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계충버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계충버섯은 1818년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버섯으로, 다양한 학명으로 불리며, 여러 동의어를 가지고 있다. 기계충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베타글루칸과 세포외 다당체를 고농도로 포함하여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8년 기재된 균류 - 동충하초
    동충하초는 곤충이나 절지동물에 기생하는 균류로, 번데기버섯은 나비목 유충이나 번데기에서 주황색 곤봉 모양 자실체를 형성하며, 한약재나 식재료로 쓰이고 코르디세핀을 함유해 다양한 효능이 연구되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 우려가 있고 대체재로 사용되기도 하며 대량생산 기술이 개발 중이다.
  • 1818년 기재된 균류 - 갈색그물버섯
    갈색그물버섯(*Xerocomus badius*)은 갓과 자루의 색깔과 맛이 월계수 잎과 유사하며, 갓 아랫면의 관공이 청색으로 변색되는 식용 버섯으로, 항산화 및 종양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있는 테아닌을 함유하고 환경 오염 물질 축적 능력이 있어 생물 정화 제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진다.
  • 엘리아스 망누스 프리에스가 명명한 분류군 - 맥각균
    맥각균은 곡물에 기생하여 맥각 중독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일종이며, 맥각 알칼로이드는 혈관 수축, 환각 등을 유발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엘리아스 망누스 프리에스가 명명한 분류군 - 느타리속
    느타리속은 전 세계에 분포하며 갓, 자루, 주름살 등의 특징을 가진 식용 버섯 속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유전적 관계가 밝혀졌고 굴 버섯, 불사조 버섯, 킹 굴 버섯 등 다양한 종이 있으며 환경 재해 복구에도 기여한다.
  • 북아메리카의 균류 - 광대버섯
    광대버섯은 붉은 갓에 흰 점이 있는 외형과 향정신성 물질 함유로 유명한 전 세계적인 버섯으로, 섭취 시 메스꺼움, 환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나무와 균근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성 균류이다.
  • 북아메리카의 균류 - 그물버섯
    그물버섯은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며 소나무 등과 공생하는 식용 버섯으로, 특유의 향과 맛으로 널리 이용되지만 독버섯과 유사하여 주의가 필요하고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으로 유통된다.
기계충버섯
기본 정보
Irpex
lacteus
학명(Fr.) Fr. (1828)
이명Fr.
(1828)
참고 자료

2. 분류 및 동의어

기계충버섯(''Irpex lacteus'')은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에 속하는 진균류의 일종으로,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한국(남산, 소백산, 오대산, 가야산, 두륜산, 변산반도국립공원, 지리산), 북한(백두산),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반배착성 버섯이다.[5] 주로 참나무류에 서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환경오염물질 등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어 환경정화에 활용되기도 한다.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18년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에 의해 ''Sistotrema lacteum''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1828년에 이르펙스 속의 기준종으로 지정되었다.

2. 1. 동의어


  • ''Boletus cinerascens'' Schwein. (1822)
  • ''Boletus tulipiferae'' Schwein. (1822)
  • ''Coriolus lacteus'' (Fr.) Pat. (1900)
  • ''Coriolus tulipiferae'' (Schwein.) Pat. (1900)
  • ''Daedalea diabolica'' Speg. (1889)
  • ''Hirschioporus lacteus'' (Fr.) Teng (1963)
  • ''Hydnum lacteum'' (Fr.) Fr. (1823)
  • ''Irpex bresadolae'' Schulzer (1885)
  • ''Irpex diabolicus'' (Speg.) Bres. (1919)
  • ''Irpex hirsutus'' Kalchbr. (1878)
  • ''Irpex lacteus'' f. ''sinuosus'' (Fr.) Nikol. (1953)
  • ''Irpex pallescens'' Fr. (1838)
  • ''Irpex sinuosus'' Fr. (1828)
  • ''Irpiciporus lacteus'' (Fr.) Murrill (1907)
  • ''Irpiciporus tulipiferae'' (Schwein.) Murrill (1905)
  • ''Microporus chartaceus'' (Berk. & M.A.Curtis) Kuntze, (1898)
  • ''Microporus cinerascens'' (Schwein.) Kuntze (1898)
  • ''Polyporus chartaceus'' Berk. & M.A.Curtis (1849)
  • ''Polyporus tulipiferae'' (Schwein.) Overh. (1915)
  • ''Polystictus bresadolae'' (Schulzer) Sacc. (1888)
  • ''Polystictus chartaceus'' (Berk. & M.A.Curtis) Cooke, (1886)
  • ''Polystictus cinerascens'' (Schwein.) Cooke (1886)
  • ''Polystictus cinerescens'' (Schwein.) Cooke
  • ''Polystictus tulipiferae'' (Schwein.) Cooke (1886)
  • ''Poria cincinnati'' Berk. ex Cooke, (1886)
  • ''Poria tulipiferae'' (Schwein.) Cooke, (1888)
  • ''Sistotrema lacteum'' Fr. (1818)
  • ''Steccherinum lacteum'' (Fr.) Krieglst. (1999)
  • ''Trametes lactea'' (Fr.) Pilát (1940)
  • ''Xylodon bresadolae'' (Schulzer) Kuntze (1898)
  • ''Xylodon hirsutus'' (Kalchbr.) Kuntze (1898)
  • ''Xylodon lacteus'' (Fr.) Kuntze (1898)
  • ''Xylodon pallescens'' (Fr.) Kuntze (1898)
  • ''Xylodon sinuosus'' (Fr.) Kuntze (1898)

3. 특징

기계충버섯(Irpex lacteus|일펙스 락테우스영어)은 담자균문(Basidiomycot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아교버섯과(Meruliaceae), 기계충버섯속(Irpex)에 속하는 진균류의 일종이다.

3. 1. 생태

기계충버섯(Irpex lacteus영어)은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진균류의 일종으로, 담자균문(Basidiomycot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아교버섯과(Meruliaceae), 기계충버섯속(''Irpex'')에 속한다. 한국(남산, 소백산, 오대산, 가야산, 두륜산, 변산반도국립공원, 지리산), 북한(백두산),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는 반배착성 버섯이다. 주로 참나무류에 서식하며 목재를 분해해 무기물로 환원시키는 목재부후균의 일종이다. 화학적으로 생성된 환경오염물질, 산업폐기물, 폭발물질에 대한 생물학적인 분해능력이 뛰어나 환경정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항균작용과 항진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5] 자실체 또는 균사체의 신장염에 대한 효과가 제시되었으나 이 외의 생리학적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4. 균사체 배양

Irpex lacteus영어 균사체 배양물(EFILA)은 Irpex lacteus영어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적정한 공기 공급량과 교반 속도, 배양 온도 하에서 5~7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버섯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과 독특한 향을 함유하고 있어 자실체 뿐만 아니라 액체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균사체도 식용이 가능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6] 버섯의 균사체는 자실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균사체는 버섯 자실체와 달리 안정적으로 대규모 용기 내에서 단기배양 및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1. 배양 방법

기계충버섯(''Irpex lacteus'') 균사체 배양물(EFILA)은 기계충버섯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적정한 공기 공급량과 교반 속도, 배양 온도 하에서 5~7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버섯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과 독특한 향을 함유하고 있어 자실체뿐만 아니라 액체배양을 통해 생산된 균사체도 식용이 가능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6]

버섯의 균사체는 자실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균사체는 버섯 자실체와 달리 안정적으로 대규모 용기 내에서 단기간 배양 및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부분의 버섯 종균은 액체 배지에 함유된 영양 성분을 이용한 생물 전환을 통해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균사체 배양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충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베타글루칸을 35.21%, 세포외 다당체를 44.34%로 고농도로 포함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 2. 활용

기계충버섯(''Irpex lacteus'') 균사체 배양물(EFILA)은 기계충버섯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적절한 공기 공급량, 교반 속도, 배양 온도 조건에서 5~7일 동안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버섯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과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자실체뿐만 아니라 액체배양을 통해 생산된 균사체도 식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6]

균사체는 버섯 자실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균사체는 버섯 자실체와 달리 안정적으로 대규모 용기 내에서 단기간 배양 및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부분의 버섯 종균은 액체 배지에 함유된 영양 성분을 이용한 생물 전환을 통해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균사체 배양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충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베타글루칸을 35.21%, 세포외 다당체를 44.34%로 고농도로 포함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5. 활용

기계충버섯은 식용 가능한 균사체를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6] 균사체는 안정적인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며, 생물 전환을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5. 1. 환경 정화

기계충버섯은 주로 참나무류에 서식하는 균류로 목재를 분해해 무기물로 환원시키는 목재부후균의 일종이다. 화학적으로 생성된 환경오염물질, 산업폐기물, 폭발물질에 대한 생물학적인 분해능력이 뛰어나 환경정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5]

5. 2. 의약적 활용

기계충버섯 균사체 배양물(EFILA)은 기계충버섯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적정한 공기공급량과 교반 속도, 배양 온도 하에서 5~7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버섯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풍부한 영양과 독특한 향을 함유하고 있어 자실체 뿐만 아니라 액체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균사체도 식용이 가능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6]

버섯의 균사체는 자실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균사체는 버섯 자실체와 달리 안정적으로 대규모 용기 내에서 단기 배양 및 산업적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부분의 버섯 종균은 액체 배지에서 함유된 영양성분을 이용한 생물 전환을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균사체 배양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충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베타글루칸을 35.21%, 세포외 다당체를 44.34%로 고농도로 포함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North American polypores 1, Abortiporus to Lindtneria Fungiflora
[2] 서적 Mushrooms and Other Fungi of North America Firefly Books
[3] 논문 The Polypore Mushroom Irpex lacteus, a New Causative Agent of Fungal Infection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4]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white-rot fungus ''Irpex lacteus'' F17, a type strain of lignin degrader fungus
[5] 논문 Screening of Brazilian basidiomycetes for antimicrobial activity http://dx.doi.org/10[...] 2003-10
[6] 논문 EVALUATION FOR ANTIBACTERIAL EFFECTS OF VOLATILE FLAVORS FROM CHRYSANTHEMUM INDICUM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POILAGE BACTERIA http://dx.doi.org/10[...] 2011-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