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충하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충하초는 죽은 곤충의 번데기에서 자라나는 자실체를 가지는 곰팡이의 일종이다. 자실체는 곤봉 모양이며, 표면은 거칠고 내부 균사 조직은 흰색 또는 연한 주황색을 띤다. 동충하초는 북반구 전역에 분포하며 숲이나 풀밭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전통 중국 의학에서 항염증, 항종양, 항노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코르디세핀과 같은 물질이 약효를 나타낸다. 동충하초는 누에 번데기, 쌀 등 다양한 배지에서 재배되며, 아시아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충하초목 - 맥각균
    맥각균은 곡물에 기생하여 맥각 중독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일종이며, 맥각 알칼로이드는 혈관 수축, 환각 등을 유발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동충하초목 - 붉은사슴뿔버섯
    붉은사슴뿔버섯은 붉은색 곤봉 모양의 맹독성 버섯으로, 과거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며, 식용 또는 약용 버섯과 유사하게 생겨 오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고, 유방암 세포 생장 억제 물질이 발견되기도 했으나, 분류학적으로는 뿔버섯속에서 트리코더마속으로 이동되었다.
  • 기생성 진균 - 맥각균
    맥각균은 곡물에 기생하여 맥각 중독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일종이며, 맥각 알칼로이드는 혈관 수축, 환각 등을 유발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기생성 진균 -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은 뽕나무버섯속 균류가 활엽수와 침엽수에 일으키는 질병으로, 잎 변색, 흰색 균사층, 근상균사다발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저항성 품종 식재, 감염목 제거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 1818년 기재된 균류 - 기계충버섯
    기계충버섯은 분류 체계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버섯으로, 정보 부족으로 위키백과 페이지 작성이 어려운 상태이다.
  • 1818년 기재된 균류 - 갈색그물버섯
    갈색그물버섯(*Xerocomus badius*)은 갓과 자루의 색깔과 맛이 월계수 잎과 유사하며, 갓 아랫면의 관공이 청색으로 변색되는 식용 버섯으로, 항산화 및 종양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있는 테아닌을 함유하고 환경 오염 물질 축적 능력이 있어 생물 정화 제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진다.
동충하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Cordyceps militaris'
명명자(Vuill.) Fr. (1818)
노무시타케속
'사나기타케'
이명'Clavaria militaris' L. (1753)
'Sphaeria militaris' (L.) J.F. Gmel. (1792)
'Cordylia militaris' (L.) Fr. (1818)
'Hypoxylon militare' (L.) Mérat, (1821)
'Xylaria militaris' (L.) Gray (1821)
'Corynesphaera militaris' (L.) Dumort. (1822)
'Kentrosporium militare' (L.) Wallr. (1844)
'Torrubia militaris' (L.) Tul. & C. Tul. (1865)
생물 분류
균계
자낭균문
푼타마카비강
보탄타케목
노무시타케과
형태
자실층 유형매끈함
갓 모양없음
아가미 유무없음
자루 특징맨살
생태 유형기생
식용 여부식용
식용 여부 2식용 불가
기타
약리학적 작용'https://academic.oup.com/jpp/article/57/12/1509/6147429'

2. 형태

번데기버섯(Cordyceps militaris)은 나비목의 유충이나 번데기에서 자라는 동충하초의 일종이다.[21] 자실체는 주황색의 곤봉 모양이며, 발생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초여름부터 가을까지이다. 번데기버섯은 북동충하초, 북충초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22][23]

이 종은 약효 성분인 코르디세핀(Cordycepin)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재로 사용된다.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 쓰이기 때문에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의 번데기 등을 이용한 생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24][25]

2. 1. 자실체 특징

이 균류는 죽은 지하 번데기에서 자라나는 1cm~8cm 높이의 곤봉 모양의 주황색/붉은색 자실체를 형성한다.[3] 곤봉은 실제 자실체인 자낭각이 삽입되는 기질(stroma)로 덮여 있다. 표면은 거칠게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인다. 내부 균사 조직은 흰색에서 연한 주황색이다.

2. 2. 미세 특징

포자는 매끄럽고 투명하며 가늘고 길며, 종종 격벽이 있다. 포자는 성숙하면 3μm-7μm × 1μm-1.2μm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다. 자낭(Ascus)은 길고 원통형이다. 때때로 무성생식 단계인 이사리아속(*Isaria*)이 발견된다. 기생된 곤충 주위에 흰색 균사체(mycelia) 덩어리가 형성되지만, 이것들이 같은 종인지 아닌지는 확실하지 않다.

3. 생태

동충하초는 북반구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흔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5]

3. 1. 분포 및 서식지

동충하초는 북반구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매우 흔한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숲이나 풀밭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유럽에서는 8월부터 11월 사이에 자실체가 나타난다.[5]

3. 2. 유사종

야생에서 발견되는 동충하초는 400종이 넘는다.[4] 유사한 종으로는 ''Cordyceps sobolifera영어'', ''Elaphocordyceps capitata영어'', Elaphocordyceps ophioglossoides가 있다.[3]

4. 효능 및 연구



번데기버섯(''Cordyceps militaris'')은 나비목 유충이나 번데기에서 자라는 동충하초의 일종으로,[21] 자실체는 주황색 곤봉 모양이며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한다.[22] 북동충하초, 북충초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23] 코르디세핀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재로 사용되며,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 번데기 등을 이용한 생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24][25]

4. 1. 전통 의학에서의 활용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12] 항염증, 항종양, 항노화 효과가 입증되었다.[12] 동충하초의 약효는 코르디세핀, 코르디민을 포함한 여러 가지 균류 내 화학 물질에 기인한다.[13]

한약재의 생체 대사 산물 운반체가 될 수 있으며, 전통 의학에서는 신체의 다양한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고 믿는다. 전통 중국 의학에서 이 균류는 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의 저렴한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는데, 둘 다 코르디세핀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15]

동충하초에는 기능성 지표물질인 코디세핀이 면역 증진, 피로 개선, 노화 예방에 도움을 주며, 감기상기도감염 예방에도 좋다.[27]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동충하초를 과다 섭취하면 간과 신장의 여과 및 배설 기능에 부담을 주어 이러한 장기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16]

동충하초는 미토콘드리아 의존성 경로를 통해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 CMP18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섭취 시 독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조리하면 이 단백질이 파괴된다.[17]

동충하초의 일반적인 건강에 대한 효과는 의약 분야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식단에서도 상당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18]

4. 2. 현대 과학적 연구

번데기버섯에는 코디세핀, 코르디민 등 다양한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13] 코디세핀은 세포 배양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RNA 전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이러한 이유로 항전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0] 항염증, 항종양, 항노화 효과도 잘 알려져 있다.[12] 노화 예방 및 감기상기도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27]

동충하초는 미토콘드리아 의존성 경로를 통해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7] 그러나 과다 섭취 시 간과 신장의 여과 및 배설 기능에 부담을 주어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6]

5. 이용

번데기버섯은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닭고기 수프,[8] 돼지뼈 수프,[9] 훠궈 등에 사용되며, 약효 성분인 코르디세핀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재로도 쓰인다.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 번데기 등을 이용한 생산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24][25]

5. 1. 식용

말린 ''C. militaris'' 자실체가 담긴 병


''C. militaris''는 누에 번데기, , 액체 배지 등 다양한 배지에서 재배될 수 있다.[15][6] 아시아에서는 자실체를 버섯으로 요리하여 닭고기 수프,[8] 돼지뼈 수프,[9] 훠궈와 같은 요리에 사용한다. 북미의 현장 안내서에서는 식용 불가능 또는 "아마도 식용 가능"으로 간주된다.[7][3]

5. 2. 재배

''C. militaris''는 누에 번데기, , 액체 배지 등 다양한 배지에서 재배될 수 있다.[15][6]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 쓰이기 때문에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의 번데기 등을 이용한 대량 생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24][25]

5. 3. 산업적 이용



번데기버섯(''Cordyceps militaris'')은 코르디세핀이라는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재로 사용된다.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의 번데기 등을 이용해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24][25]

아시아에서는 번데기버섯의 자실체를 닭고기 수프,[8] 돼지뼈 수프,[9] 훠궈와 같은 요리에 사용한다.

6. 한국에서의 번데기버섯

번데기버섯(''Cordyceps militaris''영어)은 나비목의 유충이나 번데기에서 자라는 동충하초의 일종이다.[21] 자실체는 주황색의 곤봉 모양이며,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한다. 북동충하초, 북충초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22][23]

번데기버섯에는 코디세핀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 증진, 피로 개선, 노화 예방에 도움을 주며, 감기상기도감염 예방에도 좋다.[27] 한약재로 사용되며, 고급 중국 요리 재료 및 한약재 원료로도 활용된다.[24][25] 누에나 담배거세미나방의 번데기 등을 이용한 생산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24][25]

참조

[1] 서적 Mushrooms demystifie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fleshy fungi of the central California coast Ten Speed Press 1979
[2] 논문 Pharmacological actions of Cordyceps , a prized folk medicine https://academic.oup[...] 2010-02-18
[3] 서적 Field Guide to Mushrooms of Western North Americ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Cordyceps and the clavicipitaceous fungi
[5] 웹사이트 Pilz des Jahres 2007: ''Cordyceps militaris'' (L.) Link, Puppenkernkeule https://www.dgfm-ev.[...]
[6] 웹사이트 CN102626036A 一种蛹虫草子实体的规模化栽培方法和质量检测方法 https://patents.goog[...] 2012-04-24
[7] 서적 Mushrooms and Other Fungi of North America Firefly Books
[8] 웹사이트 虫草花淮山杞子鸡汤 https://www.xinshipu[...]
[9] 웹사이트 Cordyceps militaris pork bone soup https://simplechines[...]
[10] 논문 First report of emerging fungal pathogens of Cordyceps militaris in Vietnam 2023-10-17
[11] 논문 Trichoderma gamsii, a new pathogen causing disease on cultivated mushroom Cordyceps militaris in China https://papers.ssrn.[...] 2024-10-01
[12] 논문 A brief review on the medicinal uses of Cordyceps militaris 2023-06-01
[13] 논문 Pharmacological actions of Cordyceps , a prized folk medicine https://academic.oup[...] 2010-02-18
[14] 논문 High-level production of cordycepin by the xylose-utilising Cordyceps militaris strain 147 in an optimised medium https://www.scienced[...] 2023-11-01
[15] 논문 Metabolic profiling of natural and cultured Cordyceps by NMR spectroscopy 2019-05-22
[16] 웹사이트 Hector https://hectorshop.v[...] 2022-12-08
[17] 논문 A novel protein from edible fungi Cordyceps militaris that induces apoptosis 2018-01-01
[18] 서적 Cordyceps militaris and its Applications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23-10-17
[19] 서적 Biology of Macrofungi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 논문 Cordycepin: A bioactive metabolite with therapeutic potential Elsevier BV
[21] 웹사이트 森林生物データベース 00067 サナギタケ https://www.ffpri.af[...] 2024-05-06
[22] 웹사이트 冬虫夏草とは何なのか? {{!}} にちはら総合研究所 http://www.nhsoken.c[...] にちはら総合研究所 2024-05-18
[23] 웹사이트 サナギタケとは?冬虫夏草と同じ? https://www.daikensh[...] 2024-05-18
[24] 웹사이트 冬虫夏草類の人工生産 http://www.affrc.go.[...] 2011-10-20
[25] 웹사이트 冬虫夏草類の人工生産 {{!}} 研究成果詳細 https://agresearcher[...] 2024-05-18
[26] 뉴스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3>버섯 http://www.seoul.co.[...] 2018-12-10
[27] 뉴스 [라이프 꿀팁]겨울 면역력 업그레이드를 위한 ‘약용버섯 차’ http://www.newsway.c[...] 2018-1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