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까치깨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치깨아과는 아욱과의 아과 중 하나로, 약 20속 380여 종을 포함한다. 주로 마다가스카르와 마스카렌 제도를 중심으로 구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까치깨속, 버레티오덴드론속, 돔베야속, 에리오라에나속, 멜하니아속, 프테로스페르뭄속, 쇼우테니아속 등을 포함한다. 과거에는 코르코로프시스속, 쇼우테니아속이 피나무과로 분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3년 기재된 식물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벼아과
    벼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로, 벼족, 스트렙토기나족, 에르하르타족, 필로라키스족으로 구성되며, 벼과 내에서 뚜렷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BOP 분지군에 속한다.
까치깨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uizia cordata의 꽃이 핀 가지
학명Dombeyoideae
명명자Beilschm.
하위 분류약 20개의 속, 본문 참조
이명Corchoropsideae
Dombeyeae Kunth ex DC.
Eriochlaeneae (orth. var.)
Eriolaeneae
Eriolaenoideae (Arn.) Lindley
Excentrodendroideae
Helmiopsideae
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아욱목
아욱과
아과까치깨아과
아과 명명Beilschm., 1833
모식 속Dombeya Cav.
하위* 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까치깨아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3]


  • 까치깨속
  • ''Andringitra''
  • ''Astiria''
  • 버레티오덴드론속
  • 케이롤레나속
  • 돔베야속
  • 에리오라에나속
  • 하르시아속
  • 헬미옵시엘라속
  • 헬미옵시스속
  • 멜하니아속
  • 네소고르도니아속
  • 파라돔베야속
  • 파라멜하니아속
  • 펜타페테스속
  • 프테로스페르뭄속
  • 루이지아속
  • 쇼우테니아속
  • 트로케티아속
  • 트로케티옵시스속
  • ''Uladendron''

2. 1. 주요 속


  • 까치깨속(''Corchoropsis'' Siebold & Zucc.)
  • ''Andringitra'' Skema
  • ''Astiria'' Lindl.
  • 버레티오덴드론속( ''Burretiodendron'' Rehder)
  • 케이롤레나속(''Cheirolaena'' Benth.)
  • 돔베야속(''Dombeya'' Cav.)
  • 에리오라에나속(''Eriolaena'' DC.)
  • 하르시아속(''Harmsia'' K.Schum.)
  • 헬미옵시엘라속(''Helmiopsiella'' Arènes)
  • 헬미옵시스속(''Helmiopsis'' H.Perrier)
  • 멜하니아속(''Melhania'' Forssk.)
  • 네소고르도니아속(''Nesogordonia'' Baill.)
  • 파라돔베야속(''Paradombeya'' Stapf)
  • 파라멜하니아속(''Paramelhania'' Arènes)
  • 펜타페테스속(''Pentapetes'' L.)
  • 프테로스페르뭄속(''Pterospermum'' Schreb.)
  • 루이지아속(''Ruizia'' Cav.)
  • 쇼우테니아속(''Schoutenia'' Korth.)
  • 트로케티아속(''Trochetia'' DC.)
  • 트로케티옵시스속(''Trochetiopsis'' Marais)
  • ''Uladendron'' Marc.-Berti[3]

2. 2. 기타 속


  • Andringitrala
  • Harmsiala
  • Uladendronla
  • 버레티오덴드론속(''Burretiodendron'') - 이전에는 피나무과에 속했음.
  • 케이롤레나속(''Cheirolaena'')
  • 코르코로프시스속(''Corchoropsis'') - 이전에는 피나무과에 속했으며, 동의어는 파라돔베야속(''Paradombeya'')
  • 돔베야속(''Dombeya'')
  • 에리오라에나속(''Eriolaena'') - 동의어는 헬미옵시엘라속(''Helmiopsiella'')와 헬미옵시스속(''Helmiopsis'')
  • 멜하니아속(''Melhania'')
  • 네소고르도니아속(''Nesogordonia'')
  • 파라멜하니아속(''Paramelhania'')
  • 펜타페테스속(''Pentapetes'')
  • 프테로스페르뭄속(''Pterospermum'')
  • 루이지아속(''Ruizia'') - 동의어는 트로체티아속(''Trochetia'')와 아스티리아속(''Astiria'')
  • 쇼우테니아속(''Schoutenia'') - 이전에는 피나무과에 속했으며, 동의어는 시크레아속(''Sicrea'')
  • 트로케티옵시스속(''Trochetiopsis'')
[3]

3. 계통 분류

현재 아욱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까치깨아과는 약 20속 38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구(舊)열대 지역, 특히 마다가스카르마스카렌 제도에 분포한다.

3. 1. 아욱과 내 계통군

아과분포 지역
불암초아과26속650종전(全)열대 지역, 특히 남아메리카
장구밤나무아과25속770종전(全)열대 지역
벽오동아과12속430종범열대 지역
피나무아과3속50종온대 지역중앙아메리카
까치깨아과약 20속380여 종구(舊)열대 지역, 특히 마다가스카르마스카렌 제도
브라운로아과8속70여 종특히 구(舊)열대 지역
헬릭테레스아과8 ~ 12속10 ~ 90종열대, 특히 동남아시아
아욱아과78속1,670종열대에서 온대
목면아과12속120종열대, 특히 아프리카아메리카

[6]

참조

[1] 논문 Hinsley (2007a)
[2] 논문 Cao et al. (2006)
[3] 논문 Hinsley (2007b)
[4] 간행물 Flora 16(2): 86, 106 1833
[5] 저널 An outline of a classification scheme for extant flowering plants http://www.plantsyst[...] 2015-10-06
[6] 웹인용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4-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