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영 (배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세영은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로, 센터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부산에서 김향숙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172cm의 큰 키로 배구를 시작했으며, 2000년 한국담배인삼공사(현 KGC인삼공사)에 입단하여 V-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1년부터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했고, 2009년과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서 대표팀 주장을 맡았다. 2012년 은퇴 후 출산, 2014년 현역으로 복귀하여 현대건설, 흥국생명 등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05년 V-리그 공격상, 2006, 2009년 블로킹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선수 - 구민정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구민정은 1995년 국가대표로 선출되어 올림픽, 월드그랑프리, 월드컵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며 한국배구슈퍼리그 베스트6, V-코리아세미프로리그 최우수선수상 등 다수의 개인상을 수상했다. - 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선수 - 김사니
김사니는 은퇴한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자 스포츠 해설가로, 선수 시절 세터 포지션으로 활약하며 국가대표팀 주장을 역임했고, 프로 선수로 여러 팀에서 활동하다가 IBK기업은행에서 은퇴 후 해설위원과 코치 및 감독대행을 거쳤다. - 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선수 - 김해란
김해란은 2002년 프로 배구 선수로 데뷔하여 KGC인삼공사와 흥국생명에서 활약하고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리베로로도 활동하며 런던 올림픽 4강, 아시아 선수권 대회 베스트 리베로 선정, V-리그 수비상 3회 수상 등의 경력을 가진 은퇴한 배구 선수이다. - 남성여자중학교 동문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남성여자중학교 동문 - 장소연 (배구인)
장소연은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감독, 해설위원으로, 국가대표 미들 블로커로 활약하며 올림픽에 3회 출전했고, 은퇴 후 해설위원을 거쳐 페퍼저축은행 AI페퍼스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강혜미와의 고속 C퀵으로 유명하다.
김세영 (배구 선수)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세영 |
로마자 표기 | Gim Seyeong |
한자 표기 | 金洗瑩 |
출생일 | 1981년 6월 4일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
신장 | 190cm |
체중 | 72kg |
포지션 | 미들 블로커 |
스파이크 높이 | 309cm |
블로킹 높이 | 300cm |
별명 | 엄마센터, 세영사마 |
가족 | 남편= 이화일, 아들=이경원 |
선수 경력 | |
소속팀 | 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2000–2012) 수원 현대건설 배구단 (2014–2018)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18-2021) |
입단 년도 | 2000년 |
등번호 | 13 |
출신 학교 | 남성여자중학교 (1994–1997) 남성여자고등학교 (1997–2001)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01–2010) |
수상 내역 | |
아시안 게임 | 은메달: 2010 광저우 단체전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2001 나콘랏차시마 단체전 동메달: 2003 호찌민 시 단체전 |
2. 약력
김세영은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 중학교 1학년 때 배구를 시작했다. 주니어 대표팀을 거쳤지만, 고등학교 시절 부진으로 동기들보다 1년 늦게 실업팀에 합류했다.[5] 2000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한국담배인삼공사(현 대전 한국인삼공사)에 입단했다.[6]
2001년부터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003년 월드그랑프리 배구대회와 월드컵에 참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예선전에서는 주전 센터로 활약하며 대한민국 여자배구 대표팀의 올림픽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7] 프로 원년인 2005 시즌에는 공격상을 수상했다.
블로킹에는 강점이 있지만 공격력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2006~2007 시즌 이후 FA 자격을 얻어 KT&G에 잔류, 김사니 선수와의 호흡으로 플레이가 과감해졌다는 평을 받았다.[5] KT&G의 준우승에 기여하며 억대 연봉을 받게 되었고, 2008~2009 시즌에는 최고의 공격 성공률을 기록했다.
2011-12시즌 후 은퇴했다가 2014년 복귀, 2017-18시즌 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와 계약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프로 입단
김세영은 부산광역시에서 '''김향숙'''이라는 이름으로 3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남성여자중학교 1학년 재학 중에 이미 또래에 비해 훨씬 큰 172cm의 키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본 남성여자중학교 배구부 감독이 배구를 권유하면서 배구를 시작했다.[5] 주니어 대표팀 등을 거치며 성장해갔지만, 고등학교 때의 부진으로 같은 나이의 선수들과 함께 실업팀에 나서지 못하고 고등학교 3학년을 한 해 더 다녀야 했다.[5] 실제로는 동갑인 같은 소속팀의 세터 김사니에게 '언니'라 부르는 것도 실업팀 입단 연차로 따지면 김세영이 김사니의 1년 후배가 되기 때문이다.실업팀 입단 당시 대한민국 여자배구 최장신 센터로 주목을 받았다. 2000년 12월 열린 2001년 여자 배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국담배인삼공사(현 대전 한국인삼공사)의 지명을 받아 전체 1순위로 입단하였다.[6]
2. 2. 국가대표 경력
김세영은 2001년부터 한국 대표로 활약하여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했다.[3] 2009년과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대표팀 주장으로 팀을 이끌었으며,[3] 2011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FIVB 여자배구 월드컵에 참가했다.[3]대회 | 순위 |
---|---|
올림픽 | 2004년(5위) |
세계 선수권 대회 | 2006년(13위), 2010년(13위) |
월드컵 | 2003년(9위), 2007년(8위), 2011년(9위) |
2. 3. 프로 선수 경력 (V-리그)
김세영은 실업팀 입단 당시 대한민국 여자배구 최장신 센터로 주목받았다. 2000년 12월 열린 2001년 여자 배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국담배인삼공사(현 대전 한국인삼공사)의 지명을 받아 전체 1순위로 입단하였다.[6]대한민국 여자배구가 프로로 출범한 첫 시즌인 2005 시즌에는 공격 성공률 순으로 수상자가 정해지는 공격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김세영은 블로킹에는 강점이 있지만, 이동 공격이 부족하고 연타와 밀어넣기 등으로만 일관해 공격이 다소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들어야 했다. 그러나 2006~2007 시즌 직후 처음 시행된 자유 계약 선수(FA) 제도에서 FA 자격을 얻어 소속팀 KT&G에 잔류하기로 결정했고, 도로공사에서 이적해 온 세터 김사니와 호흡을 맞추면서 2007~2008 시즌을 기점으로 플레이가 과감해졌다는 평을 듣기 시작하였다.[5] 김세영의 활약 덕분에 KT&G는 이전 시즌 정규리그 최하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진행된 연봉 계약에서 김세영은 억대 연봉자로 올라섰다.[8] 2008~2009 시즌에는 자신의 정규리그 최고의 공격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는 중이다.
2011-12시즌을 마친 후 은퇴했지만 2014년 6월 복귀했다. 2000년에 남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V리그의 KT&G 아리엘즈에 입단했다. 2012-2013 시즌 선수 등록에서 제외되어 은퇴했고, 이후 출산을 거쳐 2014-2015 시즌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에서 현역으로 복귀했다.
2017-18시즌이 끝난 후 FA 자격을 얻었으며, 원소속팀인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와 협상이 결렬되었다. 5월 14일에 센터가 필요했던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와 1년 1.5억원에 계약을 맺었다.
2. 4. 소속팀
- - KT&G 아리엘즈(2000-2012년)
-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014-2018년)
-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18-2021년)
3. 수상 경력
김세영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3. 1.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에서 2005년부터 활동했다.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아시안 게임 준우승을 하였다.
3. 2. 개인 클럽
- 한국담배인삼공사한국어/KT&G한국어/대전 KGC인삼공사한국어 (2000-2012)
- V-리그 챔피언결정전 3회 우승: 2005, 2010, 2012
- KOVO컵 우승 1회: 2008
- 수원 현대건설한국어 (2014-2018)
- V-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 1회: 2016
- KOVO컵 우승 1회: 2014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한국어 (2018-)
- V-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 1회: 2019
3. 3. 개인
연도 | 수상 |
---|---|
2000년 | 제11회 전국중고대회 최우수선수상 |
2005년 | 2005 V-리그 공격상 |
2006년 | 2005~2006 V-리그 블로킹상 |
2009년 | 2008~2009 V-리그 블로킹상 |
4. 개인 기록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
2
4
7
16
14(52)
36(97)
0
0
0
1
4
11
18
48
26.92%
37.11%
플레이오프
2
7
22(65)
2
0
7
31
33.85%
플레이오프
2
8
11(49)
1
0
9
21
22.45%
플레이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