] 문서 우주 뉴트리노 배경을 고려한 관측 가능한 우주 크기
[76] 문서 CMB 이전의 빛 관측 불가능성
[77] 문서 일상생활과 광속의 유한성
[78] 문서 초광속 현상
[79] 문서 만화 및 애니메이션에서의 광속 오용 사례
[80] 웹인용 The IAU and astronomical units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0-06-05
[81] 저널 Large Angle Bending of the Light-Month Jet in Centaurus A https://web.archive.[...] 2009-05-10
[82] 저널 Compact Extragalactic Radio Sources, Proceedings of the NRAO workshop held at Socorro, New Mexico, February 11–12, 1994 http://articles.adsa[...]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NRAO)
[83] 웹인용 IAU Recommendations concerning Units(IAU 권장 단위) https://web.archive.[...] 2007-02-16
[84]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천문 상수) http://asa.usno.navy[...] 2009-03-27
[85] 웹사이트 USNO Circular 179 http://aa.usno.navy.[...] 2013-10-02
[86]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http://books.google.[...] University Science Books
[87] 서적 Astrophysical Quantities Athlone
[88]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astronomy.sie[...] Sierra College
[89] 웹사이트 Table of astronomical constants http://marc.sauvage.[...] 2008-12-11
[90] 웹사이트 Basic Constants http://www.braeunig.[...]
[91] 서적 Allen's Astrophysical Quantities http://books.google.[...] Springer-Valeg
[92]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천문 상수) http://www.astronomy[...]
[93] 웹사이트 Astronomical Constants(천문 상수) http://www-acc.kek.j[...] KEK 2007-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