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안데스사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방안데스사슴은 다부진 체격과 짧은 다리를 가진 사슴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산맥에 서식한다. 수컷은 뿔과 독특한 검은색 얼굴 가림을 가지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개방된 빙하 주변 관목지, 절벽, 고지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편화와 밀렵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는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공동 행동 계획을 수립하여 불법 사냥, 서식지 파괴 등 위협에 대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비쿠냐
비쿠냐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는 라마과의 동물로, 고급 섬유를 얻을 수 있는 털로 보호받으며,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고 페루 국장에도 등장하는 문화적으로 중요한 동물이다. - 노루아과 - 순록
순록은 사슴과에 속하는 북극권 동물로, 툰드라와 삼림 순록으로 나뉘며 추운 기후에 적응된 신체적 특징과 암컷도 뿔이 있는 점이 특징이고,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며 북극권 원주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노루아과 - 흰꼬리사슴
흰꼬리사슴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고 잡식성으로 늑대, 쿠거 등의 포식자 위협을 받지만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기후 변화와 질병 문제에 직면한 사슴과의 동물이다. - 칠레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칠레의 포유류 - 알파카
알파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고산 지대에서 털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포유류로, 가늘고 부드러운 털은 의류 제작에 사용되며, 와카야와 수리 두 종류가 있고 털 색깔은 다양하다.
| 남방안데스사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Hippocamelus bisulcus |
| 명명자 | Molina, 1782 |
![]() | |
| 보전 상태 | |
| IUCN | 멸종 위기 |
| CITES | CITES 부록 I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우제목 |
| 아목 | 반추아목 |
| 과 | 사슴과 |
| 아과 | 노루아과 |
| 족 | 흰꼬리사슴족 |
| 속 | 안데스사슴속 |
| 기타 정보 | |
| 영어 이름 | South Andean deer |
2. 형태 및 생태
남방안데스사슴은 다부진 체격과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어 울퉁불퉁하고 험한 지형에 잘 적응되어 있다. 갈색에서 회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배 부분은 흰색, 목에는 흰색 반점이 있다. 길고 곱슬거리는 털은 추위와 습기로부터 보호해 준다. 암컷의 몸무게는 70kg~80kg이며 키는 80cm이고, 수컷은 90kg에 키는 90cm이다.[5] (다른 몸무게 제안도 있다.)[4] 새끼는 반점이 없이 태어나며, 성별에 따른 크기 차이는 없다.[5]
2. 1. 성적 이형성
남방안데스사슴은 성적 이형성이 두드러진다. 수컷만 뿔을 가지고 있으며, 뿔은 매년 겨울 말에 떨어진다. 수컷은 또한 독특한 검은색 "얼굴 가림"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주요 갈색의 이마를 둘러싸며 길쭉한 하트 모양으로 곡선을 이룬다.[5] 이형성 유제류로서는 드물게, 남방안데스사슴은 암수 혼합 그룹으로 모이며, 그룹 크기가 커질수록 섞여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동물들이 바위 경사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관찰된 그룹의 크기가 커지는데, 이는 포식률이 경사면에서 가장 낮고, 계곡 바닥과 같은 열린 지역에서 가장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6]3. 분포 및 서식지

남방안데스사슴은 종종 접근하기 어려운 다양한 서식지에서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개방된 빙하주변 관목지, 낮은 절벽 및 기타 바위 지역, 고지대 숲과 숲 경계를 선호한다.[5] 해안 피오르 개체군에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과 어린 개체는 빙하 주변 초원을 선호했고 암컷은 주로 절벽에서 발견되었으며 새끼는 오직 절벽에서만 발견되었다. 군네라 식물은 주요 식단 품목이었다.[7]
이전에는 남아메리카 남서부 대부분에서 발견되었지만, 남방안데스사슴의 현재 상황은 위태롭다. 2005년 기준으로 아르헨티나의 개체수는 350~600마리로 단편화된 집단으로 추정되었다.[8] 아르헨티나 국가 당국은 연구에서 개체수 감소가 나타나는데도 이 종의 상황을 만족스럽다고 언급하여 비판을 받았다. 서식지 생존 가능성과 보존 센터에 대한 추가 연구가 촉구되었다.[8]
남방안데스사슴 개체군에 대한 압력에는 경제 활동과 침입종이 포함된다. 아르헨티나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의 한 연구에서는 32가지 식물 품목이 남방안데스사슴의 식단에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 중 가장 흔한 렌가 너도밤나무는 붉은사슴의 주요 먹이 품목이기도 하여, 붉은사슴이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게 하고 더 작은 남방안데스사슴의 취약성을 증가시켰다.[9] 번식률 감소와 발병률 증가는 아르헨티나 개체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퓨마는 남방안데스사슴의 유일한 천적이며, 아르헨티나에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10]
4. 보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따르면 남방안데스사슴은 개체 수와 분포 범위가 크게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 종으로 등재되었다.[1]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단편화와 밀렵이다.
야생동물 이동종 보존협약(CMS)의 후원으로 아르헨티나와 칠레 사이에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어 2010년 12월 4일에 발효되었다. 이 양해각서는 남방안데스사슴이 양국의 국경 지역을 넘나들며 이동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양국 간 협력을 통해 종 보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국제 협력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따르면 남방안데스사슴은 개체 수와 분포 범위가 크게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 종으로 등재되었다.[1]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단편화와 밀렵이다.야생동물 이동종 보존협약(CMS)의 후원으로 아르헨티나와 칠레 사이에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어 2010년 12월 4일에 발효되었다. 이 양해각서는 남방안데스사슴이 양국의 국경 지역을 넘나들며 이동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양국 간 협력을 통해 종 보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1.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에 관한 양해 각서 (MoU)
야생 동물 이동 종 보존 협약(CMS)의 후원하에, 남부 안데스 사슴 보존에 관한 양해 각서(MoU)가 아르헨티나와 칠레 사이에 체결되었으며 2010년 12월 4일에 발효되었다. 이 MoU는 남방안데스사슴이 이들 국가의 국경 지역을 넘어 이동하므로 두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종의 보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남방안데스사슴 양해각서(MoU) 서명국은 다음과 같다.
2010년 당시 야생에 1,500마리 미만의 개체가 소규모로 흩어져 고립된 개체군을 이루고 있었고, 남방안데스사슴의 서식지가 두 국가의 국경 지역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양국은 상황을 개선하고 멸종을 막기 위해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 양해각서를 통해 양국은 불법 사냥, 서식지 파괴, 질병 유입 및 기타 종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양해각서(MoU)는 두 국가가 1992년부터 개최해온 양자 기술 회의를 이어 연례 회의를 개최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 회의에서는 행동 계획의 이행을 평가하고, 다음 해의 활동을 계획 및 조정한다. 또한, 종의 보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와 기타 기술 또는 법적 정보도 공유한다.
사무국 기능은 두 서명국이 교대로 제공한다. 연례 회의 사이 기간 동안 다음 회의를 주최하는 국가가 임시 사무국 역할을 하며, 회의 조직도 담당한다. 본에 위치한 CMS 사무국은 양해 각서의 보관인 역할만 한다.
양국 국립 기술 기관은 기존의 국가 계획을 바탕으로 공동의 양국 간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 행동 계획은 과학, 기술, 법률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과 공원 관리인의 교육을 장려하여 보존 조치를 조정한다. 개별 집단의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뿐만 아니라 종의 생태와 생물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장려될 것이다. 분포, 개체 수 및 위협에 대한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감시 활동이 강화될 것이다.
두 서식 국가(range States)는 다음 사항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2]
# 양국이 공유하는 남방안데스사슴 개체군의 효과적인 보호를 보장하고 종의 생존에 필수적인 서식지를 식별하고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 불법 사냥, 서식지 훼손, 질병 유입 등 종의 보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과정을 파악하고 감시하며, 이러한 요인 및 과정을 규제, 관리 및/또는 통제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권고한다.
# 양자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그 이행에 대해 CMS 사무국에 보고한다.
# 보존 조치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기술적, 법적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고 전문 인력, 기술 인력 및 공원 관리 직원의 교류를 촉진하며 행동 계획의 이행에 있어 국내 및 국제 전문가 및 조직과 협력한다.
# 아르헨티나와 칠레 간의 1991년 8월 2일 환경에 관한 조약의 틀 내에서 설립된 CMS 사무국과 아르헨티나 및 칠레 환경 소위원회에 1년 이내의 간격으로 양해각서의 발전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
# 두 국가의 영토에서 번갈아 가며 연례 회의를 개최한다.
양해각서(MoU)는 양 서식 국가의 서명 직후(2010년 12월 4일)부터 발효되었다. 양해각서는 3년의 유효 기간을 가지며, 서명국 중 한 곳이 철회하지 않는 한 자동 갱신된다.
2011년 9월 26일부터 27일까지 칠레 발디비아에서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을 위한 행동 계획 수립을 향하여"라는 워크숍이 개최되었다.[13] 이 워크숍의 목적은 양국 간의 행동 계획에 대한 예비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14]
한편, 아르헨티나는 국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몇 가지 조치를 취했다. 여기에는 로스 알레르세스 국립공원에서의 감시 활동, 에스탄시아 로스 우에물레스에서의 새로운 남방안데스사슴 조사 작업, 보호 구역과 비보호 구역 모두에 대해 국립공원 관리청에서 유지하는 기록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적인 갱신이 포함된다. 칠레 비오비오 대학교가 수행한 남방안데스사슴의 계통지리학 및 인구 통계학적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또한 라닌 국립공원과 안디노 노르파타고니카 생물권 보전 지역의 관리 계획을 갱신하는 작업도 진행되었으며, 남방안데스사슴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조항이 포함되었다. 로스 알레르세스 국립공원의 남방안데스사슴 서식지 내 가축 통제를 위한 프로젝트 제안이 개발되었다. 홍보 활동으로는 대중 강연, 안디노 노르파타고니카 생물권 보전 지역과 관련된 종 보존에 대한 소책자 두 권 제작, 그리고 아르헨티나 3개 국립공원에 포스터 배포 등이 있었다.[15]
칠레에서도 사냥 감시를 위한 공원 관리인의 감시 활동, 재도입 작업에 대한 향후 계획, 가축과의 서식지 경쟁을 줄이기 위한 조치, 인식 제고 및 규제 강화 등과 유사한 활동이 진행 중이다.[15]
참조
[1]
간행물
"''Hippocamelus bisulcus''"
2016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Mammals and Other Wildlife in South America during Focus On Nature Tours
http://focusonnature[...]
2017-11-26
[4]
웹사이트
South Andean Deer ''Hippocamelus bisulcus''
http://www.worlddeer[...]
Biology Department, [[Siegen University]]
2005
[5]
학위논문
"Diet and habitat of the huemul (''Hippocamelus bisulcus'') in Bernardo O’ Higgins National Park, Chile"
http://www.chem.uu.n[...]
University of Utrecht
2006
[6]
논문
"Huemul (''Hippocamelus bisulcus'') sociality at a periglacial site: sexual aggregation and habitat effects on group size"
http://rparticle.web[...]
[7]
논문
"Observations on habitat use and social organization of a huemul Hippocamelus bisulcus coastal population in Chile"
http://md1.csa.com/p[...]
[8]
논문
"Predicaments of endangered huemul deer, ''Hippocamelus bisulcus'', in Argentina: a review"
2005-06
[9]
논문
Diet of Huemul deer (Hippocamelus bisulcus) in Nahuel Huapi National Park, Argentina
2005-04
[10]
논문
"Natural mortality patterns in a population of southern argentina huemul(''Hippocamelus bisulcus''), an endangered andean cervid"
2001-09
[11]
웹사이트
South Andean Huemul Nature Footage
https://archive.toda[...]
[12]
문서
Text of South Andean Huemul 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www.cms.int/s[...]
[13]
보도자료
CMS Press release
http://www.cms.int/n[...]
[14]
웹사이트
Argentina, Chile Sign Agreement to Conserve the South Andean Huemul | News | SDG Knowledge Hub | IISD
http://biodiversity-[...]
[15]
문서
COP10 Document on Agreements
http://www.cms.int/b[...]
[16]
간행물
Hippocamelus bisul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