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백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백오는 16세기 이후 해안선과 지명의 변화로 인해 정확한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는 지역이다. 포르투갈 지도에는 마카오 서쪽에 위치하며, 장청신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주하이시 진완구에 해당한다. 낭백오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1550년대 상천도를 대신하여 포르투갈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나, 1560년대 마카오로 무역 거점이 옮겨가면서 중요성이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포르투갈 관계 - 마카오 반환
마카오 반환은 1999년 12월 20일,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던 마카오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주권이 이양된 사건으로, 중포조약에 의해 포르투갈령이 된 후 중국과의 협상을 통해 '일국양제' 원칙하에 50년간의 자치가 보장되며 이루어졌다. - 중국-포르투갈 관계 - 포르투갈령 마카오
포르투갈령 마카오는 1557년부터 1999년까지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던 마카오의 역사적 시기로, 동서양 무역의 거점이자 가톨릭 선교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아편 전쟁 이후 경제적 중요성이 감소했고, 1999년 중국에 반환되며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가 종식되었다.
낭백오 | |
---|---|
지리 | |
기본 정보 | |
위치 | 주강 삼각주 |
다른 이름 | 랑바이자오 (Lángbáizào) 랑바이자오 (Làngbáijiào) 람페코우 (Lampecou) 람페타오 (Lampetao) |
역사적 중요성 | 포르투갈의 초기 무역 거점 예수회 선교 중심지 |
현재 상태 | 위치 불명, 소멸된 섬으로 추정 |
역사 | |
16세기 | 포르투갈인들이 중국 남부 해안에서 무역 거점을 찾기 시작, 람파카오 섬에 정착. |
1550년대 | 중국 당국이 포르투갈인들을 람파카오 섬에서 몰아냄. |
이후 | 포르투갈인들은 마카오로 이주, 마카오를 새로운 무역 거점으로 삼음. |
종교 | |
종교 활동 | 예수회 선교사들이 람파카오 섬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침. |
추가 정보 | |
중요 사건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선교사가 중국 선교를 준비하다가 람파카오 섬에서 사망. |
현재 | 람파카오 섬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섬 자체가 소멸되었을 가능성도 있음. |
2. 위치
랑바이자오의 정확한 위치는 이 지역 역사지리학에서 의문점이었다. 16세기 이후 해안선과 지명이 상당히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당시 포르투갈 지도들은 마카오 서쪽에 있으며, 상천도(포르투갈어: São João)와 마카오가 떨어진 정도보다는 더 가깝게 마카오로부터 떨어져 있다고 표기되어 있다. 장청신(Chang Tseng-hsin)의 연구에 의하면, 중국어와 서구 사료를 모두 이용하여 랑바이자오는 인근 연만산(連灣山)이라는 섬과 연결된 적이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연만이라는 이름은 완전히 새롭고 보다 큰 섬을 지칭하는 것이 되었으며, 랑바이자오라는 이름은 연만산을 문만산(文灣山)이라는 섬과 구분하는 좁은 해협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는 오늘날 주하이시 진완구(金灣區)에 위치하며, 마카오로부터 서쪽으로 3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마카오보다는 주하이 진완 공항에 더 가깝다.
100여 년 동안 낭백오의 정확한 이름이 무엇인지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있었다. 유럽어 자료에는 Lampacau, Lampacam, Lam Puk, Lanpacan, Lampachan, Lampchào, Lamapacào, Lamapzan, Lanpetan, Lampaço 등 다양한 철자로 기록되었다.[5] 당시 관화(Mandarin)로는 Lan-pai-kao, 광동어로는 Long-pa-kao, 기타 Langpetsao 등으로 불렸다.[5] 滘(땅 이름 교·규)라는 한자는 광동어에서만 사용되는 한자로, 표준 중국어 사전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6] 현대 중국어에서는 浪白澳(Langbaiao), 浪白竈 혹은 浪白灶(Langbaizao), 浪白滘(Langbaijiao) 등으로 표기된다.
1550년대 랑바이자오는 상촨섬을 대신하여 포르투갈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국제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로드리히 프탁(Roderich Ptak)은 랑바이자오가 삼판(三板, sampan) 등 내륙 하천용 선박을 이용한 화물 운송에 더 편리한 위치였다고 보았다.[7] 1560년대 포르투갈 무역 거점이 마카오로 옮겨가면서 랑바이자오의 중요성은 빠르게 쇠퇴하였다.[8]
[1]
citation
3. 명칭
4. 역사
참조
[2]
harvp
[3]
harvp
[4]
harvp
[5]
인용
[6]
harvp
[7]
harvp
[8]
harv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