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다가스카르는 인도양에 위치한 세계 4번째로 큰 섬이자 섬나라로,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가진 국가이다. 기원전 350년에서 기원후 550년 사이에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했으며, 이후 아프리카 반투계 민족과의 혼혈을 통해 말라가시인이 형성되었다. 18세기 메리나 왕국이 섬 대부분을 통일했으나, 1897년 프랑스에 식민 지배를 받았다. 1960년 독립 이후 여러 차례의 정치적 변동을 겪었으며, 현재는 준대통령제 공화국이다. 주요 수출품은 바닐라, 사파이어 등이며, 농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마다가스카르어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말레이족을 주축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 - 모리티아
- 마다가스카르 - 브루케시아 미크라
브루케시아 미크라는 마다가스카르 노시하라 섬에 서식하며 몸 색깔을 바꾸는 매우 작은 카멜레온 종으로, 낙엽 속에서 작은 곤충을 먹고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의 숲에 살지만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마다가스카르의 섬 - 마다가스카르섬
마다가스카르섬은 인도양 서부에 위치하며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생태학적 보고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여우원숭이를 비롯한 다양한 고유 동식물이 서식한다. - 마다가스카르의 섬 - 노지베섬
마다가스카르 섬 근처에 있는 노지베섬은 큰 섬이라는 뜻으로, 과거에는 향기로운 섬으로 불렸으며 사칼라바족의 근거지이자 프랑스 식민 통치를 거쳐 마다가스카르 독립의 역사를 함께한 곳으로, 현재는 관광업과 일랑일랑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마다가스카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말라가시어: mg 프랑스어: fr |
일반 명칭 | 마다가스카르 |
현지 이름 | mg fr |
국가 표어 | 마다가스카르어: mg (사랑, 조국, 발전) 프랑스어: fr (사랑, 조국, 진보) |
국가 (국가) | 마다가스카르어: 프랑스어: 한국어 번역: "오, 우리의 사랑하는 조상들의 땅!" |
수도 | 안타나나리보 |
최대 도시 | 안타나나리보 |
공용어 | 말라가시어 프랑스어 |
인구 | 31,964,956 (2024년 추정) |
면적 | 592,796 제곱킬로미터 |
통화 | 아리아리 |
통화 코드 | MGA |
시간대 | EAT |
UTC 오프셋 | +3 |
일광 절약 시간 | 없음 |
차량 통행 방향 | 오른쪽 |
국제 전화 코드 | +261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mg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국가 준 대통령제 공화국 |
대통령 | 안드리 라조엘리나 |
총리 | 크리스티앙 은차이 |
의회 | 의회 |
상원 | 상원 |
하원 | 국회 |
민족 | |
주요 민족 구성 | 메리나: 26% 베치미사라카: 15% 베치레오: 12% 치미헤티: 7% 사칼라바: 6% 안타이사카: 5% 안탄드로이: 5% 기타: 24% |
민족 구성 정보 연도 | 2017년 |
종교 | |
종교 구성 | 기독교: 84.7% 개신교: 45.8% 가톨릭교회: 38.1% 기타 기독교: 0.8% 무종교: 7.3% 전통 신앙: 4.7% 이슬람: 3.1% 기타: 0.3% |
종교 구성 정보 연도 | 2020년 |
역사 | |
왕국 형성 | 왕국 (1540년경) |
프랑스 식민지 | 프랑스 식민지 (1896년 8월 6일) |
공화국 선포 | 공화국 선포 (1958년 10월 14일) |
독립 | 독립 (1960년 6월 26일) |
경제 | |
GDP (구매력 평가) | $567억 5400만 (2023년) |
GDP (구매력 평가) 순위 | 117위 |
1인당 GDP (구매력 평가) | $1,906 (2023년) |
1인당 GDP (구매력 평가) 순위 | 182위 |
명목 GDP | $157억 6300만 (2023년) |
명목 GDP 순위 | 139위 |
1인당 명목 GDP | $529 (2023년) |
1인당 명목 GDP 순위 | 188위 |
지니 계수 | 42.6 |
지니 계수 정보 연도 | 2012년 |
기타 정보 | |
인간 개발 지수 (HDI) | 0.487 |
인간 개발 지수 (HDI) 순위 | 177위 |
인간 개발 지수 (HDI) 정보 연도 | 2022년 |
ISO 3166-1 | MG / MDG |
국가 도메인 | .mg |
국제 전화번호 | 261 |
2. 역사
마다가스카르의 기록된 역사는 아랍인들로부터 시작된다. 아랍인들은 적어도 10세기부터 북서 해안을 따라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이슬람교, 아랍 문자(말라가시어를 ''소라베''라는 형태로 기록) 및 기타 문화 요소를 소개했다.[112]
유럽과의 접촉은 1500년에 포르투갈의 함장 디오구 디아스가 이 섬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8] 17세기 후반, 프랑스는 동해안을 따라 무역 기지를 설립했다.[112] 1774년경부터 1824년까지 마다가스카르는 해적과 유럽 상인들, 특히 대서양 노예 무역에 연루된 상인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마다가스카르 북동 해안에 있는 노시 보로하라는 작은 섬은 일부 역사가들이 전설적인 해적 유토피아인 리베르탈리아의 위치로 추정하는 곳이다.[59]
해상 무역으로 만들어진 부는 섬에 조직적인 왕국들의 등장을 이끌었으며, 그중 일부는 17세기까지 매우 강력해졌다.[62] 여기에는 동해안의 베치미사라카 동맹과 서해안의 메나베와 보이나의 사칼라바 족장들이 포함된다. 안타나나리보의 왕궁을 수도로 하는 중앙 고원에 위치한 메리나 왕국은 같은 시기에 안드리아마넬로 왕의 지휘 아래 등장했다.[63]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를 지배한 정권은 없었지만, 메리나인 귀족 계급을 중심으로 한 정권이 19세기 전반에 관개 농업 기술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면서 섬의 대부분을 통일했다. 그러나 이 마다가스카르 왕국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붕괴되었고, 1897년 프랑스 식민지 제국에 병합되었다.
프랑스의 식민 통치는 60년이 넘게 이어졌다. 이 시기 동안 사탕수수 플랜테이션과 흑연 채굴이 이루어지면서 모노컬처 경제화가 진행되었고, 프랑스에 대한 원료 공급지이자 프랑스 공업 제품의 소비지로 자리잡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마다가스카르 식민정부는 비시 프랑스를 지지했다. 이에 영국은 남아프리카 연방과 협공하여 섬을 점령하였고, 1943년 자유 프랑스에 반환했다. 프랑스 식민정부가 영국군의 공격에 쉽게 굴복하는 모습을 본 마다가스카르인들은 1946년 프랑스의 해외 영토에 편입된 것을 계기로 대대적인 반식민투쟁을 전개했다. 프랑스 식민 지배의 경험으로 동질적 국민의식을 갖게 된 마다가스카르인들은 기근과 암시장의 무질서, 불법노역을 통제하지 못하는 식민 정부에 대해 단합하여 투쟁을 진행했고, 1957년 자치령 말라가시 공화국을 거쳐 1958년 국민투표를 통해 1960년 6월 26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필리베르트 치라나나는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1972년 가브리엘 라마난초아에게 정권을 이양하고 하야했다.[464] 1975년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국명을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으로 바꾸었으나,[464] 1991년 경제 악화 등으로 민주화 요구가 일어나 1992년 신헌법을 제정하고 국명을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으로 바꾸었다.[464] 1996년 라치라카가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는 데 성공했으며,[464] 2001년까지 친프랑스 정책을 전개했다.[464] 2007년 신헌법이 다시 제정되었고,[464] 2010년 헌법 제정으로 제4공화국이 출범하였다.[464] 2014년 1월 25일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물러나고 헤리 라자오나리맘피아니나가 취임했다.[464]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마다가스카르는 수많은 국민 시위, 여러 차례의 선거 분쟁, 탄핵, 두 차례의 쿠데타, 그리고 한 건의 암살 사건으로 점철된 정치적 변혁을 겪었다.[163]
2. 1. 초기 정착
마다가스카르에 인류가 언제 정착했는지는 여러 설이 있지만, 기원전 350년에서 기원후 550년 사이에 보르네오섬에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외팔보 카누를 타고 온 것이 최초의 정착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벼농사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마다가스카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말레이어와 가깝다. 이후 기원후 1,000년경부터 아프리카 대륙에서 반투계 민족들이 결박소와 함께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 이주해 왔고, 이들과 혼혈되면서 오늘날의 말라가시인이 형성되었다.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는 이슬람교를 믿는 아랍 상인들이 섬에 도착하여 무역을 시작했고, 아랍 문자(말라가시어를 ''소라베''로 표기하는 데 사용됨) 등 문화적 영향을 주었다.[112] 16세기에는 포르투갈 탐험가 디오구 디아스가 이 섬을 발견하면서 유럽과 처음 접촉하게 되었다.[8]
2. 2. 왕국 시대
보르네오섬에서 카누를 타고 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마다가스카르 섬의 첫 정착자가 되었고, 이후 기원후 1,000년 전후부터 아프리카 대륙으로부터 반투계 민족들이 들어와 혼혈되면서 오늘날의 말라가시인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16세기 포르투갈 탐험가와 처음 만나기 전부터 이미 아랍 등 인도양의 교역집단과 접촉이 있었다.마다가스카르에는 부족 중심의 여러 소규모 부족국가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마다가스카르 고원에 위치한 메리나 왕국은 18세기경 섬의 대부분을 통일하였다. 메리나 왕국은 1540년 소규모 부족국가로 시작하여 안타나나리보에 위치하고 있었다. 안드리암벨로마시나는 안드리안야피가 왕으로 있는 상황에서 조카 람보아살라마를 안드리안야피의 다음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하지만 안드리안야피는 자신의 친아들이 왕위를 계승하기 원했기 때문에 람보아살라마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1787년 람보아살라마는 지지세력과 함께 쿠데타를 일으켜 안드리안야피를 축출하고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라는 이름으로 즉위하였다. 안드리안야피는 일라피로 도주하여 그곳에서 안드리아남포이메리나를 암살하고 자신이 왕위를 찬탈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암바토마노이나 지역의 왕족 안드리안찰라만야카는 이를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에게 고발하여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의 신임을 얻었다. 안드리안찰라만야카는 아내 라보돈안드리안톰포 사이에서 태어난 딸 라마보가 있었는데,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라마보를 입양하여 자신의 아들 라다마 1세와 혼인시켰다. 라마보는 라다마 1세 사후 라나발로나 1세가 되어 왕위를 승계한다.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부족국가로 나뉜 섬을 통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칼라바 부족을 제압하고 나머지 다른 부족들도 규합하여 정복하였다.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임종 직전 라다마 1세에게 "바다가 너의 논밭의 경계가 되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는데, 이는 메리나 왕국이 중부 고원에 위치하고 있었기에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안가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마다가스카르 통일을 완수할 것을 지시한 것이다. 1861년 라다마 1세는 모리셔스의 영국 총독이었던 로버트 타운센드 파쿼가 프랑스 교역소 건설을 방해하고 영국의 마다가스카르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마다가스카르에 파견한 상인을 접견했다. 라다마 1세는 영국군 장성인 제임스 하스티와 앵글로-메리나 우호조약을 체결하여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
1820년 라다마 1세는 런던선교회의 선교사 데이비드 그리피스를 만나 신식 학교를 설립해 줄 것을 요청했다. 라다마 1세는 라틴 알파벳으로 말라가시어를 표기하는 법을 교육할 것을 요청했고 따라서 데이비드 그리피스는 말라가시어로 성경을 번역하였다. 런던선교회의 선교사들은 목공, 가죽, 도금, 면직, 공예 기술을 전수했다. 비록 제임스 하스티가 프랑스의 영향력 확대를 막고, 영국의 실질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마다가스카르를 문명화하려 했던 것은 사실이나, 영국 정부는 마다가스카르를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 지속적인 군사적 지원을 지속하였으며 메리나 왕국 내에서 노예제도의 폐지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라다마 1세는 알코올 중독으로 36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여기에는 그가 축첩들을 위한 궁전을 설치하여 상당한 시간을 보낸 것이 그의 건강 악화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여겨진다.
메리나 왕국의 라다마 1세는 마다가스카르가 노예무역의 거점으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점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서양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반면, 그의 사후 왕위는 그의 아내인 라나발로나 1세가 승계했는데, 라나발로나 1세는 기독교를 탄압하고 백성들을 가혹하게 다스렸다. 라다마 1세가 후계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했으나, 가장 왕위 계승 서열이 높았던 라마보는 라다마 1세와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 라다마 1세가 라마보의 친척과 가족들을 왕권의 잠재적 위협으로 보고 숙청했던 것이 원인이었으며, 또한 다른 왕비가 낳은 아들도 조기에 사망했다. 당시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던 인물은 라다마 1세의 조카인 라코토베였으나, 라마보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라다마 1세가 서양 문명을 동경하고 근대화에 매진했던 것과는 달리 라마보는 메리나의 전통과 문화를 지키고자 했다. 그녀는 기독교에 대해서도 호의적이지 않았으며, 기독교의 확대에 불만을 갖고 있던 토착신앙의 제사장들은 라마보를 지지했다. 이들은 쿠데타의 강력한 지지 세력이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의 침략을 받아 1897년 프랑스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2. 3. 프랑스 식민 통치와 독립 운동
17세기 초, 고지대 이메리나 왕국은 해안가의 더 큰 왕국들에 비해 작은 세력이었으며,[63] 18세기 초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 왕이 왕국을 네 아들에게 나누면서 더욱 약해졌다.[64] 거의 한 세기 동안의 전쟁과 기근 이후, 이메리나는 1793년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1787~1810) 왕에 의해 재통일되었다.[65] 초기 수도인 암보히망가에서,[65] 그리고 나중에는 안타나나리보의 로바에서 이 메리나 왕은 이웃 소국들에 대한 지배를 빠르게 확장했다. 섬 전체를 지배하려는 그의 야망은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라다마 1세(1810~1828) 왕에 의해 크게 달성되었으며, 그는 영국 정부로부터 마다가스카르 왕으로 인정받았다. 라다마 1세는 1817년 영국의 모리셔스 총독과 조약을 맺어 수익성이 높은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대신 영국의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았다. 런던 선교회의 장인 선교사들이 1818년부터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제임스 캐머런, 데이비드 존스, 데이비드 그리피스와 같은 주요 인물들이 포함되어 학교를 설립하고 말라가시어를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성경을 번역했으며, 섬에 다양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66]
라다마 1세의 후계자인 라나발로나 1세(1828~1861) 여왕은 영국과 프랑스의 증가하는 정치적, 문화적 침략에 대응하여 마다가스카르의 기독교 실천을 금지하고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영토를 떠나도록 압력을 가하는 왕실 칙령을 발표했다. 런던 선교회의 윌리엄 엘리스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방문했던 내용을 그의 저서 ''Three Visits to Madagascar during the years 1853, 1854, and 1856''에 기술했다. 여왕은 ''강제 노역'' (세금 납부로서의 강제 노역) 관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2만 명에서 3만 명 사이의 메리나 병사들로 구성된 상비군을 육성했으며, 이들을 배치하여 섬의 외곽 지역을 평정하고 메리나 왕국을 마다가스카르 대부분을 아우르도록 더욱 확장했다. 마다가스카르 주민들은 서로 도둑질, 기독교, 특히 마법과 같은 다양한 범죄로 서로 고발할 수 있었으며, 그에 대한 ''탕게나'' 시련이 일상적으로 의무였다. 1828년부터 1861년까지 탕게나 시련으로 매년 약 3,000명이 사망했다. 1838년에는 이메리나에서 탕게나 시련으로 인해 최대 1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당시 인구의 약 20%에 해당한다.[67] 정기적인 전쟁, 질병, 어려운 강제 노역, 그리고 가혹한 사법 제도의 조합은 그녀의 33년 통치 기간 동안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높은 사망률을 초래했다. 마다가스카르의 인구는 1833년부터 1839년 사이에 약 500만 명에서 250만 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68]
이메리나에 계속 거주한 사람들 중에는 왕실을 위해 무기 및 기타 산업을 개발한 기업가인 장 라보르드와 프랑스 모험가이자 노예 상인인 조제프프랑수아 람베르가 있었는데, 당시 왕자였던 라다마 2세는 람베르 헌장이라는 논란이 많은 무역 협정에 서명했다. 어머니를 계승한 라다마 2세는 여왕의 엄격한 정책을 완화하려고 했지만 2년 후 총리 라이니보니나히트리니오니와 군주제의 절대 권력을 종식시키려고 했던 ''안드리아나''(귀족)과 ''호바'' (평민) 신하들의 동맹에 의해 전복되었다.[112]
쿠데타 이후, 신하들은 라다마 2세의 왕비인 라소헤리나에게 총리와 권력을 나누는 데 동의한다면 통치할 기회를 제공했다. 이는 그들 사이의 정치적 결혼으로 봉인될 새로운 사회 계약이었다.[69] 라소헤리나 여왕은 먼저 라이니보니나히트리니오니와 결혼한 다음, 그를 폐위시키고 그의 형제인 총리 라이닐라이아리보니와 결혼했다. 그는 나중에 라나발로나 2세 여왕과 라나발로나 3세 여왕과 차례로 결혼했다.[70] 라이닐라이아리보니가 31년 동안 총리로 재직하는 동안 중앙 정부의 권력을 현대화하고 통합하기 위한 많은 정책이 채택되었다.[72] 섬 전체에 학교가 건설되었고 출석이 의무화되었다. 군대 조직이 개선되었고 영국 컨설턴트들이 군인들을 훈련하고 전문화하기 위해 고용되었다.[71] 일부다처제는 금지되었고 1869년 기독교가 법원의 공식 종교로 선포되었으며, 점점 더 많은 인구 중에서 전통적인 신념과 함께 채택되었다.[72] 법률 코드는 영국의 영미법을 기반으로 개혁되었고 수도에 세 개의 유럽식 법원이 설립되었다.[71]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그의 공동 역할에서 라이닐라이아리보니는 또한 여러 프랑스 식민지 침입에 대한 마다가스카르의 방어를 성공적으로 보장했다.[71]
주로 람베르 헌장이 준수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프랑스는 1883년 마다가스카르를 침공했고, 이는 제1차 프랑스-호바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73] 전쟁이 끝난 후 마다가스카르는 북부 항구 도시 디에고 수아레스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람베르의 상속인들에게 을 지불했다.[74] 1890년 영국은 프랑스의 보호령을 섬 전체에 공식적으로 부과하는 것을 수락했지만, 프랑스의 권위는 마다가스카르 정부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다. 항복을 강요하기 위해 프랑스는 1894년 12월과 1895년 1월에 각각 동해안의 토아마시나와 서해안의 마하장가 항구를 폭격하고 점령했다.[75]
프랑스군의 기동부대는 이후 안타나나리보로 진격했지만, 말라리아와 기타 질병으로 많은 병력을 잃었다. 알제리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증원군이 도착했다. 1895년 9월 도시에 도착한 기동부대는 왕궁에 중포를 쏘아 많은 사상자를 냈고,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은 항복하게 되었다.[76] 안타나나리보 점령에 대한 대중 저항 – 메날람바 반란 – 은 1895년 12월에 일어났고, 1897년 말까지 진압되지 않았다.[77][78] 프랑스는 1896년 마다가스카르를 병합하고 이듬해 섬을 식민지로 선포하여 메리나 왕국을 해체하고 왕족을 레위니옹과 알제리로 추방했다.
정복 이후 메날람바 반란으로 인해 10년간의 내전이 이어졌다. 프랑스 행정부가 수행한 "평화화"는 전국에 산재한 농촌 게릴라에 대한 대응으로 15년 이상 지속되었다. 식민지 정복에 대한 이러한 저항의 진압으로 총 수만 명의 마다가스카르인들이 희생되었다.[79]
식민 통치하에 다양한 수출 작물 생산을 위한 농장이 설립되었다.[80] 1896년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고 약 50만 명의 노예가 해방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 주인의 집에서 하인[81]이나 소작농으로 남았다. 섬의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노예 후손에 대한 강력한 차별적인 견해가 존재한다.[82] 안타나나리보 수도에는 넓은 포장 도로와 집회 장소가 건설되었고,[83] 안타나나리보의 로바 궁전 단지는 박물관으로 바뀌었다.[84] 특히 메리나의 학교가 미치지 못한 농촌과 해안 지역에 더 많은 학교가 세워졌다. 교육은 6세에서 13세 사이에 의무화되었고 주로 프랑스어와 실용적인 기술에 중점을 두었다.[85]
대규모 광산 및 임업 채굴권이 대기업에 부여되었다. 프랑스 행정부에 충성하는 원주민 수장들에게도 토지 일부가 할양되었다. 프랑스 기업에 유리하게 강제 노역이 도입되었고, 농민들은 세금을 통해 임금 노동(특히 식민지 채굴권에서)을 장려받아 소규모 개인 농장이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식민 시대에는 메날람바, 비 바토 사켈리카(Vy Vato Sakelika), 마다가스카르 혁신 민주 운동(MDRM) 등 독립을 위해 투쟁하는 운동이 동반되었다. 1927년 안타나나리보에서 공산주의 활동가 프랑수아 비토리(François Vittori)의 주도로 대규모 시위가 조직되었고, 그 결과 투옥되었다. 1930년대 마다가스카르 반식민 운동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마다가스카르 노동 조합주의가 지하에서 나타나기 시작했고 마다가스카르 지역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1939년 모든 조직은 비시 정권을 선택한 식민지 행정부에 의해 해산되었다. MDRM은 식민 정권에 의해 1947년 봉기의 원흉으로 비난받고 격렬한 탄압을 받았다.[87]
메리나 왕실의 강제 노역 관습은 프랑스 치하에서도 계속되었고, 주요 해안 도시들을 안타나나리보와 연결하는 철도와 도로 건설에 사용되었다.[88] 마다가스카르 군인들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를 위해 싸웠다.[8] 1930년대 나치 독일의 정치 사상가들은 유럽의 유대인들을 강제 추방할 잠재적 장소로 이 섬을 지정한 마다가스카르 계획을 개발했다.[89]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섬은 비시 프랑스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원정대 사이의 마다가스카르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90]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점령은 마다가스카르에서 식민 행정의 권위를 손상시키고 성장하는 독립 운동을 고무시켜 1947년 마다가스카르 봉기를 초래했다.[91] 이 운동은 프랑스가 1956년 ''로이 카드르''(해외 개혁법)에 따라 개혁된 제도를 수립하게 했고, 마다가스카르는 평화적으로 독립으로 나아갔다.[92]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은 1958년 10월 14일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 단체로 선포되었다. 임시 정부 시대는 1959년 헌법 채택과 1960년 6월 26일 완전 독립으로 끝났다.[93]
2. 4. 독립 이후의 정치 상황
필리베르트 치라나나는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다수 해안 민족들의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다. 하지만 4명의 부통령을 모두 해안 민족 출신으로 임명하면서 수도권의 학생들과 시민들의 반발을 받아 1972년 정권을 가브리엘 라마난초아에게 이양하고 하야하게 된다.[464] 1975년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국명을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으로 바꾸었으나,[464] 1991년 경제 악화 등으로 민주화 요구가 일어나 1992년 신헌법을 제정하고 국명을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으로 바꾸었다.[464] 1996년 라치라카가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는 데 성공했으며,[464] 재임 기간인 2001년까지 친프랑스 정책을 전개했다.[464] 2007년 신헌법이 다시 제정되었고,[464] 2010년 헌법 제정으로 제4공화국이 출범하였다.[464] 2014년 1월 25일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물러나고 헤리 라자오나리맘피아니나가 취임했다.[464]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마다가스카르는 수많은 국민 시위, 여러 차례의 선거 분쟁, 탄핵, 두 차례의 쿠데타, 그리고 한 건의 암살 사건으로 점철된 정치적 변혁을 겪었다.[163] 이러한 정치 위기는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 경제, 국제 관계, 마다가스카르 국민의 삶의 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163] 2001년 대통령 선거 이후 집권자 라시라카와 도전자 마크 라발로마나나 사이에 8개월 동안 지속된 대치는 마다가스카르에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관광 및 무역 수입 손실과 폭파된 다리와 방화로 인한 건물 피해 등 인프라 손상을 초래했다.[163] 2009년 초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라발로마나나에 대항하여 주도한 일련의 시위는 폭력적으로 변하여 170명 이상이 사망했다.[164] 마다가스카르의 현대 정치는 19세기 메리나족이 해안 지역 사회를 지배한 역사의 영향을 받으며,[165] 그 결과 고지대와 해안 지역 주민 사이의 긴장은 주기적으로 고립된 폭력 사건으로 이어졌다.[165]
마다가스카르는 1963년 설립되어 2002년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될 때까지 존속했던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창립 회원국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주류 아프리카 문제의 변방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166] 2001년 대통령 선거 결과를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첫 번째 아프리카 연합 정상 회담에 참석할 수 없었지만, 14개월 만인 2003년 7월 아프리카 연합에 재가입했다.[166] 라조엘리나에게 권력이 불법적으로 이양된 사건 이후 2009년 3월 아프리카 연합으로부터 다시 정지되었다.[166] 국제형사재판소의 회원국이며, 미국 군대에 대한 보호를 위한 양자 면책 협정을 체결했다.[8] 프랑스, 영국, 미국, 중국, 인도를 포함한 11개국이 마다가스카르에 대사관을 설립했으며,[167] 마다가스카르는 다른 16개국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마다가스카르의 인권은 헌법에 의해 보호되며, 국가는 세계인권선언,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포함한 수많은 국제 협약의 서명국이다.[168] 종교적, 민족적, 성적 소수자는 법적으로 보호받는다.[168] 결사와 집회의 자유도 법적으로 보장되지만, 실제로는 공공 집회 허가 거부가 정치 시위를 막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216][168] 보안군의 고문은 드물며, 비교적 적은 법적 안전장치를 갖춘 다른 국가들에 비해 국가 억압은 낮지만, 임의 체포와 군경의 부패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216] 라발로마나나는 2004년 부패 방지국인 BIANCO를 설립하여 특히 안타나나리보의 하급 관료들의 부패를 줄였지만, 고위 관리는 기소되지 않았다.[216] 정부 야당에 대한 보도 제한으로 인해 언론 검열에 대한 비난이 제기되었으며,[169] 일부 언론인들은 가짜 뉴스를 유포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170]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6월 26일 독립을 얻은 직후인 1960년 9월 20일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180] 2017년 1월 기준으로 마다가스카르 경찰 34명이 유엔 해티 안정화 임무의 일환으로 해이티에 파병되었다.[181] 2015년부터 유엔의 지휘와 지원 하에 세계식량계획은 장기적인 개발과 재건 노력, 그리고 마다가스카르 남부 지역의 식량 안보 문제 해결이라는 두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진 마다가스카르 국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82] 농촌과 도시 우선 지역의 특정 학교에 식사를 제공하고 전국적인 학교 급식 정책을 개발하여 전국적인 영양 공급의 일관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목표 달성을 계획하고 있다. 소규모 지역 농민들 또한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 생산량과 품질을 모두 향상시키고 수확량을 증대시키는 데 지원을 받았다.[182] 2017년 마다가스카르는 유엔 핵무기 금지 조약에 서명했다.[183]
3. 지리
마다가스카르 섬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이다. 마다가스카르의 전체 면적은 587,041km2로 세계에서 47번째로 큰 나라이다. 동쪽으로는 가파른 절벽이 있어 중앙 고원이 있고 열대우림과 마주한다. 마다가스카르 북부 해안에는 셰이셸이 자리 잡고 있으며, 동부에는 모리셔스가 있다.
이 섬은 아프리카 대륙과 멀리 떨어져 있어 호랑이꼬리여우원숭이 등 이 섬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동식물종이 많다.
남동쪽의 무역풍과 북서쪽의 몬순이 결합하여 잦은 파괴적인 사이클론을 동반한 무더운 우기(11월~4월)와 비교적 서늘한 건기(5월~10월)가 나타난다. 인도양에서 기원한 강우 구름은 섬의 동쪽 해안에 많은 수분을 방출하며, 이 풍부한 강수량은 지역의 열대 우림 생태계를 지탱한다. 중앙 고원 지대는 더 건조하고 서늘하며, 서쪽은 더욱 건조하고, 섬의 남서부와 남부 내륙에는 반건조 기후가 우세하다.[110]
열대성 사이클론은 인프라와 지역 경제에 피해를 입히고 인명 피해를 야기한다.[112] 2004년, 가필로 사이클론은 마다가스카르를 강타한 가장 강력한 사이클론으로 기록되었다. 이 폭풍으로 172명이 사망하고 214,260명이 집을 잃었으며,[113] 2.5억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114] 2022년 2월, 바치라이 사이클론으로 121명이 사망했고,[15][115] 수 주 전 아나 사이클론으로 55명이 사망하고 13만 명이 이재민이 되었다.[116]
마다가스카르는 22개의 지역(faritra)으로 나뉜다.[8] 각 지역은 다시 119개의 구, 1,579개의 코뮌, 그리고 17,485개의 포콩타니(fokontany)로 세분된다.[177]
신설 지역 | 이전 주 | 면적 (km2) | 인구 (2018)[179] | |
---|---|---|---|---|
디아나 | 앙시라나나 | 19993km2 | 889,962 | |
사바 | 앙시라나나 | 23794km2 | 1,123,772 | |
이타시 | 안타나나리보 | 6579km2 | 898,549 | |
아날람앙가 | 안타나나리보 | 17346km2 | 3,623,925 | |
바키난카라트라 | 안타나나리보 | 17884km2 | 2,079,659 | |
봉골라바 | 안타나나리보 | 18096km2 | 670,993 | |
소피아 (7) | 마하장가 | 50973km2 | 1,507,591 | |
보에니 | 마하장가 | 31250km2 | 929,312 | |
베치보카 | 마하장가 | 28964km2 | 393,278 | |
멜라키 | 마하장가 | 40863km2 | 308,944 | |
알라오트라 망고로 | 토아마시나 | 27846km2 | 1,249,931 | |
아트시나나 | 토아마시나 | 22031km2 | 1,478,472 | |
아날란지로포 | 토아마시나 | 21666km2 | 1,150,089 | |
아모론이 마니아 | 피아나란차소아 | 16480km2 | 837,116 | |
오트 마치아트라 | 피아나란차소아 | 20820km2 | 1,444,587 | |
바토바비-피토비나니 | 피아나란차소아 | 20740km2 | 1,440,657 | |
아치모-아치나나 | 피아나란차소아 | 16632km2 | 1,030,404 | |
이호롬베 | 피아나란차소아 | 26046km2 | 418,520 | |
메나베 | 톨리아라 | 48814km2 | 692,463 | |
아치모-안드레파나 | 톨리아라 | 66627km2 | 1,797,894 | |
안드로이 | 톨리아라 | 18949km2 | 900,235 | |
아노시 | 톨리아라 | 29505km2 | 809,051 | |
'합계' | 591896km2 | 25,674,196 |
4. 행정 구역
마다가스카르는 22개의 지역(faritra)으로 나뉜다.[8] 각 지역은 다시 119개의 구, 1,579개의 코뮌, 17,485개의 포콩타니(fokontany)로 세분된다.[177]
신설 지역 | 이전 주 | 면적 (km2프랑스어) | 인구 (2018)[179] |
---|---|---|---|
디아나 | 앙시라나나 | 19993km2 | 889,962 |
사바 | 앙시라나나 | 23794km2 | 1,123,772 |
이타시 | 안타나나리보 | 6579km2 | 898,549 |
아날람앙가 | 안타나나리보 | 17346km2 | 3,623,925 |
바키난카라트라 | 안타나나리보 | 17884km2 | 2,079,659 |
봉골라바 | 안타나나리보 | 18096km2 | 670,993 |
소피아 (7) | 마하장가 | 50973km2 | 1,507,591 |
보에니 | 마하장가 | 31250km2 | 929,312 |
베치보카 | 마하장가 | 28964km2 | 393,278 |
멜라키 | 마하장가 | 40863km2 | 308,944 |
알라오트라 망고로 | 토아마시나 | 27846km2 | 1,249,931 |
아트시나나 | 토아마시나 | 22031km2 | 1,478,472 |
아날란지로포 | 토아마시나 | 21666km2 | 1,150,089 |
아모론이 마니아 | 피아나란차소아 | 16480km2 | 837,116 |
오트 마치아트라 | 피아나란차소아 | 20820km2 | 1,444,587 |
바토바비-피토비나니 | 피아나란차소아 | 20740km2 | 1,440,657 |
아치모-아치나나 | 피아나란차소아 | 16632km2 | 1,030,404 |
이호롬베 | 피아나란차소아 | 26046km2 | 418,520 |
메나베 | 톨리아라 | 48814km2 | 692,463 |
아치모-안드레파나 | 톨리아라 | 66627km2 | 1,797,894 |
안드로이 | 톨리아라 | 18949km2 | 900,235 |
아노시 | 톨리아라 | 29505km2 | 809,051 |
'합계' | 591896km2 | 25,674,196 |
마다가스카르는 중앙과 지방의 권력 균형 문제가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행정 구역을 오랫동안 유지하다가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쳤다. 2014년경부터 재편을 위한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2015년 4월 1일 내무·지방분권화부 법령에 따라 주(Provinces)-현(Préfectures)-군(Districts)-행정구(Arrondissements Administratifs)의 4단계 구조로 변경되었다.[390]
5. 기후
마다가스카르는 북쪽은 열대 기후, 중부 고원 지대는 아열대 및 온대, 남부는 약간의 사막성 기후와 온대로 이루어져 있다. 남반구에 위치하여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다.
남동쪽의 무역풍과 북서쪽의 몬순이 결합하여 잦은 사이클론을 동반한 무더운 우기(11월~4월)와 비교적 서늘한 건기(5월~10월)가 나타난다. 인도양에서 발생한 비구름은 섬 동쪽 해안에 많은 비를 뿌리며, 이는 열대 우림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앙 고원 지대는 더 건조하고 서늘하며, 서쪽은 더욱 건조하다. 섬의 남서부와 남부 내륙에는 반건조 기후가 나타난다.[110]
열대성 사이클론은 인프라와 지역 경제에 피해를 주고 인명 피해를 유발한다.[112] 2004년 가필로 사이클론은 마다가스카르를 강타한 가장 강력한 사이클론으로 기록되었으며, 172명의 사망자와 214,260명의 이재민을 발생시켰고,[113] 2.5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혔다.[114] 2022년 2월 바치라이 사이클론으로 121명이 사망했고,[15][115] 몇 주 전 아나 사이클론으로 55명이 사망하고 13만 명이 집을 잃었다.[116]
2022년 분석에 따르면 마다가스카르는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비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117]
6. 종교
마다가스카르 인구의 약 절반이 전통적인 종교 의례를 실천하고 있다.[348] 마다가스카르의 전통 종교는 살아있는 자와 “라자나”(조상)의 유대감을 강조하며, 섬 전역에 다양한 조상 묘 건축물이 퍼져 있다. 중앙 고원을 중심으로 가족의 유골을 조상 묘에서 정기적으로 꺼내 새 명주실로 싸서 다시 조상 묘에 안치하는 “파마디하나”라고 불리는 재장례 의식이 행해진다. 파마디하나는 사랑하는 조상의 기억을 기리고, 가족과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기회이자, 축제 분위기를 즐기는 기회이다. 인근 마을 사람들도 연회에 초대되어 음식과 럼주 등으로 대접받으며, 히라가시 연주나 기타 음악으로 오락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417]
조상에 대한 배려는 “파디”에 대한 헌신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파디는 금기(타부)를 의미하며, 어떤 사람이 어떤 일을 금기시하면, 그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은 물론, 죽은 후에도 그 금기는 존중된다. 이처럼 조상에 대한 존경을 계속해서 보이는 한, 조상들은 살아있는 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널리 믿어진다. 반대로 불운한 일이 있으면, 그것은 기억이나 소망이 무시된 조상들에게 돌려진다. 조상들을 달래거나 칭찬하기 위해 예로부터 제부를 제물로 바치는 일이 자주 행해졌다. 또한 마다가스카르에는 조상 숭배 외에도, 자나하리와 안드리아마니트라라고 불리는 창조신 신앙도 있다.[418]
마다가스카르 인구의 약 절반이 기독교인이며, 그중 개신교 신자들이 로마 가톨릭 신자들보다 약간 더 많다.[348] 1818년 런던 선교 협회가 처음으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선교사를 파견하여 교회를 세우고 성경을 마다가스카르어로 번역했다. 개종자도 점차 늘어났지만, 라나발로나 1세 여왕은 1835년 개종자에 대한 박해를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서양의 마다가스카르에 미치는 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막으려는 측면도 있었다. 그러나 2대 후의 라나발로나 2세 여왕은 즉위 직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선교사의 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신앙을 무너뜨리는 상징으로 “상피”라고 불리는 왕권을 상징하는 우상을 불태웠다.[419]
오늘날 많은 기독교인들은 그 교리를 조상 숭배와 관련된 전통적인 신념과 통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친척의 죽음에 관해 교회에서 죽은 자에게 축복을 내린 후 전통적인 장례식을 치르거나, 파마디하나 연회에 기독교 성직자를 초대하는 경우가 있다.[417] 기독교회를 관할하는 협의회는 종파별로 4개가 있으며, 정치적 영향력도 강하다.[420] 그 외에도 진료소를 겸한 교회를 짓고 지방에서 급속히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파벌도 있다.[421]
이슬람교는 중세에 무슬림 아랍인과 소말리아인 상인들에 의해 전래되었다. 동해안을 따라 마드라사가 세워졌고, 마다가스카르 섬 전역에서 아랍 문자와 아랍어 차용어가 사용되거나 이슬람 점성술이 채택되었으나, 신앙 자체는 남동부의 소수 공동체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퍼지지 않았다. 오늘날 총 인구의 7%가 무슬림이며, 대부분 북서부의 마하장가와 안치라나나 2개 주에 집중되어 있다. 그들 대부분은 수니파이다. 마다가스카르 토착 민족 그룹에 속한 무슬림 외에도 인도계, 파키스탄계, 코모로계 무슬림이 있다. 마다가스카르의 힌두교는 19세기 말경 인도 구자라트 주 카티야와르 반도에서 마다가스카르로 이주한 사우라슈트라인에 의해 전래되었으며, 마다가스카르의 힌두교도들은 대부분 집에서는 구자라트어나 힌디어를 사용한다.[422]
7. 문화
이 나라는 흑인 등의 주민이 다수를 차지하는 아프리카 대륙의 다수 국가들과 이질적인 면이 많으며, 특히 언어나 생활풍습 등 여러 면에서 동남아시아 국가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과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이들의 조상은 인도네시아에서 넘어온 말레이족으로 추정된다.
마다가스카르의 수많은 민족 집단은 각자 고유한 정체성에 기여해 온 자신들만의 신앙, 관습, 삶의 방식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섬 전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핵심 문화적 특징들이 있어 강력한 통합된 마다가스카르 문화 정체성을 만들어낸다. 공통 언어와 창조주 신에 대한 공유된 전통 종교적 신앙, 조상 숭배 외에도, 전통적인 마다가스카르 세계관은 ''fihavanana''(연대), ''vintana''(운명), ''tody''(업보), 그리고 전통 공동체가 공동체나 가족 내 권위자들에게 깃들어 권위를 부여한다고 믿는 신성한 생명력인 ''하시나''를 강조하는 가치에 의해 형성된다. 섬 전체에서 흔히 발견되는 다른 문화적 요소로는 남성 할례, 강력한 혈족 관계, 마법, 점쟁이, 점성술, 무당의 힘에 대한 믿음, 귀족, 평민, 노예로 나뉘는 전통적인 계급 사회가 있다.[112][236]
사회 계급은 더 이상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조상의 계급 소속은 종종 사회적 지위, 경제적 기회, 공동체 내 역할에 영향을 미친다.[252]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아랍인들이 도입한 점성술 시스템에 따라 결혼식이나 ''famadihana''와 같은 중요한 행사에 가장 길한 날을 확인하기 위해 ''Mpanandro''("날을 만드는 사람들")와 상담한다. 식민지 이전 시대의 많은 마다가스카르 공동체의 귀족들은 조상을 초기 소말리아 정착민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동부 안테모로족 민족 집단의 ''ombiasy''(''olona-be-hasina'', "많은 미덕을 가진 사람") 고문을 고용했다.[253]
마다가스카르 문화의 다양한 기원은 유형적인 표현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마다가스카르를 가장 상징하는 악기인 ''발리하''는 초기 정착민들이 보르네오 남부에서 가져온 대나무 튜브 시터이며,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발견되는 것과 형태가 매우 유사하다.[254] 전통적인 마다가스카르 가옥은 보르네오 남부 가옥과 유사하며, 박공 지붕과 중앙 기둥이 있는 직사각형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255] 널리 퍼진 조상 숭배를 반영하여 무덤은 많은 지역에서 문화적으로 중요하며, 돌과 같은 더 내구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사람들의 집보다 더 정교한 장식을 보인다.[256] 비단 생산과 직조는 섬의 초기 정착민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마다가스카르의 전통 의상인 ''람바''는 다양하고 정교한 예술로 발전했다.[257]
동남아시아의 영향은 마다가스카르 요리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쌀은 매끼니마다 다양한 채소 또는 고기 요리와 함께 먹는다.[279] 아프리카의 영향은 제부 소의 신성함과 소유주의 부를 구현하는 전통에서 반영되며, 이는 아프리카 본토에서 유래했다. 소 도둑질은 원래 마다가스카르 평원 지역의 젊은 남성들을 위한 통과 의례였지만, 목동들이 창으로 무장한 전문 소 도둑들과 맞서 소를 방어하면서 위험하고 치명적인 범죄 행위가 되었다.[50]
마다가스카르는 해안 지역의 ''salegy''나 고지대의 ''hiragasy''와 같이 마을 모임, 지역 무도장, 전국 방송을 활기 넘치게 하는 수십 가지 지역 음악 장르에 구현된 풍부한 음악 유산을 발전시켜 왔다.[263] 고전 음악 문화를 꾸준히 키워나가고 있다.
조형 예술 또한 섬 전체에 널리 퍼져 있다. 비단 직조와 람바 생산 외에도 라피아 및 기타 지역 식물 재료의 직조는 바닥 매트, 바구니, 지갑, 모자와 같은 다양한 실용적인 물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다.[206] 목각은 고도로 발전된 예술 형식이며, 발코니 난간 및 기타 건축 요소의 장식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지역 스타일이 있다. 조각가들은 다양한 가구와 가정 용품, ''알로알로'' 장례 기둥, 목조 조각품을 제작하며, 관광 시장을 위해 생산된다.[264] 중부 고원 지대의 자피마니리 사람들의 목공 전통은 2008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265]
안타이모로 사람들 사이에서는 꽃과 기타 장식적인 천연 재료가 박힌 종이의 생산이 전통으로 자리 잡았으며, 에코 관광객에게 판매한다.[264] 자수와 수공예는 옷, 테이블보, 기타 가정용 섬유를 생산하여 지역 공예 시장에서 판매한다.[206] 마담 조와 같은 마다가스카르 예술가들은 직물 전통을 자신의 작품에 통합해 왔다.[266] 안타나나리보와 기타 도시 지역의 미술관에서는 지역 예술가들의 그림을 전시하고 있으며, 수도에서 열리는 호소트라 야외 전시회와 같은 연례 예술 행사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미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267]
마다가스카르에는 여러 전통 놀이가 있다. 손 격투의 일종인 ''모라잉이(Moraingy)''는 해안 지역에서 인기 있는 관중 스포츠이며, 전통적으로 남성이 행했지만, 최근에는 여성도 참여한다.[268] 제부 소 씨름인 사비카(savika) 또는 톨론옴비(tolon-omby)도 많은 지역에서 행해진다.[269] 가장 상징적인 게임 중 하나는 고지대에 널리 퍼져 있는 보드 게임 ''파노로나(fanorona)''이다. 민간 전설에 따르면, 안드리안자카 왕이 아버지 라람보에 이어 왕위를 계승한 것은 형이 파노로나 게임에 빠져 책임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270]
지난 2세기 동안 서구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소개되었다. 럭비 유니온은 국가 스포츠로 여겨진다.[271] 축구도 인기가 많다. 마다가스카르는 보울링과 비슷한 프랑스 게임 페탱크(pétanque)에서 세계 챔피언을 배출했으며, 도시 지역과 고지대에서 널리 행해진다.[272] 학교 육상 프로그램에는 축구, 육상, 유도, 권투, 여자 농구, 여자 테니스가 포함된다. 마다가스카르는 1964년 올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를 파견했으며, 아프리카 게임에도 참가했다.[111] 스카우트는 세 개의 스카우트 클럽으로 구성된 자체 지역 연맹인 Firaisan'ny Skotisma eto Madagasikara에 의해 대표된다. 2011년 회원 수는 14,905명이었다.[273]
안타나나리보는 201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274], 2009년 FIBA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275], 2014년 FIBA 아프리카 18세 이하 선수권 대회[276], 2013년 FIBA 아프리카 16세 이하 선수권 대회[277], 2015년 FIBA 아프리카 16세 이하 여자 선수권 대회[278] 등 아프리카 최고의 국제 농구 행사를 여러 차례 개최했다. 마다가스카르 국가 3x3 농구팀은 2019년 아프리카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마다가스카르 요리는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인도, 중국, 유럽 요리 전통의 영향을 반영한다. 섬 대부분에서 현대 요리는 곁들임 요리(''laoka'')와 함께 제공되는 쌀(''vary'')을 기본으로 한다. ''laoka''는 채식이거나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강, 양파, 마늘, 토마토, 바닐라, 코코넛 밀크, 소금, 카레 가루, 녹색 후추 등으로 맛을 낸 소스가 특징이다. 건조한 남부와 서부 지역에서는 목축 가정이 쌀 대신 옥수수, 카사바, 발효된 제부 우유로 만든 치즈를 사용한다. 다양한 프리터와 길거리 음식, 열대 및 온대 기후 과일도 있다. 지역 음료에는 과일 주스, 커피, 허브티, 차, 럼주, 와인, 맥주와 같은 알코올 음료가 있다.[279] 쓰리 호스 맥주는 섬에서 가장 인기 있는 맥주이며[280] 마다가스카르를 상징한다.[281]
7. 1. 문학
마다가스카르에서는 구전 및 기록 문학이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섬의 가장 중요한 예술 전통 중 하나는 ''hainteny''(시), ''kabary''(공개 연설), ''ohabolana''(속담)과 같은 형태로 표현되는 연설이다.[258][259] 이러한 전통을 보여주는 서사시인 ''Ibonia''는 수세기 동안 섬 전체에서 여러 다른 형태로 전해져 내려왔으며, 전통 마다가스카르 공동체의 다양한 신화와 신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260]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 대륙에 속하나 주민 대부분은 말레이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은 역사적 경험과 아프리카에 가까운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문화적, 문학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마다가스카르의 주요한 문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예로는 웅변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카바리가 있다. 카바리란 마다가스카르 구전 문학의 일종으로 신화적 특성과 철학적 논변의 특징을 지닌다. 카바리는 단순히 유흥과 오락 성격의 구술적 문학이 아니라, 정치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20세기에 아프리카 최초의 현대 시인으로 여겨지는 장-조셉 라베아리벨로[261]와 마다가스카르 시의 새로운 물결의 모범인 엘리 라자오나리손[262]과 같은 예술가들에 의해 계속되었다.
8. 정치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마다가스카르는 국민 시위, 선거 분쟁, 탄핵, 쿠데타, 암살 등 정치적 변혁을 겪었다.[163] 2001년 대통령 선거 이후 집권자 라시라카와 도전자 마크 라발로마나나 사이의 8개월 동안 지속된 대치는 마다가스카르에 큰 경제적 손실과 인프라 손상을 초래했다.[163] 2009년 초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라발로마나나에 대항하여 주도한 일련의 시위는 170명 이상이 사망하는 폭력 사태로 번졌다.[164] 이러한 정치 위기는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아 지역 경제, 국제 관계, 국민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친다.[163]
마다가스카르는 1963년 설립되어 2002년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된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창립 회원이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주류 아프리카 문제의 변방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166] 2001년 대통령 선거 결과 분쟁으로 인해 첫 번째 아프리카 연합 정상 회담에 참석하지 못했지만, 2003년 7월 아프리카 연합에 재가입했다.[166] 2009년 정치 위기 이후 아프리카 연합으로부터 회원 자격이 정지되었다.[166]
마다가스카르는 국제형사재판소의 회원국이며, 미국 군대에 대한 보호를 위한 양자 면책 협정을 체결했다.[8] 프랑스, 영국, 미국, 중국, 인도를 포함한 11개국이 마다가스카르에 대사관을 설립했으며,[167] 마다가스카르는 다른 16개국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마다가스카르의 인권은 헌법에 의해 보호되며, 국가는 세계인권선언과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포함한 수많은 국제 협약의 서명국이다.[168] 종교, 민족, 성적 소수자는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결사와 집회의 자유도 법적으로 보장되지만, 실제로는 공공 집회 허가 거부가 정치 시위를 막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216][168] 보안군의 고문은 드물며, 국가 억압은 비교적 낮지만, 임의 체포와 군경의 부패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216] 라발로마나나는 2004년 부패 방지국인 BIANCO를 설립하여 부패를 줄이려 했지만, 고위 관리는 기소되지 않았다.[216] 정부 야당에 대한 보도 제한으로 인해 언론 검열에 대한 비난이 제기되었다.[169] 일부 언론인들은 가짜 뉴스를 유포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170]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6월 26일 독립 직후인 1960년 9월 20일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180] 2017년 1월 기준으로 마다가스카르 경찰 34명이 유엔 해티 안정화 임무의 일환으로 해티에 파병되었다.[181] 2015년부터 세계식량계획은 마다가스카르 남부 지역의 식량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82] 이 프로그램은 농촌과 도시 우선 지역의 특정 학교에 식사를 제공하고 전국적인 학교 급식 정책을 개발하여 영양 공급의 일관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82] 또한 소규모 지역 농민들에게 생산량과 품질 향상을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182] 2017년 마다가스카르는 유엔 핵무기 금지 조약에 서명했다.[183]
마다가스카르는 독립 후 3번의 헌법 개정을 거쳐 제4공화국 체제에 이르고 있다.
19세기 메리나족이 해안 지역 사회를 지배한 역사는 현대 정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고지대와 해안 지역 주민 사이의 긴장은 주기적으로 폭력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165]
9. 경제
마다가스카르는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바닐라, 쌀, 설탕 등을 주요 수출품으로 삼고 있다. 특히 전 세계 바닐라 생산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바닐라 생산이 중요하다.[396] 카카오 또한 고급 상품으로 알려져 있다.[397] 이 외에도 사파이어를 비롯한 여러 보석이 많이 생산되는데, 1998년 남서부 내륙의 일라카카에서 사파이어가 발견된 이후 전 세계 사파이어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202] 니켈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함께 주요 생산국이며, 흑연, 코발트 등도 생산된다. 특히 코발트 생산량의 대부분은 코발트 제련을 거치며, 캐나다의 쉐리트, 일본의 스미토모, 한국광물공사의 투자를 받았다.
경제 발전은 주로 수도 안타나나리보와 일부 지방 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농촌 지역은 아직 발전이 미흡하다. 도시 지역조차도 고속도로가 없고, 국도는 2차선으로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물류와 인적 자원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기반시설 건설은 해외원조에 의존하고 있다.
1972년 라마난초아 군사 정권은 탈식민주의를 명분으로 1973년 프랑화 지역에서 탈퇴했다. 이는 프랑스와의 특권적 관계를 해소하고 국가 독립성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으나, 사회주의 정권의 등장은 경제 발전을 저해했다. 외국 기업 국유화로 외국 자본이 유출되고 인도인과 중국인 일부만 남게 되면서 경제는 공황 상태에 빠졌다. 디디에 라치라카는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하고 친소 정책을 펼치며 중국, 북한과 우호 관계를 맺었다. 프랑스군 철수, 프랑스 대사관 및 영사관 폐쇄, 프랑스 금융기관 및 주요 산업 무상 몰수 등으로 프랑스와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1975년 개헌을 통해 혁명적 사회주의를 표방했으나, 노조 총파업, 학생 시위, 친정부 폭력 집단과 마다가스카르 쿵푸 협회 간의 충돌 등 정치적 소요가 계속되었다.
제1공화국 시대에는 프랑스의 영향력이 강했고, 프랑스가 주요 무역 상대국이었다. 주요 농산물은 국가 주도로 생산 및 유통되었고, 농촌 개발 및 국영 농장 정책을 통해 생산량 증대를 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 대한 불만은 사회주의 정권의 제2공화국 성립으로 이어졌다. 제2공화국에서는 민영 은행, 보험 회사 국유화, 주요 산업 전매제 확립, 수출입 및 해외 수송 정부 관리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경제는 급속히 악화되어 수출 급감, 공업 생산 75% 감소, 물가 급등, 정부 부채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농촌 인구는 생계 유지조차 어려워졌고, 수출 수입의 절반 이상이 부채 상환에 사용되었다.[352]
1982년 국가 재정이 파탄나자 국제통화기금(IMF)은 구조 조정 프로그램과 경제 자유화를 요구했고, 국영 기업은 점차 민영화되었다. 1991년 정치 위기로 IMF와 세계은행의 지원이 중단되었으나, 알베르 자피 탄핵 후 임시 정부가 들어서면서 지원이 재개되었다. 2004년 IMF는 라발로마나나 정권 하에서 부채의 절반을 탕감했고, 2005년 마다가스카르는 미국의 밀레니엄 챌린지 어카운트를 받는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348]
2009년 국내총생산(GDP)은 86억 달러, 1인당 GDP는 438달러로 추산되었으며,[348] 인구의 약 69%가 하루 1달러 미만의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392] 2011년 기준 농업 부문은 GDP의 29%, 제조업은 15%를 차지하며,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은 관광, 농업, 천연자원 추출 산업이다.[393] 특히 관광업은 에코투어리즘에 주력하며, 마다가스카르의 독특한 생물다양성, 자연, 국립공원, 영장류 등을 활용하고 있다.[394] 2008년에는 약 36만 5천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으나, 정치 불안으로 인해 2010년에는 약 18만 명으로 감소했다.[393] 2015년 경제 성장률은 3.1%로 인구 증가율을 겨우 넘어섰다.[395] 중국과의 무역이 크게 증가하여 무역 총액이 10억 1,000만 달러에 달했고, 프랑스와의 무역 총액은 7억 4,600만 달러로, 독립 이후 처음으로 최대 무역 상대국이 바뀌었다.
2009년 기준 수출은 GDP의 28%를 차지하며,[348] 주요 수출 품목은 섬유 산업, 수산물, 바닐라, 정향(클로브), 기타 식품이다.[393] 주요 무역 상대국은 프랑스, 미국, 일본, 독일 등이다.[352] 2003년에는 마다가스카르 경공업 생산자와 미국 국제개발처의 협력으로 마다가스카르-미국 비즈니스 협의회가 출범하여 수공예품의 해외 시장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398] 식료품, 연료, 자본재, 차량, 소비재, 전자 제품 등의 수입은 GDP의 52%를 차지하며,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중국, 이란, 모리셔스, 홍콩 등이다.[348]
마다가스카르의 천연자원으로는 다양한 농산물과 광물이 있다. 라피아야자 재배, 어업, 임업을 포함한 농업이 경제의 주축이다. 마다가스카르는 천연 바닐라, 정향, 일랑일랑[399] 등의 주요 공급국 중 하나이다.[400] 기타 주요 농산물로는 커피, 라이치, 새우가 있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다양한 보석 및 준보석이 있으며, 1990년대 후반 일라카카 근처에서 발견된 사파이어 광맥은 2001년 기준 세계 사파이어 공급량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401]
마다가스카르에는 세계 최대 매장량을 가진 일메나이트(티탄 광물) 광산이 있으며, 석탄, 크롬철광, 철광석, 코발트, 구리, 니켈 등도 많이 생산된다.[352] 리오 틴토 그룹의 트라날 근처 중금속 사광 채굴,[402] 셰릿 인터내셔널의 무람만가 니켈 채굴 및 투아마시나 정련,[403] 마다가스카르 석유의 치밀루 및 베므랑가 육상 중질유 광상 개발[404] 등 광업, 석유·천연가스 부문의 대규모 프로젝트는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수도와 전력 공급은 국영 기업인 지라마(Jirama)사가 담당하지만, 2009년 기준 상수도 이용 인구는 6.8%, 전력 이용 인구는 9.5%에 불과했다. 총 발전량 중 56%는 수력 발전에, 44%는 디젤 엔진 발전에 의존한다.[405] 이동통신과 인터넷 접속은 도시 지역에서는 확대되고 있지만, 지방에서는 제한적이다. 전국 토지 면적의 약 30%에서 휴대전화나 전화 회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접속할 수 있다.
10. 인문 환경
말라가시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섬 전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라가시어는 11개의 방언으로 나뉘며, 크게 동부와 서부 마다가스카르어로 구분된다. 동부 마다가스카르어는 안타나나리보의 메리나 방언을 포함하며, 서부 마다가스카르어는 서부 해안 평야 전역에서 사용된다.[465] 이 방언들은 대체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225][409] 마다가스카르어는 동남 바리토어파에서 유래했으며, 마아냐안어가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이고, 말레이어와 자바어 차용어를 포함한다.[226][227]
프랑스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프랑스어는 말라가시어와 함께 공식어이다.[465] 1958년 최초의 헌법에서 마다가스카르어와 프랑스어는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코포니 국가이며, 프랑스어는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제2언어로 사용되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에도 사용된다.[112] 마다가스카르인들은 공적 문서를 프랑스어로 작성하고 구어에서는 말라가시어를 사용하는 양층언어 현상을 보인다.[465]
1992년 헌법에는 공용어가 언급되지 않았지만, 마다가스카르어는 국어로 지정되었다. 2007년 헌법은 마다가스카르어, 프랑스어, 영어의 세 가지 공용어를 인정했으나,[230] 2010년 국민투표[1] 이후 2010년에 채택된 네 번째 헌법에서는 마다가스카르어와 프랑스어만을 인정했다.
17년 동안 실행한 말라가시화 정책의 실패로, 말라가시어와 프랑스어 중 어느 하나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상황에서 두 언어를 섞어 쓰는 바리아미나나라는 사회 방언이 나타났다. 이는 마다가스카르 사회 전반에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465]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Malagasy Sign Language|마다가스카르 수화영어는 1960년대에 안치라베에 마다가스카르 최초의 농학교가 설립될 당시 노르웨이 교사들이 지원하여 Norwegian Sign Language|노르웨이 수화영어에서 많은 수화 단어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414]
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의 다른 흑인 다수 국가들과는 다르게, 독특한 인종 구성을 가진다. 주민 대다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말레이 인종계 후손이다. 이 중 메리나인이 26%로 가장 많고, 아랍계 혼혈인 베티미사라카족이 15%, 동남아시아계 베틸레우족이 12%, 투미헤티족이 7%, 사칼라바족이 6.2%를 차지한다. 약 1200년 전 인도네시아에서 배가 표류되어 온 30여 명의 동남아시아 여성이 이들의 시초라고 한다.
중부 고원지대에 사는 메리나족은 계단식 관개 시설을 이용해 농사를 지어왔는데, 이는 이들의 조상이 아시아에서 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동남아시아 출신 메리나족은 섬 중앙에 왕국을 건설했고, 원주민으로 불리는 주변 해안 부족들을 다스리며 상위 계층으로 활동했다. 이는 프랑스의 분할 식민 통치로 더욱 강화되었고, 현재까지도 공무원, 지식인, 상공인 등 상위 계층의 대부분이 메리나인이다. 이러한 상황은 주변 종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졌다.[39]
마다가스카르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마다가스카르인은 일반적으로 18개의 소집단으로 나뉜다.[8] 최근 DNA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인 마다가스카르인의 유전적 구성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동아프리카 유전자가 거의 동등하게 혼합된 것이다.[220][221][222] 그러나 일부 지역 사회는 동남아시아 또는 동아프리카 기원이 우세하거나, 일부 아랍인, 인도인, 유럽인 조상의 영향을 보이기도 한다.[223]
보르네오 남부 출신의 동남아시아계 특징은 중앙 고원 지대의 메리나인에게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65] 메리나인은 마다가스카르 최대 민족 소집단으로 인구의 약 26%를 차지한다. 반면 서부 해안 지역 주민들(총칭하여 ''côtiers'') 중 일부는 동아프리카계 특징이 더 강하다. 가장 큰 해안 민족 소집단은 베치미사라카인(14.9%)과 치미헤티인, 사칼라바인(각각 6%)이다.[112] 동해안과 남동해안 사람들은 대개 오스트로네시아계와 반투계 조상이 거의 동등하게 섞여 있다. 해안 주민들은 내륙 고지대 주민들에 비해 수 세기 동안 아랍인, 소말리아인, 구자라트인, 타밀 상인들의 유전적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민족 소집단 | 지역적 집중 |
---|---|
안타카라나인, 사칼라바, 치미헤티 | 구 안시라나나 주; 북부와 북서부 해안 |
사칼라바, 베조 | 구 마하장가 주; 서부 해안 |
베치미사라카, 시하나카인, 베자노자노인 | 구 토아마시나 주; 동부 해안 |
메리나 | 구 안타나나리보 주; 중앙 고원 지대 |
베치레오, 안타이파시인, 안탐바호아카인, 안타이모로, 안타이사카, 타날라인 | 구 피아나란추아 주; 남동부 해안 |
마하팔리인, 안탄드로이인, 안타노시인, 바라, 베조인 | 구 톨리아라 주; 남부 내륙 지역과 해안 |
중국인, 인도인, 코모로인 소수 민족도 마다가스카르에 거주하며, 소수의 유럽인(주로 프랑스인)도 있다. 1976년 마하장가에서 발생한 반 코모로 폭동 이후 코모로인들의 탈출과 같은 사건으로 이들 소수 민족 인구가 감소했다.[112] 1980년대 중반에는 마다가스카르에 약 25,000명의 코모로인, 18,000명의 인도인, 9,000명의 중국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12]
2024년 마다가스카르 인구는 1900년 220만 명에서 크게 증가하여 32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19][112] 2024년 마다가스카르의 연간 인구 증가율은 약 2.4%였다.[219] 인구의 약 39.3%가 15세 미만이며, 57.3%가 15세에서 64세 사이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한다.[219] 독립 후 1975년과 1993년 두 차례의 전국 인구 조사만 실시되었다. 섬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동부 고지대와 동해안이며, 인구 밀도가 낮은 서부 평원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112]
10. 1. 언어
말라가시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섬 전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라가시어는 11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크게 동부 마다가스카르어와 서부 마다가스카르어로 나뉜다. 동부 마다가스카르어는 안타나나리보의 메리나 방언을 포함한 동부 숲과 고원 지대에서 사용되며, 서부 마다가스카르어는 서부 해안 평야 전역에서 사용된다.[465] 이 방언들은 대체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225][409] 마다가스카르어는 동남 바리토어파에서 유래했으며, 마아냐안어가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이며, 수많은 말레이어와 자바어 차용어를 포함하고 있다.[226][227]프랑스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프랑스어는 말라가시어와 함께 공식어를 겸하고 있다.[465] 마다가스카르가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온 식민지 시대에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1958년 최초의 헌법에서 마다가스카르어와 프랑스어는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의 공용어로 명명되었다.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코포니 국가이며, 프랑스어는 주로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제2언어로 사용되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에도 사용된다.[112] 마다가스카르인들은 공적 문서를 프랑스어로 작성하며 구어에서는 말라가시어를 사용하는 양층언어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465]
1992년 헌법에는 공용어가 언급되지 않았지만, 마다가스카르어는 국어로 지정되었다. 2007년 헌법은 마다가스카르어, 프랑스어, 영어의 세 가지 공용어를 인정했으나,[230] 2010년 국민투표[1] 이후 2010년에 채택된 네 번째 헌법에서는 마다가스카르어와 프랑스어만을 인정했다.
17년 동안 실행한 말라가시화 정책에 이어 다시 프랑스어를 교육 언어로 지정한 정책 때문에, 말라가시어와 프랑스어의 혼합 현상이자 사회 방언인 바리아미나나가 출현하였다. 이는 말라가시화 정책의 정책적 실패를 보여 주는 예이다. 말라가시어와 프랑스어 중 어느 하나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한 상황에서 두 언어를 섞어 쓰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마다가스카르 사회 전반에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465]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Malagasy Sign Language|마다가스카르 수화영어는 1960년대에 안치라베에 마다가스카르 최초의 농학교가 설립될 당시 설립을 지원한 노르웨이에서 많은 교사가 파견되었기 때문에, Norwegian Sign Language|노르웨이 수화영어에서 많은 수화 단어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414]
10. 2. 인구와 주민
이 나라는 아프리카의 다른 흑인 다수 국가들과는 다르게, 독특한 인종 구성을 가지고 있다. 주민 대다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말레이 인종계 후손이다. 이 중 메리나인이 26%로 가장 많고, 아랍계 혼혈인 베티미사라카족이 15%, 동남아시아계 베틸레우족이 12%, 투미헤티족이 7%, 사칼라바족이 6.2%를 차지한다. 약 1200년 전 인도네시아에서 배가 표류되어 온 30여 명의 동남아시아 여성이 이들의 시초라고 한다.중부 고원지대에 사는 메리나족은 계단식 관개 시설을 이용해 농사를 지어왔는데, 이는 이들의 조상이 아시아에서 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동남아시아 출신 메리나족은 성장하여 섬 중앙에 왕국을 건설했고, 원주민으로 불리는 주변 해안 부족들을 다스리며 상위 계층으로 활동했다. 이는 프랑스의 분할 식민 통치로 더욱 강화되었고, 현재까지도 공무원, 지식인, 상공인 등 상위 계층의 대부분이 메리나인이다. 이러한 상황은 주변 종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졌다.[39]
마다가스카르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마다가스카르인은 일반적으로 18개의 소집단으로 나뉜다.[8] 최근 DNA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인 마다가스카르인의 유전적 구성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동아프리카 유전자가 거의 동등하게 혼합된 것이다.[220][221][222] 그러나 일부 지역 사회는 동남아시아 또는 동아프리카 기원이 우세하거나, 일부 아랍인, 인도인, 유럽인 조상의 영향을 보이기도 한다.[223]
보르네오 남부 출신의 동남아시아계 특징은 중앙 고원 지대의 메리나인에게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65] 메리나인은 마다가스카르 최대 민족 소집단으로 인구의 약 26%를 차지한다. 반면 서부 해안 지역 주민들(총칭하여 ''côtiers'') 중 일부는 동아프리카계 특징이 더 강하다. 가장 큰 해안 민족 소집단은 베치미사라카인(14.9%)과 치미헤티인, 사칼라바인(각각 6%)이다.[112] 동해안과 남동해안 사람들은 대개 오스트로네시아계와 반투계 조상이 거의 동등하게 섞여 있다. 해안 주민들은 내륙 고지대 주민들에 비해 수 세기 동안 아랍인, 소말리아인, 구자라트인, 타밀 상인들의 유전적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민족 소집단 | 지역적 집중 |
---|---|
안타카라나인, 사칼라바, 치미헤티 | 구 안시라나나 주; 북부와 북서부 해안 |
사칼라바, 베조 | 구 마하장가 주; 서부 해안 |
베치미사라카, 시하나카인, 베자노자노인 | 구 토아마시나 주; 동부 해안 |
메리나 | 구 안타나나리보 주; 중앙 고원 지대 |
베치레오, 안타이파시인, 안탐바호아카인, 안타이모로, 안타이사카, 타날라인 | 구 피아나란추아 주; 남동부 해안 |
마하팔리인, 안탄드로이인, 안타노시인, 바라, 베조인 | 구 톨리아라 주; 남부 내륙 지역과 해안 |
중국인, 인도인, 코모로인 소수 민족도 마다가스카르에 거주하며, 소수의 유럽인(주로 프랑스인)도 있다. 20세기 후반의 이민은 이러한 소수 민족 인구를 감소시켰는데, 1976년 마하장가에서 발생한 반 코모로 폭동 이후 코모로인들의 탈출과 같은 급격한 감소가 있었다.[112] 1980년대 중반에는 마다가스카르에 약 25,000명의 코모로인, 18,000명의 인도인, 9,000명의 중국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12]
2024년 마다가스카르 인구는 1900년 220만 명에서 크게 증가하여 32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19][112] 2024년 마다가스카르의 연간 인구 증가율은 약 2.4%였다.[219] 인구의 약 39.3%가 15세 미만이며, 57.3%가 15세에서 64세 사이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한다.[219] 독립 후 1975년과 1993년 두 차례의 전국 인구 조사만 실시되었다. 섬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동부 고지대와 동해안이며, 인구 밀도가 낮은 서부 평원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112]
11. 대외 관계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잦은 정치적 변혁을 겪었다. 이러한 정치 위기는 지역 경제, 국제 관계, 국민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63] 2009년에는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주도한 시위로 170명 이상이 사망하기도 했다.[164]
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창립 회원국이었으며, 2003년에는 아프리카 연합에 재가입했다. 그러나 2009년 정치 위기로 인해 아프리카 연합 회원 자격이 정지되기도 했다.[166] 마다가스카르는 국제형사재판소 회원국이며,[8] 프랑스, 영국, 미국, 중국, 인도 등 11개국이 마다가스카르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167]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9월 20일 유엔 회원국이 되었으며,[180] 2017년에는 유엔 해티 안정화 임무에 경찰 병력을 파견하기도 했다.[181] 세계식량계획은 마다가스카르의 식량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182] 2017년 마다가스카르는 유엔 핵무기 금지 조약에 서명했다.[183]
11. 1. 대한민국과의 관계
1962년에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나, 1972년 10월 유신 정권 수립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면서 단교하였다. 사회주의 정권 아래의 마다가스카르는 서울 올림픽에 불참하였다. 그러나 1993년 대한민국과 다시 수교하였다. 한국 측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에서, 마다가스카르 측은 일본 도쿄도에서 상주공관을 겸임했으나, 2016년 마다가스카르에 한국 대사관이 개관되었다. 신설된 대사관은 코모로, 모리셔스를 겸임하고 있다.대우그룹이 마다가스카르 영토 상당 부분을 구매해 영농 사업을 했으나, 마다가스카르 농부들을 소작농처럼 부린 탓에 마다가스카르 국민들이 대한민국을 좋지 않게 보고 있다.[163]
11. 2. 프랑스와의 관계
프랑스는 과거 마다가스카르를 지배했었기 때문에, 마다가스카르 정치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다. 마다가스카르의 정치가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자 프랑스 정부는 마다가스카르 정부에 압력을 넣었고, 그 결과 마다가스카르 정부는 프랑스 정부를 달래기 위해 역대 마다가스카르 대통령 5명이 모두 모여 선거를 다시 실시했으며, 가장 나이가 어린 후보인 안드리 라조엘리나가 당선되었다.17세기 초 등장한 고지대 이메리나 왕국은 초기에는 해안가의 더 큰 왕국들에 비해 작은 세력이었으며,[63] 18세기 초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Andriamasinavalona) 왕이 왕국을 네 아들에게 나누면서 더욱 약해졌다.[64] 거의 한 세기 동안의 전쟁과 기근 이후, 이메리나는 1793년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Andrianampoinimerina) 왕 (1787~1810)에 의해 재통일되었다.[64] 초기 수도인 암보히망가(Ambohimanga)[65]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안타나나리보의 로바(Rova of Antananarivo)에서 이 메리나 왕은 이웃 소국들에 대한 지배를 빠르게 확장했다. 섬 전체를 지배하려는 그의 야망은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라다마 1세(Radama I) 왕 (1810~1828)에 의해 크게 달성되었으며, 그는 영국 정부로부터 마다가스카르 왕으로 인정받았다. 라다마 1세는 1817년 영국의 모리셔스(Mauritius) 총독과 조약을 맺어 수익성이 높은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대신 영국의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았다.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의 장인 선교사들이 1818년부터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제임스 캐머런(James Cameron (missionary)), 데이비드 존스(David Jones (missionary)), 데이비드 그리피스(David Griffiths (missionary))와 같은 주요 인물들이 포함되어 학교를 설립하고 말라가시어(Malagasy language)를 라틴 알파벳(Latin alphabet)을 사용하여 기록하고 성경을 번역했으며, 섬에 다양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66]
라다마 1세의 후계자인 라나발로나 1세(Ranavalona I) 여왕 (1828~1861)은 영국과 프랑스의 증가하는 정치적, 문화적 침략에 대응하여 마다가스카르의 기독교(Christianity in Madagascar) 실천을 금지하고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영토를 떠나도록 압력을 가하는 왕실 칙령을 발표했다.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의 윌리엄 엘리스(William Ellis (British missionary))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방문했던 내용을 그의 저서 ''Three Visits to Madagascar during the years 1853, 1854, and 1856''에 기술했다. 여왕은 전통적인 ''강제노역(Corvée)''(세금 납부로서의 강제 노역) 관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2만 명에서 3만 명 사이의 메리나(Merina) 병사들로 구성된 상비군을 육성했으며, 이들을 배치하여 섬의 외곽 지역을 평정하고 메리나 왕국을 마다가스카르 대부분을 아우르도록 더욱 확장했다. 마다가스카르 주민들은 서로 도둑질, 기독교, 특히 마법과 같은 다양한 범죄로 서로 고발할 수 있었으며, 그에 대한 ''탕게나(tangena)'' 시련이 일상적으로 의무였다. 1828년부터 1861년까지 탕게나 시련으로 매년 약 3,000명이 사망했다. 1838년에는 이메리나에서 탕게나 시련으로 인해 최대 1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당시 인구의 약 20%에 해당한다.[67] 정기적인 전쟁, 질병, 어려운 강제 노역, 그리고 가혹한 사법 제도의 조합은 그녀의 33년 통치 기간 동안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높은 사망률을 초래했다. 마다가스카르의 인구는 1833년부터 1839년 사이에 약 500만 명에서 250만 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68]
이메리나에 계속 거주한 사람들 중에는 왕실을 위해 무기 및 기타 산업을 개발한 기업가인 장 라보르드(Jean Laborde)와 프랑스 모험가이자 노예 상인인 조제프-프랑수아 람베르(Joseph-François Lambert)가 있었는데, 당시 왕자였던 라다마 2세(Radama II)는 람베르 헌장(Lambert Charter)이라는 논란이 많은 무역 협정에 서명했다. 어머니를 계승한 라다마 2세는 여왕의 엄격한 정책을 완화하려고 했지만 2년 후 총리 라이니보니나히트리니오니(Rainivoninahitriniony)와 군주제의 절대 권력을 종식시키려고 했던 ''안드리아나(Andriana)'' (귀족)과 ''호바(Hova (Madagascar))'' (평민) 신하들의 동맹에 의해 전복되었다.[112]
쿠데타 이후, 신하들은 라다마 2세의 왕비인 라소헤리나(Rasoherina)에게 총리와 권력을 나누는 데 동의한다면 통치할 기회를 제공했다. 이는 그들 사이의 정치적 결혼으로 봉인될 새로운 사회 계약이었다.[69] 라소헤리나 여왕은 먼저 라이니보니나히트리니오니와 결혼한 다음, 그를 폐위시키고 그의 형제인 총리 라이닐라이아리보니(Rainilaiarivony)와 결혼했다. 그는 나중에 라나발로나 2세(Ranavalona II) 여왕과 라나발로나 3세(Ranavalona III) 여왕과 차례로 결혼했다.[70] 라이닐라이아리보니가 31년 동안 총리로 재직하는 동안 중앙 정부의 권력을 현대화하고 통합하기 위한 많은 정책이 채택되었다.[72] 섬 전체에 학교가 건설되었고 출석이 의무화되었다. 군대 조직이 개선되었고 영국 컨설턴트들이 군인들을 훈련하고 전문화하기 위해 고용되었다.[71] 일부다처제(Polygamy)는 금지되었고 1869년 기독교가 법원의 공식 종교로 선포되었으며, 점점 더 많은 인구 중에서 전통적인 신념과 함께 채택되었다.[72] 법률 코드는 영국의 영미법(common law)을 기반으로 개혁되었고 수도에 세 개의 유럽식 법원이 설립되었다.[71]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그의 공동 역할에서 라이닐라이아리보니는 또한 여러 프랑스 식민지 침입에 대한 마다가스카르의 방어를 성공적으로 보장했다.[71]
참조
[1]
웹사이트
Projet de Constitution de la Quatrième République de Madagascar
http://www.madagasca[...]
Madagascar Tribune
2011-08-24
[2]
웹사이트
MADAGASCAR: general data
http://www.populstat[...]
Populstat.info
2013-07-15
[3]
웹사이트
Madagascar
http://www.globalrel[...]
Pew Research Center
2021-07-14
[4]
웹사이트
Demonyms – Names of Nationalities
http://geography.abo[...]
Geography.about.com
2013-07-15
[5]
웹사이트
Malagasy – National Geographic Style Manual
http://stylemanual.n[...]
2017-02-27
[6]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the Merina Kingdom
https://www.madamaga[...]
2015-08-04
[7]
웹사이트
Madagascar
https://www.lonelypl[...]
2021-03-30
[8]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Madagascar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1-05-03
[9]
웹사이트
By Location | Pivot Table | Data Portal
https://population.u[...]
[10]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adagascar)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11]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CIA Factbook
2021-07-16
[12]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022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2-09-08
[13]
서적
2011
[14]
논문
India-Madagascar Separation: Breakup Along a Pre-existing Mobile Belt and Chipping of the Craton
https://www.scienced[...]
2003-07-01
[15]
논문
Settling Madagascar: When Did People First Colonize the World's Largest Island?
https://www.tandfonl[...]
2020-10-01
[16]
논문
Genetic evidence and historical theories of the Asian and African origins of the present Malagasy population
[17]
뉴스
In French-Tinied Madagascar, African and Asian Cultures Meet
https://www.nytimes.[...]
1971-02-01
[18]
간행물
MADAGASCAR: Aepyornis Island
https://content.time[...]
1942-03-23
[19]
논문
Genome-wide evidence of Austronesian–Bantu admixture and cultural reversion in a hunter-gatherer group of Madagascar
2014-01-21
[20]
웹사이트
About LDCs
http://unohrlls.org/[...]
UN-OHRLLS
[21]
웹사이트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2023: Madagascar
https://hdr.undp.org[...]
2023
[22]
웹사이트
Style Manual
http://stylemanual.n[...]
[23]
웹사이트
Malagasy? Or is it Madagascan? Our research provides the answer
https://theconversat[...]
2020-03-25
[24]
논문
'Malagasy' or 'Madagascan'? Which English term best reflects the people, the culture, and other things from Madagascar?
2019-07
[25]
서적
1895
[26]
서적
2006
[27]
논문
Histoire des noms anciens de Madagascar : réévaluations et nouvelles hypothèses
https://journals.ope[...]
2014-12-30
[28]
서적
Histoire de la géographie de Madagascar
https://books.google[...]
Imprimerie nationale
1885
[29]
서적
2006
[30]
서적
The Antananarvio Annual and Madagascar Magazine
https://books.google[...]
London Missionary Society Press
1893
[31]
서적
Madagascar Before the Conquest: The Island, the Country, and the People, with Chapters on Travel and Topography, Folk-lore, Strange Customs and Superstitions, the Animal Life of the Island, and Mission Work and Progress Among the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896
[32]
서적
Early Kingdoms in Madagascar and the Birth of the Sakalava Empire, 1500-17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67
[33]
서적
Warhafftige, gründliche und aussführliche, so wol historische als chorographische Beschreibung der ... Insul Madagascar. ... Samt ... angehengtem Dictionario und Dialogis der Madagascarischen Sprach
https://books.google[...]
1609
[34]
서적
The Voyage of John Huyghen Van Linschoten to the East Indies: From the Old English Translation of 1598. The First Book, Containing His Description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Hakluyt society
1885
[35]
간행물
America and West Indies: June 1699, 12-20
http://www.british-h[...]
London
1908
[36]
뉴스
The Malagasy
http://www.sabrizain[...]
2023-06-01
[37]
저널
The Story of My Life
https://onemorevoice[...]
2023-06-01
[38]
서적
Madagascar et l'oeuvre du Général Galliéni
https://books.google[...]
A. Rousseau
1903
[39]
저널
A refined chronology of prehistoric Madagascar and the demise of the megafauna
[40]
저널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1993
[41]
저널
A chronology for late prehistoric Madagascar
2004-08-01
[42]
서적
Dominion Over Palm and Pine: Early Indonesia's Maritime Reach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2
[43]
뉴스
Ancient bird bones redate human activity in Madagascar by 6,000 years
https://www.zsl.org/[...]
2018-09-10
[44]
웹사이트
Ancient bird bones redate human activity in Madagascar by 6,000 years
https://phys.org/new[...]
2018-09-12
[45]
저널
Oldest evidence of human activities in Madagascar on subfossil hippopotamus bones from Anjohibe (Mahajanga Province)
[46]
저널
Stone tools and foraging in northern Madagascar challenge Holocene extinction models
[47]
서적
The Genetic Prehistory of Madagascar's Female Asian Lineages
https://books.google[...]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2008
[48]
뉴스
Human expansion 1,000 years ago linked to Madagascar's loss of large vertebrates
https://www.scienced[...]
2022-11-04
[49]
저널
Evidence for drought and forest declines during the recent megafaunal extinctions in Madagascar
[50]
저널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51]
서적
[52]
저널
Genomic landscape of human diversity across Madagascar
2017-08-08
[53]
저널
The genetic history of Mayotte and Madagascar cattle breeds mirrors the complex pattern of human exchanges in Western Indian Ocean
https://academic.oup[...]
[54]
저널
Deforestation and its effects in Highland Madagascar
[55]
웹사이트
Antehiroka et Royauté Vazimba
http://www.madatana.[...]
Madatana.com
[56]
웹사이트
Vazimba: Mythe ou Realité?
https://web.archive.[...]
Madatana.com
[57]
저널
Os dois descobrimentos da ilha de São Lourenço mandados fazer pelo vice-rei D. Jeronimio de Azevedo nos anos de 1613 à 1616
https://www.persee.f[...]
[58]
웹사이트
Cronica do mujto alto e poderoso Rey destes Reynos de Portugal, Dom João o III.
https://books.google[...]
[59]
서적
[60]
서적
[61]
저널
Perspectives on French Colonial Madagascar
https://link.springe[...]
2017
[62]
웹사이트
Kingdoms of Madagascar: Maroserana and Merina
http://www.metmuseum[...]
Metmuseum.org
[63]
서적
[64]
서적
[65]
웹사이트
Royal Hill of Ambohimanga
https://whc.unesco.o[...]
UNESCO
[66]
서적
[67]
저널
The state and pre-colonial demographic history: the case of nineteenth-century Madagascar
1991-10-01
[68]
저널
The state and pre-colonial demographic history: the case of nineteenth century Madagascar
1991-10-01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논문
The Menalamba Revolt and Brigandry in Imperial Madagascar, 1820-1897
https://www.jstor.or[...]
1991-06-06
[79]
서적
L'insurrection malgache de 1947. Essai d'interprétation historique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Genocide, Ethnonationalism, and the United Nations: Exploring the Causes of Mass Killing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6-23
[87]
서적
L'insurrection malgache de 1947. Essai d'interprétation historique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웹사이트
Élection présidentielle à Madagascar: les Ratsiraka, une famille divisée
https://www.lechodus[...]
2023-08-26
[95]
웹사이트
Madagascar: La Crise a un Tournant Critique?
http://www.crisisgro[...]
2010-11-25
[96]
논문
Political change in Madagascar: populist democracy or neopatrimonialism by another name?
http://www.issafrica[...]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4-08-15
[97]
서적
The Political Crisis of March 2009 in Madagascar: A Case Study of Conflict and Conflict Mediation
Rowman & Littlefield
[98]
웹사이트
Centre d'actualités de l'ONU – Madagascar : l'ONU salue le bon déroulement du deuxième tour d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https://www.un.org/a[...]
Un.org
2013-12-20
[99]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about high-stakes Madagascar poll
https://www.aljazeer[...]
2021-03-30
[100]
웹사이트
Madagascar court declares Rajoelina as election winner
https://www.aljazeer[...]
2021-03-30
[101]
웹사이트
Madagascar: Ravalomanana challenges results in court, Rajoelina calls for calm
https://www.africane[...]
2018-12-28
[102]
웹사이트
Madagascar President assured of winning majority seats in parliament
https://www.africane[...]
2019-06-15
[103]
뉴스
Madagascar food crisis caused more by poverty, natural weather than climate change – study
https://www.reuters.[...]
2021-12-01
[104]
웹사이트
Andry Rajoelina: Madagascar president re-elected in contested poll
https://www.bbc.com/[...]
2023-11-26
[105]
웹사이트
Madagascar
https://www.cia.gov/[...]
2011-08-24
[106]
웹사이트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107]
서적
Moriarty (1891)
[108]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East African margin during Jurassic and Lower Cretaceous times: a perspective from global tectonics
http://pg.lyellcolle[...]
2018-02-01
[109]
논문
Late Cretaceous India-Madagascar fit and timing of break-up related magmatism
2000-10-01
[110]
논문
Madagascar as a model region of species diversification
http://www.mvences.d[...]
2009-06-01
[111]
백과사전
Madagascar
https://www.britanni[...]
Eb.com
[112]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Madagascar
http://countrystudie[...]
1994
[113]
웹사이트
Madagascar: Cyclone Gafilo, Final Report, Appeal 08/0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05-02-25
[114]
웹사이트
Madagascar: Saving the children from Gafilo's aftermath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04-07-02
[115]
웹사이트
Southern Africa: Cyclone Season Flash Update No. 6 (Tropical Cyclone Batsirai) (13 February 2022) - Madagascar
https://reliefweb.in[...]
2022-02-15
[116]
뉴스
Cyclone kills at least 10 in Madagascar, destroying homes and cutting power
https://www.reuters.[...]
2022-02-06
[117]
뉴스
Climate adaptation bill for African countries to dwarf health spending
https://www.theguard[...]
2022-07-13
[118]
서적
Origin of the Malagasy Strepshirhine Primat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19]
서적
Hobbes & Dolan (2008)
[120]
서적
Hillstrom & Collier Hillstrom (2003)
[121]
웹사이트
Madagascar and the Indian Ocean Islands
http://www.biodivers[...]
Conservation International
[122]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23]
논문
The endemic and non-endemic vascular flora of Madagascar updated
http://www.mobot.org[...]
[124]
논문
Pachypodium makayense: A New Species From Madagascar
[125]
논문
Biogeography and floral evolution of baobabs (Adansonia, Bombacaceae) as inferred from multiple data sets
[126]
서적
Bradt (2011)
[127]
논문
Modifications on the basic skeletons of vinblastine and vincristine
[128]
논문
Total Synthesis of Vinblastine, Related Natural Products, and Key Analogues and Development of Inspired Methodology Suitable for the Systematic Study of Their Structure-Function Properties
[129]
논문
Stereocontrolled total synthesis of (+)-vincristine
[130]
논문
The Catharanthus alkaloids: Pharmacognosy and biotechnology
[131]
서적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John Wiley & Sons
[132]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Hodgkin Lymphom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7-03-29
[132]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Non-Hodgkin Lymphom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5-31
[133]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Acute Lymphocytic Leukemi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2-18
[133]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2-22
[133]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Childhood Leukemi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2-03
[134]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Neuroblastoma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1-22
[134]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Brain and Spinal Cord Tumors in Children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1-21
[134]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5-16
[134]
웹사이트
Chemotherapy for Testicular Cancer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6-02-12
[135]
논문
From Herbs to Medicines: The Madagascar Periwinkle's Impact on Childhood Leukemia: A Serendipitous Discovery for Treatment
[136]
서적
Botanical Miracles: Chemistry of Plants That Changed the World
CRC Press
[137]
서적
Ellis (1859)
[138]
웹사이트
Ravenala madagascariensis
http://www.floridata[...]
Floridata.com
2000-05-16
[139]
웹사이트
Nature of Madagascar
http://www.lambahoan[...]
Lambahoany Ecotourism Centre
2011-08-24
[140]
간행물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141]
뉴스
Lemurs sliding toward extinction
https://www.bbc.co.u[...]
2012-08-26
[142]
논문
Lemur diversity in Madagascar
https://dukespace.li[...]
2008-12
[143]
논문
Phalangeal curvature and positional behaviour in extinct sloth lemurs (Primates, Palaeopropithecidae)
[144]
논문
Mitogenomic perspectives into iguanid phylogeny and biogeography: Gondwanan vicariance for the origin of Madagascan oplurines
[145]
논문
Rivaling the World's Smallest Reptiles: Discovery of Miniaturized and Microendemic New Species of Leaf Chameleons (Brookesia) from Northern Madagascar
[146]
뉴스
Everglades, Madagascar Rain Forest on UNESCO List
https://abcnews.go.c[...]
2010-07-30
[147]
NatGeo ecoregion
[148]
서적
Kull (2004)
[149]
논문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150]
서적
Emoff (2004)
[151]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52]
논문
Fifty years of deforestation and forest fragmentation in Madagascar
[153]
뉴스
Asian relative of cane toad threatens Madagascar havoc
https://www.bbc.com/[...]
2014-05-29
[154]
서적
Davies (2003)
[155]
뉴스
Lemurs Hunted, Eaten Amid Civil Unrest, Group Say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9-08-21
[156]
뉴스
Madagascar's unique wildlife faces imminent wave of extinction, say scientists
https://www.theguard[...]
2023-01-10
[157]
웹사이트
The Conservation
http://www.parcs-mad[...]
parcs-madagascar.com
[158]
웹사이트
Rainforests of the Atsinanana
https://whc.unesco.o[...]
UNESCO
[159]
뉴스
Shaky Rule in Madagascar Threatens Trees
https://www.nytimes.[...]
2010-05-24
[160]
웹사이트
Liste des institutions gouvernementales de Madagascar (août 2021)
http://mg.mofcom.gov[...]
[161]
서적
Nalla (2010)
[162]
웹사이트
Population of Cities in Madagascar (2017)
http://worldpopulati[...]
[163]
웹사이트
MADAGASCAR: Former president sentenced to five years in prison
http://www.irinnews.[...]
Irinnews.org
2003-12-17
[164]
웹사이트
Madagascar: Appeal launched despite political uncertainty
http://www.irinnews.[...]
Irinnews.org
2009-04-07
[165]
뉴스
Ethnic strife rocks Madagascar
http://news.bbc.co.u[...]
2002-05-14
[166]
뉴스
Pressure grows on Madagascar coup
http://news.bbc.co.u[...]
2009-03-20
[167]
웹사이트
Numéros utiles
http://www.airmadaga[...]
AirMadagascar.com
2012-01-28
[168]
웹사이트
2010 Human Rights Report: Madagascar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1-04-08
[169]
웹사이트
'Madagascar: Media Under Attack One Month After New President Installed', allafrica.com
http://allafrica.com[...]
[170]
뉴스
Madagascar journalist Arphine Helisoa jailed on false news, incitement allegation
https://cpj.org/2020[...]
2020-04-22
[171]
서적
Barendse (2002)
[172]
서적
Freeman & Johns (1840)
[173]
서적
Chapus & Mondain (1953)
[174]
웹사이트
The Military Balance 2010
http://moorishwander[...]
International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175]
서적
Sharp (2002)
[176]
서적
[177]
보도자료
Presentation des resultats de la cartographie numerique en preparation du troisieme recensement generale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ion
https://web.archive.[...]
Institut nationale de la statistique (INSTAT), Government of Madagascar
2012-01-15
[178]
서적
Madagascar: profile des marches pour les evaluations d'urgence de la securite alimentaire
http://documents.wfp[...]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12-01-14
[179]
간행물
Madagascar en chiffres
instat.mg/madagascar[...]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Madagascar
[18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2017-02-02
[181]
웹사이트
UN Mission's Contributions by Country
https://www.un.org/e[...]
2017-02-27
[182]
웹사이트
Madagascar Country Programme (2015–2019) World Food Programme
http://www1.wfp.org/[...]
2017-02-22
[183]
웹사이트
Chapter XXVI: Disarmament – No. 9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9-08-16
[184]
웹사이트
World Bank
https://www.google.c[...]
2017-02-27
[185]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Google Public Data Explorer
https://www.google.c[...]
2017-02-22
[186]
웹사이트
Madagascar at a glance
https://web.archive.[...]
World Bank
2012-02-04
[187]
웹사이트
Madagascar Overview
http://www.worldbank[...]
2017-02-22
[188]
웹사이트
African Economic Outlook 2011: Madagascar
https://web.archive.[...]
AfricanEconomicOutlook.org
2012-01-28
[189]
웹사이트
La filiere Peche
https://www.lexpress[...]
2024-01-30
[190]
논문
Republic of Madagascar: Tourism Sector Study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2-01-28
[191]
웹사이트
Madagascar: obiettivo 500mila visitatori nel 2018
http://www.guidaviag[...]
2017-02-10
[192]
웹사이트
Madagascar – GDP – real growth rate – Historical Data Graphs per Year
https://www.indexmun[...]
2018-06-16
[193]
웹사이트
Business news: Fmi, economia del Madagascar manifesta segnali "incoraggianti"
http://www.agenziano[...]
2018-06-16
[194]
웹사이트
Madagascar – GDP – per capita (PPP) – Historical Data Graphs per Year
https://www.indexmun[...]
2018-11-24
[195]
웹사이트
Madagascar – Unemployment rate – Historical Data Graphs per Year
https://www.indexmun[...]
2018-06-16
[196]
웹사이트
Madagascar – Labor force – Historical Data Graphs per Year
https://www.indexmun[...]
2018-06-16
[197]
웹사이트
Social policy and social protection
https://www.unicef.o[...]
2021-12-19
[198]
서적
[199]
웹사이트
Madagascar Economic Statistics
https://tradecouncil[...]
International Trade Council
2019
[200]
웹사이트
FAO Stat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3-04-13
[201]
뉴스
The real price of Madagascar's vanilla boom
https://www.ft.com/c[...]
2018-09-20
[202]
서적
[203]
웹사이트
About QMM
https://web.archive.[...]
Rio Tinto
2012-09-19
[204]
웹사이트
Metals – Ambatovy Joint Venture
https://web.archive.[...]
Sherritt International Corporation
2012-09-19
[205]
웹사이트
Madagascar's oil fortunes evolving slowly
http://www.ogj.com/a[...]
PennWell Corporation
2012-09-19
[206]
웹사이트
Made in Madagascar: Exporting Handicrafts to the U.S. Market: Final Report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Public-Private Alliance for Rural Development
2011-07-10
[207]
웹사이트
Aperçu de la coopération économique entre la Chine et Madagascar
http://mg2.mofcom.go[...]
2019-11-30
[208]
뉴스
Madagascar starts works on first motorway
https://www.africane[...]
2023-02-19
[209]
웹사이트
Road projects to combat climate events in Madagascar
https://www.eib.org/[...]
2023-04-24
[210]
웹사이트
Madagascar: Project to modernise the RN13 and RN6 national highways - €73.6 million disbursement from EIB and European Union
https://www.eib.org/[...]
2023-04-24
[211]
웹사이트
High prices in Southern Madagascar limit poor households' food access FEWS NET
https://fews.net/sou[...]
2023-04-24
[212]
웹사이트
Madagascar - COUNTRY ECONOMIC MEMORANDUM
https://documents1.w[...]
2023-04-24
[213]
웹사이트
Production Electricité
http://www.jirama.mg[...]
Jirama
2013-08-28
[214]
웹사이트
The World Bank Connectivity for Rural Livelihood Improvement Project
https://documents1.w[...]
2023-04-24
[215]
웹사이트
Madagascar Set to Expand Access to Renewable Energy and Digital Services thanks to $400 Million Credit
https://www.worldban[...]
2023-04-24
[216]
웹사이트
Countries at the Crossroads 2011: Madagascar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2-08-25
[217]
뉴스
Madagascar Profile: Media
https://www.bbc.co.u[...]
2012-08-25
[218]
간행물
Madagascar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09-08
[219]
웹사이트
By Location Pivot Table Data Portal
https://population.u[...]
2024-09-08
[220]
논문
The dual origin of the Malagasy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East Africa: evidence from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http://www.sanger.ac[...]
2011-04-30
[221]
논문
On the origins and admixture of Malagasy: new evidence from high-resolution analyses of paternal and maternal lineages
[222]
논문
A small cohort of Island Southeast Asian women founded Madagascar
2012
[223]
서적
[224]
웹사이트
Madagascar
http://citypopulatio[...]
[225]
서적
[226]
서적
Malgache et Maanjan: une comparaison linguistique
Egede-Instituttet
[227]
서적
The Indonesian Migrations to Madagascar: Making Sense of the Multidisciplinary Evidence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228]
웹사이트
Linguistic policy challenges in Madagascar
https://core.ac.uk/d[...]
2024-06-19
[229]
웹사이트
Haute Cour Constitutionnelle De Madagascar, Décision n°03-HCC/D2 Du 12 avril 2000
Saflii.org
2000-04-12
[230]
웹사이트
Madagascar: 2007 Constitutional referendum
https://web.archive.[...]
Electoral Institute for the Sustainability of Democracy in Africa
2010-06
[231]
웹사이트
Religions in Madagascar | PEW-GRF
http://www.globalrel[...]
Globalreligiousfutures.org
[232]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https://www.thearda.[...]
[233]
웹사이트
Madagascar
https://www.state.go[...]
[2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Madagascar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35]
뉴스
Dead Join the Living in a Family Celebration
https://www.nytimes.[...]
2010-09-05
[236]
서적
[237]
웹사이트
Report of the High Level Committee on the Indian Diaspor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India
[238]
Youtube
FACES OF AFRICA: The Jews of Madagascar
https://www.youtube.[...]
2017-02-27
[239]
논문
The place of healers-diviners (ombiasa) in Betsileo medical pluralism
http://hcs.pitt.edu/[...]
[240]
서적
World Health Statistics 2011
http://www.unfpa.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241]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Midwifery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1-08
[242]
뉴스
'It is a dangerous moment': Madagascar plague death toll reaches 74
https://www.theguard[...]
2017-10-19
[243]
보고서
WFP Madagascar Country Brief
https://docs.wfp.org[...]
World Food Programme
2021-02
[244]
뉴스
Madagascar: Severe drought could spur world's first climate change famine
https://news.un.org/[...]
2021-10-21
[245]
뉴스
How climate change is turning once green Madagascar into a desert
https://www.euronews[...]
2022-03-20
[246]
서적
Ralibera
[247]
웹사이트
La formation du personnel enseignant de l'éducation de base à Madagascar: Une etude de cas. Quelques reflections intéressant la programmation de l'assistance de l'UNICEF
http://unesdoc.unesc[...]
2011-07-10
[248]
논문
State "resilience" and chronic political instability in Madagascar
[249]
논문
Managing for results in primary education in Madagascar: Evaluating the impact of selected workflow interventions
https://www.webcitat[...]
2010-08-06
[250]
서적
Curriculum de formation des élèves-maîtr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51]
웹사이트
Madagascar ranking in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https://www.wipo.int[...]
2024-11-04
[252]
서적
Middleton
[253]
서적
Ames
[254]
논문
Evidence for the Indonesian origins of certain elements of African culture
[255]
논문
House to Palace, Village to State: Scaling up Architecture and Ideology
[256]
서적
Acquier
[257]
서적
Kusimba, Odland & Bronson
[258]
서적
Fox
[259]
웹사이트
Origine Confuse des Vazimba du Betsiriry
http://www.madatana.[...]
Madatana.com
2010-11-11
[260]
웹사이트
Ibonia: the text in 17 sectio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Virginia
2010-11-15
[261]
서적
Rabearivelo
[262]
서적
Auzias & Labourdette
[263]
서적
Randrianary
[264]
서적
Heale & Abdul Latif
[265]
웹사이트
Woodcrafting Knowledge of the Zafimaniry
http://www.unesco.or[...]
UNESCO
2012-08-24
[266]
웹사이트
Is Antananarivo, the capital of Madagascar, Africa's newest art hub?
https://www.theartne[...]
2023-05-04
[267]
뉴스
Des nouveaux talents mis en relief
https://web.archive.[...]
l'expressmada.com
2009-08-07
[268]
서적
Ratsimbazafy
[269]
서적
Kusimba, Odland & Bronson
[270]
웹사이트
Antananarivo: Histoire de la commune
https://web.archive.[...]
[271]
웹사이트
Madagascar take Sevens honour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Rugby Board
2007-08-23
[272]
웹사이트
Madagascar won the World Championship
https://web.archive.[...]
petanque.org
1999-10-04
[273]
웹사이트
Triennal review: Census as of 1 December 2010
https://web.archive.[...]
World Organization of the Scout Movement
2010-12-01
[274]
웹사이트
2011 FIBA Africa Championship
http://madagascar201[...]
FIBA.com
[275]
웹사이트
2009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https://archive.fiba[...]
FIBA.com
[276]
웹사이트
2014 FIBA Africa Under-18 Championship
http://u18madagascar[...]
FIBA.com
[277]
웹사이트
2013 FIBA Africa Under-16 Championship
https://archive.fiba[...]
FIBA.com
[278]
웹사이트
2015 FIBA Africa Under-16 Championship for Women
https://archive.fiba[...]
FIBA.com
[279]
서적
Bradt
[280]
웹사이트
THB Pilsener
https://web.archive.[...]
[281]
웹사이트
THB, star de la bière à Madagascar
https://www.afrik.co[...]
Afrik.com
2008-07-12
[282]
웹사이트
UNData - Zimbabwe
http://data.un.org/e[...]
국연
2020-01-01 #날짜가 2020으로만 되어있어서 1월 1일로 설정했습니다.
[283]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1-02
[284]
웹사이트
Style Manual
http://stylemanual.n[...]
National Geographic
[285]
서적
Cousins
1895
[286]
간행물
マダガスカルを知るための62章
[287]
논문
A refined chronology of prehistoric Madagascar and the demise of the megafauna
[288]
논문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https://doi.org/10.1[...]
1993
[289]
논문
Oldest evidence of human activities in Madagascar on subfossil hippopotamus bones from Anjohibe (Mahajanga Province)
[290]
논문
Stone tools and foraging in northern Madagascar challenge Holocene extinction models
[291]
간행물
マダガスカルを知るための62章
[292]
서적
マダガスカル島(南インド洋地域研究入門)
東海大学出版会
[293]
논문
The Dual Origin of the Malagasy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East Africa: Evidence from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http://linkinghub.el[...]
[294]
서적
Wink
[295]
논문
Deforestation and its effects in Highland Madagascar
[296]
간행물
地域からの世界史9アフリカ
[297]
웹사이트
Antehiroka et Royauté Vazimba
http://www.madatana.[...]
Madatana.com
[298]
웹사이트
Vazimba: Mythe ou Realité?
http://www.madatana.[...]
Madatana.com
[299]
웹사이트
Every Kidd Has His Day: A Story of How Pirates Forced the English to Reevaluate Their Foreign Policy in the Indian Ocean (1690-1700)
https://digitalcolle[...]
2010-04-15
[300]
웹사이트
Pirates & Privateers - Captain Misson & Libertalia
http://www.cindyvall[...]
[301]
서적
Kent
[302]
웹사이트
Kingdoms of Madagascar: Maroserana and Merina
http://www.metmuseum[...]
Metmuseum.org
[303]
서적
Ogot
[304]
서적
Hodder
[305]
웹사이트
Royal Hill of Ambohimanga
http://whc.unesco.or[...]
UNESCO
[306]
서적
Ade Ajayi
[307]
논문
The state and pre-colonial demographic history: the case of nineteenth century Madagascar
1991-10-01
[308]
서적
Oliver
[309]
서적
Uwechue
[310]
서적
Fage, Flint & Oliver
[311]
서적
Thompson & Adloff
[312]
서적
Van Den Boogaerde
[313]
서적
Randier
[314]
서적
Curtin
[315]
서적
Oliver, Fage & Sanderson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서적
[321]
서적
[322]
서적
[323]
간행물
官報
大蔵省印刷局
1901-04-26
[324]
서적
マダガスカルを知るために62章
株式会社明石書店
2013-05-31
[325]
서적
[326]
서적
[327]
뉴스
英軍、仏領マダガスカルに上陸
東京日日新聞
1942-05-07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331]
학술지
Political change in Madagascar: populist democracy or neopatrimonialism by another name?
http://www.issafrica[...]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4-08
[332]
웹사이트
マダガスカル大統領選挙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333]
웹사이트
Centre d'actualités de l'ONU – Madagascar : l'ONU salue le bon déroulement du deuxième tour d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http://www.un.org/ap[...]
Un.org
2014-02-10
[334]
서적
[335]
웹사이트
MADAGASCAR: Former president sentenced to five years in prison
http://www.irinnews.[...]
Irinnews.org
2003-12-17
[336]
웹사이트
Madagascar: Appeal launched despite political uncertainty
http://www.irinnews.[...]
Irinnews.org
2009-04-07
[337]
뉴스
Ethnic strife rocks Madagasc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5-14
[338]
뉴스
Pressure grows on Madagascar coup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3-20
[339]
웹사이트
Numéros utiles
http://www.airmadaga[...]
AirMadagascar.com
2012-01-28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웹사이트
The Military Balance 2010
http://moorishwander[...]
International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344]
서적
[345]
서적
[346]
서적
Indian Plate and Its Epic Voyage from Gondwana to Asia: Its Tectonic, Paleoclimatic, and Paleobiogeographic Evolution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7
[347]
서적
Origin of the Malagasy Strepshirhine Primates
https://books.google[...]
Springer
[348]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Madagascar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2011-05-03
[349]
웹사이트
Madagascar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350]
서적
[351]
논문
Madagascar as a model region of species diversification
http://www.mvences.d[...]
2012-02-11
[352]
웹사이트
Madagascar
http://www.britannic[...]
Eb.com
2011-08-25
[35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Madagascar
http://countrystudie[...]
2011-02-01
[354]
간행물
マダガスカル島(西インド洋地域研究入門)
[355]
서적
[356]
서적
The Healing Trail: Essential Oils of Madagascar
https://books.google[...]
Basic Health Publications, Inc.
2002
[357]
서적
[358]
서적
Madagascar: The Eighth Continent : Life, Death and Discovery in a Lost Worl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3
[359]
웹사이트
Madagascar and the Indian Ocean Islands
http://www.biodivers[...]
Conservation International
2011-08-24
[360]
논문
The endemic and non-endemic vascular flora of Madagascar updated
http://www.mobot.org[...]
2012-02-11
[361]
논문
Pachypodium makayense: A New Species From Madagascar
[362]
논문
Biogeography and floral evolution of baobabs (Adansonia, Bombacaceae) as inferred from multiple data sets
[363]
서적
[364]
웹사이트
Ravenala madagascariensis
http://www.floridata[...]
Floridata.com
2009-09-14
[365]
웹사이트
Nature of Madagascar
http://www.lambahoan[...]
Lambahoany Ecotourism Centre
2011-08-24
[366]
서적
[367]
논문
From Herbs to Medicines: The Madagascar Periwinkle's Impact on Childhood Leukemia: A Serendipitous Discovery for Treatment
2010-12-00
[368]
논문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369]
논문
Lemur diversity in Madagascar
2008-12-00
[370]
논문
Phalangeal curvature and positional behavior in extinct sloth lemurs (Primates, Palaeopropithecidae)
[371]
논문
Mitogenomic perspectives into iguanid phylogeny and biogeography: Gondwanan vicariance for the origin of Madagascan oplurines
[372]
논문
Rivaling the World's Smallest Reptiles: Discovery of Miniaturized and Microendemic New Species of Leaf Chameleons (Brookesia) from Northern Madagascar
[373]
간행물
マダガスカルを知るための62章
[374]
뉴스
Everglades, Madagascar Rain Forest on UNESCO List
http://abcnews.go.co[...]
2011-02-11
[375]
웹사이트
2006-04-30
[376]
서적
[377]
논문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378]
논문
Evidence for drought and forest declines during the recent megafaunal extinctions in Madagascar
[379]
논문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380]
서적
[381]
논문
Fifty years of deforestation and forest fragmentation in Madagascar
Cambridge Journals
[382]
논문
Deforestation history of the eastern rainforests of Madagascar from satellite images
[383]
웹사이트
The Conservation
http://www.parcs-mad[...]
parcs-madagascar.com
2011-08-25
[384]
웹사이트
Rainforests of the Atsinanana
http://whc.unesco.or[...]
UNESCO
2011-04-30
[385]
뉴스
Shaky Rule in Madagascar Threatens Trees
http://www.nytimes.c[...]
2011-03-20
[386]
서적
[387]
뉴스
Lemurs Hunted, Eaten Amid Civil Unrest, Group Say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9-08-21
[388]
뉴스
Lemurs sliding toward extinction
http://www.bbc.co.uk[...]
2012-07-13
[389]
뉴스
Asian relative of cane toad threatens Madagascar havoc
http://www.bbc.com/n[...]
BBC News
2014-05-29
[390]
웹사이트
DECRET n°2015 – 593 portant création des circonscriptions administratives.
http://www.ceni-mada[...]
[391]
서적
[392]
웹사이트
Madagascar at a glance
http://devdata.world[...]
World Bank
2011-02-25
[393]
웹사이트
African Economic Outlook 2011: Madagascar
http://www.africanec[...]
AfricanEconomicOutlook.org
[394]
간행물
Republic of Madagascar: Tourism Sector Study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03-11
[395]
웹사이트
IMF Executive Board Approves US$304.7 million Extended Credit Facility Arrangement for Madagascar
http://www.imf.org/e[...]
2016-07-28
[396]
웹사이트
焦点:銀より高いバニラ、業界揺るがす価格高騰の「裏事情」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06-07
[397]
뉴스
【JICAの現場から】(48)マダガスカル事務所長・村上博信氏/日本企業から熱い視線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07-28
[398]
웹사이트
Made in Madagascar: Exporting Handicrafts to the U.S. Market: Final Report
http://www.sipa.colu[...]
United Nations Public-Private Alliance for Rural Development
[399]
웹사이트
FAO Stat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400]
웹사이트
Madagascar: Cyclone Gafilo, Final Report, Appeal 08/0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05-02-25
[401]
서적
[402]
웹사이트
About QMM
http://www.sherritt.[...]
Rio Tinto
[403]
웹사이트
Metals – Ambatovy Joint Venture
http://www.sherritt.[...]
Sherritt International Corporation
[404]
웹사이트
Madagascar's oil fortunes evolving slowly
http://www.ogj.com/a[...]
PennWell Corporation
2012-02-06
[405]
웹사이트
Production Electricité
http://www.jirama.mg[...]
Jirama
[406]
간행물
The dual origin of the Malagasy in Island Southeast Asia and East Africa: evidence from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http://www.sanger.ac[...]
[407]
간행물
On the origins and admixture of Malagasy: new evidence from high-resolution analyses of paternal and maternal lineages
[408]
서적
[409]
서적
[410]
웹사이트
Haute Cour Constitutionnelle De Madagascar, Décision n°03-HCC/D2 Du 12 avril 2000
http://www.saflii.or[...]
Saflii.org
2000-04-12
[411]
웹사이트
Madagascar: 2007 Constitutional referendum
http://www.eisa.org.[...]
Electoral Institute for the Sustainability of Democracy in Africa
2010-06
[412]
웹사이트
Projet de Constitution de la Quatrième République de Madagascar
http://www.madagasca[...]
Madagascar Tribune
2010-10-01
[413]
웹사이트
Madagascar: La Crise a un Tournant Critique?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414]
웹사이트
マダガスカル手話の記述的研究
https://kaken.nii.ac[...]
2016-04-21
[415]
백과사전
マラガシ語
三省堂
[416]
웹사이트
会話と手話の相互行為分析に基づくマダガスカル言語文化の共通構造と差異の比較研究
https://kaken.nii.ac[...]
2016-04-21
[417]
뉴스
Dead Join the Living in a Family Celebration
http://www.nytimes.c[...]
2010-09-05
[418]
서적
[419]
서적
[4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Madagascar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421]
서적
The Road to Clarity: Seventh-Day Adventism in Madagascar (Contemporary Anthropology of Religion)
Palsgrave Macmillan
[422]
웹사이트
Report of the High Level Committee on the Indian Diaspora
http://indiandiaspor[...]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India
2012-01-22
[423]
서적
Ralibera
[424]
논문
La formation du personnel enseignant de l'éducation de base à Madagascar: Une etude de cas. Quelques reflections intéressant la programmation de l'assistance de l'UNICEF
http://unesdoc.unesc[...]
UNESCO
2011-07-10
[425]
논문
State "resilience" and chronic political instability in Madagascar
[426]
논문
Managing for results in primary education in Madagascar: Evaluating the impact of selected workflow interventions
http://www.povertyac[...]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06
[427]
간행물
Curriculum de formation des élèves-maîtr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28]
웹사이트
Public spending on education; total ( percent of government expenditure) in Madagascar
http://www.tradingec[...]
TradingEconomics.com
2012-01-28
[429]
웹사이트
ペスト:地域別罹患率・死亡率の検討-2004年~2009年
https://www.forth.go[...]
CDC Travelers' Health, Outbreak Notice
2010-02-18
[430]
웹사이트
マダガスカル 危険・スポット・広域情報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2-10-08
[431]
웹사이트
2010 Human Rights Report: Madagascar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2011-04-08
[432]
웹사이트
Madagascar Profile: Media
http://www.bbc.co.uk[...]
BBC News
2012-06-20
[433]
웹사이트
Countries at the Crossroads 2011: Madagascar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434]
서적
Middleton
[435]
서적
Ames
[436]
논문
Evidence for the Indonesian origins of certain elements of African culture
[437]
논문
House to Palace, Village to State: Scaling up Architecture and Ideology
[438]
서적
Acquier
[439]
서적
[440]
서적
[441]
뉴스
消費量は日本の2倍! 実はお米大国マダガスカルのワンプレート料理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6-08-25
[442]
서적
[443]
웹사이트
Antananarivo: Histoire de la commune
http://www.iarivo-to[...]
[444]
서적
Fox
[445]
웹사이트
Origine Confuse des Vazimba du Betsiriry
http://www.madatana.[...]
Madatana.com
[446]
웹사이트
Ibonia: the text in 17 sections
http://xroads.virgin[...]
University of Virginia
[447]
서적
Rabearivelo
[448]
서적
Auzias & Labourdette
[449]
서적
Randrianary
[450]
서적
Heale & Abdul Latif
[451]
웹사이트
Woodcrafting Knowledge of the Zafimaniry
http://www.unesco.or[...]
UNESCO
[452]
뉴스
Des nouveaux talents mis en relief
http://www.lexpressm[...]
l'expressmada.com
2009-08-07
[453]
웹사이트
Madagascar take Sevens honours
http://www.irb.com/n[...]
International Rugby Board
2007-08-23
[454]
웹사이트
Madagascar won the World Championship
http://www.petanque.[...]
petanque.org
1999-10-04
[455]
웹사이트
2011 FIBA Africa Championship
http://madagascar201[...]
FIBA.com
2015-10-26
[456]
웹사이트
2009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http://www.fiba.com/[...]
2015-10-26
[457]
웹사이트
2014 FIBA Africa Under-18 Championship
http://u18madagascar[...]
2015-10-26
[458]
웹사이트
2013 FIBA Africa Under-16 Championship
http://archive.fiba.[...]
2015-10-26
[459]
웹사이트
2015 FIBA Africa Under-16 Championship for Women
http://archive.fiba.[...]
2015-10-26
[460]
웹사이트
Triennal review: Census as at 1 December 2010
http://scout.org/en/[...]
World Organization of the Scout Movement
2010-12-01
[46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adagascar)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462]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463]
통계
[464]
뉴스
연합뉴스 마다가스카르 반정부 지도자 대통령 취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465]
논문
2019
[466]
논문
2019
[467]
설명
[468]
설명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새끼 업은 엄마 원숭이, 마다가스카르 절벽 뛰어오르다
마다가스카르 선교사가 제주 보롬왓을 찾은 까닭은?
아프리카에 벼 3562t 생산…K-라이스벨트, 목표 초과 달성
‘제1회 국제 초콜릿 축제’ 15~16일 제주서 열린다
트럼프 때문에 비트코인 샀다고?...더 유망한 투자처가 있다는데
마다가스카르서 한국인 선교사 2명, 강도 공격받아 사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