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꼬리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몸길이가 최대 15cm까지 자라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몸은 갈색 바탕에 결절이 덮여 있고, 꼬리는 원래 몸통과 같은 색이지만 재생된 꼬리는 더 짙고 뭉툭하다. 시드니 분지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바위 틈새나 나무, 인공 구조물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간다. 주로 절지동물을 먹으며, 한 번에 한두 개의 알을 낳고, 사육이 용이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기재된 파충류 - 동부푸른혀도마뱀
동부푸른혀도마뱀은 푸른 혀로 포식자를 위협하며, 호주 동부 지역에 서식하는 띠 모양의 잡식성 도마뱀으로 난태생으로 새끼를 낳고 멸종 위협이 낮은 종이다. - 조지 쇼가 명명한 분류군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조지 쇼가 명명한 분류군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넓적꼬리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hyllurus platurus |
명명자 | 쇼, 1790 |
이명 | Lacerta platura Stellio phyllurus Stellio platurus Stellio platuros Agama grandoculis Agama platyura Agama discosura Geckoides platurus Phyllurus platura Phyllurus spinosus Phyllurus novaehollandiae Phyllurus cuvieri Phyllurus whitii Phyllurus australis Phyllurus inermis Phyllura discosura Phyllura grandoculis Gymnodactylus platyurus Gymnodactylus phyllurus Gymnodactylus inermis Gymnodactylus platurus Cyrtodactylus platura Gecko platycaudus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붙이아목 |
과 | 눈그늘도마뱀붙이과 |
속 |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 |
종 | 넓적꼬리도마뱀붙이 |
2. 형태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9.5cm, 꼬리 끝까지 15cm이다. 몸 전체에 낮게 부푼 결절들이 있으며, 얼룩덜룩한 갈색을 띤다. 원래 꼬리는 몸과 같은 색깔이며 크고 살짝 뾰족한 결절로 덮여 있지만, 다시 자라난 꼬리는 색깔이 더 짙고 결절은 뭉툭하다.[9]
2. 1. 몸통
넓적꼬리도마뱀붙이의 몸통 길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9.5cm이며, 꼬리 끝까지는 최대 15cm이다.[9][2] 피부는 얼룩덜룩한 갈색 바탕에 낮게 부푼 결절들이 온몸을 뒤덮고 있다.[9] 원래 꼬리는 몸통과 같은 색깔에 크고 살짝 뾰족한 결절로 덮여 있지만, 다시 자라난 꼬리는 색깔이 더 짙고 결절은 뭉툭하며 매끄럽다.[9][2]2. 2. 꼬리
넓적꼬리도마뱀붙이의 꼬리 길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9.5cm, 꼬리 끝까지는 최대 15cm이다. 몸 전체에 융기된 결절이 있으며, 얼룩덜룩한 갈색을 띤다. 원래 꼬리는 몸과 같은 색깔로 얼룩덜룩하며, 크고 약간 가시가 있는 결절이 덮고 있다. 반면 재생된 꼬리는 색깔이 더 짙고 결절은 뭉툭하며 더 굵고 얼룩덜룩하며 매끄럽다.[9][2]3. 서식지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주로 뉴사우스웨일즈의 시드니 분지 영역에서 발견되며, 북쪽으로는 뉴캐슬, 남쪽으로는 일라와라 지역까지 분포한다. 이들은 바위 지역이나 나무, 인공 구조물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한다.
3. 1. 자연 서식지
일반적으로 시드니 분지 영역에 서식하며, 북쪽으로는 뉴캐슬, 남쪽으로는 일라와라까지 분포한다.[1] 주로 암석이 널린 지역의 맨들맨들한 바위, 바위 표면이나 작은 바위 틈새에 서식하지만, 바위가 근처에 없다면 나무에 서식하기도 한다.[1] 온대우림 도랑에서 건조한 경엽수림 능선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서식지에서 살아간다.[1] 인공 구조물에도 잘 적응하여 창고, 울타리, 옹벽, 주택 등에서도 발견된다.[1]3. 2. 인공 환경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창고, 울타리, 옹벽, 주택 등 인공 구조물에도 잘 적응한다.[1]4. 먹이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거미, 나방, 딱정벌레, 바퀴벌레 등의 절지동물을 먹는다.[6]
4. 1. 주된 먹이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주로 거미, 나방, 딱정벌레, 바퀴벌레 등의 절지동물을 먹는다.[6]5. 번식
6. 사육
넓적꼬리도마뱀붙이는 키우기 쉬운 종으로 여겨진다.[14][7] 호주에서 넓적꼬리도마뱀붙이를 애완동물로 기르려면 면허가 필요하며, 주마다 면허가 다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hyllurus platurus'' (Shaw, 1790)"
http://reptile-datab[...]
[2]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A.H. & A.W. Reed
[3]
웹사이트
Southern Leaf-tailed Gecko - Phyllurus platurus - Australian Museum
https://australianmu[...]
2017-09-22
[4]
웹사이트
Phyllurus platurus : Southern Leaf-tailed Gecko {{!}} Atlas of Living Australia
2017-09-22
[5]
웹사이트
Phyllurus platurus
http://www.qm.qld.go[...]
2017-11-11
[6]
논문
Life in Two Dimensions: Natural History of the Southern Leaf-Tailed Gecko, Phyllurus platurus
1995
[7]
웹사이트
Complete outline of the NSW reptile licensing system (PDF - 117KB) - Publication | NSW Environment, Energy and Science
http://www.environme[...]
[8]
웹사이트
"''Phyllurus platurus'' (Shaw, 1790)"
http://reptile-datab[...]
[9]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A.H. & A.W. Reed
[10]
웹인용
Southern Leaf-tailed Gecko - Phyllurus platurus - Australian Museum
https://australianmu[...]
2017-09-22
[11]
웹인용
Phyllurus platurus : Southern Leaf-tailed Gecko {{!}} Atlas of Living Australia
2017-09-22
[12]
웹인용
Phyllurus platurus
http://www.qm.qld.go[...]
2017-11-11
[13]
저널
Life in Two Dimensions: Natural History of the Southern Leaf-Tailed Gecko, Phyllurus platurus
1995
[14]
문서
http://www.environ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