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하여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동메달, 1967년, 197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는 금메달 2회, 은메달 8회, 동메달 4회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0년대에는 김연경을 중심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 4위, 2020년 도쿄 올림픽 4위를 기록했으나, 2022년 여자 발리볼 네이션스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세대교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4년 파리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페르난도 모랄레스 감독 체제로 2024년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팀으로, 2004년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극낭자'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일본을 라이벌로 삼고 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4회 진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EAFF E-1 챔피언십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고, 현재 신상우 감독이 지휘하며 지소연 선수가 최다 출전 및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성별여자
협회대한민국배구협회
웹사이트www.kva.or.kr
대륙 연맹AVC
감독페르난도 모랄레스
올림픽
올림픽 출전 횟수12
올림픽 첫 출전1964
올림픽 최고 성적[[파일:Bronze medal.svg|16px]] 동메달 (1976)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3
세계 선수권 대회 첫 출전1967
세계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파일:Bronze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동메달 (1967, 1974)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3
월드컵 첫 출전1973
월드컵 최고 성적[[파일:Simple bronze cup.svg|16px]] 동메달 (1973, 1977)
유니폼
패턴 (홈)상의: _whitecollar
하의:
색상 (홈)왼쪽 팔: C21E2B
몸통: 001040
오른쪽 팔: C21E2B
하의: 002147
패턴 (원정)상의: _kor10h
하의:
색상 (원정)왼쪽 팔: FFFFFF
몸통: C21E2B
오른쪽 팔: FFFFFF
하의: DC143C
패턴 (세컨드)상의: _bos14a
하의:
색상 (세컨드)왼쪽 팔: D1001C
몸통: ffffff
오른쪽 팔: D1001C
하의: FFFFFF
메달
올림픽[[파일:Bronze medal.svg|16px]] 1976 몬트리올 (팀)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67 도쿄
[[파일:Bronze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74 과달라하라
월드컵[[파일:Simple bronze cup.svg|16px]] 1973 우루과이
[[파일:Simple bronze cup.svg|16px]] 1977 일본
월드 그랑프리[[파일:Bronze medal.svg|16px]] 1997 고베
아시안 게임[[파일:Gold medal icon.svg|16px]] 1994 히로시마 (팀)
[[파일:Gold medal icon.svg|16px]] 2014 인천 ()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62 자카르타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66 방콕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70 방콕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74 테헤란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90 베이징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98 방콕 (팀)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02 부산 ()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10 광저우 ()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78 방콕 (팀)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82 뉴델리 (팀)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86 서울 (팀)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8 자카르타-팔렘방 ()
아시아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75 멜버른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89 홍콩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95 치앙마이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97 마닐라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1999 홍콩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01 나콘랏차시마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15 톈진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79 홍콩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83 후쿠오카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87 상하이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91 방콕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1993 상하이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03 호치민 시티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1 타이베이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3 나콘랏차시마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7 메트로 마닐라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9 서울
아시아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08 나콘랏차시마
[[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2014 선전
[[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2010 타이창
기타 정보
FIVB 랭킹38위 (2023년 9월 기준)

2. 역사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에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한 후[3],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이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후 베테랑 선수들이 은퇴하면서 세대교체기를 겪었다. 평균 신장이 180cm를 넘는 장신 선수들을 기용했지만, 기존의 탄탄한 수비를 바탕으로 한 끈기 있는 배구는 약화되었다. 2005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9위에 그쳤고, 2006년 세계선수권대회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4위에 머물렀다.

2006년에는 김연경이 국제대회에 데뷔했으나,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에서 6위에 그쳤다. 2006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13위,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5위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최종 예선에서는 김연경 등 에이스 선수들의 활약으로 2위를 차지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최종 예선에서도 4위를 기록하며 2회 연속 올림픽 출전을 확정지었다.

2020 FIVB 여자발리볼 네이션스리그와 2021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022년 여자 발리볼 네이션스리그에서는 12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국제 대회 참가 기록 및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올림픽0011
세계 선수권대회0022
월드컵0022
월드그랑프리0011
아시안 게임28414
아시아 선수권대회07916
AVC컵0213
유니버시아드0101
합계2182040



네이션스리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년도순위경기수획득 세트실점 세트획득 점수실점 점수
201812위15510163410221141
201915위15312163710921222
202115위15312164011571298
202216위12012336701978
202316위12012336730982
202415위12210833751970
총계6/68113686221654536591


2. 1. 1960-1970년대: 국제무대 등장과 성장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에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했다.[3]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1967년 세계선수권대회와 1973년 월드컵에서는 첫 출전에 동메달을 획득했고, 1975년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대회합계
올림픽0011
세계 선수권대회0022
월드컵0022
아시안 게임0415
아시아 선수권대회0112
합계05712



1960년대와 1970년대 아시안 게임아시아 선수권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 1962년 아시안 게임 —
    아시안 게임 은메달
  • 1966년 아시안 게임 — --
  • 1970년 아시안 게임 — --
  • 1974년 아시안 게임 — --
  • 1978년 아시안 게임 —
    아시안 게임 동메달
  • 1975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6px
  • 1979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6px

2. 2. 1980-2000년대: 올림픽 도전과 아시아 강호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보이콧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올림픽에서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5위, 1988년 서울 올림픽 8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6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8위를 기록했다.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1990년 5위, 1994년 4위, 1998년 9위, 2002년 6위를 기록했다. 월드컵에서는 1999년에 4위를 차지했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0년, 1998년, 2002년에는 은메달, 1982년, 1986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선수권에서는 은메달과 동메달을 여러 차례 획득했다.

2. 3. 2010년대-현재: 김연경 시대와 세대교체

김연경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 국제 무대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김연경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팀을 4강으로 이끌며 MVP와 득점왕을 차지하는 맹활약을 펼쳤다.[4] 비록 준결승과 3·4위전에서 패하며 4위에 머물렀지만,[5] 이는 한국 여자 배구의 저력을 보여준 쾌거였다.

이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정상에 올랐고,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다시 한번 4강에 진출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아시아 선수권대회에서는 2015년에 은메달, 2011년, 2013년, 2017년, 2019년에 동메달을 획득하며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세계선수권에서는 2010년 13위, 2018년 17위, 2022년 20위로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고, 네이션스리그에서도 2018년 12위, 2019년과 2021년에 15위, 2022년과 2023년에는 최하위인 16위에 머물렀다. 특히 2022년에는 12전 전패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에는 김연경을 비롯한 주축 선수들의 은퇴와 세대교체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반영되어 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2018년 9월 1일 기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합계
올림픽0011
세계 선수권대회0022
월드컵0022
월드그랑프리0011
아시안 게임28414
아시아 선수권대회07916
AVC컵0213
유니버시아드0101
합계2182040


  • 월드 그랜드 챔피언십: 1993년과 2013년 대회는 예선 탈락, 1997년, 2001년, 2005년, 2017년 대회는 6위, 2009년 대회는 5위를 기록했다.

  • 몽트뢰 발리볼 마스터스: 1990년, 1992년, 1993년에 동메달, 1991년, 1995년에 5위, 1994년, 1996년에 6위를 기록했다.


1956년에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한[3]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이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후 세대교체기를 겪으며 주춤했지만,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김연경 등의 활약으로 4강에 진출했다.[4][5]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김연경을 주장으로 한 대표팀이 4강에 진출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월드그랑프리에서는 1997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3] 네이션스리그에서는 2022년과 2023년에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했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1994년 히로시마 대회와 2014년 인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5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3]

3. 1. 올림픽

올림픽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64년조별 리그6위505015선수 명단
1968년조별 리그5위7341114선수 명단
1972년동메달 결정전4위52379선수 명단
1976년동메달 결정전-- 동메달5321010선수 명단
1980년보이콧으로 인한 출전 자격 획득 실패[8]
1984년조별 리그5위532127선수 명단
1988년조별 리그8위514813선수 명단
1992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1996년8강전6위8351315선수 명단
2000년8강전8위8351318선수 명단
2004년8강전5위633910선수 명단
2008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2012년동메달 결정전4위8351417선수 명단
2016년8강전5위6331110선수 명단
2020년동메달 결정전4위844선수 명단
2024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합계11/14682741108138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선수권 대회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52년불참
1956년
1960년
1962년
1967년리그전3위32164선수 명단
1970년불참
1974년결선 라운드3위11922811선수 명단
1978년동메달 결정전4위1073249선수 명단
1982년2라운드7위-----선수 명단
1986년2라운드8위-----선수 명단
1990년8강전5위-----선수 명단
1994년동메달 결정전4위-----선수 명단
1998년2라운드9위-----선수 명단
2002년8강전6위-----선수 명단
2006년2라운드13위-----선수 명단
2010년2라운드13위-----선수 명단
2014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2018년1라운드17위514712선수 명단
2022년1라운드20위514313선수 명단
합계13/19


3. 3. 월드컵

월드컵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 득실세트 득실차선수 명단
1973년3위선수 명단
1977년3위선수 명단
1981년5위선수 명단
1985년7위선수 명단
1989년7위선수 명단
1991년6위선수 명단
1995년5위선수 명단
1999년리그전4위7 | 4 | 24 | 14 | 선수 명단
2003년리그전9위3 | 8 | 15 | 24 | 선수 명단
2007년리그전8위4 | 7 | 16 | 22 | 선수 명단
2011년리그전9위3 | 8 | 13 | 24 | 선수 명단
2015년리그전6위5 | 6 | 18 | 19 | 선수 명단
2019년리그전6위6 | 5 | 21 | 19 | 선수 명단
합계6/13


3. 4. 월드 그랑프리 (폐지)

월드그랑프리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93년5위
1994년5위
1995년5위
1996년6위
1997년3위
2011년예선9위9541517
2012년예선14위918825
2013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2014년예선8위9451619
2015년기권
2016년불참
2017년결승(2그룹)14위(2그룹)981265
합계
평균



1997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3] 2005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2승 7패로 9위에 그치며 예선 탈락했고,[3] 2006년에는 김연경이 없는 가운데 2승 9패로 9위에 그치며 예선 탈락했다.[3]

3. 5. 네이션스리그

네이션스리그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2018년예선12위155101634선수 명단
2019년예선15위153121637선수 명단
2021년예선15위153121737
2022년예선16위12012436
2023년예선16위12012236
2024년예선15위122101032
합계6/681136865212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18년 대회에서 12위, 2019년 대회에서 15위를 기록했다.[3] 2021년 대회에서는 3승 12패로 15위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0승 12패로 최하위인 16위에 그치며 1승도 거두지 못했다.[3] 2023년에도 16위를 기록했다.

3. 6. 아시안 게임

연도라운드순위경기선수 명단
1962년리그전준우승321
1966년리그전준우승541
1970년리그전준우승761
1974년리그전준우승431103
1978년리그전3위532106
1982년리그전3위53297
1986년리그전3위42266
1990년리그전준우승541133
1994년리그전우승550154
1998년결승전준우승42286
2002년결승전준우승642138
2006년8강전5위642138
2010년결승전준우승752196
2014년결승전우승660180
2018년동메달 결정전동메달862198
2022년8강 리그5위642147
합계2회 우승16/16866323


3. 7.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선수권 대회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세트실세트선수 명단
2015년결승전준우승선수 명단
2017년3·4위전3위선수 명단
합계2회 준우승19회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5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3] 2006년 가을에 열린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패했던 일본과의 3·4위전에서 다시 패하며, 1975년 이후 12회 연속 획득했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3]

3. 8. AVC컵

AVC컵 성적
연도라운드순위경기선수 명단
2008년결승전준우승선수 명단
2010년준결승전3위선수 명단
2012년8강전6위선수 명단
2014년결승전준우승선수 명단
2016년8강전8위선수 명단
2018년예선 통과6위
합계6/6


4. 선수 명단

2020년 도쿄 올림픽과 2024년 FIVB 여자 발리볼 네이션스리그에 출전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명단과 역대 주요 선수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2020 도쿄 올림픽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이름포지션출생일몸무게2021년 소속팀
1이소영레프트1994년 10월 17일176cm68 kg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3염혜선세터1991년 2월 3일177cm65 kg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4김희진라이트1991년 4월 29일186cm75 kg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7안혜진세터1998년 2월 16일175cm63 kgGS칼텍스 서울 KIXX
8박은진센터1999년 12월 15일187cm74 kg대전 KGC인삼공사 배구단
9오지영리베로1988년 7월 11일170cm68 kgGS칼텍스 서울 KIXX
10김연경 (c)레프트1988년 2월 26일192cm73 kg상하이 여자배구단
11김수지센터1987년 6월 20일188cm68 kg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13박정아레프트1993년 3월 26일187cm73 kg경북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14양효진센터1989년 12월 14일190cm69 kg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6정지윤라이트2001년 1월 1일180cm71 kg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9표승주레프트1992년 8월 7일182cm76 kg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2024년 FIVB 여자 발리볼 네이션스리그 대한민국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

번호이름포지션생년월일신장2024-25 시즌 소속팀
1이소영레프트1994년 10월 17일1.76m 화성 IBK 알토스
2문정원리베로1992년 3월 24일1.74m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3김다인세터1998년 10월 15일1.72m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4한다혜리베로1995년 2월 28일1.64m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5김채원리베로1997년 8월 15일1.67m 화성 IBK 알토스
6박은진센터1999년 12월 15일1.87m 대전 KGC인삼공사
7김지원세터2001년 10월 26일1.73m GS칼텍스 서울 KIXX
8김연견리베로1993년 12월 1일1.63m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9이주아센터2000년 8월 21일1.85m 화성 IBK 알토스
10강소휘레프트1997년 7월 18일1.8m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11최정민센터2002년 12월 1일1.79m 화성 IBK 알토스
12이다현센터2001년 11월 11일1.85m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3박정아 (주장)레프트1993년 3월 26일1.87m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14김세빈센터2005년 6월 16일1.88m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15이선우라이트2002년 7월 12일1.83m 대전 KGC인삼공사
16정지윤레프트2001년 1월 1일1.8m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7정호영센터2001년 8월 23일1.9m 대전 KGC인삼공사
18김다은라이트2001년 1월 25일1.8m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9표승주레프트1992년 8월 7일1.82m 대전 KGC인삼공사
20박사랑세터2003년 8월 26일1.75m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1육서영라이트2001년 6월 9일1.8m 화성 IBK 알토스
22박수련레프트2003년 4월 17일1.76m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3이원정세터2000년 1월 12일1.75m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4박혜진세터2002년 4월 15일1.77m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5황민경레프트1990년 6월 2일1.75m 화성 IBK 알토스
26이한비레프트1996년 10월 28일1.77m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7배유나센터1989년 11월 30일1.8m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30염혜선세터1991년 2월 3일1.77m 대전 KGC인삼공사
47한수진리베로1999년 7월 2일1.65m GS칼텍스 서울 KIXX
71문지윤라이트2000년 7월 25일1.81m GS칼텍스 서울 KIXX



역대 주요 선수로는 김연경, 김수지, 양효진, 이소영, 박정아, 김희진, 한송이, 황연주 등이 있다.

4. 1. 현재 명단 (2024년 네이션스리그 기준)

2024년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 페르난도 모랄레스es

번호이름포지션생년월일키(cm)비고
1정선아센터1998년 9월 27일186
2김채연센터2004년 12월 4일183
3박은진센터1999년 12월 15일187
4김다인세터1998년 10월 15일173
5염혜선세터1991년 2월 3일177
6김주향아웃사이드 히터1999년 3월 27일181
7김희진아포짓1991년 4월 29일185
8나현수아포짓1999년 9월 15일183
9박정아아웃사이드 히터1993년 3월 26일187
10김수지센터1987년 6월 20일188
11김해란리베로1984년 3월 16일168
12임명옥리베로1986년 3월 15일175
13이나연세터1992년 3월 25일173
14이재영아웃사이드 히터1996년 10월 15일179
15이다영세터1996년 10월 15일179
16강소휘아웃사이드 히터1997년 7월 18일180
17양효진센터1989년 12월 14일190
18유서연아웃사이드 히터1999년 1월 12일174
19이원정세터2000년 1월 12일176
20나현정리베로1990년 3월 10일163
21정지윤아포짓2001년 1월 1일180
22표승주아웃사이드 히터1992년 8월 7일182
23김연경아웃사이드 히터1988년 2월 26일192주장
24이효희세터1980년 8월 26일173


4. 2. 역대 주요 선수

김연경, 김수지, 양효진, 이소영, 박정아, 김희진, 한송이, 황연주는 대한민국 여자 배구를 대표하는 선수들이다.[1][2][3]


5. 역대 감독

순서이름재임 기간
1김철용1993년 ~ 2000년
2유화석2001년 ~ 2002년
3김철용2003년 ~ 2004년
4김형실2005년
5김명수2006년
6이정철2007년 ~ 2008년
7이성희2009년
8박삼용2010년
9김형실2011년 ~ 2012년
10차해원2013년
11이선구2014년
12이정철2015년 ~ 2016년
13홍성진2017년
14차해원2018년
15스테파노 라바리니|스테파노 라바리니it2019년 ~ 2021년
16세사르 에르난데스 곤살레스|세사르es2022년 ~ 2023년
17페르난도 모랄레스|페르난도 모랄레스pt2024년 ~


6. 논란 및 비판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왔다. 특히, 김연경 선수 등 특정 선수에 대한 과도한 의존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비판 중 하나이다.

6. 1. 특정 선수에 대한 과도한 의존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김연경 선수 등 특정 선수에게 경기력이 크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의존성은 팀 전체의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7. 평가 및 전망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한국 배구의 위상을 높여왔지만, 2000년대 이후 국제 경쟁력 약화와 세대교체 실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연경과 같은 세계적인 선수들을 보유하고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지만, 국제 대회 성적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7. 1. 긍정적 측면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한국 배구의 위상을 높여왔다. 특히 아시안 게임에서는 1994년 히로시마 대회와 2014년 인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 8개와 동메달 3개를 획득하여 꾸준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아시아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1975년 대회를 시작으로 은메달 7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며 아시아의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김연경과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과 응원을 받고 있다는 점 또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꼽을 수 있다.

7. 2. 부정적 측면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90년대 후반 1997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성적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4년 대회에서는 11위, 2009년 대회에서는 12위를 기록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0년대에도 2014년 8위, 2017년 14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적 부진은 세대교체 과정에서의 어려움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7. 3. 향후 과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강 신화를 썼지만, 이후 세대교체 실패와 국제 경쟁력 약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젊은 선수 육성 및 세대교체 성공: 김연경 등 베테랑 선수들의 은퇴 이후를 대비하여, 잠재력 있는 젊은 선수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특히, 유소년 배구 시스템을 강화하고, 프로 리그와의 연계를 통해 젊은 선수들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훈련 시스템 개선 및 과학적 훈련 도입: 기존의 훈련 방식에서 벗어나, 최신 스포츠 과학 기술을 활용한 훈련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선수 개개인의 신체적,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 국제 경쟁력 강화: 세계 여자 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과 전술을 개발해야 한다. 국제 대회 경험이 풍부한 지도자를 영입하고, 해외 전지훈련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 배구 협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 대한민국배구협회는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 선수들의 훈련 환경 개선, 국제 대회 참가 지원, 유소년 배구 활성화 등 다방면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Team Roster https://en.volleybal[...]
[2]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Women https://www.fivb.org[...] 2017-08-22
[3] 웹사이트 Asian Volleyball Confederation (AVC) http://www.fivb.org/[...] FIVB 2010-08-07
[4] 웹사이트 News - Brazil win second consecutive title, USA and Japan complete Olympic podium http://www.fivb.org/[...] 2012-08-16
[5] 웹사이트 Women's Volleyball - Standing http://www.london201[...] 2012-08-16
[6] 웹사이트 한국 [スタッフ・選手一覧] https://wc2019.jva.o[...] 2019-09-17
[7] 웹인용 한국 여자국가대표팀 최종엔트리(14명)_2019 대륙간예선전 https://newsis.com/v[...] 2019-07-15
[8] 문서 1980년 하계 올림픽#보이콧한 국가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