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도기름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기름새속(Cymbopogon)은 벼과에 속하는 속이다. 나도기름새속에는 나도기름새(C. parviflorum)를 포함하여 여러 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수새아족 - 수수새속
    수수속은 벼과에 속하며,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식량, 사료 등으로 사용되는 수수를 포함한다.
  • 수수새아족 - 금수염풀
    금수염풀은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깃꼴겹잎 형태의 잎을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가축 사료, 약재, 조경, 친환경 산업 소재, 그리고 생태적 가치를 제공한다.
  • 1917년 기재된 식물 -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1917년 기재된 식물 - 제비꽃
    제비꽃은 동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4~5월에 보라색 꽃을 피우며 제비와 관련된 이름과 '오랑캐꽃'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고,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하는 식물이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나도기름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apillipedium parviflorum
학명Capillipedium
명명자Stapf
모식종Capillipedium parviflorum
모식종 명명자(R.Br.) Stapf
이명Filipedium Raizada & S.K.Jain
하위 종

2. 하위 종

나도기름새속의 하위 종은 다음과 같다.

학명
C. annamense A.Camus
C. assimile (Steud.) A.Camus
C. duongii T.Q.Nguyen
C. filiculme (Hook.f.) Stapf
C. huegelii (Hack.) A.Camus
C. kuoi L.B.Cai
C. kwashotense (Hayata) C.C.Hsu
C. laoticum A.Camus
C. leucotrichum (A.Camus) M.Schmid ex Veldkamp
C. longisetosum Bor
C. magdaleni M.R.Almeida
C. nagense Bor
C. planipedicellatum Bor
C. pteropechys (Clarke) Stapf
C. spicigerum S.T.Blake
C. sulcatum Bor


2. 1. 나도기름새

학명
나도기름새 C. parviflorum (R.Br.) Stapf
C. parviflorum var. mutispiculum (Ohwi) Jansen
C. annamense A.Camus
C. assimile (Steud.) A.Camus
C. duongii T.Q.Nguyen
C. filiculme (Hook.f.) Stapf
C. huegelii (Hack.) A.Camus
C. kuoi L.B.Cai
C. kwashotense (Hayata) C.C.Hsu
C. laoticum A.Camus
C. leucotrichum (A.Camus) M.Schmid ex Veldkamp
C. longisetosum Bor
C. magdaleni M.R.Almeida
C. nagense Bor
C. planipedicellatum Bor
C. pteropechys (Clarke) Stapf
C. spicigerum S.T.Blake
C. sulcatum Bor


참조

[1] 웹사이트 Atlas of Living Australia, Capillipedium Stapf, Scented-tops http://bie.ala.org.a[...]
[2] 논문 Capillipedium mistryi (Andropogoneae, Poaceae): a new remarkable species from central India https://www.biotaxa.[...] 2021-04-23
[3] 서적 Flora of Tropical Africa 1917
[4] 웹사이트 Tropicos, Capillipedium Stapf http://www.tropicos.[...]
[5] 웹사이트 Flora of Pakistan, Capillipedium Stapf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605 细柄草属 xi bing cao shu Capillipedium Stapf in Prain, Fl. Trop. Africa. 9: 169. 1917. http://www.efloras.o[...]
[7] 논문 On the taxonomic identity of Capillipedium mistryi A. P. Tiwari & Landge (Poaceae: Andropogoneae) and synonymisation of C. yashwantraoi Tarbej & Potdar as its new heterotypic synonym https://onlinelibrar[...] 2023-05
[8]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9]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Capillipedium http://www.theplantl[...]
[10] 서적 Flora of Tropical Africa 1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