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군 갑은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48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는 나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항발, 김종순, 최영철, 이사형, 정문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의 정치 - 나주시·화순군
나주시·화순군 선거구는 전라남도 나주시와 화순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4년 신설되었으며 신정훈 의원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나주시의 정치 - 나주시장 선거
나주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나주시의 시장을 선출하기 위해 시행된 선거로, 나인수, 김대동, 신정훈, 임성훈, 강인규를 거쳐 2022년에는 윤병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나주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나주군 갑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나주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나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나주군 단독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 당선인 정당 득표수 득표율(%) 제헌 이항발 무소속 21,322 67.31 제2대 김종순 무소속 - 무투표 제3대 최영철 무소속 13,470 36.55 제4대 이사형 무소속 11,996 30.62 제5대 정문채 민주당 18,182 45.87
3.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항발 후보가 67.3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국민주당 임봉진 후보는 21.02%, 무소속 박헌진 후보는 11.65%를 득표하였다.
3.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종순 후보가 무소속으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3.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최영철 | 무소속 | 13,470 | 36.55% | 당선 |
이상회 | 무소속 | 10,619 | 28.81% | |
김종순 | 자유당 | 10,114 | 27.44% | |
나재기 | 무소속 | 2,646 | 7.18% | |
합계 | 36,849표 |
3.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사형 후보가 30.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당 최영철 후보는 29.19%, 민주당 정문채 후보는 23.29%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사형 | 무소속 | 11,996 | 30.62 | |
최영철 | 자유당 | 11,435 | 29.19 | |
정문채 | 민주당 | 9,124 | 23.29 | |
김종순 | 무소속 | 4,841 | 12.35 | |
안일환 | 무소속 | 1,773 | 4.52 | |
합계 | 39,169 | 100 |
3.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정문채 후보가 45.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