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몸통, 꼬리, 넙적다리에 피막을 가지고 있어 활공이 가능하며,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등 아시아 지역과 미국 플로리다에 분포한다. 몸은 회색 바탕에 대리석 무늬가 있고, 윗입술에는 9-11개, 아랫입술에는 7-8개의 입술비늘이 있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테라리움에서 분무와 먹이주기를 자주 하면 쉽게 기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7년 기재된 파충류 - 납작꼬리도마뱀붙이
납작꼬리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이며 납작한 꼬리와 몸 가장자리의 주름이 특징인 몸길이 22~30cm의 야행성 도마뱀붙이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집도마뱀붙이속 - 비늘도마뱀붙이
비늘도마뱀붙이는 짧고 뚱뚱한 체형에 노란색 홍채를 가진 야행성 도마뱀붙이로,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 북서부의 반건조 지대와 건조한 개활지에 서식하며, 수컷은 영역 다툼 시 짹짹 소리를 내고,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집도마뱀붙이속으로 분류되었다. - 집도마뱀붙이속 - 아마랄브라질도마뱀붙이
아마랄브라질도마뱀붙이는 1935년 아마랄에 의해 명명된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며, 반지뱀붙이속에 속하고, 2006년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연구를 통해 계통, 생물지리학, 진화가 연구되었다.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 | |
---|---|
일반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 3.1 |
속 | 집도마뱀붙이속 |
종 |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 |
학명 | Hemidactylus platyurus |
학명 명명 | 슈나이더, 1797 |
이명 | Cosymbotes platyurus Cosymbotus platyurus Crossurus platyurus Gehyra platyurus Gekko platyurus Platyurus platyurus Hoplopodion platyurus Lacerta schneideriana Lacerta tjitja Lomatodactylus platyurus Nycteridium himalayanum Nycteridium platyurus Nycteridium schneideri Hemidactylus marginatus Hemidactylus nepalensis Platyurus marginatus Platyurus platyurus Platyurus schneiderianus Stellio platyurus |
2. 묘사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몸통, 꼬리, 넙적다리 부위에 비막과 유사한 피막을 가지고 있어 활공에 사용된다. 이는 측면 지방 조직의 확장으로, ''Ptychozoon''속의 ''Gekko''속 활공 도마뱀붙이와 유사하다.[4]
2. 1. 신체적 특징

주둥이는 눈과 귓구멍 사이의 간격보다 길고, 단면은 양 옆이 위아래보다 두 배 긴 타원형을 띈다. 귓구멍은 작고, 타원형이고, 비스듬하다. 주둥이비늘(:en:Rostral scale)은 사각형이고, 너비가 높이의 두 배 이하이며, 비늘의 가운데는 위로 갈라져있다. 콧구멍은 주둥이비늘, 첫 번째 입술비늘(:en:Labial scale), 콧비늘(:en:Nasal scale) 세 개에 둘러싸여있다.[9] 윗입술에는 9 - 11 개, 아랫입술에는 7 - 8 개의 입술비늘이 있다. 턱은 크고, 삼각형이거나 오각형이다. 두 쌍의 턱큰비늘(:en:chinshield)이 나있고, 앞쌍은 크고 서로 붙어있으며, 뒷쌍은 작고 서로 떨어져있을 수도 있다.
몸은 축 처져있고, 윗부분은 작은 요철같은 비늘이 균일하게 덮고 있으며, 주둥이 부분에서 제일 크다. 겨드랑이에서 사타구니까지, 뒷다리의 뒷부분에 피부가 막 형태로 늘어나있다. 배의 비늘은 둥글둥글하고 서로 겹쳐져있다. 수컷은 34 - 36개의 대퇴공(:en:femoral pore)이 기복 없이 나있다. 꼬리는 축 쳐졌고, 아래쪽은 납작하며, 옆날은 뾰족뾰족하고, 윗부분은 요철같은 비늘로 덮여있고, 밑부분 가운데는 양옆으로 길쭉한, 납작한 비늘로 덮여있다. 사지는 평범하고 축 쳐져있다. 발가락은 넓적하고, 반쯤 물갈퀴처럼 되어있으며, 안쪽 발가락은 잘 발달되어있다. 안쪽 발가락에는 3 - 6 개, 가운대 발가락에는 7 - 9 개의 박판이 있다. 윗부분은 회색이고, 짙은 회색이 대리석 무늬를 이루다; 일반적으로 눈가에서 어깨까지 어두운 줄무늬가 나있고 배쪽은 상아색이다. 머리&몸의 길이는 61mm이며, 꼬리의 길이는 66mm이다.[9]
3. 분포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방글라데시, 인도(다즐링, 시킴, 니코바르제도), 네팔, 부탄, 중국(광둥, 티베트 남동부), 타이완, 스리랑카, 태국, 캄보디아, 말레이시아(티오만섬 포함),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자바섬, 술라웨시섬, 롬복섬, 숨바와섬, 플로레스섬, 이리안), 뉴기니(?), 필리핀(팔라완섬, 칼라미안군도, 파나이섬, 루손섬)에서 발견된다.[6]
미국 플로리다 주(피넬라스, 알라추아, 리, 브로워드,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에도 도입된 개체군이 서식한다.[6]
4. 생태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비막과 유사한 구조인 피막을 몸통, 꼬리, 넙적다리 부위에 가지고 있어 활공에 사용한다.[4]
4. 1. 활공
이 도마뱀붙이는 비막과 유사한 구조인 피막을 몸통, 꼬리, 넙적다리 부위에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활공에 사용된다. 과거 ''Ptychozoon''속인 ''Gekko''속의 활공 도마뱀붙이와 유사하게, 이 피막은 측면의 지방 조직의 확장으로 파생된다.[4]5. 사육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애완동물 시장에서 "집도마뱀붙이"라는 이름으로 거래된다. 옆구리의 펄럭이는 피부를 통해 다른 "집도마뱀붙이"와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날도마뱀붙이를 작게 만든 것처럼 보인다.[1]
테라리움에서 사육할 경우, 자주 분무해주고 곤충을 먹이로 주면 쉽게 기를 수 있다. 파충류 사육사들은 이 종을 뱀, 특히 아시아초록덩굴뱀의 먹이로 사용하기도 한다.[1]
5. 1. 주의사항
납작꼬리집도마뱀붙이는 손으로 다루기 쉽지 않으므로, 관상용으로 키우는 것이 적합하다. 대한민국 생태계에 유입될 경우, 토착종과의 경쟁 및 질병 전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기하거나 방생해서는 안 된다.참조
[1]
간행물
Hemidactylus platyurus
https://www.iucnredl[...]
IUCN
2021
[2]
NRDB species
[3]
ITIS
[4]
논문
Notes on patagium morphology in the Gliding Flat-tailed House Gecko (Hemidactylus platyurus)
https://journals.ku.[...]
2024-11-03
[5]
서적
The reptiles of the Indo-Australian archipelago. Volume 1.
Leiden
1915
[6]
서적
Amphibians and Reptiles of Flori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019
[7]
NRDB species
[8]
ITIS
[9]
서적
The reptiles of the Indo-Australian archipelago. Volume 1.
Leiden
1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