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경팔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경팔맥은 동의보감에서 언급하는 8개의 특수한 경맥을 의미한다. 양유맥, 음유맥, 양교맥, 음교맥, 충맥, 독맥, 임맥, 대맥으로 구성되며, 각 경맥은 특정 혈자리에서 시작하여 몸 안을 순환하며 독특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양유맥은 모든 양이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며, 음유맥은 모든 음이 만나는 곳에서 시작한다. 독맥은 척추와 두개골에 위치한 경혈들을 포함하며, 임맥과 대맥 또한 각각의 특징적인 순환 경로를 가진다.
동의보감에서는 기경팔맥을 양유맥, 음유맥, 양교맥, 음교맥, 충맥, 독맥, 임맥, 대맥 순서로 언급한다.[3][4][5]
2. 기경팔맥의 종류와 기능
이들은 각각 특정한 경혈과 경로를 가지며, 서로 연관되어 인체의 기능을 조절한다. 양유맥은 모든 양 경맥이 만나는 곳에서, 음유맥은 모든 음 경맥이 만나는 곳에서 시작된다. 양교맥은 몸 바깥쪽을 타고 올라가 풍지혈에 이르고, 음교맥은 몸 안쪽을 순행하여 충맥과 만난다. 충맥은 임맥 주위를 감싸고 흉중으로 올라가며, 독맥은 척추를 따라 흐른다. 임맥은 인체의 앞면 정중앙을 따라 흐르고, 대맥은 허리 부분을 한 바퀴 감아 돈다.
2. 1. 양유맥(陽維脈)
양유맥(陽維脈)은 수족태양과 함께 금문혈에서 시작하여 양교혈이 너풀거리는 곳이다. 견시혈(수양명대장경)에서 수족소양의 천점혈과 만나고, 견정에서 족소양과 만난다. 양백혈이 올라가 본신혈을 지나 풍지혈에 내려오고, 독맥과 함께 궐문에서 만난다. 이것은 양유맥이 모든 양이 서로 만나는 곳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7]
2. 2. 음유맥(陰維脈)
음유맥(陰維脈)은 축빈혈(穴名)이 족태음의 부사혈 및 족궐음의 기문혈과 함께 만난다. 또한 임맥과 함께 염천혈과 천돌혈에서 만난다. 이것은 음유맥이 모든 음이 서로 사귀어 만나는 것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8]
2. 3. 양교맥(陽蹻脈)
양교맥(陽蹻脈)은 몸 바깥쪽 신맥혈을 타고 위로 올라가 풍지혈에 든다. 양교맥에 병이 생기면 양기가 급해져 미친 듯이 날뛰게 된다.[9]
2. 4. 음교맥(陰蹻脈)
음교맥(陰蹻脈)은 조해혈을 지나 위로 올라가 몸 안쪽을 순행하여 인후에 이르러 충맥과 교차하며 관통한다. 음교맥에 병이 생기면 음(陰)이 급(急)하여 발이 뻣뻣해진다.[10]
2. 5. 충맥(衝脈)
충맥(衝脈)은 몸의 전신에서 임맥 주위 양측을 감싸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충맥이 회음혈(會陰穴)에서 일어나 기를 근본으로 하여, 2줄기로 방광을 지나 족양명위경을 타고 흉중으로 올라가 흩어진다고 설명한다.[11]
2. 6. 독맥(督脈)
독맥(督脈, Governing Vessel)은 해부학적으로 척추 및 두개골과 밀접하게 관계있는 부위에 자리하는 경혈들이 위치하고 있다.[15]
번호 | 혈이름 | 위치 |
---|---|---|
15 | 계문(械門) | 경추 1~3번 부위 |
16 | 풍부(風府) | 경추 1~3번 부위 |
한편 동의보감에서는 독맥으로 27혈을 언급하고 있다.[16]
2. 7. 임맥(任脈)
임맥에 대한 별도의 내용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다. [13]2. 8. 대맥(帶脈)
대맥(帶脈)은 겨드랑이 끝에서 일어나 몸을 한 바퀴 돈다[14]. 동의보감에서는 대맥이 갈빗대 끝 아래에서 회전하여 일주하며, 이로써 모든 경혈들을 묶어맨다고 하였다. 족궐음간경의 장문혈 및 겨드랑이 밑에서 접하는 요골의 사이에서 일어난다[14].3. 독맥의 해부학적 위치
독맥에는 해부학적으로 척추 및 두개골과 밀접하게 관계있는 부위에 자리하는 경혈들이 위치하고 있다.[15]
15번 계문(械門)과 16번 풍부(風府)혈은 경추 1~3번 부위에 위치한다. |
한편 동의보감에서는 독맥으로 27혈을 언급하고 있다.[16] 동의보감에서는 순번의 역순으로 주되게 경혈들을 언급하고있다.
4. 현대적 관점
독맥(督脈, Governing Vessel)에는 해부학적으로 척추 및 두개골과 밀접하게 관계있는 부위에 자리하는 경혈들이 위치하고 있다.[15]
15번 계문(械門)과 16번 풍부(風府)혈은 경추 1~3번 부위에 위치한다. |
한편 동의보감에서는 독맥으로 27혈을 언급하고 있다.[16] 동의보감에서는 순번의 역순으로 주되게 경혈들을 언급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우리말샘-기경팔맥
[2]
위키문헌
동의보감 침구편 2, 기경팔맥
https://ko.wikisourc[...]
[3]
동의보감
기경팔맥
[4]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양유
[5]
동의보감
자오팔법
[6]
동의보감
동의보감 鍼灸 1 - 견출(肩泏)혈
[7]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양유
[8]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음유
[9]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양교
[10]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음교
[11]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충맥
[12]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독맥
[13]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임맥
[14]
위키문헌
동의보감-침구편 2-대맥
[15]
위키문헌
(鍼灸) 위키문헌-동의보감
https://ko.wikisourc[...]
[16]
위키문헌
위키문헌-동의보감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