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판은 광둥어에서 유래된 "세 개의 판"을 의미하는 소형 선박으로, 항만이나 강에서 사람이나 짐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홍콩,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발견되며, 수상 택시, 관광용으로 활용되거나 어업에 사용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노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엔진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고, 재료 또한 목재뿐 아니라 FRP로 제작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시의 교통 - 메가네교 (나가사키시)
    나가사키 메가네교는 1634년 묵자여정에 의해 건설되어 여러 차례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나가사키의 랜드마크이자 문화유산으로, 화강암과 철근 콘크리트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노면전차와 버스로 접근이 용이하다.
  • 나가사키시의 교통 - 나가사키항
    나가사키항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위치하며 여러 섬으로 연결되는 항로의 기점이고 마쓰가에 국제 터미널과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등의 시설이 있으며 서양 문물 창구 역할 및 어반 르네상스 계획에 따른 재개발, 그리고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는 항구이다.
  • 중국어 낱말 - 분서갱유
    분서갱유는 기원전 213년 진시황이 사상 통제를 위해 서적을 불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한 사건을 통칭하며,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 중국어 낱말 - 중화민족
    중화민족은 중국에서 민족 통합과 결속을 위한 이념적 기반으로 활용되지만, 역사 왜곡 및 소수 민족 문제와 관련된 논쟁을 야기하는 개념이다.
  • 선박 - 롱보트
    범선 시대 군함이나 상선에 실렸던 큰 보트인 롱보트는 스페인어 또는 말레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8세기 후반 영국 해군에서 사용되었고, 큰 적재 용량과 다양한 돛대 장비를 갖추어 식수 운반이나 닻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에 주로 사용되었다.
  • 선박 - 배수량
    배수량은 선박이 물에 떠 있을 때 선체에 의해 밀려난 물의 무게를 의미하며, 선박 설계와 성능 평가에 사용되고, 만재 배수량, 경하 배수량 등으로 구분된다.
삼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선박
용도어업
운송
어원(중국어: Shānbǎn, 민난어: Sam-pán, 광둥어: Saan báan)
설명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평평한 바닥의 나무 배
역사
기원기원후 684년 이전
관련 기록고대 말레이어 비문에서 확인
관련 언어타밀어
스리랑카어
크메르어
태국어
버마어
몬어
중국어

2. 어원

삼판이라는 명칭은 광둥어(Cantonese language)로 보트를 의미하는 三板(sam pan)에서 왔는데, 문자 그대로 "세 개의 판"(three planks)을 뜻한다.[7] 추진 장치가 있거나 긴 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윌로''(yuloh)라고 불린다.[8]

3. 구조 및 특징

삼판은 항만이나 강가에서 비교적 저속으로 안전하게 사람이나 소량의 짐을 수송하는 데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전장 5m 정도의 소형 선박이다. 현재는 홍콩이나 광둥성어촌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만내에서 수상 택시로 손님을 대안, 수상 레스토랑, 낚시터 등으로 수송하거나 만내 관광 등에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선미에 부착된 2m~3m 길이의 를 손으로 조작하여 움직였지만, 현재는 엔진을 갖추고 있어 어느 정도의 속도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목재로 만들어진 것뿐만 아니라 FRP (유리 섬유 강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과거에는 가마보코형의 낮은 지붕을 갖춘 삼판이 많았지만, 현재는 주변 시야가 트이는 비교적 높은 텐트 지붕을 갖춘 삼판으로 바뀌고 있다.

4. 지역별 삼판

1886년 이전의 일본 삼판


중국 상하이의 삼판


4. 1. 동아시아

중국, 홍콩, 대만 등지에서는 삼판을 수상 택시나 관광용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홍콩에서는 여전히 섬 사이를 오가는 여객 운송에 삼판이 사용되고 있다.[5]

전통적인 붉은 이물(앞 부분) 삼판. 중국, 상하이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서는 메이지 시대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소형 통선으로 삼판이 사용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후카보리 영주의 발명이라고 전해진다.[5]

4. 2.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싱가포르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삼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화교, 화인이 많은 어항에서 삼판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7]

방글라데시에서는 어부들이 삼판을 어업 활동에 사용하며, 휴식을 취할 때 삼판 그늘을 이용하기도 한다.

5. 사고

1978년 4월 4일 - 방글라데시 샌드위프섬에 사이클론이 접근하여, 암염을 수송하던 삼판 약 100척이 침몰하고 약 1,000명이 실종되었다.[6]

6. 문화

小春久一郎|고하루 큐이치로일본어가 글을 쓰고 山本忠敬|야마모토 타다타카일본어가 그림을 그린 2018년작 그림책 『작은 삼판』은 항만에서 일하는 작은 배 "삼판"의 이야기를 다룬다.[1]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 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w.com/d[...]
[2] 학위논문 Southeast Asia in the ancient Indian Ocean world https://ora.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12
[3] 서적 History of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in Indian Civilization Pearson 2012
[4] 간행물 How to Scull a Boat http://www.simplicit[...] WOODEN BOAT 1991-06
[5] 서적 長崎縣紀要 長崎市・第二回関西九州府県聯合水産共進会長崎県協賛会 1907
[6] 뉴스 小舟百隻沈み千人が不明 ベンガル湾でサイクロン 朝日新聞 1978-04-10
[7] 웹사이트 Merriam 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w.com/d[...]
[8] 웹사이트 How to Scull a Boat http://www.simplicit[...] WOODEN BOAT 199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