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치속(Pica)은 1760년 마튀랭 자크 브리송에 의해 명명된 속으로, 까마귀과에 속한다. 이 속에는 현재 7종의 현존하는 종이 있으며, 유라시아 어치, 마그레브 어치, 아시르 어치, 검은엉덩이 어치, 동양 어치, 검은부리 어치, 노란부리 어치가 포함된다. 또한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경계 지층에서 발견된 Pica mourerae와 초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된 Pica praepica를 포함한 두 종의 화석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까치속 - 유라시아까치
유라시아까치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까마귀과 조류로, 6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잡식성이고 높은 지능과 사회적 행동을 보이며 각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까치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Pica |
명명자 | Brisson, 1760 |
모식종 | Corvus pica |
모식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화석 범위 | 플리오세 - 현재 |
하위 분류 | |
종 | Pica pica Pica sericea Pica mauritanica Pica asirensis Pica bottanensis Pica nuttalli Pica hudsonia |
2. 분류
속 ''Pica''는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명명했다.[2][3] 브리송은 1758년 칼 린네가 명명한 유럽까치(''Corvus pica'')의 종명에서 동음이의어로 이름을 따왔다.[3][4] ''Pica''는 유럽까치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이다.[5]
2018년 분자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유럽까치는 마그레브까치, 아시르까치, 검은등까치, 동양까치 등 여러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6]
마요르카 섬의 신세와 홍적세 경계에서는 화석종 ''Pica mourerae''가 발견되었다.
2. 1. 현존하는 종
이 속에는 7종의 현존하는 종이 있다.[7]이름 | 학명 | 이미지 | 분포 지역 | IUCN 등급 |
---|---|---|---|---|
유라시아 까치 | Pica pica | ![]() | 유럽 및 아시아 | LC영어 |
마그레브 까치 | Pica mauritanica | ![]() | 북서 아프리카 | LC영어 |
아시르 까치 | Pica asirensis | -- | 사우디아라비아 아시르 지역 | EN영어 |
검은엉덩이 까치 | Pica bottanensis | -- | 부탄 중부, 중국 서부-중부 | LC영어 |
동양 까치 | Pica serica | -- | 러시아 남동부 및 미얀마에서 중국 동부, 한국, 일본, 대만 및 북부 인도차이나 | LC영어 |
검은부리 까치 | Pica hudsonia | -- | 북미 서부 | LC영어 |
노란부리 까치 | Pica nuttalli | -- | 캘리포니아 | LC영어 |
2. 2. 화석종
현재 두 종의 선사 시대 까치속이 알려져 있다. 마요르카의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경계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인 ''Pica mourerae''와 불가리아의 초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된 ''Pica praepica''이다.참조
[1]
논문
Inter-generic relationships of the crows, jays, magpies and allied groups (Aves: Corvidae) based on nucleotide sequence data
http://www.nrm.se/do[...]
[2]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http://biodiversityl[...]
Jean-Baptiste Bauche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biodiversity[...]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4]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Volume 1
https://biodiversity[...]
Holmiae:Laurentii Salvii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논문
Complete taxon sampling of the avian genus ''Pica'' (magpies) reveals ancient relictual populations and synchronous Late-Pleistocene demographic expansion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7]
웹사이트
Crows, mudnesters, birds-of-paradise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1-01
[8]
논문
A new species of Pica (Aves: Corvidae) from the Plio-Pleistocene of Mallorca, Balearic Islands (Western Mediterranean)
https://doi.org/10.1[...]
2001-01-01
[9]
논문
An Early Pleistocene magpie (Pica praepica sp. n.) (Corvidae Leach, 1820) from Bulgaria
https://www.research[...]
202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